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423B1 - 지지프레임 - Google Patents

지지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423B1
KR102194423B1 KR1020180082603A KR20180082603A KR102194423B1 KR 102194423 B1 KR102194423 B1 KR 102194423B1 KR 1020180082603 A KR1020180082603 A KR 1020180082603A KR 20180082603 A KR20180082603 A KR 20180082603A KR 102194423 B1 KR102194423 B1 KR 102194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ceiling
support
perforation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464A (ko
Inventor
정희찬
Original Assignee
정희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찬 filed Critical 정희찬
Priority to KR1020180082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42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2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having means for ventilation or vapour discharge
    • E04B9/023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having means for ventilation or vapour discharge comprising drainage gutters for condensed water or grea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외벽을 따라 유입되는 물 또는 이물질들의 배출을 도와주는 지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건물 천장에 형성된 홀을 통해 유입되는 물 또는 이물질을 배수구로 배출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일측은, 상기 천장 일측에 형성된 제1천공에 하나 또는 복수개로 나사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천장에 상기 덕트를 결합시키기 위해 제2천공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와 결합하는 지지부, 및 상기 덕트에 형성된 제3천공과,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제2천공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복수개의 지지부로, 상기 덕트가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경사지는 내리막길 방향으로 세로 길이가 점점 길어지게, 상기 지지부의 짧은 길이가 점차 길어지는 길이 순서대로 상기 천장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지프레임{Support frame}
본 발명은 건축물 천장에서 유입되는 액체 또는 이물질을 배수구로 배출하는 지지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축물 천장에서 유입되는 액체 또는 이물질을 배수구로 배출하기 위해 덕트를 설치한다.
그리고, 덕트는 상기 천장에 나사 결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경우, 지지프레임은 천장과 덕트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나사결합 된 빈틈을 통해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의 액체 등이 덕트 내부로 유입되어야 되는데, 덕트 외부로 세어나가게 된다. 또한 덕트와 덕트의 연결부에 꺾이는 부분이 있는 경우 연결부에 틈이 발생하여 액체 등이 누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더불어, 덕트로 유입되는 액체가 덕트로 바로 유입되기 때문에 덕트에 누수가 생겨, 부식되어, 망가져 덕트의 빈틈이 생기는 것 뿐만 아니라, 덕트의 결로현상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액체 또는 이물질 등이 덕트로 유입되더라도, 바닥으로 세어나가는 것은 마찬가지다.
그러므로, 누수 관건인 건축물에 덕트 설치에 따른 특수한 기술적 검토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39535(2011.06.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누수로 인해, 덕트가 부식되어, 빈틈이 생겨, 덕트 외부로 액체 또는 이물질이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덕트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결로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장에 형성된 홀을 통해 유입되는 물 및 이물질을 배수구로 배출하는 유로가 형성된 덕트; 일측이 상기 천장의 일면에 형성된 제1천공에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덕트에 결합되기 위한 제2천공이 형성된 다수의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각각의 일측에 대응되어 상기 덕트에 형성된 제3천공 및 상기 지지부의 제2천공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 각각과 상기 덕트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 각각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천장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 각각의 제2천공은 상기 덕트가 상기 천장의 일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는, 누수로 인해, 덕트가 부식되어, 빈틈이 생겨, 덕트 외부로 액체 또는 이물질이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덕트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결로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지프레임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프레임에 덕트의 기울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지프레임에 덕트와 지지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지지프레임에 알루미늄부재 및 실리콘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건축물 천장에서 유입되는 액체 또는 이물질을 배수구로 배출하기 위해 덕트를 설치한다.
그리고, 덕트는 상기 천장에 나사 결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경우, 지지프레임은 천장과 덕트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나사결합 된 빈틈을 통해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의 액체 등이 덕트 내부로 유입되어야 되는데, 덕트 외부로 세어나가게 된다.
이로 인해, 바닥에 액체 또는 이물질 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덕트로 유입되는 액체가 덕트로 바로 유입되기 때문에 덕트에 누수가 생겨, 부식되어, 망가져 덕트의 빈틈이 생기는 것뿐만 아니라, 덕트의 결로현상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액체 또는 이물질 등이 덕트로 유입되더라도, 바닥으로 세어나가는 것은 마찬가지다.
그러므로, 누수 관건인 건축물에 덕트 설치에 따른 특수한 기술적 검토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누수로 인해, 덕트가 부식되어, 빈틈이 생겨, 덕트 외부로 액체 또는 이물질이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덕트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결로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지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지프레임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프레임에 덕트의 기울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지프레임에 덕트와 지지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지지프레임에 알루미늄부재 및 실리콘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지프레임은 덕트(100)와, 지지부(200)와,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덕트(100)는, 건물 천장에 형성된 홀(12)을 통해 유입되는 물 또는 이물질을 배수구로 배출하도록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덕트(100)는 알루미늄부재(120)와, 실리콘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알루미늄부재(120)는 호일 또는 알루미늄 시트일 수 있으며, 단열 효과를 위해서 단열 알루미늄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알루미늄 시트는 호일 내부에 단열재가 삽입된다. 이러한 알루미늄부재(120)는 외부에서 덕트(100) 내부로 유입되는 액체 또는 이물질 등으로 인해 덕트(100) 내부가 누수가 생겨, 부식될 우려가 있어 덕트(100) 내측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실리콘부재(미도시)는 알루미늄부재(120)가 덕트(100)에 고정되도록 하고, 덕트(100)와 알루미늄부재(120) 사이로 액체 및 이물질 등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빈틈을 접착할 수 있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덕트(100)가 꺽인 상태로 제작되었을 때, 덕트(100)의 꺽인 부분은 부식으로 인해 또는 불안정한 제작으로 인한 빈틈이 생길 경우가 가장 크다. 이 때, 알루미늄부재(120)의 재질로 인하여, 덕트(100)의 꺽인 부분에 맞게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빈틈을 매꿔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알루미늄부재(120) 및 실리콘부재(미도시)는 덕트(100)에 유입되는 액체로부터, 누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덕트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결로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을 수 있다.
한편, 알루미늄부재(120)는 덕트(100)의 내벽을 전체 감싸거나, 일부만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알루미늄부재는(120)는 덕트(100) 내벽에서 일정한 두께를 갖을 수도 있다.
지지부(200)는 일측이, 천장(10) 일측에 형성된 제1천공(11)에 하나 또는 복수개로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부(200)의 타측은 천장(10)에 덕트(100)를 결합시키기 위해 제2천공(210)이 형성되어, 덕트(100)와 결합된다. 여기서 제2천공(210)은 덕트(100)가 비스듬이 결합되도록 천공될 수 있다. 즉, 제2천공(210)의 위치는 덕트(100)의 내리막을 따라 동시에 내리막으로 지지부(200)에 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00)는 복수개의 지지부(200)로, 덕트(100)가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경사지는 방향(내리막길)으로 세로 길이가 점점 길어지게, 지지부(200)의 짧은 길이가 점차 길어지는 길이 순서대로 천장(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는 일정한 크기로 천장(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00)는 천장(10)이 덕트(100)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뿐더러 지지부(200)는 나무로도 제작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천장(10)과 덕트(100)의 무게 중심을 잡고, 견딜 수 있는 재질이면 그 재질로 대체 가능할 수 있다.
결합부(300)는 덕트(100)에 형성된 제3천공(110)과, 지지부(200)에 형성된 제2천공(210)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한다. 또한 결합부(300)는 지지부(200)에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300)는 천장(10)과 지지부(200)를 나사결합하는 결합부(300)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결합수단이면 그 결합수단으로 대체가능하다.
한편, 결합부(300)는 지지부(200) 상부측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고, 지지부(2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결합됨으로서, 천장(10)에서 지지부(200) 방향으로 내려와 유입되는 액체 또는 이물질이 결합부(300)를 따라 덕트(100) 방향으로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을 수 있다.
따라서, 누수로 인해, 덕트가 부식되어, 빈틈이 생겨, 덕트 외부로 액체 또는 이물질이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덕트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결로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천장
11 : 제1천공
12 : 홀
100 : 덕트
110 : 제3천공
120 : 알루미늄부재
200 : 지지부
210 : 제2천공
300 : 결합부

Claims (4)

  1. 천장(10)에 형성된 홀(12)을 통해 유입되는 물 및 이물질을 배수구로 배출하는 유로가 형성된 덕트(100);
    일측이 상기 천장(10)의 일면에 형성된 제1천공(11)에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덕트(100)에 결합되기 위한 제2천공(210)이 형성된 다수의 지지부(200); 및
    상기 지지부(200) 각각의 일측에 대응되어 상기 덕트(100)에 형성된 제3천공(110) 및 상기 지지부(200)의 제2천공(210)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200) 각각과 상기 덕트(100)를 결합하는 결합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200) 각각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천장(10)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200) 각각의 제2천공(210)은 상기 덕트(100)가 상기 천장(10)의 일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100)의 내측에 안착되며, 호일 내부에 단열재가 삽입되어 구성된 알루미늄 부재(120); 및
    상기 알루미늄 부재(120)와 상기 덕트(100)의 내측 사이의 빈틈을 접착하여 액체 및 이물질이 상기 빈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리콘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프레임.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 각각은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프레임.
KR1020180082603A 2018-07-16 2018-07-16 지지프레임 KR102194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603A KR102194423B1 (ko) 2018-07-16 2018-07-16 지지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603A KR102194423B1 (ko) 2018-07-16 2018-07-16 지지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464A KR20200008464A (ko) 2020-01-28
KR102194423B1 true KR102194423B1 (ko) 2020-12-23

Family

ID=69370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603A KR102194423B1 (ko) 2018-07-16 2018-07-16 지지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4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9697A (ja) * 2000-03-15 2001-11-30 Akira Okubo 漏水処理方法
KR100520890B1 (ko) 2005-01-31 2005-10-11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남양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천정 누수낙하물 처리시설
US20110067350A1 (en) * 2006-04-26 2011-03-24 Vallant Corp. Underdeck drainage
KR101214570B1 (ko) 2012-07-31 2012-12-24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535B1 (ko) 2010-05-31 2011-06-09 (주)세화에너지산업 전선 삽입관 일체형 상부 지지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9697A (ja) * 2000-03-15 2001-11-30 Akira Okubo 漏水処理方法
KR100520890B1 (ko) 2005-01-31 2005-10-11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남양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천정 누수낙하물 처리시설
US20110067350A1 (en) * 2006-04-26 2011-03-24 Vallant Corp. Underdeck drainage
US8291677B2 (en) * 2006-04-26 2012-10-23 Onduline Underdeck drainage
KR101214570B1 (ko) 2012-07-31 2012-12-24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주차장 누수에 대한 배수설치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464A (ko)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5483B2 (ja) ドレントラップおよびドレン配管構造
KR102194423B1 (ko) 지지프레임
US9222252B1 (en) Foundation wall and floor slab drain
JP2019132060A (ja) 排水部材
JP5516061B2 (ja) 通気パイプユニット
JP2018044294A (ja) アダプタ
ES2385434T3 (es) Plaqueta de distribución de esfuerzos que comprende una cubeta nervada
TWI588427B (zh) Drainage device to prevent water vapor through the structure
JP6960594B2 (ja) 接続構造
WO2009016338A2 (en) Structural fitting for a building
JP6713404B2 (ja) 縦型ポンプ用防振架台
JP2016148163A (ja) タンク装置
EP3138967A1 (en) Drain structure
KR102201419B1 (ko)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
KR101680299B1 (ko) 결로방지 텐트
JP5122431B2 (ja) 天井システムおよび野縁部材
JP2009281082A (ja) サッシ窓枠の結露排水弁装置
JP2005188872A (ja) 空気調和機のドレン水排水孔構造及び一体型空気調和機
KR101546427B1 (ko) 조립식 패널
JP6949079B2 (ja) 排水継手、及び排水システム
JP2016161145A (ja) 換気端末部品
KR102063550B1 (ko) 강구조용 외단열시스템
KR100418358B1 (ko) 그릴창
KR101507489B1 (ko) 다방향 물기 차단용 벤틸레이션 장치
JP2020159172A (ja) 排水ホッパの通気構造およびその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