KR100455113B1 -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와 그 슬리브에 체결되는 실내노출구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에어컨 배관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와 그 슬리브에 체결되는 실내노출구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에어컨 배관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113B1
KR100455113B1 KR10-2002-0052024A KR20020052024A KR100455113B1 KR 100455113 B1 KR100455113 B1 KR 100455113B1 KR 20020052024 A KR20020052024 A KR 20020052024A KR 100455113 B1 KR100455113 B1 KR 100455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door
sleeve
air condition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2342A (ko
Inventor
최해권
Original Assignee
최해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해권 filed Critical 최해권
Publication of KR20040002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1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4Protection means thereof, e.g. covers for refrigeran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clamped by a wedg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06Rigid pipes specially prof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22Pipe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g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 실내기를 설치하고 건물 외부나 베란다에 실외기를 설치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냉매 순환용 배관들과 실외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들을 베란다 바닥에 매설하기 위한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와 실외를 연통되도록 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절곡되는 부분을 슬리브 내부에 장입되는 냉매 순환관과 전선들이 용이하게 통과되도록 충분한 공간과 작은 절곡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여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매설후 분리형 에어컨 배관들과 전선들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및 실내 노출구 커버와 이를 이용한 에어컨 배관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와 그 슬리브에 체결되는 실내 노출구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에어컨 배관 설치방법{Sleeve and Indoor Cover for Pipe Laying of Airconditioner and Method of Pipe Lay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내에 실내기를 설치하고 건물 외부나 베란다에 실외기를 설치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냉매 순환용 배관들과 실외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들을 베란다 바닥에 매설하기 위한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와 실외를 연통되도록 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절곡되는 부분을 슬리브 내부에 장입되는 냉매 순환관과 전선들이 용이하게 통과되도록 충분한 공간과 작은 절곡 각도를 갖도록 형성하여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매설후 분리형 에어컨 배관들과 전선들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와 그 슬리브에 체결되는 실내 노출구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에어컨 배관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에 설치되어 실내의 온도를 낮추어 주는 분리형 에어컨은 냉매의 상변환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에 냉기를 공급한다. 상기 분리형 에어컨은 증발기와 송풍팬을 포함하며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에 냉기를 공급하는 실내기와, 압축기, 응축기, 방열팬 그리고 팽창밸브 등을 포함하고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로 구성된다.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와 실외기는 순환하는 냉매 통로용 배관 및 실외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으로 연결 구성되며, 또한 실내기는 냉기를 공급하면서 발생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을 갖는다.
상기 분리형 에어컨을 주거공간에 설치할 경우 기존 주택에는 아무런 시설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에어컨 실내기와 실외기가 설치되는 공간 사이의 벽에 구멍을 뚫고, 이 구멍들을 통해 순환용 냉매관들과 전선을 통과시켜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였다. 또한, 벽면에 구멍을 뚫지 않고 천장의 모서리와 문틀의 모서리를 통해 냉매관들과 전선을 연결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벽면에 구멍을 뚫어 에어컨을 설치할 경우 설치작업이어렵고 벽면에 손상을 가져온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천정의 모서리와 문틀의 모서리를 통하여 설치할 경우 실내 미관을 해치고 문을 제대로 여닫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벽면을 뚫어 연결한 관들로 인해 베란다 통행시 발에 걸려 통행자가 다칠 수 있고, 통행자에 의해 배관이 손상되어 냉매가 유출되거나 전선의 피복이 벗겨져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파트 또는 주택 건설 과정에서 뼈대를 이루는 옹벽 시공시 옹벽 매설관을 매설하고, 바닥을 형성하는 기초 슬라브 상부에 온수 배관등과 함께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내벽과 바닥 공사를 실시하여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배관들과 전선등의 통로를 사전에 제공함으로써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매설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를 구성하는 관들의 절곡 각도를 최대한 완만하게 구성하여 강관인 에어컨의 순환용 배관들이 슬리브에 걸림없이 용이하게 통과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실내로 노출되는 부분에 배관 유도캡을 갖는 커버를 형성하여 바닥 시공중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바닥 공사 후 에어컨 미설치시 바닥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에어컨 배관을 삽입하기 전에 배관 앞부분에 상기 배관 유도캡을 고정하여 배관이 슬리브내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옹벽에 매설되며 곡관 삽입부를 갖는 옹벽 매설관과, 상기 옹벽 매설관의 곡관 삽입부에 삽입 체결되며 베란다에 매설되는 곡관과, 상기 곡관과 연결되며 베란다에 매설되는 수평 연결관과, 상기 수평 연결관에 연결되고 거실바닥에 노출되는 개구를 가지며 베란다와 실내 바닥에 연결 매설되는 실내 연결관과, 상기 곡관과 수평 연결관 그리고 수평 연결관과 실내 연결관을 연결하는 이음관을 포함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와 상기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실내 노출구에 체결되며 배관 유도캡을 갖는 실내 노출구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컨 슬리브와 상기 에어컨 슬리브의 실내 노출구에 체결되는 실내 노출구 커버를 이용하여 에어컨 배관을 설치하는 방법은 에어컨 슬리브의 실내 노출구로부터 실내 노출구 커버를 해체하고 배관 유도캡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실내 노출구 커버의 배관 삽입구 임시 마개를 떼어내어 형성된 배관 삽입구를 통해 에어컨의 냉매 순환용 배관들과 실외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삽입된 배관들 및 전력선의 끝을 모아 배관 유도캡에 장입하고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임시로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배관 유도캡에 장입되어 임시 고정된 배관들 및 전력선을 삽입하여 실외기 측의 옹벽 삽입관 외부로 통과 시킨 후 배관 유도캡을 분리하여 배관들을 실외기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실내 노출구 커버의 배관 유도캡 체결부에 배관 유도캡을 체결한 후 실내 노출구에 그 커버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베란다 바닥과 옹벽에 매설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옹벽 매설관이 옹벽에 매설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곡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수평 연결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실내 연결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6a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각 관들을 연결하는 이음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6b는 도6a의 측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각 관들을 연결하는 이음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8a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실내 연결관의 실내 노출구에 체결되는 실내 노출구 커버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8b는 도8a의 단면도.
도9a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실내 연결관의 실내 노출구에 체결되는 실내 노출구 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9b는 도9a의 단면도.
도10a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실내 연결관의 실내 노출구에 체결되는 실내 노출구 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10b는 도10a의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실내 연결관의 다른 실시예로서 측면에 배수관 체결수단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
도12는 도11의 배수관 체결수단을 나타낸 부분 확대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를 매설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옹벽 매설관 11 : 옹벽 노출부
12 : 곡관 삽입부 13 : 제1슬리브 지지대
14 : 제2슬리브 지지대 20 : 곡관
21 : 옹벽 매설관 삽입부 22,41 : 수평 연결관 연접부
30 : 수평 연결관 40 : 실내 연결관
42 : 실내 노출구 43 : 체결홈
50,50' : 이음관 51 : 구획돌기
52 : 바닥 고정날개 53 : 고정수단 삽입홀
54 : 고정수단 60 : 옹벽
61 : 내벽 70,70',70" : 실내 노출구 커버
71,71' : 커버 상판 72,72' : 실내 노출구 삽입부
73,73' : 체결돌기 74,74' : 배관 삽입구 임시마개
75 : 걸림홈 76,76' : 배관 유도캡 체결부
80 : 배관 유도캡 90 : 배수관 체결수단
91 : 배수관 체결부 92 : 실내 연결관 부착부
100 : 에어컨 실내기 110 : 에어컨 실외기
120 : 배수구 130 : 에어컨 배수관
본 발명을 아파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아파트는 뼈대를 이루는 옹벽과 바닥을 이루는 기초 슬라브를 시공한 후, 각 방 및 거실을 구성하는 실내에 난방용 온수 배관이 시공되며, 그 위에 시멘트 몰탈로 마감작업을 실시하고, 방들과 거실들을 구분하는 내벽을 시공하며, 장판지나 목재를 이용하여 마감처리한다. 또한, 베란다는 내실과 유리문 등으로 구분하며 내실과 같은 높이로 몰탈 작업 후, 타일을 부착하여 마감처리한다. 따라서 기본 바닥을 이루는 기초 슬라브 상부에 일정한 높이가 추가적으로 시공되며, 거의 모든 아파트의 시멘트 몰탈 높이는 규격화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바닥 공사 중 온수용 배관 공사시 에어컨을 설치하기 가장 적당한 장소에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를 사전에 설치하여 분리형 에어컨을 설치할 경우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순환용 냉매 배관들과 전선등을 노출됨이 없이 관통시킬 수 있는 통로와, 그 통로를 통해 에어컨 배관을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옹벽에 매설되는 옹벽 매설관(10)과, 베란다 바닥에 매설되는 곡관(20) 및 수평연결관(30), 그리고 거실 바닥에 노출되는 개구를 갖도록 매설되는 실내 연결관(40)과, 상기 곡관(20)과 수평 연결관(30) 그리고 실내 연결관(40)을 연결하는 두개의 이음관(5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를 구성하는 관들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구성하여 이후 몰탈작업에 의해 시공되는 규격화된 바닥 높이의 범위 내에서 내부로 관통하는 에어컨 배관 및 전선들의 유동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옹벽 매설관(1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 설치시 미리 거푸집에 설치하여 옹벽 시공과 함께 각층의 옹벽(60)에 매설되도록 하며, 옹벽 노출부(11)의 중심선과 곡관 삽입부(12)의 중심선의 접선의 각이 150도 이상의 각을 갖도록 형성한다. 상기 옹벽 매설관(10)을 옹벽(60)에 매설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타설전 옹벽 형상의 거푸집에 제1슬리브 지지대(13)와 제2슬리브 지지대(14)를 못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매설 위치에 고정하고, 상기 제1슬리브 지지대(13)에 옹벽 매설관(10)의 곡관 삽입부(12)를, 제2슬리브 지지대(14)에 옹벽 노출부(11)를 삽입 고정한 후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옹벽 매설관(10)을 정위치에 매설하게 된다. 상기 제1슬리브 지지대(13)는 상기 옹벽 매설관(10)의 곡관 삽입부(12)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거푸집에 못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수단 삽입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다만 종래의 거푸집에 고정설치하는 슬리브 지지대와 그 구성이 동일하며 곡관 삽입부(12)를 삽입하는 삽입구의 형상은 곡관 삽입부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2슬리브 지지대(14)는 타원형의 옹벽 노출부삽입구를 갖도록 형성한다.
다음에 곡관(2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타원형상을 가지며 직관처럼 곧게 형성되는 수평 연결관 연접부(22)와, 일정한 각도로 휘어져 상기 옹벽 매설관(20)의 곡관 삽입부(12)에 삽입 체결되는 옹벽 매설관 삽입부(21)를 갖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옹벽 매설관(10)과 곡관(20)을 결합하여 상기 옹벽 매설관(10)의 옹벽 노출부(11)로부터 곡관(20)의 수평 연결관 연접부(22)가 약간 보일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관 삽입시 구리 강관인 순환용 냉매 배관이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수평 연결관(3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방법에 의해 단면이 타원형인 직관으로 형성되며, 작업자가 베란다에 매설하는 길이에 따라 원하는 형태로 잘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평 연결관(30)을 압출방법으로 성형하는 것은 수평 연결관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 실내 연결관(4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연결관(30)과 연결되는 타원형의 수평 연결관 연접부(41)와, 상기 수평 연결관 연접부(41) 보다 큰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동 타원의 장반경의 방향이 수평 연결관(40)의 길이방향과 일치되도록 형성되고 실내 바닥과 같은 높이로 노출되는 실내 노출구(42)를 가지며, 상기 실내 노출구(42)에서 수평 연결관 연접부(41)의 일측이 보일정도의 완만한 기울기를 갖도록 L자 형태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실내 노출구측에는 후술하는 실내 노출구 커버(70 또는 70')의 체결돌기(73 또는 73')를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홈(43)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를 구성하는 옹벽 매설관(10), 곡관(20), 수평 연결관(30), 그리고 실내 연결관(40)의 수평 연결관 연접부(41)는 동일한 두께와 크기의 타원 형태로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 곡관(20)과 수평 연결관(30) 및 수평 연결관(30)과 실내 연결관(40)을 연결하는 이음관(50)은 도6a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연결관(30)의 외경과 같거나 큰 내경을 갖도록 양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하고, 내면 중앙에 상기 관들이 삽입되어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관들의 두께와 같은 높이로 띠 형태의 구획돌기(51)를 형성한다. 이때, 구획돌기(51)의 높이를 관들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은 배관 및 전선 삽입시 끝부분이 구획돌기(51)에 걸려 배관들의 통과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음관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관(50)과 같은 형태를 가지며, 하단에 양단으로 갈수록 얇아지며, 바닥이 수평을 이루는 바닥 고정날개(52)를 이음관(50)의 외주면 양측 하단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바닥 고정날개(52) 중앙에 고정수단(54)을 체결하여 이음관(50')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 삽입홀(53)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정날개를 갖는 이음관(50')은 수평연결관(30), 곡관(20) 및 실내 연결관(40)을 연결한 후, 바닥에 고정수단(54)을 이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에어컨 슬리브의 매설공사시 각 관들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위치에 매설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바닥 고정날개(52)에 고정수단 체결홈을 형성하지 않고 고정날개 바닥에 접착제를 부착함으로써 이음관을 바닥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는 옹벽 시공시 옹벽 매설관(10)을 옹벽 시공과 함께 매설하고, 바닥 배관 공사시 상기 매설된 옹벽 매설관(10)에 곡관(20)과 수평 연결관(30), 그리고 실내 연결관(40)을 이음관(50)을 이용하여 연결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가 바닥의 다른 배관들과 함께 설치 완료되면 몰탈작업을 실시하여 바닥 공사를 마감하게 된다.
이때, 바닥 작업시 몰탈의 슬리브 내 유입을 방지하고 바닥 공사 마감 후 에어컨 설치전에 실내 연결관(40)의 노출된 부분으로 인해 실내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내 연결관(40)의 실내 노출구(42)에는 도8a 및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내 노출구 커버(70)를 체결한다.
상기 실내 노출구 커버(70)는 상기 실내 연결관의 실내 노출구의 내경과 같은 크기의 타원형상을 가지며 밑면에는 후술하는 배관 유도캡(80)을 체결하기 위해 형성된 배관 유도캡 체결부(76)를 갖는 커버 상판(71)과, 상기 커버 상판(71)의 테두리에 연접하여 하단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내 노출구(42)에 삽입되며 삽입시 실내 연결관(40)의 실내 노출구(42) 측 관내부에 형성된 체결홈(43)에 체결하기 위해 외면에 띠형태로 형성된 체결돌기(73)를 갖는 실내 노출구 삽입부(72)와, 상기 커버 상판(71)의 일측에 형성되어 에어컨 배관들과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배관 삽입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떼어낼 수 있도록 임시로 형성되어 있는 배관 삽입구 임시마개(74)와, 상기 커버 상판(71)의 테두리 일부분에 형성되며 송곳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실내 노출구(42)에 체결된 실내 노출구 커버(70)를 분리시키기 위한 걸림홈(75)과, 상기 커버 상판(71) 밑면에 형성된 배관 유도캡 체결부(76)에 탈부착되며 끝단이 반구형상을 갖는 원통형상의 배관 유도캡(80)으로 구성된다. 이때, 배관 유도캡(80)은 표면이 매끄러운 강화 플라스틱등을 이용하여 제조하며, 실내 노출구 커버와는 별로도 에어컨 배관 작업자에게 공급될 수도 있다.
또한, 실내 노출구 커버(7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9a 및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 노출구 커버를 구성하는 실내 노출구 삽입부(72'), 실내 노출구 삽입부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돌기(73'), 배관 삽입구 임시마개(74'), 배관 유도캡 체결부(76'), 배관 유도캡(80) 등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다만 상판(71')을 상기 실내 노출구 삽입부(72')의 외경 또는 실내 노출구(42) 내경보다 크게 형성하고, 끝으로 갈수로 얇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하여 물건이나 사람의 발에 걸리지 않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판(71')의 모양을 타원형이 아닌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실내 노출구의 끝단이 노출되지 않도록하여 에어컨 미설치시 실내 노출구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 노출구 커버(7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10a 및 도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8a의 상판(71)에 배관 삽입구 임시 마개를 형성하지 않고 바로 배관 유도캡의 외경과 같은 크기의 직경을 갖는 배관 삽입구를 형성하며, 그 배관 삽입구에 배관 유도캡을 체결하여 실내 노출구 커버(7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내 노출구 커버는 배관 유도캡을 체결하기 위해 상판 하부에 별도로 배관 유도캡 체결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일반적으로 에어컨 냉매용 배관은 구리 강관으로 형성되어 있어 잘 휘어지지 않으며 절단된 부분이 슬리브 내벽의 절곡된 부분 등에 걸려 잘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멸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실내 노출구 커버를 갖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를 이용하여 에어컨 배관을 설치함으로써 배관이 슬리브 내부에 걸림현상 없이 슬리브 내부를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그 설치방법을 도8a에 도시된 실내 노출구 커버를 갖는 에어컨 슬리브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설치되어 있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실내 노출구(42)에 체결되어 있는 실내 노출구 커버(70)를 해체하고, 상기 실내 노출구 커버(70)의 밑면에 부착되어 있는 배관 유도캡(80)을 분리한다. 이때, 배관 유도캡(80)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커버는 배관 유도캡을 별도로 준비한다. 다음에 상기 실내 노출구 커버(70)의 배관 삽입구 임시 마개(74)를 떼어내어 배관 삽입구를 형성하고 그 형성된 배관 삽입구를 통해 에어컨의 냉매 순환용 배관들과 실외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삽입한다. 다음에 상기 삽입된 배관들 및 전력선의 끝을 모아 배관 유도캡(80)에 장입하고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임시로 고정한다. 다음에 상기 배관 유도캡(80)에 장입되어 임시 고정된 배관들 및 전력선을 삽입하여 실외기 측의 옹벽 삽입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밀어 넣고 이를 통과시켜 실외기에 연결한다. 다음에 상기 실내 노출구 커버(70)의 배관 유도캡 체결부(76)에 배관 유도캡(80)을 다시 결합한 후 실내 노출구(42)에 그 커버(70)를 체결함으로서 실내기 및 실외기로 이루어진 에어컨의 배관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실내기에서 응결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을 함께 실외기 쪽으로 배관할 수도 있다.이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가 타원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냉매용 배관과 전력선이 차지하는 공간 측면으로 여유 공간이 더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실내기에 응결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을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연결관 측면에 배수관 체결수단(90)을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하여 바닥 마감 공사시 함께 매설할 수도 있다. 상기 배수관 체결수단(90)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연결관(40)에 부착되는 실내 연결관 부착부(92)와, 에어컨 배수관(130)을 체결하여 고정시키며 일측이 절단된 고리 형태로 된 배수관 체결부(91)로 구성되며, 배수관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되어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과 베란다의 배수구(120)에 연결하여 에어컨에서 발생된 물을 배출하게 된다. 이때, 에어컨 배수관은 실내 노출구 커버의 측면에 별도로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내벽(61)과 베란다 바닥을 거쳐 실외 옹벽(60)에 이르는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100)와 외부 베란다에 설치되는 실외기(110)를 연결하는 각종 배관을 겉으로 노출시키지 않고 매설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완만히 절곡된 옹벽 매설관 및 곡관과 수평 연결관 및 실내 연결관으로 구성되어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순환용 냉매 배관과 전선을 외부로 노출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배관들이 통과하는 슬리브 내부가 완만한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잘 구부러지지 않는 강관으로 형성된 배관들을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 연결관의 실내 노출구에 체결되는 실내 노출구 커버를 형성하여 바닥 작업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에어컨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 바닥을 실내 노출구 커버로 마무리하여 실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바닥 마감 작업후 에어컨 설치시 배관 유도캡을 이용하여 배관 등을 걸림현상 없이 용이하게 설치 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연결관 측면에 에어컨 배수관 체결구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에 에어컨 배수관을 연결하여 매설함으로써 에어컨 배수관도 노출시키지 않고 매설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에어컨 배수관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Claims (16)

  1.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기 위해 건물 바닥에 매설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에 있어서,
    옹벽 시공작업시 함께 매설되며 일측에 곡관 삽입부와 타측에 옹벽 노출구를 가지고 양단 중심선의 접선의 각이 150도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 옹벽 매설관과,
    상기 옹벽 매설관의 곡관 삽입부에 삽입 체결되며 베란다 바닥에 매설되는 곡관과,
    상기 곡관과 연결되며 베란다에 매설되는 수평 연결관과,
    상기 수평 연결관의 일측에 연결되고 거실바닥에 노출되는 실내 노출구를 가지며 베란다와 실내 바닥에 매설되는 L자 형태의 실내 연결관과,
    상기 곡관과 수평 연결관 그리고 수평 연결관과 실내 연결관을 결합시키는 이음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 매설관은 옹벽을 타설하기 위한 마주보는 거푸집 양면에 제1슬리브 지지대와 제2 슬리브 지지대를 설치하여 고정시킨 후 옹벽을 타설하여 매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관은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옹벽 매설관에 삽입되는 옹벽 매설관 삽입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수평 연결관 연접부가 형성되고, 상기 옹벽매설관과 결합하여 옹벽 매설관의 옹벽 노출부로부터 곡관의 수평 연결관 연접부의 일부분이 보이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연결관은 압출에 의해 타원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연결관은 타원형태의 단면을 갖는 수평 연결관 연접부와, 상기 수평 연결관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는 장반경을 갖는 크기가 큰 타원형으로 형성된 실내 노출구를 가지며, 상기 실내 노출구의 내면 상단에는 체결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은 수평 연결관의 외경과 같거나 큰 내경을 가지며, 내면 중앙에는 상기 관들의 두께와 같은 높이를 갖는 띠 형태의 구획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은 외주면 하부 양측에 밑면은 수평으로 형성되고 윗면은 양단으로 갈수로 얇아지는 테이퍼 형태를 갖는 고정날개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날개에는 고정수단을 체결하여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연결관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컨 배수관 체결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배수관 체결수단은 실내 연결관 외주면에 부착되는 실내 연결관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일부분이 절단된 고리 형태의 배수관 체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10. 제 1 항의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실내 연결관의 실내노출구에 체결되며,
    실내 연결관의 실내 노출구의 내경과 같은 크기의 타원형상을 가지고 밑면에는 배관 유도캡을 체결하기 위해 형성된 배관 유도캡 체결부를 갖는 커버 상판과,
    상기 커버 상판의 테두리에 연접하여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내 노출구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커버 상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에어컨 배관들과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배관 삽입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임시로 형성되어 있는 배관 삽입구 임시마개와,
    상기 커버 상판 밑면에 형성된 배관 유도캡 체결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끝단이 반구형상을 갖는 배관 유도캡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실내 노출구 커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노출구 커버의 상판은 상기 실내 연결관의 실내 노출구의 내경 또는 실내 노출구 삽입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중앙이 두껍고 테두리로 갈수록 얇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실내 노출구 커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형태는 타원형,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 브의 실내 노출구 커버.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노출구 커버는 상판 테두리의 일부분에 도구를 이용하여 실내 노출구에 체결되어 있는 커버를 분리하기 위해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실내 노출구 삽입부의 외주면에 띠 형태로 형성된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실내 노출구 커버.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유도캡은 일단이 반구형태를 가지며 일단은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실내 노출구 커버.
  15. 제 10 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상판은 배관 삽입구 임시 마개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배관 삽입구가 형성되어있고, 그 배관 삽입구에 배관 유도캡의 반구형상 부분이 위를 향하도록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실내 노출구 커버.
  16. 제 1 항의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와 제10항의 실내 노출구 커버를 이용하여,
    에어컨 슬리브의 실내 노출구로부터 실내 노출구 커버를 해체하고 배관 유도캡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실내 노출구 커버의 배관 삽입구 임시 마개를 떼어내어 형성된 배관 삽입구를 통해 에어컨의 냉매 순환용 배관들과 실외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삽입된 배관들 및 전력선의 끝을 모아 배관 유도캡에 장입하고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임시로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배관 유도캡에 장입되어 임시 고정된 배관들 및 전력선을 실내 연결관에 삽입하여 실외기 측의 옹벽 삽입관 외부로 통과시킨 후 배관 유도캡을 분리하여 배관들을 실외기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실내 노출구 커버의 배관 유도캡 체결부에 배관 유도캡을 체결한 후 실내 노출구에 그 커버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 설치방법.
KR10-2002-0052024A 2002-06-25 2002-08-30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와 그 슬리브에 체결되는 실내노출구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에어컨 배관 설치방법 KR100455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19219 2002-06-25
KR2020020019219 2002-06-2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986U Division KR200304064Y1 (ko) 2002-06-25 2002-08-30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및 이에 체결되는 실내 노출구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342A KR20040002342A (ko) 2004-01-07
KR100455113B1 true KR100455113B1 (ko) 2004-11-06

Family

ID=373140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024A KR100455113B1 (ko) 2002-06-25 2002-08-30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와 그 슬리브에 체결되는 실내노출구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에어컨 배관 설치방법
KR20-2002-0025986U KR200304064Y1 (ko) 2002-06-25 2002-08-30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및 이에 체결되는 실내 노출구 커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986U KR200304064Y1 (ko) 2002-06-25 2002-08-30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및 이에 체결되는 실내 노출구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455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012B1 (ko) * 2004-12-31 2006-09-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홀커버
CN108518758A (zh) * 2018-05-30 2018-09-1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连通管及空调器
CN108709259A (zh) * 2018-05-30 2018-10-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连通管及空调器
CN108870568A (zh) * 2018-07-27 2018-11-23 佛山市德顺家电有限公司 一种空调装饰管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064Y1 (ko) 2003-02-14
KR20040002342A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5113B1 (ko)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와 그 슬리브에 체결되는 실내노출구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에어컨 배관 설치방법
JPH0132415B2 (ko)
KR200321072Y1 (ko)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및 이에 체결되는 실내 노출구 커버
KR101176887B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입상덕트 지지구
KR200280437Y1 (ko) 에어컨 배관용 연결구
KR200266051Y1 (ko) 에어컨 배관 매립을 위한 슬리브 연결체
KR200321105Y1 (ko) 에어컨 실외기 연결 벽체 매립형 배관용 파이프 설치구조
KR200344690Y1 (ko)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
KR200203083Y1 (ko) 에어컨 배관연결 터미널
KR200254715Y1 (ko) 에어컨의 응축수 배수를 위한 장치함
KR200238229Y1 (ko) 에어콘 실외기의 매립형 연결관
KR200305434Y1 (ko) 에어컨 배관용 바닥형 슬리브
KR100516787B1 (ko)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 시공방법 및 그 슬리브
JP2763287B2 (ja) 空調用エアコンディショナの配管回り構造
RU156123U1 (ru) Блок для инженерных коммуникаций
JP2520816Y2 (ja) 構築用パネル
KR100583746B1 (ko)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연결체의 매립구조
KR200385188Y1 (ko)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
JPH09195537A (ja) 居住施設における居室とバスユニットの配置構造
SK285888B6 (sk) Šachtová sústava
JPH04198559A (ja) 設備カバー
KR200322179Y1 (ko) 와이자형 플렉시블 이음관
KR200265162Y1 (ko) 에어컨 배관 매립을 위한 슬리브 연결체
JP3394557B2 (ja) エアコン室内機の排水構造
JP2895955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への排水パイプ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