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5000B1 -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 - Google Patents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5000B1
KR102125000B1 KR1020180129199A KR20180129199A KR102125000B1 KR 102125000 B1 KR102125000 B1 KR 102125000B1 KR 1020180129199 A KR1020180129199 A KR 1020180129199A KR 20180129199 A KR20180129199 A KR 20180129199A KR 102125000 B1 KR102125000 B1 KR 102125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work
drainage pipe
connector
block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7129A (ko
Inventor
김용연
Original Assignee
김용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연 filed Critical 김용연
Priority to KR1020180129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0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47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50Constructional features of escutcheons for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발명은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의 슬라브에 형성된 홀의 내부에 상층부배수관과 하층부배수관을 결합되는 커플링의 파손으로 인해서 하층부의 홀의 주연부로 발생하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층부에는 아무런 작업을 하지 않고, 하층부에서 직접시공하고, 하층부배수관을 결합하여 작업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한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에 의하면 상층부배수관의 삽입된 형태와 관계없이 하층부에서만 공사를 진행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분쟁이 발생하지 않고, 문제가 발생한 하층부에서만 작업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며, 슬라브에 형성된 홀의 내부를 깨끗하게 정리할 필요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시간이 매우 짧게 진행되며, 설치가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작업시 인건비와 비용이 현저히 줄어드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MULTILAYER BUILDING DRAIN PIPE LEAK BLOCKING CONNECTOR}
본 발명은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의 슬라브에 형성된 홀의 내부에 상층부배수관과 하층부배수관을 결합되는 커플링의 파손으로 인해서 하층부의 홀의 주연부로 발생하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층부에는 아무런 작업을 하지 않고, 하층부에서 직접시공하고, 하층부배수관을 결합하여 작업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한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문명이 발달하면서, 많은 인구가 도시생활을 시작하면서 다층식 건물이 많이 설치되고, 상층부와 하층부에 각각 거주하게 되면서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비가올때 다층식건물의 상부에서 배수되는 물이 베란다에 수직하게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배수관을 따라서 배수가 이루어진다.
상기 배수관은 합성수지재, 금속 등 다양한 재료로 사용되는데, 상층부에 형성되는 상층부배수관과 하층부에 형성되는 하층부배수관이 슬라브를 관통하는 홀에 삽입되어 커플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다층식건물이 노후화 되면서 커플링이 갈라지거나, 베란다의 바닥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홀과 커플링의 경계에서 하부로 누수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누수가 발생할 경우 도 4와 같이 하층배수관의 주연부에 누수로 인한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벽면을 따라서 흘러내리게 천정을 적시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70426호, 제0273578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1545438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배수관을 연결하는 커플링, 연결구, 연결구조 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상층부배수관의 하부와 하층부배수관의 하부를 동시에 공사해야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분쟁이 발생할 수 있고, 작업시 상층부배수관의 하부 주연부에 여러가지 물건들이 쌓여있는등 작업환경이 복잡하여 작업이 어렵고 복잡하다.
(2) 슬라브에 형성되는 홀의 내부 커플링이나 상층부배수관을 제거하지 못할 경우에는 작업이 곤란하여 상층에서 작업을 해야 한다.
(3) 작업에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광하협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단이 개방되며, 하단에 평단한 평탄부가 형성되며, 상기 평탄부를 따라서 다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서 외주연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몸체의 평탄부의 내주연에 내경이 맞춰지고, 하단으로 돌출되는 관연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1) 상층부배수관의 삽입된 형태와 관계없이 하층부에서만 공사를 진행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분쟁이 발생하지 않고, 문제가 발생한 하층부에서만 작업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빠르게 진행된다.
(2) 슬라브에 형성된 홀의 내부를 깨끗하게 정리할 필요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시간이 매우 짧게 진행된다.
(3) 설치가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작업시 인건비와 비용이 현저히 줄어든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누수차단 배수구의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누수되었을 때 배수관을 타고 흐르는 것을 나타낸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연결구의 설치상태 사진.
본 발명은 상광하협형태로 형성되고, 상하단이 개방되며, 하단에 평단한 평탄부(205)가 형성되고, 상기 평탄부(205)를 따라서 다수개의 돌출부(206)가 형성되는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의 상단에서 외주연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210)와;
상기 몸체(200)의 평탄부(205)의 내주연에 내경이 맞춰지고, 하단으로 돌출되는 관연결구(23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200)는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고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깔대기 형상으로 하단에는 내부로 평탄한 평탄부(205)가 형성된다.
상기 평탄부(205)는 슬라브(40)의 홀(45)위치가 잘 맞지 않더라도 문제가 없도록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45)의 내부에는 커플링(30)이 삽입되어 있는데, 커플링(30)을 제거하지 않더라도 그대로 설치하면 된다.
상기 돌출부(206)는 커플링(30) 또는 상층부배수관(10)이 삽입될 때 몸체(200)의 평탄부(205)를 완전히 막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210)에는 다수개의 나사홀(212)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홀(212)에는 슬라브(40)의 하단에 고정되는 나사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10)는 슬라브(30)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홀(45)에 정확히 맞워지지 않아도 배수되는 것과, 홀(45)에서 누수되는 물이 곧바로 하층부배수관(20)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의 작동 및 도 4에 나타난 종래의 기술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층부배수관(10)의 하단에 연결되는 슬라브(40)의 홀(45)의 주연부에 결합되어 있는 하층부배수관(20)을 절단하여 제거한 후에 본 발명의 연결구를 슬라브(40)의 홀(45)을 가운데 두고 부착한다.
부착할 때 실리콘이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필요시에는 나사홀(212)에 다수개의 나사를 각각 삽입하여 슬라브(40)의 하부와 고정한다.
이때, 홀(45)의 내부에 형성된 커플링을 제거하지 않고, 곧장 절단한 후에 연결구를 설치한다.
이후, 관연결구(230)의 외주연에 하층부배수관(20)의 내주연이 닿도록 삽입하여 고정한다.
도 4의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본원발명의 연결구와 다소 유사하게 보이지만, 배수구몸체(110)이 내부 상단으로 형성되고, 주연부에 누수가이드부재(130)가 부착된 형태이다.
종래기술은 상층부배수관(10)과 하층부배수관(20)을 연결하는 커플링(30)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종래에 홀(45)의 내부에 형성되는 커플링(30)이 있을 경우에는 설치할 수 없게 된다.
또, 상층부배수관(10)과 배수구몸체(110)가 홀(45)의 내부에서 정확히 맞아야 하기 때문에 설치가 매우 어렵고, 잘 설치되지 않는다.
종래기술에 비하여 본원발명은 홀(45)과 위치가 정확히 맞지 않아도 누수가 방지되면서 설치할 수 있고, 상층부배수관(10)과는 전혀 상관없이 설치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에 의하면 상층부배수관의 삽입된 형태와 관계없이 하층부에서만 공사를 진행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분쟁이 발생하지 않고, 문제가 발생한 하층부에서만 작업하면 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며, 슬라브에 형성된 홀의 내부를 깨끗하게 정리할 필요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시간이 매우 짧게 진행되며, 설치가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작업시 인건비와 비용이 현저히 줄어드는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10 : 상층부배수관 20 : 하층부배수관
30 : 커플링 40 : 슬라브
45 : 홀
200 : 몸체 205 : 평탄부
206 : 돌출부 210 : 플랜지
212 : 나사홀 230 : 관연결구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단외주연을 따라 외부로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플랜지(210)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210)의 하단에 상하단이 개방되는 몸체(200)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일반적인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200)는 상광하협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커플링과 슬라브사이의 주연부를 넓게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몸체(200)의 하단에는 커플링의 하단을 받칠 수 있는 평탄부(205)가 형성되되, 상기 평탄부(205)에는 다수개의 돌출부(206)가 커플링의 폭보다 넓게 받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몸체(200)의 평탄부(205)의 하단에는 관연결구(230)가 돌출되어 형성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
KR1020180129199A 2018-10-26 2018-10-26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 KR102125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199A KR102125000B1 (ko) 2018-10-26 2018-10-26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199A KR102125000B1 (ko) 2018-10-26 2018-10-26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129A KR20200047129A (ko) 2020-05-07
KR102125000B1 true KR102125000B1 (ko) 2020-06-19

Family

ID=70733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199A KR102125000B1 (ko) 2018-10-26 2018-10-26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0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969B1 (ko) * 2006-08-07 2007-06-04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CN201195867Y (zh) 2008-02-27 2009-02-18 陈志文 防渗水地漏
KR200470426Y1 (ko) 2013-09-16 2013-12-18 백승훈 누수 차단 배수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981Y1 (ko) * 1980-04-15 1981-11-09 윤태자 바닥 슬라브용 누수방지 배수파이프 연결관
KR870001733Y1 (ko) * 1985-03-04 1987-05-13 임영택 배수구
KR960001890U (ko) * 1994-06-23 1996-01-19 정영관 누수방지용 배수관 연결구
KR200166994Y1 (ko) * 1996-10-31 2000-01-15 최원태 베란다용 드레인(drain)
KR101146505B1 (ko) * 2009-09-05 2012-05-25 주식회사 엘쓰리 복층 건물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
KR101130602B1 (ko) * 2009-09-21 2012-04-02 주식회사 부일건화 옥상 배수용 드레인
KR20130086662A (ko) * 2012-01-26 2013-08-05 강경훈 누수 방지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969B1 (ko) * 2006-08-07 2007-06-04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CN201195867Y (zh) 2008-02-27 2009-02-18 陈志文 防渗水地漏
KR200470426Y1 (ko) 2013-09-16 2013-12-18 백승훈 누수 차단 배수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129A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35222A1 (en) Tile floor drain
KR20100025172A (ko) 건물 바닥용 배수트랩
KR102125000B1 (ko)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
KR100592115B1 (ko) 주택의 화장실 누수방지를 위한 배수구 및 그 시공방법
KR101925206B1 (ko) 옥상용 드레인 유닛을 이용한 옥상 드레인 보수방법
JP6463208B2 (ja) 排水配管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393504Y1 (ko) 건축물의 비트용 배관보호슬리브
JP2015055070A (ja) 排水システム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KR102058117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장치
JP2005213936A (ja) ドレン排水案内構造
US7350246B1 (en) Bathroom leak damage prevention apparatus
KR200370849Y1 (ko)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
JP5037321B2 (ja) 排水ヘッダー
JP6820906B2 (ja) 排水配管構造
JP6799194B2 (ja) 排水配管構造
KR100632770B1 (ko) 옥상용 통기관의 설치구조
KR200254715Y1 (ko) 에어컨의 응축수 배수를 위한 장치함
KR102296730B1 (ko) 높이 조절 배수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육가 위치 조정 배수 연결구 시공방법
KR200188221Y1 (ko) 발코니용 배수구
JP2024514903A (ja) 床ドレインを相互接続するための方法
JPH10219946A (ja) 竪 樋
CN205476121U (zh) 一种带有敞开式缓冲导流管的雨水导流装置
KR20240077390A (ko) 배수트랩 슬리브
JP5666515B2 (ja) 排水ヘッ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