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690Y1 -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 - Google Patents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690Y1
KR200344690Y1 KR20-2003-0039780U KR20030039780U KR200344690Y1 KR 200344690 Y1 KR200344690 Y1 KR 200344690Y1 KR 20030039780 U KR20030039780 U KR 20030039780U KR 200344690 Y1 KR200344690 Y1 KR 200344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gas
pipe
air conditioner
drain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7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환
Original Assignee
(주) 이안플로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안플로링 filed Critical (주) 이안플로링
Priority to KR20-2003-00397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6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6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4Protection means thereof, e.g. covers for refrigeran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에 관한 것으로, 육면체의 전면(前面)이 개방되어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저면에 배수관 및 냉매가스관이 관통되도록 양측에 구멍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복수의 층으로 분할되어 결합되되 상기 전면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각각의 층에 맞게 절단 형성된 복수의 덮개; 상기 케이스의 저면 일측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냉매가스관이 연장되고, 복수의 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냉매가스관이 측방으로 각각 분기되어 연장된 냉매가스관부; 및 상기 케이스의 저면 타측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배수관이 연장되고, 복수의 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배수관이 측방으로 각각 분기되어 연장된 배수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에어컨의 실외기와 연결되어 벽체 내부에 기매설된 냉매가스관 및 배수관과 실내기의 냉매가스 입출구에 각각 형성된 관접속구 및 배수호스가 벽면 상에 노출되지 않게 연결되도록 벽걸이형 에어컨의 실내기가 설치되는 벽면 내측에 매립박스를 매설하여 공간부를 제공하고, 상기 실내기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냉매가스 입출구측 관접속구 및 배수호스의 위치에 대하여 적절하게 상기 냉매가스관 및 배수관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매립박스의 내부에 냉매가스관 및 배수관이 복수의 층으로 연장 또는 분기 형성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FILLING BOX OF REFRIGERANT AND DRAIN PIPES FOR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컨의 실외기와 연결되어 벽체 내부에 기매설된 냉매가스관 및 배수관과 실내기의 냉매가스 입출구에 각각 형성된 관접속구 및 배수호스가 벽면 상에 노출되지 않게 연결되도록 벽걸이형 에어컨의 실내기가 설치되는 벽면 내측에 매립박스를 매설하여 공간부를 제공하고, 상기 실내기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냉매가스 입출구측 관접속구 및 배수호스의 위치에 대하여 적절하게 상기 냉매가스관 및 배수관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매립박스의 내부에 냉매가스관 및 배수관이 복수의 층으로 연장 또는 분기 형성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에어컨(110)에는 상기 에어컨의 가동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관(112)과 냉매의 순환을 위한 냉매가스관(114)이 연결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상기 배수관(112) 및 냉매가스관(11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벽면 상에 노출된 상태로 베란다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관(112) 및 냉매가스관(114)을 실외 즉, 베란다에 설치 또는 형성된 배수구 및 실외기와 연결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베란다측 콘크리트 벽면(120)을 천공기기(드릴)를 이용하여 관통 구멍(122)을 형성한 다음, 상기 관통 구멍(122)을 통하여 상기 배수관(112) 및 냉매가스관(114)을 베란다로 관통시켜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배수관(112) 및 냉매가스관(114) 설치방법은 베란다측 벽면에 대하여 관통 구멍(112)을 형성하여 배관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112) 주변 벽면에 균열이 발생되어 벽면의 미관을 해치게되고, 상기 관통 구멍(112)이 다소 크게 형성된 경우 막음재를 이용하여 상기 구멍 주위를 밀폐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배수관(112) 및 냉매가스관(114)이 벽면 상에 노출되어 파손의 우려가 있고, 실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대부분 상기 배수관(112) 및 냉매가스관(114)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기 위하여 에어컨을 베란다에 가깝게 설치하기 때문에 실내기 주위의 온도가 상승되어 냉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대다수의 벽걸이 에어컨은 배수관 및 냉매가스관을 실내의 벽면 상에 노출시켜 설치하였지만 최근 주거환경의 고급화 즉, 실내미관을 중요시하는 추세에 따라 일부의 주상복합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경우 시공시 벽걸이형 및 슬림형 에어컨의 설치를 위하여 배수관 및 냉매가스관을 벽체 내에 매설하여 벽면 상에 이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하는 시공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벽체 내부에 배수관 및 냉매가스관을 매설하여 에어컨과 연결되도록 고안된 에어컨의 응축수 배수를 위한 장치함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54715호에 게재되어 있으며, 도 5a 내지 5c에 상기 장치함의 분해사시도와 설치상태 정면도 및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에어컨 배수 장치함(200)은 벽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케이스(210)의 상면에는 철근이 끼워지는 복수의 후크(212)들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210) 측면의 외주면에는 2개의 철근 지지부(2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크(212)와 철근 지지부(214)의 근접한 부분에는 철사로 철근에 동여매기 위한 걸이(212a,21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10)의 바닥면에는 관통공(216a)이 형성된 연결부(216)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케이스(210)의 바닥면에는 에어컨 실외기와 연결되는 냉매관(320) 및 에어컨 실외기와 연결되는 콘트롤 라인(미도시됨)이 인입될 수 있는 홀인 제1 및 제2세그먼트(213a,21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10)의 바닥은 물기가 상기 연결부(216)의 관통공(216a)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경사면(218)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218)에는 그 외측으로 물넘침 방지턱(2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220)는 단면 형상이 ""와 같이 형성되어 에어컨 설치시 상기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는 에어컨(300)의 냉매관(304)과 냉각수 파이프(30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측면 오프닝(224)이 형성하는 만곡부(222)를 갖는데, 상기 에어컨의 냉매관(304)과 배수 파이프(302)는 측방향에서 상기 만곡부(222)의 측면 오프닝(224)을 통해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짐으로써 외부에서는 상기 에어컨(300)의 냉매관(304)과 배수 파이프(302)가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에어컨 배수 장치함(200)은 실내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케이스(210)의 바닥에 고여지거나 집수된 물이 배수관으로 배수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에어컨 배수 장치함(200)의 내부가 항상 습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곰팡이 또는 각종 세균의 발생으로 청결하지 못하고, 상기 에어컨 배수 장치함(200)의 바닥으로 응축수가 넘칠 경우 상기 에어컨 배수 장치함(200)의 주변의 벽지가 얼룩지거나 벽지의 일부분이 훼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에어컨 배수 장치함(200)의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220)는 상기 에어컨(300)의 실내기 후면에 의하여 가려지는 것이 아니라 측방에 위치된 상태로 만곡부(222)가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못하고, 상기 커버(220)에 의하여 가려지는 에어컨(300)의 냉매관(304)과 배수 파이프(302)가 완전히 벽체에 매설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매설되기 때문에 상기 냉매관(304)과 배수 파이프(302)가 파손될 위험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벽걸이 에어컨의 후방 벽체에 매립되어 매립박스의 개방부 일부분이 가려지도록 고안되어 당업자에 의하여 실시되고 있는 종래의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의 전면(前面)이 개방되어 단일 공간부를 갖는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401)의 저면을 통하여 연장된 냉매가스관(402)과 배수관(403)이 상기 벽걸이 에어컨(400)의 후방에 위치되는 공간부에서 상기 벽걸이 에어컨(400)의 관접속구(404) 및 배수호스(405)와 각각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401)는 외형적으로 상기 냉매가스관(402)과 배수관(403)이 내부 공간부에서 결합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있지만, 대부분의 벽걸이 에어컨(400)의 하단부가 상기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401)의 개방된 저면까지 가려지지 않기 때문에 추후에 별도의 덮개 또는 벽지 등으로 개방된 부분을 가려줘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으며, 상기 개방된 부분이 상기 덮개 또는 벽지에 의하여 가려진다 하더라도 벽면과 동일한 수준의 면을 이루지 못하고 돌출되거나함몰되어 미관상 좋지 못한 결과를 가져왔었다.
또한, 상기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401)의 내부에는 규격화된 단일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천장(410)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벽걸이 에어컨의 크기가 종래와 다르게 크거나 작은 경우 상기 벽걸이 에어컨(400)의 관접속구(404) 및 배수호스(405)의 위치에 맞게 상기 냉매가스관(402) 및 배수관(403)을 각각 연장 형성해야 하고, 만일 상기 벽걸이 에어컨(400)의 관접속구(404) 및 배수호스(405)의 위치가 상기 공간부를 벗어나게 된다면 상기 냉매가스관(402) 및 배수관(403)을 외부로 노출시켜 연결하거나 또는 벽체의 일부를 재시공하여 상기 공간부를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대하여 재시공 비용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실내 마감재와 조화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벽걸이형 에어컨의 관접속구 및 배수호스와 벽체 내부에 매설된 냉매가스관 및 배수관이 벽면 상에 노출되지 않도록 벽체 내부에 매립된 매립박스의 공간부에서 연결되도록 하고, 특히 에어컨의 크기와 상관없이 냉매가스관 및 배수관에 에어컨의 관접속구 및 배수호스를 연결시켜 주기 위하여 복수의 층에 대하여 개방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냉매가스관 및 배수관을 복수의 층에 대응되도록 연장 및 분기시켜 냉매가스관부 및 배수관부를 형성하여 에어컨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공간부를 형성하여 에어컨의 관접속구 및 배수호스와 대응되는 냉매가스관 및 배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의 하단부에 위치되는 냉매가스관 및 배수관이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덮개수단을 형성하고, 상기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의 전면(前面)에 결합되는 덮개가 벽면과 동일한 수준의 면을 이루도록 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의 분해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가 벽체에 매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가 벽체에 매립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에 소형에어컨이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에 중형에어컨이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c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에 대형에어컨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일반적인 에어컨이 설치된 건물 실내를 보여주는 도면,
도 5a는 종래의 에어컨 응축수 배수를 위한 장치함의 분해사시도,
도 5b는 종래의 에어컨 응축수 배수를 위한 장치함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5c는 종래의 에어컨 응축수 배수를 위한 장치함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의 설치상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케이스 2: 덮개
3: 냉매가스관부 4: 배수관부
11: 테두리 12: 전면벽
13,14: 구멍 15: 저면
16: 후면 21: 제1덮개
22: 제2덮개 23: 제3덮개
30: 냉매가스관 31a,31b: 결합구
32a,32b: 마개 33,41: 티이
40: 배수관 42: 엘보우
43: 소켓 44: 밀착링
50: 철근 53: 고정수단
60: 벽체 61: 천장
70: 소형에어컨 71: 중형에어컨
72: 대형에어컨 73a,73b: 관접속구
74: 배수호스 Ⅰ: 제1공간부
Ⅱ: 제2공간부 Ⅲ: 제3공간부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벽체에 매립된 박스를 통하여 연장 형성된 냉매가스관 및 배수관과 에어컨의 관접속구 및 배수호스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에 있어서, 육면체의 전면(前面)이 개방되어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저면에 배수관 및 냉매가스관이 관통되도록 양측에 구멍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복수의 층으로 분할되어 결합되되 상기 전면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각각의 층에 맞게 절단 형성된 복수의 덮개; 상기 케이스의 저면 일측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냉매가스관이 연장되고, 복수의 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냉매가스관이 측방으로 각각 분기되어 연장된 냉매가스관부; 및 상기 케이스의 저면 타측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배수관이 연장되고, 복수의 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배수관이 측방으로 각각 분기되어 연장된 배수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매가스관의 각 단부는 에어컨의 냉매가스 입출구에 각각 형성된 관접속구와 결합되도록 결합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구와 결합되어 상기 냉매가스관을 밀봉시켜주기 위한 마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최저층 공간부에 위치되는 배수관부 및 냉매가스관부가 전면(前面)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전면에 일정 높이의 전면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일반적으로 벽걸이형 에어컨은 그 크기가 규격화되어 설치되는 위치가 모두 동일하지만 최근에는 실내의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목적에서 탈피하여 인테리어 기능이 부가된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에어컨들이 보급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벽걸이형 에어컨보다 크기는 조금 커졌지만 두께가 얇아진 슬림(slim)형 에어컨과 3 내지 4방향으로 송풍이 가능하고 상기 슬림형 에어컨보다 더욱 커진 정방형(正方形) 형태의 액자형 에어컨이 현재 보급되고 있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기능, 형태 및 크기를 갖는 에어컨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상기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의 내부 공간부에 대하여 가상으로 복수의 층(영역)이 분할되어 지고, 상기 각 층에 대하여 냉매가스관(30) 및 배수관(40)이 분기되어 연장된 냉매가스관부(3) 및 배수관부(4)가 상기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의 저면(15) 양측에 형성된 구멍(13,14)에 각각 삽입되기 위하여 위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는 케이스(1), 복수의 덮개(20), 에어컨(70)의 접속구와 연결되는 냉매가스관부(3) 및 에어컨(소형에어컨)(70)의 배수호스(74)와 연결되는 배수관부(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냉매가스관부(3)를 이루고 있는 냉매가스관(30)과 상기 배수관부(4)를 이루고 있는 배수관(40)은 벽체(60)의 시공시 벽체(60) 내부에 기매설되어 있는데, 상기 냉매가스관(30)은 벽체(60) 내부에 매설된 보호관(34) 내부에 삽입되어 실외기(미도시됨)까지 연장되어 상기 실외기(미도시됨)의 접속구와 연결되고, 상기 배수관(40)은 실내 또는 실외에 마련된 배수구(미도시됨)까지 연장되어 응축수가 배수된다.
상기 케이스(1)는 강판으로 이루어진 육면체의 전면이 개방되어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후면(16)을 중심으로 4측면이 각각 외측으로 절곡되어 테두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테두리(11)에는 덮개(20)가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홀(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15)에는 상기 냉매가스관(30) 및 배수관(40)이 관통되어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양측에 구멍(13,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의 저면(15) 일측에 형성된 구멍(13)에는 상기 냉매가스관(30)을 삽입하여 안전하게 보호하고, 벽체(60)를 통한 열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보호관(34)이 결합되어 벽체(60)에 매설된 상태로 실외기(미도시됨)까지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의 내측 공간부는 가상으로 복수의 층이 분할되어 있는데, 본 고안은 상기 공간부가 3층으로 분할되어 형성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는 상단부로부터 제1공간부(Ⅰ), 제2공간부(Ⅱ) 및 제3공간부(Ⅲ)로 분할되어지며, 상기 케이스(1)의 하단부에는 최저공간부인 제3공간부(Ⅲ)에 위치되는 냉매가스관(30) 및 배수관(40)이 전면(前面)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전면에 일정한 높이를 갖는 전면벽(12)이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의 후면(16)에는 벽체(60) 내부에 설치되는 철근(50)에 결합되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공지의 고정수단(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53)을 고리형태로 형성하여 상기 철근(50)에 철사 또는 끈으로 묶어서 상기 케이스(1)를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1)의 전면에 결합되어 개방부를 밀폐시켜주기 위한 덮개(20)는 복수의 층으로 분할된 공간부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층에 맞게 복수개로 절단되어 있으며, 본 고안에서 공간부가 3층으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제1공간부(Ⅰ), 제2공간부(Ⅱ) 및 제3공간부(Ⅲ)에 각각 결합되도록 상기 덮개(20)가 제1덮개(21), 제2덮개(22) 및 제3덮개(23)로 절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덮개(20)의 전면에는 벽면에 도배된 벽지와 동일한 벽지가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벽지와 같은 색상의 페인트가 도장되어 상기 벽면과 조화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덮개(21,22,23)의 양단부에는 상기 케이스(1)의 양측 테두리(11)에 형성된 나사홀(52)과 대응되는 위치에 나사홀(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홀(51,52)을 통하여 삽입되는 나사는 결합되었을때 벽면 상으로 머리가 돌출되지 않도록 납작머리 나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1)의 공간부에 위치되어 에어컨(70)의 냉매가스 입출구에 각각 형성된 관접속구(73a,73b)와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형성하기 위한냉매가스관부(3)는 상기 케이스(1)의 저면(15) 일측에 형성된 구멍(13)을 통하여 냉매가스관(30)이 연장되고 복수의 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냉매가스관(30)이 측방으로 각각 분기 또는 연장되어 있다.
먼저, 상기 케이스(1)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13)에 결합된 보호관(34)을 통하여 공간부까지 연장된 냉매가스관(30)은 냉매가스가 공급되기 위한 공급관(30a)과 회수되기 위한 환수관(30b)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공급관(30a)은 고압의 냉매가스가 이송되도록 관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수관(30b)은 저압의 냉매가스가 이송되도록 관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의 공간부까지 연장된 냉매가스관(30)의 각 단부는 티이(Tee)(33) 및 냉매가스관(30)이 순차적으로 용접되어 제1 내지 제3공간부(Ⅰ,Ⅱ,Ⅲ)까지 각각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티이(33)의 내측 방향으로 용접되어 분기되는 냉매가스관(30)은 상기 에어컨(70)의 관접속구(73a,73b)까지 연장되어 연결된다.
상기 냉매가스관(30)의 각 단부는 에어컨(70)의 냉매가스 입출구에 각각 형성된 관접속구(73a,73b)와 결합되도록 후레아너트(flare nut)와 같은 결합구(31a,3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구(31a,31b)와 결합되어 상기 냉매가스관(30)을 밀봉시켜주기 위한 볼트 형태의 마개(32a,32b)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에어컨(70)의 설치시 상기 냉매가스관(30)의 결합구(31a,31b) 중 적절한 위치에 해당되는 결합구(31a,31b)와 상기 에어컨(70)의 관접속구(73a,73b)가 결합되고, 나머지 결합구(31a,31b)에는 상기 마개(32a,32b)가 결합되어 밀봉된다.
본 고안에 의한 냉매가스관(30)의 단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결합구(31a,31b)에 상기 마개(32a,32b)가 결합되어 밀봉되도록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에어컨(70)의 관접속구(73a,73b)와 결합되지 않는 냉매가스관(30)의 단부를 압착시켜 용접하는 일반적인 밀봉방법으로 밀봉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1)의 타측에 형성된 구멍(14)을 통하여 공간부까지 연장된 배수관(40)은 실내기의 운전에 대하여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여 배출시켜 주기위한 것으로, 상기 배수관(40)의 단부는 티이(tee)(41), 엘보우(elbow)(42), 소켓(43) 또는 배수관(4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제1 내지 제3공간부(Ⅰ,Ⅱ,Ⅲ)까지 각각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티이(41)의 내측 방향으로 연결되어 분기되는 배수관(40)은 상기 에어컨(70)의 배수호스(74)까지 연장되어 연결되며, 상기 제1공간부(Ⅰ)에 연장되는 배수관(40)은 상기 에어컨(70)의 배수호스(74)까지 직접 연장되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호스(74)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상기 엘보우(42) 또는 배수관(40)의 내부에는 상기 배수호스(74)가 삽입되었을때 밀착되어 주변으로 응축수의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밀착링(44)이 구비되어 있다.
도 2a와 2b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가 벽체에 매립된 상태의 정면도와 측단면도이며, 상기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의 전면(前面)이 3개의 덮개(20)로 밀폐되어 있고, 상기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를 이루고 있는 케이스(1)의 내부에 형성된 가상의 영역인 제1공간부(Ⅰ), 제2공간부(Ⅱ) 및 제3공간부(Ⅲ)에 대하여 각각의 냉매가스관(30) 및 배수관(40)이 연장되거나 또는 분기된 상태로 연장되어 위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의 케이스(1)는 벽체(60)의 내부에 설치되는 철근(50)에 고정된 후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매설되는데 상기 케이스(1)의 전면에 덮개(20)가 결합되었을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0)의 외측면 및 상기 케이스(1)의 전면 하단부에 일체로 부착된 전면벽(12)과 벽면이 동일한 수준이 되도록 상기 케이스(1)가 상기 덮개(20)의 두께만큼 깊게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1)를 벽체(60)에 지지 고정시켜주기 위해서는 벽체(60) 내부에 설치되는 철근(50)과 상기 케이스(1)의 후면(16)에 형성된 고정수단(53)이 상호 결합되어야 한다.
도 2a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에어컨(70)의 관접속구(73a,73b)와 연결되는 냉매가스관(30)은 벽체(60) 내부에 매설된 상태로 실외기(미도시됨)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에어컨(70)의 배수호스(74)와 연결되는 배수관(40)은 벽체(60) 내부에 매설된 상태로 바닥 내부에 매설된 다른 배수관 또는 하수관과 연결되도록 연장되거나 또는 실내에 구비된 배수구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형성된 각 공간부에 대하여 적절하게 연장 또는 분기되어 위치된 각각의 냉매가스관(3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냉매가스관(30) 단부에 형성된 결합구(31a,31b) 마다 마개(32a,32b)가 결합되어 밀봉된 상태로 위치되어 있다.
(실시예)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에 소형에어컨이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며, 상기 소형에어컨(70)의 상단부가 천장(61)으로부터 대략 10 내지 30㎝ 의 이격거리(X)가 유지되도록 벽면에 고정되었을때 상기 소형에어컨(70)의 관접속구(73a,73b) 및 배수호스(74)가 상기 케이스(1)의 제1공간부(Ⅰ)까지 이격되어 상기 제1공간부(Ⅰ)에 위치된 냉매가스관부(3) 및 배수관부(4)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소형에어컨(70)은 일반적으로 벽걸이 에어컨을 칭하며, 상기 소형에어컨(70)을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 상에 설치하여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제1공간부(Ⅰ) 상에 결합된 제1덮개(21)를 제거한 후 적절한 위치에 상기 소형에어컨(70)의 후면(16)을 고정시켜주기 위한 설치판을 설치하고, 상기 제1공간부(Ⅰ)에 위치된 냉매가스관(30)의 결합구(31a,31b)에 결합된 마개(32a,32b)를 제거한 후 상기 소형에어컨(70)의 후방에 형성된 관접속구(73a,73b)와 결합하며, 다음으로 상기 소형에어컨(70)의 배수호스(74)를 상기 제1공간부(Ⅰ)에 위치된 엘보우(42)에 삽입하여 배관 연결을 완료하며, 상기 소형에어컨(70)을 상기 설치판에 걸어서 고정함으로써 에어컨의 설치가 완료되는데 이 경우 상기 소형에어컨(70)에 의하여 상기 제1공간부(Ⅰ) 전체가 가려지게 되어 종래의 경우와 같이 내부 공간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소형에어컨(70) 설치시 상기 제1덮개(21)만이 제거되기 때문에 벽면에 도배된 벽지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에어컨을 벽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에 중형에어컨이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며, 상기 중형에어컨(71)의 상단부가 천장(61)으로부터 대략 10 내지30㎝ 의 이격거리(X)가 유지되도록 벽면에 고정되었을때 상기 중형에어컨(71)의 관접속구(73a,73b) 및 배수호스(74)가 상기 케이스(1)의 제2공간부(Ⅱ)까지 이격되어 상기 제2공간부(Ⅱ)에 위치된 냉매가스관부(3) 및 배수관부(4)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중형에어컨(71)은 일반적으로 슬림형 에어컨을 칭하며, 상기 중형에어컨(71)을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 상에 설치하여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제2공간부(Ⅱ) 상에 결합된 제2덮개(22)를 제거한 후 적절한 위치에 상기 중형에어컨(71)의 후면(16)을 고정시켜주기 위한 설치판을 설치하고, 상기 제2공간부(Ⅱ)에 위치된 냉매가스관(30)의 결합구(31a,31b)에 결합된 마개(32a,32b)를 제거한 후 상기 중형에어컨(71)의 후방에 형성된 관접속구(73a,73b)와 결합하며, 다음으로 상기 중형에어컨(71)의 배수호스(74)를 상기 제2공간부(Ⅱ)에 위치된 엘보우(42)에 삽입하여 배관 연결을 완료하며, 상기 중형에어컨(71)을 상기 설치판에 걸어서 고정함으로써 에어컨의 설치가 완료되는데 이 경우 상기 중형에어컨(71)에 의하여 상기 제2공간부(Ⅱ) 전체가 가려지게 되고, 상기 중형에어컨(71) 설치시 상기 제2덮개(22)만이 제거되기 때문에 벽면에 도배된 벽지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에어컨을 벽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c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에 대형에어컨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상기 대형에어컨(72)의 상단부가 천장(61)으로부터 대략 10 내지 30㎝ 의 이격거리(X)가 유지되도록 벽면에 고정되었을때 상기 대형에어컨(72)의 관접속구(73a,73b) 및 배수호스(74)가 상기 케이스(1)의 제3공간부(Ⅲ)까지 이격되어상기 제3공간에 위치된 냉매가스관부(3) 및 배수관부(4)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대형에어컨(72)은 일반적으로 액자형 에어컨을 칭하며, 상기 대형에어컨(72)을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 상에 설치하여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제3공간부(Ⅲ) 상에 결합된 제3덮개(23)를 제거한 후 적절한 위치에 상기 대형에어컨(72)의 후면(16)을 고정시켜주기 위한 설치판을 설치하고, 상기 제3공간부(Ⅲ)에 위치된 냉매가스관(30)의 결합구(31a,31b)에 결합된 마개(32a,32b)를 제거한 후 상기 대형에어컨(72)의 후방에 형성된 관접속구(73a,73b)와 결합하며, 다음으로 상기 대형에어컨(72)의 배수호스(74)를 상기 제3공간부(Ⅲ)에 위치된 배수관(40)에 삽입하여 배관 연결을 완료하며, 상기 대형에어컨(72)을 상기 설치판에 걸어서 고정함으로써 에어컨의 설치가 완료되는데 이 경우 상기 대형에어컨(72)에 의하여 상기 제3공간부(Ⅲ) 전체가 가려지게 되고, 상기 대형에어컨(72) 설치시 상기 제3덮개(23)만이 제거되기 때문에 벽면에 도배된 벽지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에어컨을 벽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에어컨들(70,71,72)은 실내 전체의 미관을 고려하여 대부분 벽의 중앙에 설치되는데 이로 인하여 실내기 주위의 온도가 외부환경에 대하여 적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되지 않기 때문에 냉방효율이 증가되었고, 특히 액자형 에어컨과 같이 3 내지 4방향으로 송풍이 이루어지는 경우 실내 전체에 대하여 균일한 냉방이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는 내부 공간부가 3개의 층으로 분할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추후 개발되어 보급될 에어컨의 크기에 대하여 모두 적용 가능하도록 상기 공간부가 2개 또는 3개 이상으로 분할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를 제작하여 벽체의 시공시 이를 매설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벽체 내부에 냉매가스관 및 배수관이 매설된 상태로 매립박스의 내부 공간부에서 벽면 상에 노출되지 않게 에어컨의 관접속구 및 배수호스와 연결되므로 원래의 벽면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벽걸이형 에어컨의 설치가 가능해졌으며, 상기 매립박스는 복수의 층을 이루도록 가상의 영역으로 분할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에어컨의 크기와 상관없이 상기 공간부에 대하여 복수의 층 즉, 일정 높이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냉매가스관 및 배수관이 분기되어 형성되어 있어서 에어컨의 관접속구 및 배수호스의 위치에 맞는 위치에 해당되는 냉매가스관 및 배수관과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냉매가스관 및 배수관이 연결되지 않은 영역에 해당되는 공간부는 덮개에 의하여 결합되어 벽면을 이루로록 되어 있다. 상기 매립박스의 최하층에 위치되는 냉매가스관 및 배수관이 연결되는 경우에 하단부에 위치되는 상기 냉매가스관 및 배수관이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전면벽이 형성되어 있어서 별도의 덮개 또는 벽지로 이를 막아줄 필요가 없게 되었다.
상기 에어컨의 배수호스가 상기 배수관에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매립박스의 저면에 응축수가 고이는 일이 없어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매립박스의 전면에 복수의 층으로 분할 결합되어 이를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덮개는 상기 배립박스의 전면에 결합되었을때 벽면과 동일한 수준의 면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벽면 상에 돌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하였다.
또한, 복수의 단계로 분기된 냉매가스관의 단부는 각각 결합구가 형성되어 있어서 마개에 의하여 밀봉시켜 주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가스관을 선택적으로 개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3)

  1. 벽체(60)에 매립된 박스를 통하여 연장 형성된 냉매가스관(30) 및 배수관(40)과 에어컨(70,71,72)의 관접속구(73a,73b) 및 배수호스(74)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에 있어서,
    육면체의 전면(前面)이 개방되어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저면(15)에 배수관(40) 및 냉매가스관(30)이 관통되도록 양측에 구멍(13,14)이 형성된 케이스(1);
    상기 케이스(1)의 전면에 복수의 층으로 분할되어 결합되되 상기 전면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각각의 층에 맞게 절단 형성된 복수의 덮개(20);
    상기 케이스(1)의 저면(15) 일측에 형성된 구멍(13)을 통하여 냉매가스관(30)이 연장되고, 복수의 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냉매가스관(30)이 측방으로 각각 분기되어 연장된 냉매가스관부(3); 및
    상기 케이스(1)의 저면(15) 타측에 형성된 구멍(14)을 통하여 배수관(40)이 연장되고, 복수의 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배수관(40)이 측방으로 각각 분기되어 연장된 배수관부(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가스관(30)의 각 단부는 에어컨(70,71,72)의 냉매가스 입출구에 각각 형성된 관접속구(73a,73b)와 결합되도록 결합구(31a,3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구(31a,31b)와 결합되어 상기 냉매가스관(30)을 밀봉시켜주기 위한 마개(32a,3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하단부에는 최저층 공간부에 위치되는 배수관부(4) 및 냉매가스관부(3)가 전면(前面)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전면에 일정 높이의 전면벽(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
KR20-2003-0039780U 2003-12-22 2003-12-22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 KR200344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780U KR200344690Y1 (ko) 2003-12-22 2003-12-22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780U KR200344690Y1 (ko) 2003-12-22 2003-12-22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690Y1 true KR200344690Y1 (ko) 2004-03-18

Family

ID=49426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780U KR200344690Y1 (ko) 2003-12-22 2003-12-22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69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335B1 (ko) * 2008-10-31 2011-07-22 그린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KR101123868B1 (ko) * 2009-04-01 2012-03-19 (주)무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
KR20220133656A (ko) * 2021-03-25 2022-10-05 박세준 에어컨 응축수 배수용 드레인박스
KR20220133657A (ko) * 2021-03-25 2022-10-05 박세준 에어컨 응축수 드레인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335B1 (ko) * 2008-10-31 2011-07-22 그린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에어컨 배관 연결박스
KR101123868B1 (ko) * 2009-04-01 2012-03-19 (주)무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매입형 접속함
KR20220133656A (ko) * 2021-03-25 2022-10-05 박세준 에어컨 응축수 배수용 드레인박스
KR20220133657A (ko) * 2021-03-25 2022-10-05 박세준 에어컨 응축수 드레인 구조
KR102535867B1 (ko) * 2021-03-25 2023-05-26 박세준 에어컨 응축수 배수용 드레인박스
KR102655657B1 (ko) * 2021-03-25 2024-04-09 박세준 에어컨 응축수 드레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3254A (en) Housing for angle stop valve for connection to hot and cold water supply line and sink faucets
US20090229672A1 (en) Method of constructing cold and hot water piping system
KR200344690Y1 (ko)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
KR200296843Y1 (ko)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KR200415779Y1 (ko) 배관 연결용 벽체 매립박스
KR200419505Y1 (ko) 에어컨용 분배함
KR101403694B1 (ko) 천장용 에어컨의 돌출 커버
KR102058117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KR100455113B1 (ko)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와 그 슬리브에 체결되는 실내노출구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에어컨 배관 설치방법
KR200321072Y1 (ko)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및 이에 체결되는 실내 노출구 커버
JP2763287B2 (ja) 空調用エアコンディショナの配管回り構造
KR200254715Y1 (ko) 에어컨의 응축수 배수를 위한 장치함
KR200383729Y1 (ko)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
KR200338297Y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200305434Y1 (ko) 에어컨 배관용 바닥형 슬리브
KR200291025Y1 (ko) 에어컨배관 매립구조
KR200274962Y1 (ko) 아파트 에어컨 냉매배관용 슬리브 설치구조
RU25564U1 (ru) Уплотняющая декоративная розетка
KR200385188Y1 (ko)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
JPS60194239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2516941Y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200238229Y1 (ko) 에어콘 실외기의 매립형 연결관
KR200359094Y1 (ko)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의 실내 노출구 커버 및 그 노출구커버를 체결하기 위한 실내 연결관
JP2644428B2 (ja) 実験・研究室を備えた建物の構造
KR100583746B1 (ko) 에어컨 배관용 슬리브 연결체의 매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