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570B1 -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570B1
KR101214570B1 KR1020120084225A KR20120084225A KR101214570B1 KR 101214570 B1 KR101214570 B1 KR 101214570B1 KR 1020120084225 A KR1020120084225 A KR 1020120084225A KR 20120084225 A KR20120084225 A KR 20120084225A KR 101214570 B1 KR101214570 B1 KR 101214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drainage
fitting
parking lo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20084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1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지하주차장 천장의 좌우측면 콘크리트 벽체에 가압 상태로 고정되도록 일측부에 접착마련된 쿠션기능을 갖는 고무패드, 및 상기 고무패드에 접착되어 콘크리트벽체와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사포, 타측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회동체결된 채 회동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를 가압하는 다수개의 가압볼트, 및 상기 가압볼트의 회동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에 가압되는 상기 가압볼트와 일체형을 이룬 부착원판, 상기 부착원판에 접착마련된 쿠션기능을 갖는 고무재, 상기 고무재에 접착되어 콘크리트벽체와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사포, 지하주차장 천장의 균열로 발생하는 누수를 배수유도할 수 있도록 상면의 일측부에서 타측부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경사부를 형성하며 배열된 배수로, 상기 배수로의 타측단부에서 좌우로 절곡되어 제1연결배수관의 끼움체결편을 끼움하는 끼움홈, 상기 끼움홈의 좌우 및 하부 일측벽이 배수로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제1연결배수관의 끼움체결편을 상기 끼움홈에 끼움시 상기 끼움체결편의 걸림을 이루게 하는 단턱부, 타측단부에 각 배수로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제1연결배수관의 사각관을 삽입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 저부에 제1연결배수관의 사각관을 걸착하게 하는 걸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누수받이판과; 상기 누수받이판의 각 배수로를 통하여 배수되는 누수를 제2연결배수관으로 배수유도하는 제1연결배수관과; 상기 제1연결배수관과 연결된 채 제1연결배수관을 통하여 배수되는 누수를 배수구로 배수유도하는 제2연결배수관과; 상기 제2연결배수관을 집소고정하여 누수의 배수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제2연결배수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집소판과; 상기 제2연결배수관의 간격에 따라 홀딩편의 조정을 이루도록 홀딩편을 슬라이드 하는 한쌍으로 다단 배열된 상하부레일, 상기 상하부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되며 제2연결배수관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조정을 이룬채 제2연결배수관을 홀딩하는 반원형의 홀딩편, 상기 조정된 홀딩편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구비하여 제2연결배수관들 및 상기 유동방지집소판을 커버한 채로 수직 콘크리트벽체에 고정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1연결배수관은, 사각형상의 끼움체결편과; 상기 끼움체결편에서 연장되어 ㄱ자형으로 절곡된 사각관과; 상기 사각관에서 연장되어 제2연결배수관을 연결가능토록 하는 원형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끼움체결편은, 누수받이판의 끼움홈에 기밀한 끼움을 이루기 위하여 방수끼움고무재에 끼워진 채 상기 누수받이판의 끼움홈에 끼움되는 한편, 상기 방수끼움고무재는, 끼움체결편과 동일한 형상의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끼움체결편을 삽입하는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 상단 중앙에서 하부로 함몰져 제1연결배수관의 사각관을 삽입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저부에서 연장되어 누수받이판의 걸착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방지하게 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동방지집소판은, 제2연결배수관들을 삽입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통공과; 상기 통공에 삽입된 제2연결배수관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양측단에서 통공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마련된 죔볼트와; 상기 죔볼트와 일체형을 이룬 채 상기 죔볼트의 조임에 의해 통공 내에서 제2연결배수관을 홀딩하여 고정하는 홀딩부와; 양측단 저부에서 돌출되어 고정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장공을 형성한 조절편과; 상기 조절편의 장공에서 간격 조절을 이루며 배수구의 격자쇠와 체결되어 유동방지집소판을 고정하게 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구는 상부인 조절편의 장공에 돌출되는 나사봉이 볼트에 의해 체결고정되고, 하부인 십자형절개홈이 배수구의 십자형으로 이루어진 격자쇠에 삽입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공동주택 주차장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공동주택 주차장의 누수방지를 위하여 요구되는 배수 공사시 공사의 신속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와 그리고 공동주택 주차장 내에 설치된 배수설치구조물에 있어서 판넬만 보여지도록 하여 미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주차장 내 다른 작업시 요구되는 공구휴대시 외부로 노출된 배수파이프와 공구와의 충돌에 따른 배수파이프의 파손을 방지예방할 수 있음에 따라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고 파손에 따른 배수파이프의 교체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The Drain Structure About Parking Lot Water Leak Of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주차장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방지하며 배수유도하고, 주차장 내의 미관 제공과 아울러 주차장 내 다른 작업이 요구될 때 휴대하는 공구에 의한 배수파이프의 파손 등을 방지예방하고자 하는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 천장에서의 균열 발생으로 누수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나 장마철, 우기가 많은 때에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은 하수장으로 안내유도하는 배수구조물이 제대로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특히나 장마철, 우기가 많은 때에 지하주차장에서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지하주차장이 범람한다.
따라서 상기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근래에 안출된 등록특허 제10-0638671호(특허문헌 1)는 지하 주차장의 지하 벽체면의 누수 부위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상기 지하 벽체면에서 바로 배수시켜 주는 선형의 배수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지하 벽체면에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하 벽체면 콘크리트 속에 매립되어 있던 매립 부재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경사 배수부와; 상기 경사 배수부와 결합되는 상기 매립 부재로 형성되며, 콘크리트 타설 전에 거푸집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벽체내 매립부와; 상기 지하 벽체면의 모서리 부위에 위치하되 지하 바닥면에 수직인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지하 벽체면에 일정 높이 간격으로 복수 개의 단으로 형성되는 경사 배수부의 마구리 부위와 결합해서 상기 지하 벽체면의 누수 부위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지하 바닥면의 바닥 배수부로 배수시켜 주도록 형성되는 수직 배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배수조립체 기술을 제공한바 있지만, 지하 벽체면에서 경사 배수부가 다단으로 다수개 배설되다 보니 배수 공사비가 많이 들고, 지하주차장의 천정벽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방지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는 지하주차장의 벽체면에서만 다단으로 다수개 배설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지상주차장의 누수 방지용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이러한 상기 주차장 천장 누수 문제에 대비하여 안출된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478895호(특허문헌 2), 등록특허 제10-0520890호(특허문헌 3) 등이 있다.
상기 등록특허 2의 경우는, 주차장 내에 설치하지 않고 주차장 상단부에 설치하여 주차장 내로 유입되는 누수를 방지하고자 함인데 주차장 외부인 상단부에 설치가능하지만 주차장 상부 토층을 굴착해야만 하고 설치후에는 굴착된 부위를 다시 토사로 채워야 하는 설치 작업의 애로점이 많고, 한번 설치후에 하자 및 흠이 발생할 경우 다시 지상콘크리트를 부수고 채워진 토사를 굴착해야 하는 점이 번거롭고 부가적 보수에 따른 비용 또한 막대히 낭비된다.
아울러, 등록특허 3의 경우는, 주차장 내에 설치하지만, 주차장 천장에 배수설치구조물을 설치고정하기 위하여 주차장 천장에 가압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홀을 뚫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주차장 천장의 콘크리트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있으며, 외관상 주차장 내에 배수파이프들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보니 주차장 내의 다른 작업이 요구될 때 수반되는 공구들에 의해 배수파이프의 건드림이나 충돌에 의해 배수파이프가 파손될 우려가 있고 미관상에도 좋지 않다.
등록특허 제10-0638671호 등록특허 제10-0478895호 등록특허 제10-0520890호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은, 공동주택 주차장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방지하고자 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공동주택 주차장의 누수방지를 위하여 요구되는 배수 공사시 공사의 신속성을 제공하고자 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공동주택 주차장 내에 설치된 배수설치구조물에 있어서 판넬만 보여지도록 하여 미관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과 아울러 주차장 내 다른 작업시 요구되는 공구휴대시 주차장 내에 노출된 배수파이프와 공구와의 충돌에 따른 배수파이프의 파손을 방지예방할 수 있음에 따라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고 파손에 따른 배수파이프의 교체에 드는 비용을 절감코자 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은, 지하주차장 천장의 좌우측면 콘크리트 벽체에 가압 상태로 고정되도록 일측부에 접착마련된 쿠션기능을 갖는 고무패드, 및 상기 고무패드에 접착되어 콘크리트벽체와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사포, 타측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회동체결된 채 회동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를 가압하는 다수개의 가압볼트, 및 상기 가압볼트의 회동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에 가압되는 상기 가압볼트와 일체형을 이룬 부착원판, 상기 부착원판에 접착마련된 쿠션기능을 갖는 고무재, 상기 고무재에 접착되어 콘크리트벽체와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사포, 지하주차장 천장의 균열로 발생하는 누수를 배수유도할 수 있도록 상면의 일측부에서 타측부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경사부를 형성하며 배열된 배수로, 상기 배수로의 타측단부에서 좌우로 절곡되어 제1연결배수관의 끼움체결편을 끼움하는 끼움홈, 상기 끼움홈의 좌우 및 하부 일측벽이 배수로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제1연결배수관의 끼움체결편을 상기 끼움홈에 끼움시 상기 끼움체결편의 걸림을 이루게 하는 단턱부, 타측단부에 각 배수로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제1연결배수관의 사각관을 삽입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 저부에 제1연결배수관의 사각관을 걸착하게 하는 걸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누수받이판과;
상기 누수받이판의 각 배수로를 통하여 배수되는 누수를 제2연결배수관으로 배수유도하는 제1연결배수관과;
상기 제1연결배수관과 연결된 채 제1연결배수관을 통하여 배수되는 누수를 배수구로 배수유도하는 제2연결배수관과;
상기 제2연결배수관을 집소고정하여 누수의 배수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제2연결배수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집소판과;
상기 제2연결배수관의 간격에 따라 홀딩편의 조정을 이루도록 홀딩편을 슬라이드 하는 한쌍으로 다단 배열된 상하부레일, 상기 상하부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되며 제2연결배수관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조정을 이룬채 제2연결배수관을 홀딩하는 반원형의 홀딩편, 상기 조정된 홀딩편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구비하여 제2연결배수관들 및 상기 유동방지집소판을 커버한 채로 수직 콘크리트벽체에 고정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배수관은,
사각형상의 끼움체결편과;
상기 끼움체결편에서 연장되어 ㄱ자형으로 절곡된 사각관과;
상기 사각관에서 연장되어 제1연결배수관을 연결가능토록 하는 원형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끼움체결편은, 누수받이판의 끼움홈에 기밀한 끼움을 이루기 위하여 방수끼움고무재에 끼워진 채 상기 누수받이판의 끼움홈에 끼움되는 한편,
상기 방수끼움고무재는, 끼움체결편과 동일한 형상의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끼움체결편을 삽입하는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 상단 중앙에서 하부로 함몰져 제1연결배수관의 사각관을 삽입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저부에서 연장되어 누수받이판의 걸착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방지하게 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집소판은,
제2연결배수관들을 삽입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통공과;
상기 통공에 삽입된 제2연결배수관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양측단에서 통공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마련된 죔볼트와;
상기 죔볼트와 일체형을 이룬 채 상기 죔볼트의 조임에 의해 통공 내에서 제2연결배수관을 홀딩하여 고정하는 홀딩부와;
양측단 저부에서 돌출되어 고정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장공을 형성한 조절편과;
상기 조절편의 장공에서 간격 조절을 이루며 배수구의 격자쇠와 체결되어 유동방지집소판을 고정하게 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구는 상부인 조절편의 장공에 돌출되는 나사봉이 볼트에 의해 체결고정되고, 하부인 십자형절개홈이 배수구의 십자형으로 이루어진 격자쇠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은, 공동주택 주차장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동주택 주차장의 누수방지를 위하여 요구되는 배수 공사시 공사의 신속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동주택 주차장 내에 설치된 배수설치구조물에 있어서 판넬만 보여지도록 하여 미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주차장 내 다른 작업시 요구되는 공구휴대시 외부로 노출된 배수파이프와 공구와의 충돌에 따른 배수파이프의 파손을 방지예방할 수 있음에 따라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고 파손에 따른 배수파이프의 교체에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주차장에 설치된 배수설치구조물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설치구조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설치구조물의 요부인 유동방지집소판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공동주택의 주차장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주차장 천장의 균열로 인하여 누수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러한 주차장 천장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받이판(10)은 주차장 천장을 커버한 상태로 고정되고, 누수받이판(10)에 체결된 제1연결배수관(30)과 상기 제1연결배수관(30)에 연결된 제2연결배수관(40)에 의해서 누수된 물이 배수되며 배수구(60)를 통하여 배출됨을 이루게 된다.
상기 누수받이판(10)은, 주차장 천장에서 누수된 물을 제1연결배수관(30)으로 배수유도함에 있어 상면의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사각형상의 배수로(14)를 형성하고, 상기 배수로(14)는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로 경사진 경사부(14a)를 형성하여 주차장 천장을 수평으로 커버한 상태에서도 상기 경사부(14a)에 의해 누수된 물이 배수로(14)를 따라 흐르게 된다.
이때, 배수로(14)에서의 누수물이 범람할 경우를 대비하여 누수받이판(10)의 양단부는 라운딩 또는 절곡부를 이루며 범람방지벽을 형성함이 당연하다.
한편, 상기 누수받이판(10)이 주차장 천장을 커버한 상태로 고정됨은, 일측단부에 접착마련된 고무패드(11)와 상기 고무패드(11)에 접착된 사포(11a)를 구비하게 되고, 타측단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회동체결된 가압볼트(12)와 상기 가압볼트(12)에 일체형을 이룬 부착원판(13)과 상기 부착원판(13)에 접착된 고무재(13a)와 상기 고무재(13a)에 접착된 사포(13b)를 구비하게 됨으로써, 상기 가압볼트(12) 회동에 의해 부착원판(13)이 고무재(13a)를 가압하고 상기 고무재(13a) 쿠션에 의해 상기 고무재(13a)에 부착된 사포(13b)가 주차장 일측의 수직 콘크리트 벽체를 가압하며 접촉을 이루며, 타측부 또한 상기 가압볼트(12) 회동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고무패드(11)가 가압받으며 쿠션에 의해 상기 고무패드(11)에 접착된 사포(11a)가 주차장 타측의 천장 하방향으로 돌출된 콘크리트 벽체를 가압하며 접촉됨으로 인하여 주차장 천장에서의 누수받이판(10) 고정이 이루어진다.
즉, 이때 상기 고무패드(11) 및 고무재(13a)는 가압볼트(12) 회동에 의한 가압력으로 쿠션기능을 수행하며 콘크리트 벽체와 접촉한 사포(11a)(13b)를 가압함과 아울러, 가압볼트(12) 회동에 따른 가압력을 더욱 증대케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사포(11a)(13b)는, 고무패드(11) 및 고무재(13b) 가압에 의해 콘크리트벽체와 접촉을 이룸에 있어 마찰력을 증대토록 하여 주차장 천장으로부터 누수받이판(10)의 탈거 방지를 도우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볼트(12)는 렌치홈(12a)을 형성하여 렌치를 이용한 회동을 이루게 되면서 누수받이판(10)의 좌우측면으로 하여금 콘크리트 벽체를 가압유도하도록 함으로써 주차장 천장을 커버한 누수받이판(10)의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배수로(14)의 경사부(14a)에 의해 누수된 물이 흐르게 되면서 제1연결배수관(30)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제1연결배수관(30)은 누수받이판(10)의 타측부에 체결고정됨을 이루게 된다.
상기 제1연결배수관(30)의 체결고정에 있어, 누수받이판(10)의 타측부 각 배수로(14)에서 외향지게 절곡을 이루며 끼움홈(15)들을 형성하고, 상기 각 끼움홈(15)의 일측 양측벽이 배수로(14) 방향으로 내향지게 돌출되고 각 끼움홈(15)의 일측 저부벽이 배수로(14)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단턱부(16)를 형성하며, 상기 각 끼움홈(15)에서 다시 절곡되어 상기 각 배수로(14) 진행방향으로 삽입홈(17)들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17)들의 저부는 걸착부(18)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배수관(30)은, 사각형상의 끼움체결편(31)과, 상기 끼움체결편(31) 중앙에서 연장되며 형성된 사각관(32)과, 상기 사각관(32)에서 연장되며 형성된 원형관(33)을 포함한 구성이되, 상기 끼움체결편(31)은 먼저 방수끼움고무재(20)의 끼움홈(20a)에 끼워진 채 누수받이판(10)의 끼움홈(15)으로 끼움삽입되며, 상기 방수끼움고무재(20)의 끼움홈(20a) 중앙의 삽입홈(20b)에 연장된 연장부(20c)는 누수받이판(10)의 걸착부(18)에 착설되고, 상기 삽입홈(20b)은, 제1연결배수관(30)의 사각관(32) 삽입을 이루는 구조다.
따라서, 상기 누수받이판(10)의 끼움홈(15)들은, 제1연결배수관(30)의 끼움체결편(31)을 끼움삽입한 방수끼움고무재(20)를 끼움삽입하기 위함이고, 상기 누수받이판(10)의 단턱부(16)는 제1연결배수관(30)의 끼움체결편(31)을 끼움삽입한 방수끼움고무재(20)의 유격 및 요동을 방지하며 걸림을 이루기 위함이며, 상기 누수받이판(10)의 삽입홈(17)은 제1연결배수관(30)의 사각관(32) 삽입을 이루기 위함이고, 상기 누수받이판(10)의 걸착부(18)는 제1연결배수관(30)의 사각관(32)이 착설되는 방수끼움고무재(20)의 연장부(20b) 착설을 이루기 위함이다.
이로써, 제1연결배수관(30)은, 누수받이판(10)에서 견고한 체결고정을 이루게 되며, 방수끼움고무재(20)에 의해 배수되는 물이 다시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누수받이판(10)에 체결고정된 제1연결배수관(30)들에는 제2연결배수관(30)들이 연결되는데 이를 위하여 제1연결배수관(30)의 사각관(32)에 연장 형성된 원형관(33)이 구비되는 것이다.
즉, 제1연결배수관(30)들의 원형관(33)에 제2연결배수관(40)들이 연결된 상태에서 유동방지집소판(50)을 통하여 상기 제2연결배수관(40)들이 각각 집소된 상태로 고정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연결배수관(40)들이 유동방지집소판(50)에서 집소됨을 이루기 위하여 절곡경사각을 달리하는 제2연결배수관(40)들을 이용한다.
상기 유동방지집소판(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배수관(40)들을 삽입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51)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형성되고, 양측부에서 통공(51)들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조절구(52)를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조절구(52)는 죔볼트(52a)와 상기 죔볼트(52a)에 일체형을 이룬 홀딩부(52b)로 이루어져 각 통공(51)에 각 제2연결배수관(40)의 삽입 이후 죔볼트(52a)를 조여 각 통공(51) 내측에 위치한 홀딩부(52b)로 하여금 각 제2연결배수관(40)을 가압한 상태로 홀딩하여 각각의 제2연결배수관(40) 고정을 이루게 한다.
즉, 제2연결배수관(40)으로의 배수시 유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연결배수관(40)의 고정이 필요한 것이다.
한편, 유동방지집소판(50) 또한 고정이 요구됨에 따라 양측단 저부에서 대칭된 상태로 돌출된 장공(53a)을 형성한 조절편(53)이 마련되고, 상기 각 장공(53a)에 고정구(54)가 삽입된 채 볼트로 체결됨과 함께 배수구(60)의 격자쇠(61)에 물림을 이루면서 상기 고정구(54)에 의한 유동방지집소판(50)의 고정이 이뤄지게 된다.
상기 고정구(54)는, 유동방지집소판(50)의 각 장공(53a)으로 돌출을 이루게 되는 나사봉(54a)과, 배수구(60)의 격자쇠(61)에 삽입되는 십자형절개홈(54b)으로 이루어져 상기 나사봉(54a)은 볼트에 의한 체결로 고정되고 십자형절개홈(54b)은 배수구(60)의 십자형으로 이루어진 격자쇠(61)에 삽입되며 고정됨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연결배수관(30)들과 상기 유동방지집소판(50)은, 주차장 수직콘크리트 벽체에서 그대로 노출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이를 커버하여 보호하도록 커버부(70)가 마련된다.
상기 커버부(70) 내면에는 다단계로 한쌍의 상부레일(71)과 하부레일(72)이 마련되고, 상기 상하부레일(71)(72)을 이동하는 반원형의 홀딩편(73)이 마련되며, 상기 홀딩편(73)을 고정하는 고정핀(74)을 마련함으로써, 커버부(70)를 커버함에 있어 제2연결배수관(30)들의 간격에 맞게 상하부레일(71)(72)에서 홀딩편(73)을 조절한 다음, 상부레일(71)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형성된 체결홀(71a)에 맞춰 홀딩편(73)의 체결공(미도시)을 일치시킨 후, 고정핀(74) 삽입으로 홀딩편(73)의 고정을 이루면서 제2연결배수관(40)들과 유동방지집소판(50)을 커버부(70)로 하여금 커버하게 되며, 커버부(70)의 양측에서 다단으로 돌출된 체결편으로 볼트를 삽입하여 커버부(70)를 수직콘크리트 벽체와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은, 주차장 천장을 커버한 상태로 고정된 누수받이판(10)과, 상기 누수받이판(10)에 연결된 제1연결배수관(30)과 상기 제1연결배수관(30)에 연결된 제2연결배수관(40)과, 상기 제2연결배수관(40)들을 집소하여 고정하는 유동방지집소판(50)과, 상기 제2연결배수관(40) 및 유동방지집소판(50)을 커버하는 커버부(70)를 마련하여 설치함으로써 천장 콘크리트의 균열로 발생하는 누수를 배수하여 유도할 수 있고, 주차장 내 다른 작업이나 공사에 수반되는 여러 공구들의 운반과정에서 배수관의 건드림 및 충돌에 따른 배수관 파손 및 흠 또는 하자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차장 내 미관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누수받이판 11:고무패드,
11a:사포 12:가압볼트
12a:렌치홈 13:부착원판
13a:고무재 13b:사포
14:배수로 14a:경사부
15:끼움홈 16:단턱부
17:삽입홈 18:걸착부
20:방수끼움고무재 20a:끼움홈
20b:삽입홈 20c:연장부
30:제1연결배수관 31:끼움체결편
32:사각관 33:원형관
40:제2연결배수관
50:유동방지집소판 51:통공
52:조절구 52a:죔볼트
52b:홀딩부 53:조절편
53a:장공 54:고정구
54a:나사봉 54b:십자형절개홈
60:배수구 61:격자쇠
70:커버부 71:상부레일
71a:체결홀 72:하부레일
73:홀딩편 74:고정핀

Claims (3)

  1. 지하주차장 천장의 좌우측면 콘크리트 벽체에 가압 상태로 고정되도록 일측부에 접착마련된 쿠션기능을 갖는 고무패드(11), 및 상기 고무패드(11)에 접착되어 콘크리트벽체와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사포(11a), 타측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회동체결된 채 회동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를 가압하는 다수개의 가압볼트(12), 및 상기 가압볼트(12)의 회동에 의해 콘크리트 벽체에 가압되는 상기 가압볼트(12)와 일체형을 이룬 부착원판(13), 상기 부착원판(13)에 접착마련된 쿠션기능을 갖는 고무재(13a), 상기 고무재(13a)에 접착되어 콘크리트벽체와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사포(13b), 지하주차장 천장의 균열로 발생하는 누수를 배수유도할 수 있도록 상면의 일측부에서 타측부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경사부(14a)를 형성하며 배열된 배수로(14), 상기 배수로(14)의 타측단부에서 좌우로 절곡되어 제1연결배수관(30)의 끼움체결편(31)을 끼움삽입하는 끼움홈(15), 상기 끼움홈(15)의 좌우 및 하부 일측벽이 배수로(14)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어 제1연결배수관(30)의 끼움체결편(31)을 상기 끼움홈(15)에 끼움시 상기 끼움체결편(31)의 걸림을 이루게 하는 단턱부(16), 타측단부에 각 배수로(14)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이루며 제1연결배수관(30)의 사각관(32)을 삽입하는 삽입홈(17), 상기 삽입홈(17) 저부에 제1연결배수관(30)의 사각관(32)을 걸착하게 하는 걸착부(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누수받이판(10)과;
    상기 누수받이판(10)의 각 배수로(14)를 통하여 배수되는 누수를 제2연결배수관(40)으로 배수유도하는 제1연결배수관(30)과;
    상기 제1연결배수관(30)을 통하여 배수되는 누수를 배수구(60)로 배수유도하는 제2연결배수관(40)과;
    상기 제2연결배수관(40)을 집소고정하여 누수의 배수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제2연결배수관(4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집소판(50)과;
    상기 제2연결배수관(40)의 간격에 따라 홀딩편(73)의 조정을 이루도록 홀딩편(73)을 슬라이드 하는 한쌍으로 다단 배열된 상하부레일(71)(72), 상기 상하부레일(71)(72)을 따라 슬라이드 되며 제2연결배수관(40)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조정을 이룬채 제2연결배수관(40)을 홀딩하는 반원형의 홀딩편(73), 상기 조정된 홀딩편(73)을 고정하는 고정핀(74)을, 구비하여 제2연결배수관(40)들 및 상기 유동방지집소판(50)을 커버한 채로 수직 콘크리트벽체에 고정되는 커버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배수관(30)은,
    사각형상의 끼움체결편(31)과;
    상기 끼움체결편(31)에서 연장되어 ㄱ자형으로 절곡된 사각관(32)과;
    상기 사각관(32)에서 연장형성되어 제2연결배수관(40)을 연결가능토록 하는 원형관(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끼움체결편(31)은, 누수받이판(10)의 끼움홈(15)에 기밀한 끼움을 이루기 위하여 방수끼움고무재(20)에 끼워진 채 상기 누수받이판(10)의 끼움홈(15)에 끼움되는 한편,
    상기 방수끼움고무재(20)는, 끼움체결편(31)과 동일한 형상의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끼움체결편(31)을 삽입하는 끼움홈(20a)과;
    상기 끼움홈(20a) 상단 중앙에서 하부로 함몰져 제1연결배수관(30)의 사각관(32)을 삽입하는 삽입홈(20b)과;
    상기 삽입홈(20b)에 저부에서 연장되어 누수받이판(10)의 걸착부(18)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방지하게 하는 연장부(20c)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집소판(50)은,
    제2연결배수관(40)들을 삽입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통공(51)과;
    상기 통공(51)에 삽입된 제2연결배수관(4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양측단에서 통공(51)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마련된 죔볼트(52a)와;
    상기 죔볼트(52a)와 일체형을 이룬 채 상기 죔볼트(52a)의 조임에 의해 통공(51) 내에서 제2연결배수관(40)을 홀딩하여 고정하는 홀딩부(52b)와;
    양측단 저부에서 대칭된 상태로 돌출되어 고정구(54)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장공(53a)을 형성한 조절편(53)과;
    상기 조절편(53)의 장공(53a)에서 간격 조절을 이루며 배수구(60)의 격자쇠(61)와 체결되어 유동방지집소판(50)을 고정하게 하는 고정구(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구(54)는 상부인 조절편(53)의 장공(53a)에 돌출되는 나사봉(54a)이 볼트에 의해 체결고정되고, 하부인 십자형절개홈(54b)이 배수구(60)의 십자형으로 이루어진 격자쇠(61)에 삽입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
KR1020120084225A 2012-07-31 2012-07-31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 KR101214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225A KR101214570B1 (ko) 2012-07-31 2012-07-31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225A KR101214570B1 (ko) 2012-07-31 2012-07-31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570B1 true KR101214570B1 (ko) 2012-12-24

Family

ID=47908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225A KR101214570B1 (ko) 2012-07-31 2012-07-31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5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223B1 (ko) * 2013-05-20 2014-12-31 한국공항공사 누수 배수장치
CN107938720A (zh) * 2017-11-22 2018-04-20 中建三局第二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地下室底板渗水处理装置及施工方法
KR20200008464A (ko) * 2018-07-16 2020-01-28 정희찬 지지프레임
CN115354700A (zh) * 2022-08-11 2022-11-18 北京建工集团有限责任公司 富水地层深基坑侧墙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890B1 (ko) 2005-01-31 2005-10-11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남양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천정 누수낙하물 처리시설
KR200417925Y1 (ko) 2006-03-21 2006-06-02 (주)남호건업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JP2007056629A (ja) 2005-08-26 2007-03-08 Nippon Alum Co Ltd 天井用伸縮カバー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890B1 (ko) 2005-01-31 2005-10-11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남양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천정 누수낙하물 처리시설
JP2007056629A (ja) 2005-08-26 2007-03-08 Nippon Alum Co Ltd 天井用伸縮カバー装置
KR200417925Y1 (ko) 2006-03-21 2006-06-02 (주)남호건업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223B1 (ko) * 2013-05-20 2014-12-31 한국공항공사 누수 배수장치
CN107938720A (zh) * 2017-11-22 2018-04-20 中建三局第二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地下室底板渗水处理装置及施工方法
KR20200008464A (ko) * 2018-07-16 2020-01-28 정희찬 지지프레임
KR102194423B1 (ko) 2018-07-16 2020-12-23 정희찬 지지프레임
CN115354700A (zh) * 2022-08-11 2022-11-18 北京建工集团有限责任公司 富水地层深基坑侧墙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115354700B (zh) * 2022-08-11 2023-06-16 北京建工集团有限责任公司 富水地层深基坑侧墙防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570B1 (ko)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
WO2012131490A3 (en) Flange system with modular spacers
CA2995216A1 (en) Wall mounted shower drain
KR100926183B1 (ko) 방수구조를 갖는 지하공동구
US8894324B2 (en) Drain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ES2927114T3 (es) Elemento de disposición de fontanería con soporte de tubo y método de conexión de tuberías de soporte de elementos de disposición de fontanería
KR101176836B1 (ko) 보도블록 시공용 받침판
CN108842892B (zh) 一种装配式地下管廊污水管道压力井
KR102029234B1 (ko) 방음터널용 기와형 지붕구조
KR101580954B1 (ko) 층상배관용 슬리브지지체
KR101545438B1 (ko) 다층 건물의 층상 배수배관의 설치구조
KR200437343Y1 (ko) 공동주택의 욕실 배관구조
KR200489323Y1 (ko) 차수판 장치
KR101366139B1 (ko) 배수판 조립체
KR200402401Y1 (ko) 조립식 도로옹벽 설치구조
CN208748643U (zh) 一种地连墙预埋件保护结构
JP2016216910A (ja) 建築物構造
KR101325717B1 (ko) 배수판 조립체
CN212028769U (zh) 一种给排水系统金属管道安装结构
KR20150010246A (ko) 관로용 통합관리 맨홀
CN113982149B (zh) 一种室内外玻璃幕墙的防水装置
CN102465587B (zh) 建筑防火门墙的对接装置及对接方法
KR200449617Y1 (ko) 상,하수도관 교차부분의 파손방지장치
KR20130008175A (ko) 창틀용 우수 배수 장치의 시공방법
CN210085970U (zh) 一种小区用渗水消防地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