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426Y1 - 누수 차단 배수구 - Google Patents

누수 차단 배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426Y1
KR200470426Y1 KR2020130007750U KR20130007750U KR200470426Y1 KR 200470426 Y1 KR200470426 Y1 KR 200470426Y1 KR 2020130007750 U KR2020130007750 U KR 2020130007750U KR 20130007750 U KR20130007750 U KR 20130007750U KR 200470426 Y1 KR200470426 Y1 KR 200470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pipe
drain
lea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7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훈
Original Assignee
백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훈 filed Critical 백승훈
Priority to KR20201300077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4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4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차단 배수구는 슬라브층의 하부 저면에 설치되어, 제 1 배관과 제 1 배관과 인접하게 위치된 제 2 배관을 연결하는 배수구몸체; 배수구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물흐름유도부재; 상광하협의 깔대기 형상을 가지며 배수구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누수가이드부재; 및 누수가이드부재로 모인 물이 배수구몸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배수구몸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물흐름유도부재는 제 1 배관에서 토출되어 배수구몸체로 유입된 물을 제 2 배관으로 안내하고, 누수가이드부재는 슬라브층에서 누수된 물을 모아 개구부를 통해 제 2 배관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누수 차단 배수구{DRAIN FOR PREVENTING LEAK WATER}
본 고안은 누수 차단 배수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브층의 하부에 설치되어 슬라브층에서 발생한 누수를 처리 또는 방지하기 위한 누수 차단 배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 내부에 매립된 배관은 일본공개특허 제2006-322515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관 조인트에 의해 슬래브층에서 연결된다.
일본공개특허 제2006-32251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층에서 어느 하나의 배관과 이에 인접한 배관이 연결되어 있을 때, 배관과 슬래브층 간의 열팽창계수의 차이에 의해, 시간이 지날수록 배관과 슬래브층 사이에 틈새 또는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슬래브층에 틈새 또는 균열이 발생하면 배관으로부터 스며나온 물에 의한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의해 장시간에 걸쳐 틈새 또는 균열에 대한 구조물의 유지보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누수 및 틈새 또는 균열에 의해 구조물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누수가 일어나는 부분에 대해 구조물을 유지보수하는 경우, 누수가 일어난 부분의 상부층 마감재(예컨대, 방수, 타일, 콘크리트, 우레탄 등 기타 상부마감재)를 모두 뜯어낸 후, 방수를 마무리하고, 또 다시 구조물 본래의 형태대로 마감재를 원상복구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과정에서, 유지보수 기간이 오래 걸리고,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구조물의 경우에 누수로 인한 건물 하자 발생시 누수발생된 부분의 슬라브층의 하부에 간단히 설치되어, 누수된 부분을 보수 또는 원상복구하기 위해 누수가 발생되는 부분을 슬라브층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누수가 발생한 부분의 슬라브층 하부에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슬라브층의 누수를 처리할 수 있는 누수 차단 배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신축구조물의 배관에 적용시, 배관의 재질과 슬라브층을 이루는 콘크리트 재질과의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해, 구조물의 노후화에 따른 배관과 슬라브층 간의 틈새 또는 크랙으로 인한 누수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누수 차단 배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차단 배수구는 슬라브층의 하부 저면에 설치되어, 제 1 배관과 제 1 배관과 인접하게 위치된 제 2 배관을 연결하는 배수구몸체; 배수구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물흐름유도부재; 상광하협의 깔대기 형상을 가지며 배수구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누수가이드부재; 및 누수가이드부재로 모인 물이 배수구몸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배수구몸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물흐름유도부재는 제 1 배관에서 토출되어 배수구몸체로 유입된 물을 제 2 배관으로 안내하고, 누수가이드부재는 슬라브층에서 누수된 물을 모아 개구부를 통해 제 2 배관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누수가이드부재의 상단에는 실링부재가 더 설치되고, 실링부재는 슬라브층과 누수가이드부재 사이 공간을 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배수구몸체와 누수가이드부재에 마련된 공간에는, 배수구몸체의 외면과 누수가이드부재의 내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가 설치되어, 누수가이드부재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개구부가 마련된 배수구몸체의 내면에는 물튀김이탈방지턱이 마련되어, 제 1 배관을 통해 배구수몸체로 유입된 물이 개구부를 통해 누수가이드부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배수구몸체와 누수가이드부재는 PVC재질, 단열재질 또는 금속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기존 구조물의 경우에 누수로 인한 건물 하자 발생시 누수발생된 부분의 슬라브층의 하부에 간단히 설치되어, 누수된 부분을 보수 또는 원상복구하기 위해 누수가 발생되는 부분을 슬라브층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누수가 발생한 부분의 슬라브층 하부에 설치하는 것으로도 슬라브층의 누수를 처리할 수 있어, 유지보수비용 및 유지보수기간이 단축되어 경제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신축구조물의 배관에 적용시, 배관의 재질과 슬라브층을 이루는 콘크리트 재질과의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해, 구조물의 노후화에 따른 배관과 슬라브층 간의 틈새 또는 크랙으로 인한 누수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차단 배수구의 설치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차단 배수구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누수 차단 배수구의 내부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차단 배수구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수 차단 배수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차단 배수구(100)는 슬라브층(30)의 하부에 위치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차단 배수구(100)는 배수구몸체(110), 물흐름유도부재(120), 누수가이드부재(130) 및 개구부(15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차단 배수구(100)는 기존의 제 1 배관(10)과 제 2 배관(20) 사이에 설치되어, 슬라브층(30)의 하부로 누수된 물을 모아, 제 2 배관(20)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몸체(110)는 슬라브층(30)의 하부에 위치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몸체(11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몸체(110)는 제 1 배관(10)과 제 2 배관(20)과의 끼움결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수구몸체(110)의 직경은 제 1 배관(10) 및 제 2 배관(2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몸체(110)는 PVC재질, 단열재질 또는 금속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배관(10)은 기준되는 슬라브층(3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배관을 지칭하고, 제 2 배관(20)은 슬라브층(30)을 기준으로 하부에 설치되는 배관이라 임의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서, 제 1 배관(10)과 제 2 배관(20)은 사용목적에 따라 동일한 재질 및 크기를 가지거나 다른 재질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는 바, 본 명세서에서는 제 1 배관(10) 및 제 2 배관(20)의 크기, 길이, 형태, 구조 또는 재질 등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는 제 1 배관(10) 및 제 2 배관(20)의 구조를 일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현장에서 슬라브층(30)의 외부에서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두개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차단 배수구(100)를 사용하는 경우에, 다양한 형태를 가진 연결부재, 예컨대, 트랩(TRAP), L형 연결부재, Y형 연결부재 등을 이용하여 복수의 배관을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배수구몸체(110)의 내주면에 마련된 물흐름유도부재(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물이 제 1 배관(10)에서 제 2 방향으로 흐른다고 가정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흐름유도부재(120)는 배수구몸체(110)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흐름유도부재(12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구몸체(110)의 내주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마련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물흐름유도부재(120)는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 1 배관(10)을 통해 배수구몸체(110)로 유입된 물을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제 2 배관(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누수가이드부재(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가이드부재(130)는 배수구몸체(110)에 대해 깔대기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가이드부재(130)는 상단 테두리(132)는 제 1 배관(10)보다 큰 직경을 가지게 형성되고, 하단테두리(131)는 배수구몸체(11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누수가이드부재(130)의 하단테두리(131)는 배수구몸체(110)의 중앙부분에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가이드부재(130)의 단면은 배수구몸체(110)에 대해 경사지게, 구체적으로는 누수가이드부재(130)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배수구몸체(110)에 대한 누수가이드부재(130)의 경사각도는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에서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는 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배수구몸체(110)에 대한 누수가이드부재(130)의 경사각도에 대해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가이드부재(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테두리가 원형단면을 가진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예시적인 형상에 불과하며, 상부테두리가 사각단면, 오각단면, 육각단면, 또는 팔각단면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차단 배수구(100)는 슬라브에서 누수된 물이 용이하게 모이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면이 깔대기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할 뿐, 깔대기 종단면을 형성하는 배수구몸체(110)와 누수가이드부재(130)의 전체적인 형상은 당업장의 입자에서 자명한 범위 내에서 가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누수가이드부재(130)는 PVC재질, 단열재질 또는 금속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차단 배수구(100)는 누수가이드부재(130)의 상단테두리에 실링부재(17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실링부재(170)는 슬라브층(30)과 누수가이드부재(130) 사이 공간을 밀봉하여, 배수구몸체(110)를 경유하는 물의 냄새 또는 물의 소리가 외부로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차단 배수구(100)는 배수구몸체(110)와 누수가이드부재(130)에 마련된 공간에, 배수구몸체(110)와 누수가이드부재(130)를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14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복수의 리브(140)는 누수가이드부재(130)를 배수구몸체(110)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브(140)는 일단이 배수구몸체(110)의 외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누수가이드부재(130)의 내면에 고정된다. 이때, 복수의 리브(140)는 리브의 일단(141)이 리브의 타단(142)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배수구몸체(110)와 누수가이드부재(130) 사이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리브(140)는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누수가이드부재(130)에 모인 물을 배수구몸체(110) 내부로 제공하기 위한 개구부(15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150)는 누수가이드부재(130)의 하단테두리(131)의 상부에서, 배수구몸체(110)의 외주면에 마련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150)는 배수구몸체(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마련된 것으로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150)의 크기 및 형태는 당업장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에서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물튀김이탈방지턱(16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튀김이탈방지턱(160)은 개구부(150)가 마련된 부분에서 배수구몸체(110)의 내면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튀김이탈방지턱(160)은 제 1 배관(10)을 통해 배구수몸체로 유입된 물이 개구부(150)를 통해 누수가이드부재(1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누수가이드부재(130)를 통해 배수구몸체(110)로 유입된 물이 제 1 배관(10)을 통해 배수구몸체(110)로 유입된 물의 세기에 의해 누수가이드부재(13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차단 배수구(100)의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일반 주택, 공장 기타 등등의 다양한 구조물은, 구조물의 뼈대를 만드는 기본 골조에 콘크리트와 같은 마감재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기본 골조에 살을 붙이는데, 이때, 건물의 수도시설의 사용을 위해 복수의 배관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배관은 건축구조물의 설계에 따라 콘트리트 내부에 설치되거나 콘크리트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배관과 콘크리트재질로 이루어진 슬라브층(30)의 재질차이로 인해, 배관과 슬라브층(30)은 상호 간에 열팽창계수에 차이가 있고, 이로 인해, 구조물의 노후화가 진행됨에 따라, 배관 주변의 슬라브층(30)에 틈새 또는 크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배관을 스며나온 물은 틈새 또는 크랙을 통해 슬라브층(30) 외부로 누수된다.
이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차단 배수구(100)는 슬라브층(30)의 누수시 또는 슬라브층(30)에서의 누수를 사전에 방지토록, 누수가 발생되는 또는 누수발생가능한 부분의 슬라브층(30) 하부에 설치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차단 배수구(100)는 슬라브층(30)의 하부에서, 슬라브층(30)의 상부에 위치된 제 1 배관(10)과 제 1 배관(10)의 하부에 위치된 제 2 배관(20) 사이에 위치된다. 이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차단 배수구(100)는 슬라브층(30) 내부에 삽입된 배관(본 명세서에서는 제 1 배관(10)) 자체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 한, 제 1 배관(10)이 설치된 부분의 슬라브층(30)을 뜯어내지 않고도, 단지 슬라브층(30) 하부에서 제 1 배관(10)과 제 2 배관(20)에 끼움결합방식으로 설치되는 것만으로도, 매립 배관(예컨대, 제 1 배관(10)) 주위의 슬라브층(30)에서 발생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차단 배수구(100)는 제 1 배관(10) 및 제 2 배관(20)에 끼움결합됨에 따라 별다른 결합부재의 사용없이도 슬라브층(3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차단 배수구(100)는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누수가이드부재(130)를 슬라브층(3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누수가이드부재(130)와 슬라브층(30) 간의 결합방식은 볼팅결합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고, 접착제를 사용한 결합방식, 또는 스크류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이는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에서 다양하게 가변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누수 차단 배수구 110: 배수구몸체
120: 물흐름유도부재 130: 누수가이드부재
140: 복수의 리브 150: 개구부
160: 물튀김방지턱

Claims (5)

  1. 슬라브층의 하부 저면에 설치되어, 제 1 배관과 상기 제 1 배관과 인접하게 위치된 제 2 배관을 연결하는 배수구몸체;
    상기 배수구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물흐름유도부재;
    상광하협의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몸체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누수가이드부재; 및
    상기 누수가이드부재로 모인 물이 상기 배수구몸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구몸체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흐름유도부재는 상기 제 1 배관에서 토출되어 상기 배수구몸체로 유입된 물을 상기 제 2 배관으로 안내하고,
    상기 누수가이드부재는 상기 슬라브층에서 누수된 물을 모아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 2 배관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차단 배수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가이드부재의 상단에는 실링부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슬라브층과 상기 누수가이드부재 사이 공간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차단 배수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몸체와 상기 누수가이드부재에 마련된 공간에는,
    상기 배수구몸체의 외면과 상기 누수가이드부재의 내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리브가 설치되어, 상기 누수가이드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차단 배수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마련된 상기 배수구몸체의 내면에는 물튀김이탈방지턱이 마련되어, 상기 제 1 배관을 통해 상기 배구수몸체로 유입된 물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누수가이드부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차단 배수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몸체와 상기 누수가이드부재는 PVC재질, 단열재질 또는 금속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차단 배수구.
KR2020130007750U 2013-09-16 2013-09-16 누수 차단 배수구 KR200470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750U KR200470426Y1 (ko) 2013-09-16 2013-09-16 누수 차단 배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750U KR200470426Y1 (ko) 2013-09-16 2013-09-16 누수 차단 배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426Y1 true KR200470426Y1 (ko) 2013-12-18

Family

ID=5357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750U KR200470426Y1 (ko) 2013-09-16 2013-09-16 누수 차단 배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42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261B1 (ko) * 2019-02-12 2019-09-16 김창구 물 튀김 방지 구조를 갖는 강우설량계의 배수장치
KR102099550B1 (ko) * 2020-01-08 2020-04-10 김수완 방수시트의 방수성능과 수밀성을 높이는 방수 공법
KR20200047129A (ko) * 2018-10-26 2020-05-07 김용연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0439A (ja) 2006-03-30 2007-10-18 Kubota Corp 排水集合管
US20110173747A1 (en) 2010-01-21 2011-07-21 Evans Jesse R Adjustable drain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70439A (ja) 2006-03-30 2007-10-18 Kubota Corp 排水集合管
US20110173747A1 (en) 2010-01-21 2011-07-21 Evans Jesse R Adjustable drain assembl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7129A (ko) * 2018-10-26 2020-05-07 김용연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
KR102125000B1 (ko) 2018-10-26 2020-06-19 김용연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
KR102021261B1 (ko) * 2019-02-12 2019-09-16 김창구 물 튀김 방지 구조를 갖는 강우설량계의 배수장치
KR102099550B1 (ko) * 2020-01-08 2020-04-10 김수완 방수시트의 방수성능과 수밀성을 높이는 방수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426Y1 (ko) 누수 차단 배수구
EP3406813A1 (en) Drain with unidirectional drainage
KR20160003644U (ko)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US10435875B2 (en) Debris trap
KR20150096630A (ko) 방수형 이중 그리스 트랩
KR101925206B1 (ko) 옥상용 드레인 유닛을 이용한 옥상 드레인 보수방법
SE500711C2 (sv) Anordning vid golvbrunn
KR101535668B1 (ko)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및 이 시공 방법
KR101537035B1 (ko) 이중관 구조의 방음공기층과 슬라이딩 지수결합부를 갖는 배관파이프와 배관결합부속과 부분오픈형 배관연결소켓을 포함하는 세대슬랩 부분매립형 오,배수관 배관연결구조와 그 시공방법
KR101993040B1 (ko) 2단식 배수트랩에 의한 누수 차단방법 및 그 2단 배수트랩
KR20160146247A (ko)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KR101319819B1 (ko) 교량의 배수 시스템
KR200444865Y1 (ko) 관통 슬리브 마감구
KR101173406B1 (ko) 배관용 슬리브
KR101478223B1 (ko) 누수 배수장치
JP4327026B2 (ja) コンクリ−ト製ますの補修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389734B1 (ko) 물배출 앵커를 이용한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CN220058260U (zh) 地漏装置及地槽结构
KR20180001203U (ko) 배관 매립층 배수장치
KR20160003904A (ko) 밸브실이 구비된 일체식 통합맨홀
KR101530519B1 (ko) 분리형 방수맨홀
KR20130029493A (ko) 교량용 집수구
JP7432491B2 (ja) サイホン排水システムの検査方法、治具
KR20160090774A (ko) 밸브실이 구비된 일체식 통합맨홀
KR100874134B1 (ko) 이중관연결슬리브의 연결구조를 갖는 슬래브 하부 설치용분배기함 및 조적벽체 매립 배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