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7103A -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7103A
KR20110047103A KR1020100015260A KR20100015260A KR20110047103A KR 20110047103 A KR20110047103 A KR 20110047103A KR 1020100015260 A KR1020100015260 A KR 1020100015260A KR 20100015260 A KR20100015260 A KR 20100015260A KR 20110047103 A KR20110047103 A KR 20110047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athroom
drain
space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9145B1 (ko
Inventor
이익한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Publication of KR20110047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의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 주택의 특성상 신축 후 유지관리 및 직하층 입주자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구조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욕실의 위생기구들로부터 발생하는 오수를 층내에서 자체적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이중배관을 포함하는 욕실의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욕실 배관 시스템은 상기 욕실 내에 독립적인 공간이 마련되도록 구성되며 일측면으로 상기 세면기 및 변기의 배수관이 관통되는 보수실과, 상기 보수실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보수실을 관통한 각 배수관이 상기 입하관 내지 입상관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1배수관과, 상기 바닥배수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욕실의 바닥면 내부에 관로를 형성하되, 상기 샤프트 공간 측으로 연장되는 제1슬리브 배관 및 상기 제1슬리브 배관 내부에 배치되며 샤프트 공간을 통해 상기 입상관과 연통되는 제2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Piping System For Bathroom Having Double Pipe Structure}
본 발명은 욕실의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 주택의 특성상 신축 후 유지관리 및 직하층 입주자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구조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욕실의 위생기구들로부터 발생하는 오수를 층내에서 자체적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이중배관을 포함하는 욕실의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주택산업의 경우 좁은 국토의 특성 그리고 도시의 인구집중 현상으로 인하여 아파트 건물과 같은 고층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공동주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공동주택은 획일적으로 시공되는 특성상 주거환경과 생활문화의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없고, 또 건물의 노후화에 따른 주거,설비, 구조적 측면에서 발생되는 결함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대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이나 공동 주택의 욕실은 바닥면의 슬래브에 매설된 배관(아래층 세대의 천장에 해당됨)의 노후, 막힘, 누수 등으로 인하여 빈번한 개보수작업이 행해지게 되며, 배관들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설되므로 개보수 작업은 그만큼 어렵고 장기간의 작업기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아래층의 천장도 훼손시키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즉, 윗층 세대에서의 배수시 발생되는 배수 소음뿐만 아니라 누수물이 아래층 세대에 전달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개보수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개보수에 따르는 아래층 세대의 공간 사용 제한 및 작업소음공해 등은 아래층 세대에 끼치는 가장 큰 피해이다.
한편, 아파트와 같은 대부분의 공동주택이나 고층건물에서의 개보수 작업에서는 비용 부담으로 인하여 보수나 리모델링을 통한 개선보다는 기존의 건물을 철거하고 재건축을 시행하는 방법을 선호하였는데, 이는 국가적으로 자원의 낭비이고 많은 양의 건설폐기물을 발생시켜 환경 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 아파트나 공동주택의 욕실 배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세면기(30), 욕조(32), 바닥배수구(33)는 배수관(20)을 통해 바닥슬래브(S)를 천공하여 이를 통해 매설된 직경 50㎜의 연결관(40)과 연결되고, 연결관(40)은 직경 100㎜인 제1입상관(10)의 섹스티아(Sextia) 이음부(12)와 연결된다.
그리고, 대변기(31)도 오물, 오수의 특성을 고려하여 배수관(20)을 통해 아래층의 바닥슬래브(S)를 관통하여 매설된 직경 100㎜의 오수관(41)과 연결되고, 오수관(41)은 직경 100㎜인 제2입상관(11)의 섹스티아 이음관(12)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욕실 배관 구조는 세면기(30), 대변기(31), 욕조(32) 등에서 발생된 생활용수가 단순히 연결관(40)과 오수관(41)을 따라 제1, 2입상관(10)(11)에 유입된 이후, 자유 낙하에 의해 배수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욕실 배관 구조는 중력에 의해 욕실의 오수를 배수시키는 구조이므로 배수관(20)이 그 일정 부위에서 구배(h1)(h2)를 갖도록 형성되어 욕실의 아래층 천장 가까이 매설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연결관(40)이나 오수관(41)을 개보수할 경우, 욕실의 바닥슬래브(S)뿐만 아니라 아래층의 천장도 훼손시켜야만 하였다.
결국 종래에는 욕실 배관을 개보수할 경우, 욕실의 바닥슬래브(S)와 아래층 천장도 파헤치므로 개보수 공사가 장기간 소요되고, 거주자의 생활에도 큰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연결관(40)과 오수관(41)이 아래층의 천장에 매설되는 특성상 연결관(40)과 오수관(41)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아래층에 그대로 전달되어 주거 환경을 저해하는 문제점의 원인이 되었다.
더욱이 종래의 욕실 배관 구조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세면기(30), 대변기(31), 욕조(32)에서 발생되는 생활 하수를 원활하게 배수하기 위하여 직경이 50㎜인 대구경 연결관(40)과 직경이 100㎜인 대구경 오수관(41)이 사용되므로 대구경의 특성상 배관비용이 많이 지출되었다. 또한 연결관(40)과 오수관(41)의 개별적인 연결을 위하여 제1, 2입상관(10)(11)이 사용되는 경우, 2개의 입상관(10)(11)으로 인해 배관 비용이 가일층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대구경인 연결관(40)과 오수관(41) 그리고 2개의 입상관(10)(11)은 배관비용의 많은 지출 이외에 건물의 피트(Pit, P) 공간을 상당부분 차지하므로 건물의 유효 주거공간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많은 장애요소가 되었다.
그리고 종래의 욕실 배관 구조는 개보수 공사 과정에 많은 양의 콘크리트와 석고보드 같은 건축 폐기물이 발생되므로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공사비의 상승 및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동 주택에서 욕실의 하자 발생 시 구조체의 손상 없이 배관의 접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각 배관을 구조화함으로써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입주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수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의한 이중배관을 포함하는 욕실의 배관 시스템은 세면기, 변기 및 바닥배수구 등의 위생기구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건물의 샤프트 공간에 배치되는 입하관 내지 입상관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욕실 내에 독립적인 공간이 마련되도록 구성되며 일측면으로 상기 세면기 및 변기의 배수관이 관통되는 보수실과; 상기 보수실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보수실을 관통한 각 배수관이 상기 입하관 내지 입상관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1배수관과; 상기 바닥배수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욕실의 바닥면 내부에 관로를 형성하되, 상기 샤프트 공간 측으로 연장되는 제1슬리브 배관; 및 상기 제1슬리브 배관 내부에 배치되며 샤프트 공간을 통해 상기 입상관과 연통되는 제2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생기구는 육가 배수관이 설치되어 상기 육가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욕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욕실의 바닥면 내부에 관로를 형성하되, 상기 제1슬리브 배관과 연통되는 제2슬리브 배관 및 상기 제2슬리브 배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육가 배수관과 연통되는 제3배수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2배수관 및 제3배수관은 유연성을 가지는 후렉시블 관(flexible pipe)으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슬리브 배수관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 공간의 바닥면 슬리브에 소정의 공간부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 내에서 상기 제2배수관은 복수의 엘보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입하관과 연통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공간부는 상부가 개구되도록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보수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언급한 제1배수관은 각기 복수의 단위 배수관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단위 배수관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접속관을 통해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슬리브 배관은 상기 샤프트 공간 방향으로 하향의 경사 구배를 갖도록 구성되어 오수의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보수실은 내부의 공간 일부가 개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점검구가 형성되고, 각 점검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점검도어가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은 욕실 측면에 독립적 공간이 마련되는 보수실을 통해 위생기구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배수시키는 등 당해층 배수관 방식을 적용하고, 욕실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이중배관 구조로 인해 슬래브와 같은 구조체의 손상 없이 유지 보수가 가능하고 하부층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위생기구의 교체 및 배관 보수 시 하부층에 영향을 주지 않고, 욕실 내에 구비되는 마감재 및 인테리어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 층상 배관 방식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성이 용이하여 비용절감을 이룰 수 있고, 점검도어가 형성된 보수실 및 개폐부가 형성된 공간부를 통해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 층상 배관의 단점인 변기 매립 배관에 따른 구조체 슬래브를 다운 시공하지 않아 건축적인 하자를 방지하고, 당해층 배수관 설치로 인해 하부층의 천장고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욕실의 배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실이 구비되는 욕실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욕실의 배관 시스템에서 욕조가 추가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욕실의 배관 시스템에서 양변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욕실의 배관 시스템에서 세면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욕실의 배관 시스템에서 바닥배수구를 나타내는 측단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욕실의 배관 시스템에서 욕조 및 바닥배수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실이 구비되는 욕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욕실의 배관 시스템에서 욕조가 추가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욕실의 배관 시스템에서 양변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욕실의 배관 시스템에서 세면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욕실의 배관 시스템에서 바닥배수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욕실의 배관 시스템에서 욕조 및 바닥배수구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공동 주택의 특성상 신축 후 유지관리 및 직하층 입주자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구조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욕실에 독립적인 공간인 보수실(10)을 구비하고, 상기 보수실(10)의 공간을 통해 욕실의 위생기구들(20)로부터 발생되는 오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관 시스템으로, 특히, 욕실의 바닥면에 이중배관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어 바닥면을 손상시키지 않고도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은 욕실 내에 소정 공간이 마련되도록 구성되며 위생기구(20)들의 배수관이 관통되는 보수실(10)과, 상기 보수실(10)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관통된 위생기구(20)들의 배수관이 샤프트 공간(1)에 배치되는 입하관 내지 입상관(2, 3, 4)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1배수관(30)과, 욕실의 바닥면에 이중배관구조로 형성되는 제1슬라브 배관(40) 및 제2배수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수실(10)은 욕실의 위생기구(20)들로부터 발생되는 오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공간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배수관(3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욕실 내에 독립적인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는 상기 언급한 제1배수관(30)들이 안착되도록 선반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수실(10)은 욕실의 일측면을 차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수실(10)을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보수실(10)은 상기 욕실의 일측면을 따라 외벽이 돌출 형성되어 있어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배수관(3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이러한 보수실(10)의 일 예로써, 상기 욕실의 일측면에 복수의 파이프로 외형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에 무석면 보드판이 결합되어 외벽이 형성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수실(10)은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배수관(30)을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바, 그 폭을 통상의 오수관의 직경보다 큰 180mm 내지 200mm로 형성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의 일부분이 개구되어 내부에 제1배수관(30)들이 노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검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점검구(111)를 개폐하는 점검도어(11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검도어(112)는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수실(10)상에 힌지 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상기 위생기구(20)는 통상의 욕실 내에 구비되는 위생기구(20)로서 변기(21), 세면기(22), 바닥배수구(23) 및 욕조(2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각 위생기구들은 자체적으로 오수의 배출을 위해 트랩 등을 포함한 배수관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위생기구(20)의 배수관은 상기 보수실(10)을 관통하여 보수실(10) 내부에 수용되는 제1배수관(30)과 연통된다.
상기 제1배수관(30)은 욕실의 오수를 입하관 내지 입상관(2, 3, 4)으로 유동시키는 배관으로서, 상기 보수실(10)의 수용공간 내에 수평으로 배치 및 수용되며 일반적으로 PVC(polyvinyl chloride),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재질 등의 관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생기구(20)와 연통되는 제1배수관(30)은 그 일측이 욕실의 벽체 내측 즉, 건물의 샤프트 공간(1)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오수 등을 건물 외부로 배출시는 입하관 내지 입상관(2, 3, 4)과 연통된다.
이로써 상기 욕실의 위생기구(20)에서 발생된 오수는 상기 보수실(10)의 제1배수관(30)을 통해 샤프트 공간(1)의 입하관 내지 입상관(1, 2, 3)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수실(10)을 통해 배수될 수 있는 위생기구(20)는 보수실(1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변기(21) 및 세면기(22)가 될 수 있다. 상기 변기(21)와 세면기(22)에서 발생되는 오수는 자체적으로 구비되는 배수관이 상기 보수실(1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보수실(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제1배수관(30)과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제1배수관(30)은 각 위생기구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구별하여 유동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변기(21)는 벽체 배수 방식으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변기용 배수관(31)과 연통되어 샤프트 공간(1)의 오수 입상관(1)과 연통되고, 상기 세면기(22)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세면기용 배수관(32)과 연통되어 샤프트 공간의 배수 입상관(4)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언급한 제1배수관(30)은 유지 보수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각기 복수의 단위 배관으로 분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위 배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관(33)을 통해 결합 및 분리 가능한데, 이러한 접속관(33)은 커플링 또는 플랜지 방식이거나 나사결합 방식일 수 있다. 따라서, 노후에 따라 부분적으로 파손된 배수관(30)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 해당 단위 배관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슬리브 배관(40)은 상기 위생기구(20)의 바닥배수구(23)와 연통되도록 상기 욕실의 바닥면에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욕실의 바닥면 내부에 소정의 관로를 형성하되 상기 샤프트 공간(1)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슬리브 배관(40)의 관로는 욕실의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기 이전에 상기 관로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매설하고, 이후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슬리브 배관(40)과 함께 이중배관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는 제2배수관(50)은 상기 제1슬리브 배관(40)을 통해 유입되는 바닥배수구(23)의 오수가 샤프트 공간(1) 내에 배치되는 배수 입하관(3)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살펴보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2배수관(50)은 상기 제1슬리브 배관(40) 내부 즉, 제1슬리브 배관(40)의 관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관로를 따라 샤프트 공간(1)에 배치되는 배수 입하관(3)과 연통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관인 제1슬리브 배관(40)의 직경은 50mm이며, 내부관인 제2배수관(50)의 직경은 35mm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이 관의 직경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의 직경은 욕실의 규모와 바닥배수구를 통해 배수되는 오수의 양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결정될 수 있음 당연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슬리브 배관(40)의 관로가 상기 샤프트 공간(1) 방향으로 하향의 경사 구배를 갖도록 구성되어 바닥배수구(23)로부터 유입되는 오수가 원활하게 상기 제2배수관(50)을 통해 배수 입하관(3)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 공간(1)에서는 바닥면의 슬래브에 소정의 공간부(60)를 갖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60)을 통해 상기 제2배수관(50)이 상기 배수 입하관(3)과 연통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 입하관(3)과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제2배수관(50)은 복수의 엘보 배관(500)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배수 입하관(3)과 연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배수관(50)은 유연성을 갖는 후렉시블 관(Flexible Pipe)으로 구성됨으로써, 이에 따라 협소한 공간부(60)의 공간 내에서도 상기 제2배수관(50)을 제1슬리브 배관(4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는 등,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배수관(50)이 용이하게 분리되기 위해서는 상기 공간부(60)의 상부가 개구되도록 개구부(600)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600)는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타당한데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개구부(600)가 개폐 가능하도록 개폐부(61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생기구(20)는 육가 배수관(240)이 설치되고 이러한 육가 배수관(240)을 통해 오수가 배수되는 욕조(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욕조(24)가 없는 욕실의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배수구(23)가 상기 제1슬리브 배관(40) 내부에 배치되는 제2배수관(50)을 통해 상기 배수 입하관(3)과 직접 연통되어 있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에 욕조(24)가 구비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욕실의 배관 시스템은 제2슬리브 배관(70)과 제3배수관(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슬리브 배관(70)은 상기 제1슬리브 배관(40)과 마찬가지로 상기 욕실의 바닥면 내부에 관로를 형성하되, 상기 제2슬리브 배관(70)의 관로는 상기 제1슬리브 배관(40)의 관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배수관(80)은 상기 제2슬리브 배관(70)내부 즉, 상기 제2슬리브 배관(70)의 관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슬리브 배관(40)의 관로와 합류하는데, 일측이 상기 욕조의 육가 배수관(240)과 연통되어 상기 욕조의 오수가 상기 제1슬리브 배관(40)의 관로로 유입된다.
이처럼 욕조(24)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욕조(24)에서 유입되는 오수와 상기 바닥배수구(23)에서 유입되는 오수가 상기 제1슬리브 배관(40)의 관로에서 합류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상기 제1슬리브 배관(40)의 관로에 배치되는 제2배수관(50)을 통해 샤프트 공간(1)의 배수 입하관(3)과 연통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언급한 제3배수관(80) 역시 유연성을 가지는 후렉시블 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슬리브 배관(40) 또는 제2슬리브 배관(7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욕실의 배관 시스템은 욕실 측면에 독립적 공간이 마련되는 보수실(10)을 통해 위생기구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배수시키는 등 당해층 배수관 방식을 적용하여 유지 보수의 용이성 확보하고, 욕실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이중배관 구조로 인해 슬래브와 같은 구조체의 손상 없이 유지 보수가 가능하고 하부층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도록 모든 배관이 구성되어 있다.
즉, 위생기구의 교체 및 배관 보수 시 하부층에 영향을 주지 않고, 욕실 내에 구비되는 마감재 및 인테리어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종래 층상 배관 방식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성이 용이하여 비용절감을 이루고 점검도어(112) 내지 개폐부(610)가 형성된 보수실(10) 및 공간부(60)를 통해 유지 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층상 배관의 단점인 변기 매립 배관에 따른 구조체 슬래브를 다운(Down) 시공하지 않아 건축적인 하자를 방지하고, 당해층 배수관 설치로 인해 하부층의 천장고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샤프트 공간 2 : 오수 입하관
3 : 배수 입하관 4 : 배수 입상관
10 : 보수실 20 : 위생기구
21 : 변기 22 : 세면기
23 : 바닥배수구 24 : 욕조
30 : 제1배수관 40 : 제1슬리브 배관
50 : 제2배수관 60 : 공간부

Claims (8)

  1. 세면기, 변기 및 바닥배수구 등의 위생기구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건물의 샤프트 공간에 배치되는 입하관 내지 입상관으로 배수시키기 위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욕실 내에 독립적인 공간이 마련되도록 구성되며 일측면으로 상기 세면기 및 변기의 배수관이 관통되는 보수실과;
    상기 보수실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보수실을 관통한 각 배수관이 상기 입하관 내지 입상관과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1배수관과;
    상기 바닥배수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욕실의 바닥면 내부에 관로를 형성하되, 상기 샤프트 공간 측으로 연장되는 제1슬리브 배관; 및
    상기 제1슬리브 배관 내부에 배치되며 샤프트 공간을 통해 상기 입하관과 연통되는 제2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중배관을 포함하는 욕실의 배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기구는 육가 배수관이 설치되어 상기 육가 배수관를 통해 배수되는 욕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욕실의 바닥면 내부에 관로를 형성하되, 상기 제1슬리브 배관과 연통되는 제2슬리브 배관 및
    상기 제2슬리브 배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육가 배수관과 연통되는 제3배수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중배관을 포함하는 욕실의 배관 시스템.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관 및 제3배수관은 유연성을 가지는 후렉시블 관(flexible pipe)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공간의 바닥면 슬리브에 소정의 공간부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 내에서 상기 제2배수관은 복수의 엘보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입하관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부가 개구되도록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배관을 포함하는 욕실의 배관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관은 각기 복수의 단위 배수관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단위 배수관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접속관을 통해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배관을 포함하는 욕실의 배관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리브 배관은 상기 샤프트 공간 방향으로 하향의 경사 구배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수실은 내부의 공간 일부가 개구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점검구가 형성되고, 각 점검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점검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실을 이용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KR1020100015260A 2009-10-29 2010-02-19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KR101219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3312 2009-10-29
KR1020090103312 2009-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103A true KR20110047103A (ko) 2011-05-06
KR101219145B1 KR101219145B1 (ko) 2013-01-07

Family

ID=44238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260A KR101219145B1 (ko) 2009-10-29 2010-02-19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1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282B1 (ko) * 2011-09-30 2012-05-24 (주) 스카이시스템 층상 배수 시스템
JP2017179823A (ja) * 2016-03-30 2017-10-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排水システム
KR102286404B1 (ko) * 2020-03-03 2021-08-06 현대건설주식회사 배관 교체가 가능한 구조체 매립 배수이중배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8229B1 (ko) 2020-12-09 2022-09-29 김대현 이중 배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551Y1 (ko) * 1999-09-29 2000-03-15 경대호 개량 배관 설비구조
JP2002195455A (ja) * 2000-12-28 2002-07-10 Inax Corp 配管施工構造及び配管施工方法
KR20090091637A (ko) * 2008-07-30 2009-08-28 (주)엘지하우시스 배관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282B1 (ko) * 2011-09-30 2012-05-24 (주) 스카이시스템 층상 배수 시스템
JP2017179823A (ja) * 2016-03-30 2017-10-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排水システム
KR102286404B1 (ko) * 2020-03-03 2021-08-06 현대건설주식회사 배관 교체가 가능한 구조체 매립 배수이중배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145B1 (ko) 201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5701A (ko) 층상 배관용 조립식 세면욕실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1219145B1 (ko) 이중배관을 포함한 욕실의 배관 시스템
KR20110137931A (ko) 층상 배관 방식의 욕실 배수시스템의 배수받이
KR102028838B1 (ko) 공동주택의 바닥 배수시스템
KR101150282B1 (ko) 층상 배수 시스템
KR100967788B1 (ko) 욕실 플로어 레벨 업 및 층상 배관의 설치가 가능한 욕실실시공법
KR20100070745A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KR100720969B1 (ko)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KR20080017112A (ko) 방수 저소음 형 화장실 통합 독립 스리브 부착 통합트랩(에어 덕트, 벽식 양변기 고정대 부착형 ) (kkttss)
KR20090091637A (ko) 배관 구조
KR200437343Y1 (ko) 공동주택의 욕실 배관구조
KR20100093246A (ko)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458519B1 (ko) 층상 매립형 이중 배수배관 연결 장치
KR101236143B1 (ko) 층상 배수장치 및 공법
RU2459046C2 (ru) Санузел и способ его эксплуатации
KR101290817B1 (ko) 조립식 욕실의 침출수 배출장치
KR101229734B1 (ko) 층상 배관용 배수트랩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JP2001227021A (ja) 住宅用排水システム
KR102104940B1 (ko)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130190B1 (ko) 세면욕실의 층상배관 시스템
EP3399113A1 (en) Plumbing unit
KR100589683B1 (ko) 건축물의 층상 배수장치
CN201116374Y (zh) 住宅排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