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505B1 - 복층 건물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층 건물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505B1
KR101146505B1 KR1020090083715A KR20090083715A KR101146505B1 KR 101146505 B1 KR101146505 B1 KR 101146505B1 KR 1020090083715 A KR1020090083715 A KR 1020090083715A KR 20090083715 A KR20090083715 A KR 20090083715A KR 101146505 B1 KR101146505 B1 KR 101146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ipe
concrete block
laye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5712A (ko
Inventor
서동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쓰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쓰리
Priority to KR1020090083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50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5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03F5/0409Devices for preventing seepage around the floor d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 건물에서 상층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과 바닥몰탈층에 크랙이 발생 되는 등의 하자로 인해 생활오수가 생활오수배관을 통해 전량 배수되지 못하고 일부 미세한 양이 층간콘크리트구획층과 바닥몰탈층에 설치되는 배수설비 주변의 크랙 발생부분을 통해 침투되어 상기 배수설비인 배관구멍에 관통 설치되는 생활오수배관의 외벽 또는 층간콘크리트구획층 저부로 직접 흘러내려 하층으로 누수 되는 침출 오수를 생활오수배관에 일체 또는 분리되어 상호 결합 되는 집수받이로 집수하여 이를 침출 오수 배관을 통해 건물 내부에 은폐되게 설치되는 메인배수관에 연결시켜 배수되게 함으로써, 상기 침출 오수가 하층으로 누수 되는 현상을 사전에 차단시켜 하층의 천정슬라이브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전기 배선 등에 접촉되어 누전 및 정전사고 등과 상기 누수에 의한 하층의 악취 발생 및 침출 오수로 하층의 천정과 벽면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되게 하고, 또한 상층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과 바닥몰탈층에 크랙이 발생 되는 등의 하자로 인해 하층으로 침출 오수가 침투되어 누수 되는 현상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케 하여 누수 발생 초기에 사전 인지함으로써, 상기의 하자보수시 큰 공사로 확대시키지 않고, 가능한 간단하게 하자보수를 행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으로, 예컨대 하층은 전혀 하자보수 공사를 하지않고, 원인을 제공한 상층 바닥몰탈층 배수설비 주변의 크랙 발생부분의 하자만 간단하게 보수하면 되므로 하층의 생활불편과 번거로움을 없게 할 뿐 아니라 하자 보수비용을 절감토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층간콘크리트구획층,생활오수배관,생활오수발생설비,집수받이,플루우트관

Description

복층 건물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복층 건물에서 욕실이나 화장실, 베란다 등과 같은 실내바닥에 설치되어 생활오수 등을 배수시켜 주기 위한 배수설비에 있어서, 상기 배수설비의 생활오수배관을 통해 생활오수 등을 배수시킬 때, 상기 생활오수가 생활오수배관을 통해서만 배수되지 않고, 일부 미세한 양은 바닥몰탈층에 설치된 배수설비 주변의 크랙 발생부분으로 침투되어 배수설비인 생활오수배관의 외벽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리거나 또는 상기 배수설비 주변의 크랙 발생부분에 침투되어 층간콘크리트구획층 저부로 직접 흘러내려 하층으로 누수 되면서 하층의 천정슬라이브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전기 배선 등에 접촉되어 누전 및 정전사고 등과 상기 누수에 의한 하층의 악취 발생 및 침출 오수로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층 건물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의 세면장이나 화장실 또는 아파트나 다세대주택과 같은 공 동주택의 욕실에서는 많은 량의 생활오수가 발생 되고, 이러한 생활오수는 바닥의배수설비를 통해 하수구와 같은 집결처리장으로 배수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건물의 신축 과정에 층간콘크리트구획층과 그 상부에 시공되는 바닥몰탈층의 방수 처리 가 잘 안되었거나 또는 건물이 오래되어 층간콘크리트구획층과바닥몰탈층에 크랙이 발생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경우 생활오수가 생활오수배관을 타고 전량 배수되지 못하고 일부 즉, 미세한 양은 상기 크랙 발생부분을 통해 침투되어 생활오수배관의 외벽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리거나 또는 크랙 발생부분으로 침투되어 층간콘크리트구획층 저부로 직접 흘러내리게 되어 상기 누수 되는 침출 오수에 의해 하층에 악취가 발생 되거나 또는 하층의 천정과 벽면이 침출 오수로 오염되고, 또한 상기의 침출 오수가 천정슬라이브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전기 배선 등에 접촉되어 누전 및 정전사고 등의 원인이 되며, 또한 상기와 같이 침출 오수에 의한 문제가 상당히 진전된 상태에서 하자보수를 하게 되므로 호미로 막을 하자보수가 가래로 막게 되는 하자보수로 크게 확대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원인을 제공한 상층뿐만 아니라 하층까지 공사를 함에 따라 큰 공사로 확대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바의 문제를 본 발명이 실시된 건물의 일부 단면구조도인 도 1을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층 건물(b)은 상층과 하층 사이에 층간콘크리트구획층(2)이 형성되고, 이 층간콘크리트구획층(2)을 콘크리트로 타설 시공할 때, 각종 생활오수배관(4)을 설치하기 위한 배관구멍(3)이 다수 형성되도록 콘크리트 로 타설 시공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의 각종 생활오수배관(4)은 상기 층간콘크리트구획층(2) 상부에 시공되는 바닥몰탈층(f)의 배수설비, 양변기(좌변기와 남성용 소변기), 세면대, 욕조 등에서 배수되는 생활오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각각의 생활오수배관(4)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각종 생활오수배관(4)을 관통되게 설치하기 위한 배수설비인 배관구멍(3)이 층간콘크리트구획층(2)을 콘크리트로 타설 시공할 때, 다수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배관구멍(3)으로 생활오수배관(4)을 관통 설치하고 층간콘크리트구획층(2) 상부에 바닥몰탈층(f)을 시공한 후, 상기 바닥몰탈층(f)에 배수설비, 양변기, 욕조, 세면대 등과 같은 설비를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생활오수가 발생 되는 설비, 즉 바닥몰탈층(f)에 설치되는 배수설비, 양변기, 세면기, 욕조와 같이 오수가 발생 되는 설비들을 총괄하여 이하부터는 생활오수발생설비(5)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의 생활오수배관(4)은 층간콘크리트구획층(2) 하측에서 연결엘보관(14)에 의해 건물 내부에 은폐되게 설치되는 메인배수관(15)에 연결되어 각종 생 활오수가 하수구나 정화조와 같은 집결처리장으로 배수되도록 시공되는 것이고, 층간콘크리트구획층(2)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생활오수배관(4)은 하층의 천정슬라이브(r)에 의해 은폐되게 시공된다.
그러나 건물 시공과정에 층간콘크리트구획층(2)과 바닥몰탈층(f) 시공상의 하자 등으로 인해 방수가 잘 안되었거나 또는 건물 완공 후, 약10년 이상 경과 되어 노후 된 경우 층간콘크리트구획층(2)과 바닥몰탈층(f)에 크랙이 비일비재하게 발생 되는데, 특히 생활오수배관(4)이 관통 설치되는 배관구멍(3)의 주변부분인 배수설비 주위에서 크랙이 주로 발생 됨에 따라 상기 배관구멍(3) 주변의 크랙 발생부분으로 생활오수가 침투되어 침투된 침출 오수가 생활오수배관(4)의 외벽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리거나 또는 배수설비 주변의 크랙 발생부분으로 침투된 침출 오수가 층간콘크리트구획층(2)의 저부로 직접 흘러내림으로써, 상기 누수 발생에 의해 하층에 악취가 발생될 뿐 아니라 상기 침출 오수로 인해 하층의 천정 또는 벽면이 오염되고 이로 인해 상당한 비용을 들여 상층은 물론 하층까지 대대적인 보수공사를 하게 되는 등의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 및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복층 건물에서 상층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과 바닥몰탈층에 크랙이 발생 되는 등의 하자로 인해 생활오수가 생활오수배관을 통해 전량 배수되지 못하고 일부 미세한 양이 층간콘크리트구획층과 바닥몰탈층에 설치된 배수설비 주변의 크랙 발생부분을 통해 침투되어 상기 배수설비인 배관구멍에 관통 설치되는 생활오수배관의 외벽 또는 층간콘크리트구획층 저부로 직접 흘러내려 하층으로 누수 되는 침출 오수를 생활오수배관에 일체 또는 분리되어 상호 결합 되는 집수받이로 집수하여 이를 침출 오수 배관을 통해 건물 내부에 은폐되게 설치되는 메인배수관에 연결시켜 배수되게 함으로써, 상기 침출 오수가 하층으로 누수 되는 현상을 사전에 차단시켜 하층의 천정슬라이브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전기 배선 등에 접촉되어 누전 및 정전사고 등과 상기 누수에 의한 하층의 악취 발생 및 침출 오수로 하층의 천정과 벽면이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되게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층 건물에서 상층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과 바닥몰탈층에 크랙이 발생 되는 등의 하자로 인해 하층으로 침출 오수가 침투되어 누수 되는 현상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케 하여 누수 발생 초기에 사전 인지함으로써, 상기의 하자보수시 큰 공사로 확대시키지 않고, 가능한 간단하게 하자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으로, 예컨대 하층은 전혀 하자보수 공사를 하지않고, 원인을 제공한 상층 바닥몰탈층 배수설비 주변의 크랙 발생부분의 하자만 간단하게 보수하면 되므로 하층의 생활불편과 번거로움을 없게 할 뿐 아니라 하자 보수비용을 절감함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층 건물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과; 상기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 상부에 시공되는 바닥몰탈층과; 상기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과 바닥몰탈층에 다수 형성되는 배관구멍과; 상기 다수의 배관구멍에 관통 설치되는 생활오수배관과; 상기의 생활오수배관에 연결되면서 층간콘크리트구획층과 바닥몰탈층 위에 설치되는 생활오수발생설비로; 이루어진 복층 건물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배수설비에 있어서,
상기 배수설비의 배관구멍에 관통 설치되는 생활오수배관의 주위를 넓게 포위하여 고정하기 위한 접시형 집수받이가 구비되고, 상기의 집수받이는 상부가 하부보다 넓게(상광하협 형상) 형성되어 그 상면이 층간콘크리트구획층의 저부면에 밀착되며, 상기 집수받이는 측면 부에서 연장되는 내측의 바닥집수면부에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의 배수공은 바닥집수면부의 저부로 돌출되는 배수노즐과 연통되어 상기 배수노즐에 침출 오수 배관이 수평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으로 연결되는 침출 오수 배관의 중간 지점에는 플루우트관이 직립 되게 설치되며, 상기 플루우트관 내면에는 플루우트볼이 내설되면서 플루우트관은 하층의 천정슬라이브로 노출되게 설치하되, 바람직하게는 하층의 천정슬라이브의 구석에 설치되고, 상기의 생활오수배관과 침출 오수 배관은 건물 내부에 은폐되게 설치되는 메인배수관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수받이는 상기 생활오수배관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어 그 중앙으로 상기 생활오수배관이 관통되면서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수받이는 생활오수배관과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그 중앙의 결합 공에 생활오수배관이 관통되어 결합 공 하부로 연장되는 플랜지의 내면이 생활오수배관의 외주 면에 가압 밀착지지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수받이의 측면 부는 침출 오수를 내측의 바닥집수면부로 유도되게 흘러내리도록 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수받이의 바닥집수면부는 낙수된 침출 오수가 바닥집수면부로 용이하게 모이도록 하기 위해 생활오수배관이 관통되는 중심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복층 건물에서 상층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과바닥몰탈층에 크랙이 발생 되는 등의 하자로 인해 층간콘크리트구획층과 바닥몰탈 층의 배관구멍에 관통 설치되는 배수설비 주변으로 생활오수가 침투되어 누수 되는 침출 오수를 집수받이로 집수하여 이를 침출 오수 배관을 통해 건물 내부에 은폐되게 설치되는 메인배수관에 연결시켜 배수되게 함으로써, 상기 침출 오수가 하층으로 누수 되는 현상을 사전에 차단시켜 하층의 천정슬라이브 내부에 구비되는 각종 전기 배선 등에 접촉되어 누전 및 정전사고 등과 상기 누수에 의한 하층의 악취 발생 및 침출 오수로 오염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층 건물에서 상층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과 바닥몰탈층에 크랙이 발생 되는 등의 하자로 인해 배수설비 주변으로 오수가 침투되어 누수 되는 현상을 육안으로 확인 가능케 하여 사전에 미리 인지함으로써, 상기의 하자보수를 큰 공사로 확대시키지 않고, 가능한 간단하게 하자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으로, 예컨대 하층은 전혀 하자보수 공사를 하지않고 원인을 제공한 상층 바닥몰탈층 배수설비 주변의 크랙 발생부분의 하자만 간단히 보수함으로써 하층의 생활불편과 번거로움이 해소될 뿐 아니라 하자 보수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인 효과를 갖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인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5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표기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이나 또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통상적인 기술에 대한 부분들은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인 도 1 및 도 5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이 실시된 건물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구조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의 일부 분리상태 전체 사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종 단면 구성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의 요부 실시예를 확대한 단면 구성도면이며, 도 5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에서 집수받이와 생활오수배관과의 일체 및 분리 구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에 의하면 복층 건물(b)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2)과; 상기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2) 상부에 시공되는 바닥몰탈층(f)과; 상기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2)과 바닥몰탈층(f)에 다수 형성되는 배관구멍(3)과; 상기 다수의 배관구멍(3)에 관통 설치되 는 생활오수배관(4)과; 상기의 생활오수배관(4)에 연결되면서 층간콘크리트구획층(2)과 바닥몰탈층(f) 상면에 설치되는 생활오수발생설비(5)로; 이루어진 복층 건물(b)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배수설비에 있어서,
상기 배관구멍(3)에 관통 설치되는 생활오수배관(4)을 중심으로 주위를 넓게 포위하여 고정하기 위한 접시형 집수받이(6)가 구비되고, 상기의 집수받이(6)는 상부가 하부보다 넓게(상광하협 형상) 형성되어 그 상면이 층간콘크리트구획층(2)의 저부면에 밀착되며, 상기 집수받이(6)는 측면 부(7)에서 연장되는 내측의 바닥집수면부(8)에 배수공(9)이 형성되고, 상기의 배수공(9)은 바닥집수면부(8)의 저부로 돌출되는 배수노즐(10)과 연통 되어 상기 배수노즐(10)에 침출 오수 배관(11)이 수평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평으로 연결되는 침출 오수 배관(11)의 중간에는 플루우트관(12)이 직립 되게 연결 설치되며, 상기 플루우트관(12) 내면에는 플루우트볼(13)이 내설되면서 상기 플루우트관(12)은 하층의 천정슬라이브(r)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기의 생활오수배관(4)과 침출 오수 배관(11)은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배수관(15)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의 집수받이(6)는 상기 생활오수배관(4)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어 그 중앙으로 상기 생활오수배관(4)이 관통되면서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집수받이(6)는 생활오수배관(4)과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그 중앙의 결합 공(6a)에 생활오수배관(4)이 관통되어 결합 공(6a) 하부로 연장되는 플랜지(6b)의 내면이 생활오수배관(4)의 외벽(4a)에 가압 밀착지지 된다.
또한, 상기 집수받이(6)의 측면 부(7)는 침출 오수를 내측의 바닥집수면부(8)로 유도되게 흘러내리도록 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집수받이(6)의 바닥집수면부(8)는 낙수된 침출 오수가 바닥집수면부(8)로 용이하게 모이도록 하기 위해 생활오수배관(4)이 관통되는 중심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복층 건물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층 건물(b)은 상층과 하층 사이에 층간콘크리트구획층(2)이 형성되고, 이 층간콘크리트구획층(2)을 콘크리트 타설 시공할 때, 각종 생활오수배관(4)을 관통 설치하기 위한 배관구멍(3)이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배관구멍(3)으로 생활오수배관(4)이 관통 설치되고 층간콘크리트구획층(2) 상부에는 바닥몰탈층(f)을 시공한 후, 상기 바닥몰탈층(f)의 적정위치에 배수트랩이 구비되는 배수설비, 양변기, 세면기, 욕조 등의 생활오수발생설 비(5)를 설치하되, 상기의 생활오수발생설비(5)는 상기의 생활오수배관(4)을 통해 건물 내부에 은폐되게 설치되는 메인배수관(15)과 연결되어 각종 생활오수가 하수구나 정화조와 같은 집결처리장으로 배수되도록 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1)은 상기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2)과 바닥몰탈층(f)의 배관구멍(3)에 관통 설치되는 생활오수배관(4)에 어셈블리(assembly)되어 층간콘크리트구획층(2)의 저부면에 상기 생활오수배관(4)을 중심으로 주위를 넓게 포위하여 고정되는 접시형 집수받이(6)의 상면이 밀착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의 집수받이(6)는 생활오수배관(4)과 동일의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 되어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 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집수받이(6)가 플렉시블한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 공(6a)에 생활오수배관(4)이 관통되어 결합 공(6a) 하부로 연장되는 플랜지(15)의 내면이 생활오수배관(4)의 외벽(4a)에 가압 밀착지지 되고, 상기와 같이 일체 또는 분리된 집수받이(6)는 생활오수배관(4)의 외벽(4a)으로 흘러내리는 침출 오수나 또는 생활오수배관(4)이 관통 설치된 배관구멍(3) 즉, 배수설비 주변의 크랙 발생부분으로 침투되어 층간콘크리트구획층(2) 저부로 직접 흘러내리는 침출 오수를 내측의 바닥집수면부(8)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해 측면 부(7)가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바닥집수면부(8) 역시 낙수된 침출 오수가 바닥집수면부(8)로 용이하게 모이도록 하기 위해 측면 부(7) 내측에서 생활오수배관(4)이 관통된 중심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집수받이(6)의 저부에 돌출되는 배수노즐(10)에는 침출 오수 배관(11)이 수평으로 연결되면서, 그 적정위치에는 플루우트관(12)이 직립 되게 연결 되어 하층의 천정슬라이브(r)를 통해 노출되는바 즉, 본 발명의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1)은 복층 건물(b)의 상층인 층간콘크리트구획층(2)과 하층의 천정슬라이브(r) 사이에 은폐되게 설치되어 생활오수배관(4)을 통해 건물 내부에 역시 은폐되게 설치되는 메인배수관(15)과 연결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몰탈층(f)에 시공된 배수트랩이 구비되는 배수설비, 양변기, 세면대, 욕조 등의 생활오수발생설비(5)에서 발생 되는 생활오수가 층간콘크리트구획층(2)과 바닥몰탈층(f)의 배관구멍(3)에 관통 설치되는 생활오수배관(4)을 통해 메인배수관(15)으로 정상적으로 배수되나, 상층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2)과 바닥몰탈층(f)에 크랙이 발생되는 등의 요인으로 인해 생활오수가 생활오수배관(4)이 관통 설치되는 배수설비인 배관구멍(3)의 주변의 크랙발생 부분으로 침투되어 생활오수배관(4)의 외벽(4a)을 타고 침출 오수가 흘러내리거나 또는 배수설비 주변으로 형성되는 크랙 발생부분을 통해 층간콘크리트구획층(2) 저부로 직접 흘러내리면서 하층으로 누수 되는 경우에도 상기 배수설비인 배관구멍(3)에 관통 설치되는 생활오수배관(4)을 중심으로 주위를 넓게 포위하여 고 정되는 접시형 집수받이(6) 상으로 상기의 누수 되는 침출 오수가 낙수 되어 바닥집수면부(8)에 집수 되고, 상기의 집수 되는 과정은 집수받이(6) 상으로 바로 낙수 될 수도 있지만 집수받이(6)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지는 측면 부(7)의 내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집수면부(8)에 집수 되는 침출 오수는 바닥집수면부(8)에 형성된 배수공(9)으로 유입되어 지는바, 이때에도 바닥집수면부(8)는 생활오수배관(4)이 관통된 중심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므로 집수 된 침출 오수가 중심부로 모이게되어 배수공(9)으로 전량 유입되면서 상기 배수공(9)과 연통 되는 배수노즐(10)에 연결되는 침출 오수 배관(11)으로 배수되면서 건물(b) 내부에 은폐되게 설치된 메인배수관(15)을 통해 배수됨에 따라 상층에서 누수 되는 침출 오수가 하층으로 누수 되는 현상을 사전 차단하게 되어 상기 침출 오수에 의한 하층에서의 악취 발생이 없게 되고, 침출 오수에 의해 하층의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받이(6)의 바닥집수면부(8)에 집수 되는 침출 오수는 침출 오수 배관(11)으로 배수되는 과정에서 침출 오수 배관(11)의 중간에 직립 되게 설치된 플루우트관(12)으로 유입되고, 이때 상기 유입되는 침출 오수의 부력에 의해 플루우트관(12) 내의 플루우트볼(13)이 떠오르면서 상층에서 누수가 발생 됨이 인지되는데, 이는 상기 플루우트관(12)이 하층의 천정슬라이브(r) 로 노출되어 지므로 이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케 되고, 그로 인해 누수발생 초기에 간단하게 상층만 하자보수를 하게 됨으로써, 하층에 전혀 불편이나 피해를 주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은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생활오수의 누수 차단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이와 유사한 여건에서의 누수 차단 장치로도 이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 나지 않는 한 폭넓게 적용되고 보호되어야 함이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이 실시된 건물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의 일부 분리상태 전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종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의 요부 실시예를 확대한 단면 구성도
도 5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에서 집수받이와 생활오수배관과의 일체 및 분리 구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 2 : 층간콘크리트구획층
3 : 배관구멍 4 : 생활오수배관
5 : 생활오수발생설비 6 : 집수받이
7 : 측면부 8 : 바닥집수면부
9 : 배수공 10 : 배수노즐
11 : 침출 오수 배관 12 : 플루우트관
13 : 플루우트볼 14 : 연결엘보관
15 : 메인배수관 b : 복층 건물
f : 바닥몰탈층 r : 천정슬라이브

Claims (7)

  1. 복층 건물(b)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2)과; 상기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2) 상부에 시공되는 바닥몰탈층(f)과; 상기의 층간콘크리트구획층(2)과 바닥몰탈층(f)에 다수 형성되는 배관구멍(3)과; 상기 다수의 배관구멍(3)에 관통 설치되는 생활오수배관(4)과; 상기의 생활오수배관(4)에 연결되면서 층간콘크리트구획층(2)과 바닥몰탈층(f)의 상면에 설치되는 생활오수발생설비(5)로; 이루어진 복층 건물(b)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활오수배관(4)을 중심으로 주위를 넓게 포위하여 고정하기 위한 접시형 집수받이(6)와; 상기 집수받이(6)의 저부로 돌출되는 배수노즐(10)과 연통되어 집수받이(6) 저부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침출 오수 배관(11)과; 상기 수평으로 연결되는 침출 오수 배관(11)의 중간에 직립 되게 연결 설치되는 플루우트관(12)으로; 이루어진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1)을 건물 내부에 은폐되게 설치되는 메인배수관(15)에 연결하여 구성되되,
    상기의 집수받이(6)는 상부가 하부보다 넓게(상광하협 형상) 형성되어 그 상면이 층간콘크리트구획층(2)의 저부면에 밀착되며, 측면 부(7)에서 연장되는 내측의 바닥집수면부(8)에는 배수공(9)이 형성되고, 배수공(9)은 바닥집수면부(8)의 저부로 돌출되는 배수노즐(10)과 연통되며,
    상기의 집수받이(6)는 생활오수배관(4)과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그 중앙의 결합 공(6a)에 생활오수배관(4)이 관통되어 결합 공(6a) 하부로 연장되는 플랜지(6b)의 내면이 생활오수배관(4)의 외벽(4a)에 가압 밀착지지 되고,
    상기 집수받이(6)의 측면 부(7)는 침출 오수를 내측의 바닥집수면부(8)로 유도되게 흘러내리도록 하기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집수받이(6)의 바닥집수면부(8)는 낙수된 침출 오수가 바닥집수면부(8)로 용이하게 모이도록 하기 위해 생활오수배관(4)이 관통되는 중심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플루우트관(12)은 하층의 천정슬라이브(r)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기플루우트관(12) 내면에는 플루우트볼(13)이 내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 건물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90083715A 2009-09-05 2009-09-05 복층 건물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 KR101146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715A KR101146505B1 (ko) 2009-09-05 2009-09-05 복층 건물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715A KR101146505B1 (ko) 2009-09-05 2009-09-05 복층 건물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712A KR20110025712A (ko) 2011-03-11
KR101146505B1 true KR101146505B1 (ko) 2012-05-25

Family

ID=4393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715A KR101146505B1 (ko) 2009-09-05 2009-09-05 복층 건물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248B1 (ko) * 2020-10-08 2021-07-23 장종성 배관 누수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0614B (zh) * 2015-11-10 2018-02-27 重庆亚颖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疏导式防水渗漏器
CN109056916A (zh) * 2018-09-20 2018-12-21 华科住宅工业(东莞)有限公司 二次排水收集器及其安装应用结构
KR102125000B1 (ko) * 2018-10-26 2020-06-19 김용연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
CN109667331A (zh) * 2019-01-29 2019-04-23 华科住宅工业(东莞)有限公司 通用型二次排水收集器及其排水应用结构
CN110468932A (zh) * 2019-09-06 2019-11-19 许大伟 一种用于地铁车站顶部漏水的便携式可延伸软质接水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627U (ko) * 1995-03-18 1996-10-24 김채만 건축 배수용 방수구
JP2001050799A (ja) * 1999-08-09 2001-02-23 Nippon Toosui Kk 液位表示装置
JP2004278017A (ja) 2003-03-12 2004-10-07 Bridgestone Corp 浴槽排水構造
KR100720969B1 (ko) * 2006-08-07 2007-06-04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1627U (ko) * 1995-03-18 1996-10-24 김채만 건축 배수용 방수구
JP2001050799A (ja) * 1999-08-09 2001-02-23 Nippon Toosui Kk 液位表示装置
JP2004278017A (ja) 2003-03-12 2004-10-07 Bridgestone Corp 浴槽排水構造
KR100720969B1 (ko) * 2006-08-07 2007-06-04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248B1 (ko) * 2020-10-08 2021-07-23 장종성 배관 누수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712A (ko) 201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505B1 (ko) 복층 건물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
KR20110075701A (ko) 층상 배관용 조립식 세면욕실
US10837165B2 (en) System to prevent basement flooding from sewer backup
KR100701793B1 (ko) 건축구조물 바닥 배수구 방수막 이음판 드레인 제작설치구조
KR100720969B1 (ko)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KR101565457B1 (ko) 바닥면 누수 유도박스
KR102028838B1 (ko)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
KR101564993B1 (ko) 배수 일체형 욕실 바닥판
KR100913781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101081970B1 (ko)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CN106869289B (zh) 一种建筑同层排水地漏
KR20110047103A (ko)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CN104929229B (zh) 多用途防臭积水处理系统
CN204940490U (zh) 一种多用途防臭积水处理器及处理系统
CN2863923Y (zh) 防水接漏器
JP2528063B2 (ja) 排水金具の施工方法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KR101236143B1 (ko) 층상 배수장치 및 공법
KR100981324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시공방법 및 그 세면욕조실
JP6768436B2 (ja) 排水チャンバー
KR101130190B1 (ko) 세면욕실의 층상배관 시스템
KR200352175Y1 (ko) 욕실의 저소음 배수 배관 시공법
CN216195167U (zh) 一种卫生间干湿区同层排水节点
CN216839789U (zh) 一种室内浸水环境地面综合防水排水结构
US11124953B2 (en) Anti-leak system for sanitary appli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