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729Y1 -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 - Google Patents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729Y1
KR200383729Y1 KR20-2005-0004663U KR20050004663U KR200383729Y1 KR 200383729 Y1 KR200383729 Y1 KR 200383729Y1 KR 20050004663 U KR20050004663 U KR 20050004663U KR 200383729 Y1 KR200383729 Y1 KR 2003837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outdoor
refrigerant pipe
air conditione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05-0004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7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7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7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골조에 매립되는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외 측의 출구가 착탈 가능한 밀폐수단에 의해 밀폐된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실내측 골조에 매립되어 실내측으로 개방된 관로를 형성하는 실내슬리브(1); 실외측 골조에 매립되어 실외측으로 개방된 관로를 형성하는 실외슬리브(2); 및 상기 실내,외슬리브 사이 골조에 매립되어 상기 실내,외슬리브 사이에 냉매관(P) 등을 배관할 수 있는 관로를 형성하는 연결슬리브(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실외슬리브(2)의 출구에 압입 결합되어 그 내부의 관로를 밀폐하는 것으로, 중앙에 냉매관 인출공(5b)이 형성된 탄력 재질의 패킹(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건물 준공 후 에어컨 시공시 관로 내부를 소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냉매관 등의 배관 후 관로 내부를 실링할 필요없이 착탈 가능한 상기 패킹 등으로 손쉽게 밀폐시킬 수 있으므로 에어컨의 시공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SLEEVE ASSEMBLY FOR LAYING PIPE OF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에어컨의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에 배관되는 복수 개의 냉매관 등을 은폐 배관하기 위하여 건물 골조 시공시 건물의 바닥에 매립되는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외 측의 출구가 착탈 가능한 밀폐수단에 의해 밀폐된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실내기와 실외기를 갖는 분리형 에어컨 시공시 냉매관 등을 은폐 배관할 수 있도록 건물의 바닥 등에 매립되는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들은 구성 및 구조에서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실내,외벽측의 바닥에 각각 매립되어 실내,외벽 내외부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실내,외슬리브, 실내,외벽 사이의 베란다 등의 바닥에 매립되어 상기 실내슬리브와 실외슬리브를 연결하는 연결슬리브 및 상기 실내슬리브의 일측에 상기 실내슬리브와 함께 매립되는 응축수 배수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분리형 에어컨을 시공시 실내,외기를 연결하기 위한 냉매관이나 전원선 등을 상기 슬리브들이 형성하는 관로를 통해 손쉽게 은폐 배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는 통상 건물 시공과정에서 매립되는데, 먼저 실내,외슬리브가 건물의 기초 골조 시공과정에서 매설된 후, 연결슬리브가 기초 골조 공사 후 방수 콘크리트가 타설된 다음 상기 실내,외슬리브에 조립되어 그 위에 타설되는 마감 콘크리트 속에 매설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는 실외슬리브의 바깥쪽 선단 출구가 상시 개방되어 있어 그 내부의 관로에 시공과정에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굳거나 시공이 끝난 뒤 빗물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어 쌓이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냉매관을 삽입하기 어렵게 되거나 이 후 냉매관을 보수하거나 교체할 때 작업성이 매우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외슬리브 출구를 통해 외기가 실내측 관로로 유입되기 때문에 냉매관의 단열율을 떨어뜨려 에어컨 냉방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으며, 혹서기나 혹한기에는 더운 외기 또는 차가운 외기가 관로를 따라 실내측으로 유입되어 실내 냉,난방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에, 종래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가 시공된 건물에 에어컨을 설치하는 경우 냉매관 등의 배관을 모두 완료한 다음 실외측으로 개방된 실외슬리브의 출구를 실리콘으로 실링 처리하여 반영구적으로 밀폐시켜왔다.
그러나, 위와 같이 실외슬리브의 출구를 실리콘으로 실링처리하는 종래 기술에 따르면 에어컨을 시공하기 전에는 실외슬리브 출구를 실링처리할 수 없으므로 건물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밀폐되지 않은 실외슬리브의 출구를 통해 관로 안으로 유입되는 콘크리트를 차단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에어컨 시공시 냉매관 등이 실리콘에 의해 실외슬리브에 고착되어 분리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에어컨 등을 교체하거나 보수를 위하여 냉매관을 교체하거나 보수하게 되는 경우 작업성이 매우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실외측으로 개방된 실외슬리브의 출구에 그 내부의 관로에 빗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과 외기기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냉매관 등에 대한 교체나 보수가 필요한 경우 냉매관 등을 손쉽게 인출하고 삽입할 수 있는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를 제공하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내측 골조에 매립되어 실내측으로 개방된 관로를 형성하는 실내슬리브; 실외측 골조에 매립되어 실외측으로 개방된 관로를 형성하는 실외슬리브; 및 상기 실내,외슬리브 사이 골조에 매립되어 상기 실내,외슬리브 사이에 냉매관 등을 배관할 수 있는 관로를 형성하는 연결슬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실외슬리브의 출구에 압입 결합되어 그 내부의 관로를 밀폐하는 것으로, 중앙에 냉매관 인출공이 형성된 탄력 재질의 밀폐마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에는 상기 실외슬리브의 출구에 밀폐마개 바깥쪽으로 압입 결합되어 그 내부를 차폐할 수 있는 커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중앙에는 냉매관 인출구 형성을 위한 파단부가 파단 가능하게 형성되고, 그 파단부 중앙에 누름구가 바깥쪽으로 돌출 성형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의 구성과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의 시공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는 분리형 에어컨에서 실내기(A1)와 실외기(A2)를 연결하는 냉매관(51,52)과 전기선(23,24) 등을 건축물 바닥에 은폐 배관 및 배선하기 위한 것으로, 외형적으로 볼 때 실내벽(W1) 아래쪽의 바닥골조에 매립되는 실내슬리브(1), 실외벽(W2) 아래쪽 골조에 매립되는 실외슬리브(2), 실내,외벽(W1)(W2) 사이의 베란다(V)에 매립되어 상기 실내,외슬리브(1)(2)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슬리브(3)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 상기 실내,외슬리브(1)(2)는 건축 골조 시공시 각각 실내,외벽(W1)(W2) 아래에 매설되어 실내,외벽(W1)(W2)을 가로지르는 냉매관(p) 등을 은폐 배관할 수 있는 관로를 형성하는 중공관으로, 그 구조와 형상 등은 실내,외벽(W1)(W2) 내외에 냉매관 배관용 관로를 형성하는 조건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실내,외기(A1,A2)의 설치위치에 따라 직선관이나 또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관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외슬리브(1)(2)들 중 실외측으로 개방되는 상기 실외슬리브(2)의 바깥쪽 출구에는 패킹(5)과 커버(6)가 압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패킹(5)은 실외슬리브(2)의 선단 출구에 관로를 밀폐와 단열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밀폐부재로, 우레탄이나 스티로폼과 같은 탄력소재로 제작된다. 이 패킹(5)의 중심에는 에어컨 시공시 뽑아서 제거하여 냉매관 인출공(5b)을 형성할 수 있는 인출부(5a)가 절개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이 패킹(5)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커버(6)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와 함께 일체로 상기 실외슬리브(2) 출구에 압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커버(6)는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가 건물에 시공될 때 콘크리트 등의 이물질이 차단되지 않도록 실외슬리브(2)의 출구에 결합되는 차폐부재로, 그 중앙에는 압력을 가해 파단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바깥쪽으로 돌출된 누름구(6b)를 가진, 파단선 가공으로 형성된, 파단부(6a)가 파단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슬리브(3)는 상기 실내,외슬리브(1)(2)를 연결하여 상기 실내,외슬리브(1)(2) 사이에 관로를 형성하는 중공관으로, 상기 실내,외슬리브(1)(2)의 상대위치에 따라 직선관이나 곡선관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곡률을 달리하면서 조립되는 다른 여러 개의 관(30,31,32,33)으로 이루어져 관로 경로와 길이 등을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연결슬리브(3)는 통상 골조가 완성되고 바닥 골조(VC) 상에 방수콘크리트(WRC) 타설이 끝난 이후에 상기 실내,외슬리브(1)(2)에 조립되며 그 위에 타설되는 마감콘크리트(FC) 속에 매립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시공된다.
먼저, 건물의 골조 타설에 앞서 패킹(5)과 커버(6)가 조립된 실외슬리브(2)와 실내슬리브(1)를 골조 콘크리트 타설을 위하여 조립되는 건물의 바닥골조용 거푸집(도시되지 않음)의 소정 위치에 조립하여, 거푸집에 타설되어 양생되는 건물의 골조인 벽체 (W1)(W2) 아래에 매립되도록 한다. 이어 건물 골조 시공이 끝나고 바닥 골조(VC) 상에 방수콘크리트(WRC)가 시공되면 연결슬리브(3)를 상기 실내,외슬리브(1)(2)에 조립한다. 이에, 연결슬리브(1)(2)가 그 위에 타설되는 마감콘크리트(FC)에 매립 고정되면서 실내,외 사이에 밀폐된 관로를 형성하는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의 시공이 모두 완료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시공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는 건물 골조 등에 매립된 실내,외슬리브(1)(2) 및 연결슬리브(3)로써 건물 실내,외벽(W1)(W2) 사이에 냉매관(p) 등을 배관할 수 있는 은폐된 관로를 형성하게 되는데, 시공에 앞서 실외슬리브(2)의 선단 출구가 패킹(5)과 커버(6)에 의해 밀폐됨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콘크리트가 관로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건물 준공 후 에어컨 시공할 때까지 관로 내부를 깨끗하게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에어컨 시공시에는 패킹(5)과 커버(6)를 분리한 다음 냉매관(p) 등을 배관하면서 실외슬리브(2) 출구에 다시 결합하여 내부의 관로를 손쉽게 밀폐시킬 수 있으므로 출구 실링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는 실외슬리브의 선단 출구에 착탈 가능한 밀폐수단 즉 패킹과 커버를 씌우고 건물에 시공할 수 있으므로 건물 준공 후 에어컨 시공할 때까지 내부의 관로를 깨끗하게 보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에 의하면, 에어컨 시공시 관로 내부를 소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냉매관 등의 배관 후에는 관로 내부를 실링할 필요없이 착탈 가능한 상기 패킹과 커버로 손쉽게 밀폐시킬 수 있으므로 에어컨 시공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냉매관 등의 인출과 재 배관이 용이하여 에어컨이 시공 이후에 행해지는 냉매관 등에 대한 보수나 교체 등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열차단 효과가 높은 패킹로 외기에 대한 관로내 단열효율을 높임으로써, 관로내 외기 유입에 인해 실내 냉,난방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냉매관의 단열효율을 개선하여 에어컨 냉방성능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의 시공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의 실외 슬리브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의 실외 슬리브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의 실외슬리브용 패킹과 커버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실내슬리브 2 : 실외슬리브
3 : 연결슬리브 4 : 응축수 배수관
5 : 패킹 5a : 인출부
5b : 인출공 6 : 커버
6a: 파단부

Claims (4)

  1. 실내측 골조에 매립되어 실내측으로 개방된 관로를 형성하는 실내슬리브(1); 실외측 골조에 매립되어 실외측으로 개방된 관로를 형성하는 실외슬리브(2); 및 상기 실내,외슬리브 사이 골조에 매립되어 상기 실내,외슬리브 사이에 냉매관(P) 등을 배관할 수 있는 관로를 형성하는 연결슬리브(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실외슬리브(2)의 출구에 압입 결합되어 그 내부의 관로를 밀폐하는 것으로, 중앙에 냉매관 인출공(5b)이 형성된 탄력 재질의 패킹(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슬리브의 출구에 상기 패킹 바깥쪽으로 압입 결합되어 그 내부를 차폐할 수 있는 커버(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6)의 중앙에 시공 이후 파단되어 탈리되는 냉매관 인출구 형성용 파단부(6a)가 파단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6)는 그 파단부 중앙에 바깥쪽으로 돌출 성형된 누름구(6b)가 더 성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
KR20-2005-0004663U 2005-02-22 2005-02-22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 KR2003837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663U KR200383729Y1 (ko) 2005-02-22 2005-02-22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663U KR200383729Y1 (ko) 2005-02-22 2005-02-22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729Y1 true KR200383729Y1 (ko) 2005-05-09

Family

ID=43685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663U KR200383729Y1 (ko) 2005-02-22 2005-02-22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7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5787A (zh) * 2015-07-15 2015-11-18 蒋碧云 一种空调管用固定管套的穿墙部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5787A (zh) * 2015-07-15 2015-11-18 蒋碧云 一种空调管用固定管套的穿墙部件
CN105065787B (zh) * 2015-07-15 2017-05-10 蒋碧云 一种空调管用固定管套的穿墙部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3729Y1 (ko)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
KR20070091906A (ko)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KR100713588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에어컨 배관연결용 매립박스
KR101204760B1 (ko)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천정매립형 분배기
KR200344690Y1 (ko) 에어컨 배관 매립박스
KR20100025241A (ko) 시스템 창호
JPH06221621A (ja) 室外ユニットの配管パイプ用接続ジョイントカバー
KR100437727B1 (ko)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KR100762918B1 (ko) 벽체 매립형 배관과 점검함의 고정 어셈블리
KR101036993B1 (ko) 매립형 수전 연결구
KR100931624B1 (ko) 에어컨배관 조인트 시스템박스
CN102011893A (zh) 扣合式建筑外墙管道装饰及保护装置
KR20100037227A (ko) 급수설비 및 그 시공 방법
KR200438741Y1 (ko) 에어컨 설치배관용 플러그
KR200421581Y1 (ko) 에어콘 배관용 연결박스 조립체
KR200385188Y1 (ko) 에어컨 냉매관 배관용 슬리브
KR102125000B1 (ko)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
KR200275715Y1 (ko) 매립관을 포함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KR100942370B1 (ko) 수도관의 교체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전어셈블리의 구조
JPH05157285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の配管接続ジョイントカバー
JP2763287B2 (ja) 空調用エアコンディショナの配管回り構造
JP5777943B2 (ja) 耐火性管継手の更新方法
JP200107426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構造
KR200274962Y1 (ko) 아파트 에어컨 냉매배관용 슬리브 설치구조
CN201865309U (zh) 一种扣合式建筑外墙管道装饰及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