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223B1 - 누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누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223B1
KR101478223B1 KR1020130056491A KR20130056491A KR101478223B1 KR 101478223 B1 KR101478223 B1 KR 101478223B1 KR 1020130056491 A KR1020130056491 A KR 1020130056491A KR 20130056491 A KR20130056491 A KR 20130056491A KR 101478223 B1 KR101478223 B1 KR 101478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building
foreign matt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6230A (ko
Inventor
김동수
이현성
주효근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130056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223B1/ko
Publication of KR20140136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누수 배수장치가 개시되며, 상기 누수 배수장치는 건물 내의 누수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누수 배수장치로서, 상기 건물의 배관의 둘레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구는 상기 누수된 물이 낙하하는 지점의 하측에 설치되는 물받이로 낙하된 물이 상기 건물의 배관 내부로 배수되도록 상기 물받이와 연결 가능하다.

Description

누수 배수장치{DRAINING DEVICE FOR LEAKING WATER}
본원은 누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건설할 때 지붕을 완벽하게 방수 시공을 한다고 하더라도 대부분 건축물에서 지붕 누수가 문제가 되고 있다.
건축물에는 일반적으로 배풍기 등 옥상의 설치장비, 균열에 취약한 구조부 등에 따라서 좀 더 누수가 잘 발생되는 지점이 있기는 하지만, 누수된 물은 균열 등 방수가 파괴된 부분의 바로 아래의 위치로 정확하게 낙하되는 것은 아니고, 천장을 따라 주변으로 흘러 방수가 파괴된 부분을 벗어난 특정지점에서 아래로 흘러 내리기도 한다.
또한, 건축물에서 누수는 천장의 크랙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크랙의 진행은 일정한 경로를 따라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즉, 크랙은 해당 부위에 대한 작용 응력, 반복되는 하중 조건 등에 따라서 랜덤한 경로를 따라 진전(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근원적인 누수 방지 대책을 수립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누수가 발생된 건축물은 대부분 비가 올 때마다 매번 누수된 물 처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고질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누수된 물을 처리하는 작업은 보통 누수되어 물이 떨어져 내리는 지점을 체크하여 그 지점에 양동이를 받쳐두고 양동이에 물이 가득하면 이를 비우고 다시 양동이를 재설치해두는 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즉, 대부분의 건축물에서는 비가 올 때마다 양동이에 물을 모아 제거하는 불편을 반복적으로 감수하곤 하는데 장마철과 같은 호우가 잦은 시기에는 양동이에 물이 가득 하는 시점에 대한 체크가 누락되는 경우, 양동이에 물이 넘쳐 양동이 아래에 위치한 시설물이나 재산에 피해를 입기도 하였다. 특히 누수된 지점이 상가이거나 전기실과 같은 물에 피해를 보는 장소이면 더 큰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누수된 물을 용이하게 처리함과 동시에 미관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누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누수 배수장치는, 건물 내의 누수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누수 배수장치로서, 상기 건물의 배관의 둘레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구는 상기 누수된 물이 낙하하는 지점의 하측에 설치되는 물받이로 낙하된 물이 상기 건물의 배관 내부로 배수되도록 상기 물받이와 연결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건물 내의 배관에 연결구를 구비해둠으로써, 누수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물받이를 연결구에 연결만 하면 누수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누수되어 낙하하는 물을 받기 위해 양동이를 배치할 필요가 없고, 양동이에 물이 넘치는지 점검을 하지 않아도 되며, 양동이에 물이 넘쳐 천정재나 사무실 등이 받는 물피해를 줄일 수 있고, 양동이의 배치가 필요없으므로 미관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의 (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의 (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배수장치가 설치된 건물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하측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시적으로, 도 1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6시 방향이 하측 등이 될 수 있다.
본원은 누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배수장치(이하 '본 누수 배수장치'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배수장치의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2의 (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를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의 (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받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배수장치가 설치된 건물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본 누수 배수장치는 건물 내의 누수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누수 배수장치는 연결구(5)를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구(5)는 건물의 배관(9)의 둘레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또한, 연결구(5)는 누수된 물이 낙하하는 지점의 하측에 설치되는 물받이(1)로 낙하된 물이 건물의 배관(9) 내부로 배수되도록 물받이(1)와 연결 가능하다.
이에 따라, 건물에 누수가 발생하면, 물받이(1)를 설치하고, 설치된 물받이(1)를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5)에 연결함으로써, 누수된 물을 용이하게 배수시킬 수 있다.
건물에는 일반적으로 배풍기 등 옥상의 설치장비, 균열에 취약한 구조부 등에 따라서 누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지점이 있다. 건물 관계자는 건물의 초기 시공 또는 유지보수 시공 시에, 누수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지점들을 고려하여 이러한 지점들과 인근하는 배관(9)에 연결구(5)를 미리 형성해 둘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관(5)이 형성된 배관(9)이 건물 내에 많을수록 연결관(5)과 누수된 물이 낙하하는 지점의 하측에 설치되는 물받이(1)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바, 연결관(5)은 건물 내에 분포하는 각종 배관들에 많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연결관(5)이 형성되는 배관(9)이 누수의 배출이 허용될 수 있는 배관이어야 함은 자명하다. 예시적으로, 배관(9)은 우수관, 오물관, 하수관 등 일 수 있다.
즉, 본 누수 배수장치에 의하면, 누수가 발생하기 전에 배관(9)에는 연결구(5)가 형성되어 있고, 누수가 발생하면, 누수된 물이 낙하하는 지점의 하측에 설치된 물받이(1)와 연결구(5)를 연결함으로써, 누수된 물을 배수시킬 수 있다.
특히, 누수가 발생된 지점은 우천시 마다 지속적으로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분에 물받이(1)를 설치한 후 이를 연결구(5)와 연결만 해놓으면, 작업자가 물받이(1)에서 물을 매번 비우지 않고도 지속적으로 누수된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누수 배수장치는 연결관(3)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3)은 물받이(1)로 낙하된 물을 건물의 배관(9) 내부로 배수할 수 있다.
이때, 연결구(5)는 배관(9)의 내부와 연결관(3)의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즉, 건물 내의 누수된 물은 물받이(1) 내로 낙하할 수 있고, 물받이(1) 내로 낙하한 물은 연결관(3) 및 연결구(5)를 거쳐 배관(9)으로 배수될 수 있다.
연결관(3)은 예시적으로 호스(hose)일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물받이(1)는 구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관(3)은 물받이(1)의 최저점에 연결될 수 있다.
물받이(1)가 구배를 갖는다는 것은 도 2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물받이(1)의 바닥면이 경사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물받이(1)의 구배에 의해 물받이(1)로 낙하한 물은 물받이(1)의 최저점에 연결된 연결관(3)을 향해 흐를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물받이(1)의 최저점에는 물받이(1)의 내부와 연결관(3)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a)를 참조하면, 물받이(1)는 바닥면에 상측을 향해 돌출되어 배치된 이물질 차단턱(11a, 11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차단턱(11a, 11b)은 물받이(1)에서 구배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면의 중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 차단턱(11a, 11b)은 누수된 물과 함께 물받이(1)로 낙하된 이물질이 연결관(3)으로 흐르지 않도록 누수된 물을 정체시켜 이물질을 침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 차단턱(11a, 11b)에 의하면, 이물질이 연결관(3) 또는 전술한 배출구를 막아 물의 배수를 방해하는 일이 방지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물질은 석회질 성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누수가 진행되면, 건물의 콘크리트의 석회질 성분은 누수된 물과 함께 이동하는바, 누수된 물이 물받이(1) 내로 낙하할 때 함께 물받이(1) 내로 낙하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석회질 성분은 연결관(3) 내부 또는 배출구에 석회석을 형성시켜 물받이(1) 또는 연결관(3) 내에서의 물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누수 배수장치에 있어서, 석회질 성분은 이물질 차단턱(11a, 11b)에 의해 물받이(1) 내에서 침전될 수 있어 연결관(3) 및 배출구에 석회석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이물질 차단턱(11a, 11b)에 의한 이물질 침전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의 (b)에 도시된 제1 이물질 차단턱(11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물받이(1) 내로 낙하한 물은 제1 이물질 차단턱(11a)에 의해 고이게 됨으로써 고인 물의 수위가 제1 이물질 차단턱(11a)의 높이를 상회하기 전까지 정체될 수 있다.
물이 정체되는 동안, 물과 함께 낙하된 이물질은 밀도 차이에 의해, 침전될 수 있다. 고인 물의 수위가 제1 이물질 차단턱(11a)의 높이를 상회하게 되면, 물은 제1 이물질 차단턱(11a)을 넘어 최저점을 향하게 되는 반면, 이물질은 침전되어 있는바, 이물질 차단턱(11)을 넘지 못하고 남아있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 차단턱(11)의 높이는 물보다 높은 비중을 갖는 이물질이 충분히 침전될 수 있을만큼 물이 소정의 시간 이상 정체될 수 있는 높이 이상을 가지되, 고인 물이 물받이(1)의 외측으로 넘치지 않도록, 물받이(1)의 측벽이 가지는 높이의 미만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물질 차단턱(11)은 물의 흐름 방향에 직교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물의 흐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진 턱을 갖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이물질 차단턱(11)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두 개의 이물질 차단턱(11a, 11b)이 도시되어 있다.
복수 개의 이물질 차단턱(11)은 연결관(3)에 가까울수록 폭(도 2의 (b) 참조 6시-12시 방향으로의 길이)이 점차 커지는 순서대로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질은 단계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두개의 이물질 차단턱(11a, 11b)이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관(3)에 더 가깝게 위치한 제2 이물질 차단턱(11b)의 폭이 연결관(3)으로부터 더 이격된 제1 이물질 차단턱(11a)에 비해 더 클 수 있다.
이때, 제2 이물질 차단턱(11b)은 제1 이물질 차단턱(11a)에 비해 폭이 더 큼으로써 더 많은 물을 정체시키는 바, 물이 정체되는 시간이 길어진다. 이에 따라, 제1 이물질 차단턱(11a)에 의해 걸러지지 않은 밀도가 작고 미세한 이물질들이 충분히 침전된 후에, 물이 제2 이물질 차단턱(11b)을 넘어 최저점을 향해 흘러갈 수 있어, 이물질이 단계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
한편, 연결구(5)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구(5)의 일단은 배관(9)의 둘레면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구(5)의 타단은 연결관(3)과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관(3)이 연결되는 연결구(5)의 타단은 니플(nipple)(55)일 수 있다. 이러한 니플(55)에는 호스와 같이 탄력을 갖는 연결관(3)이 보다 효율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연결구(5)는 연결관(3)과 배관(9)의 연통을 차단 또는 차단 해제하는 개폐 밸브(51)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밸브(51)가 클로즈(close)됨으로써 연결관(3)과 배관(9)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고, 개폐 밸브(51)가 오픈(open)됨으로써 연결관(3)과 배관(9)이 연통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누수가 발생하기 전, 즉, 물받이(1)와 연결구(5)를 연결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개폐 밸브(51)를 닫아놓고, 누수가 발생하여 물받이(1)와 인근하는 배관(9)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5)를 연결할 필요가 생기면 물받이(1)와 연결구(5)를 연결한 후, 개폐 밸브(51)를 오픈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연결구(5)는 배관(9) 내부로부터 연결관(3) 내부로의 유체의 역류가 차단되도록 체크 밸브(53)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53)는 배관(9)을 향하는 물의 흐름만을 허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장마철과 같이 단기간에 강수량이 많은 시기에는 우수관과 같은 배관(9)을 통해 이미 많은 양의 우수가 배수되고 있기 때문에, 누수가 발생한 부분에 물받이(1)를 설치하고 연결구(5)와 연결한 후 개폐 밸브(51)를 열어놓은 경우에, 이렇게 열린 개폐 밸브(51)를 통해 배관(9) 내의 우수가 물받이(1) 측으로 오히려 역류하여 건물 내부로 넘쳐버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즉, 일 방향 흐름만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53)를 설치해둠으로써, 이러한 역류 발생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폐 밸브(51)는 체크 밸브(53)보다 배관(9)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구(5)와 연결관(3)의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일 때, 개폐 밸브(51)에 의해 배관(9) 내의 유체가 연결관(3)으로 향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체크 밸브(53)는 배관(9)으로부터 연결관(3)을 향하는 유체의 압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연결구(5)는 물받이(1)의 최저점보다 낮은 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관(3)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위치하는 물받이(1)와 더 낮게 위치하는 연결구(5)를 연결하게 됨으로써, 물받이(1) 내에서 연결관(3)을 따라 배관(9)을 향하는 물의 이동성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배관(9) 내에서 연결관(3)을 향하는 유체의 이동성은 최소화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연결구(5)는 배관(9)의 둘레면 중 물받이(1)의 최저점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연결구(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관(9)의 둘레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배관(9)에 별도로 형성된 연결배관(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배관(9)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건물 내의 누수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천장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받이(1)는 건물 내의 천장에 간격을 두고 매달림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매달림 체결이라 함은, 물받이(1)가 로프 등을 통해 천장에 매달리는 방식으로 천장과 체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로프는 낚시줄, 와이어 등일 수 있다.
또한, 물받이(1)는 건물 내의 천장 중, 옥상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최상층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관(9)은 우수 맨홀(8)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물 내부에서 누수된 물은 물받이(1), 연결관(3) 및 배관(9)을 거쳐 우수 맨홀(8)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물받이 11: 이물질 차단턱
11a: 제1 이물질 차단턱 11b: 제2 이물질 차단턱
3: 연결관 5: 연결구
51: 개폐 밸브 53: 체크 밸브
55: 니플 8: 우수 맨홀
9: 배관

Claims (11)

  1. 건물 내의 누수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누수 배수장치로서,
    상기 건물의 배관의 둘레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누수된 물이 낙하하는 지점의 하측에 설치되는 물받이로 낙하된 물이 상기 건물의 배관 내부로 배수되도록 상기 물받이와 연결 가능한 연결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구는 상기 배관 내부로부터의 유체의 역류가 차단되도록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것인 누수 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및
    상기 물받이로 낙하된 물을 상기 건물의 배관 내부로 배수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구는 상기 배관의 내부와 상기 연결관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것인 누수 배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는 구배를 가지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물받이의 최저점에 연결되는 것인 누수 배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는 바닥면에 상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이물질 차단턱을 포함하는 것인 누수 배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차단턱은 상기 누수된 물과 함께 낙하된 이물질이 상기 연결관으로 흐르지 않도록, 상기 누수된 물을 정체시켜 상기 이물질을 침전시키는 것인 누수 배수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차단턱은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이물질 차단턱은 상기 연결관에 가까울수록, 폭이 점차 커지는 순서대로 배열되는 것인 누수 배수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연결관과 상기 배관의 연통을 차단 또는 차단 해제하는 개폐 밸브를 포함하는 것인 누수 배수장치.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밸브는 상기 체크 밸브보다 상기 배관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인 누수 배수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물받이의 최저점보다 낮은 높이에 구비되는 것인 누수 배수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건물 내의 천장에 간격을 두고 매달림 체결되는 것인 누수 배수장치.
KR1020130056491A 2013-05-20 2013-05-20 누수 배수장치 KR101478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491A KR101478223B1 (ko) 2013-05-20 2013-05-20 누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491A KR101478223B1 (ko) 2013-05-20 2013-05-20 누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230A KR20140136230A (ko) 2014-11-28
KR101478223B1 true KR101478223B1 (ko) 2014-12-31

Family

ID=5245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491A KR101478223B1 (ko) 2013-05-20 2013-05-20 누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2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39281A (ja) * 2020-02-28 2021-09-16 株式会社メトロステーションファシリティーズ 仮設樋及びその設置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830B1 (ko) * 2023-01-31 2023-08-30 주식회사 승원 방수 및 습기 제거가 가능한 상하수도용 밸브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8828A (ja) * 1996-09-17 1998-04-07 Showa:Kk スラブディッシュ装置
KR100520890B1 (ko) * 2005-01-31 2005-10-11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남양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천정 누수낙하물 처리시설
KR20090069071A (ko) * 2007-12-24 2009-06-29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침사지의 토사 월류 방지를 위한 정류장치
KR101214570B1 (ko) * 2012-07-31 2012-12-24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8828A (ja) * 1996-09-17 1998-04-07 Showa:Kk スラブディッシュ装置
KR100520890B1 (ko) * 2005-01-31 2005-10-11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남양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천정 누수낙하물 처리시설
KR20090069071A (ko) * 2007-12-24 2009-06-29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침사지의 토사 월류 방지를 위한 정류장치
KR101214570B1 (ko) * 2012-07-31 2012-12-24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39281A (ja) * 2020-02-28 2021-09-16 株式会社メトロステーションファシリティーズ 仮設樋及びその設置方法
JP7198844B2 (ja) 2020-02-28 2023-01-04 株式会社メトロステーションファシリティーズ 仮設樋及びその設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230A (ko)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131B1 (ko)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045076B1 (en) Building drainage system
CZ20021482A3 (cs) Zařízení pro zadrľování a vypouątění sráľkové vody a způsob jeho pouľití
KR101478223B1 (ko) 누수 배수장치
JP2015098766A (ja) 汚水排出システム
KR101283719B1 (ko) 밸브실 환기구조
CN207944527U (zh) 雨水收集系统
JP5089566B2 (ja) 排水ます
KR102079681B1 (ko) 수로관 구조체
KR20100104443A (ko) 유지 보수가 용이한 관정 보호장치
KR101604535B1 (ko) 하수관로 물막이 구조
KR100623240B1 (ko) 배수관이 일체로 형성된 맨홀.
CN110578367A (zh) 预制截流井
CN109235609A (zh) 一种装配式建筑排水预埋管件
CA3035851A1 (en) An arrangement for a sewerage system comprising a french drain
KR101674417B1 (ko) 사이폰 현상을 이용한 배수장치
KR101965109B1 (ko) 지연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하 구조물
CN207959435U (zh) 一种便于疏通的市政用排水立管
JP6391008B2 (ja) 雨水貯溜管路構造とそれに用いる雨水桝
CN211849888U (zh) 农村排污系统
KR100295971B1 (ko) 하수시설(역사이펀)의 퇴적물 방지장치
CN109137975A (zh) 基于bim的管廊建筑综合优化设计
JP2014190098A (ja) 雨水貯溜配管構造とそれに用いる堰部材
CN215442277U (zh) 尾矿库截水沟和尾矿库截水系统
KR100902605B1 (ko) 밀폐캡을 갖는 관정(管井) 오염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