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419B1 -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 - Google Patents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419B1
KR102201419B1 KR1020190047781A KR20190047781A KR102201419B1 KR 102201419 B1 KR102201419 B1 KR 102201419B1 KR 1020190047781 A KR1020190047781 A KR 1020190047781A KR 20190047781 A KR20190047781 A KR 20190047781A KR 102201419 B1 KR102201419 B1 KR 102201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duct
sewage
support frame
bas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4448A (ko
Inventor
정희찬
Original Assignee
정희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찬 filed Critical 정희찬
Priority to KR1020190047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419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2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having means for ventilation or vapour discharge
    • E04B9/023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having means for ventilation or vapour discharge comprising drainage gutters for condensed water or gre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건물 천장에 결합되어 유출되는 오수 또는 이물질을 모아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덕트와 상기 덕트의 배출구에서 유출되는 오수 또는 이물질을 배수구로 유도하는 유도파이프를 이용한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덕트를 건물의 천장에 결합되는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베이스브라켓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유출되는 오수 또는 이물질들이 경사면을 따라 한 곳으로 흐르도록 구성된 방수천, 및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하부의 방수천을 감싸는 커버브라켓을 포함하게 구성함으로써, 누수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가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SUPPORT FRAME FOR WATER LEAKAGE PREVENTION}
본 발명은 누수를 방지하는 덕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천장에서 유출되는 액체 또는 이물질을 배수구로 배출하도록 유도하는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축물 천장에서 유입되는 액체 또는 이물질을 배수구로 배출하기 위해 덕트를 설치한다.
그리고 덕트는 상기 천장에 나사 결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경우, 지지프레임은 천장과 덕트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나사결합 된 빈틈을 통해 빗물 또는 이물질 등의 액체 등이 덕트 내부로 유입되어야 되는데, 덕트 외부로 세어나가게 된다.
또한, 덕트와 덕트의 연결부에 꺾이는 부분이 있는 경우 연결부에 틈이 발생하여 액체 등이 누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더불어, 덕트로 유입되는 액체가 덕트로 바로 유입되기 때문에 덕트에 누수가 생겨, 부식되어, 망가져 덕트의 빈틈이 생기는 것 뿐만 아니라, 덕트의 결로현상이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액체 또는 이물질 등이 덕트로 유입되더라도, 바닥으로 세어나가는 것은 마찬가지다.
그러므로 누수 관건인 건축물에 덕트 설치에 따른 특수한 기술적 검토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39535(2011.06.0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장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배수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을 경사지게 하여 누수되는 액체를 한 곳으로 모아 배출할 수 있는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덕트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결로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건물 천장에 결합되어 유출되는 오수 또는 이물질을 모아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덕트와 상기 덕트의 배출구에서 유출되는 오수 또는 이물질을 배수구로 유도하는 유도파이프를 이용한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에 있어서, 본 발명의 덕트는 건물의 천장에 결합되는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베이스브라켓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유출되는 오수 또는 이물질들이 경사면을 따라 한 곳으로 흐르도록 구성된 방수천 및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하부의 방수천을 감싸는 커버브라켓을 포함하게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브라켓은 알루미늄 부재로 기둥 형상이며 한 쌍의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와 가로바를 세로로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세로바, 및 상기 가로바와 상기 세로바를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하는 티자(T)형 결합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수 또는 이물질이 유출되는 천장에 고정되며 일측에 자석을 구비한 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하게 구성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상기 베이스브라켓이 삽설되어 고정되며, 상기 가로바 또는 세로바에 결합된 금속편이 상기 자석과 결합되어 안정되게 지지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브라켓의 내부에는 결로방지용 단열재가 필름 형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에 의하면, 누수로 인해,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덕트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결로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에 의하면, 바닥을 경사지게 하여 누수되는 액체를 한 곳으로 모아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에 의하면, 결로방지용 시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덕트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지지프레임의 일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베이스브라켓의 상세도면,
도 4는 경사진 방수천의 상세 도면,
도 5는 커버브라켓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고정브라켓의 사시도,
그리고
도 7 내지 도 9는 고정브라켓에 가로바가 결합되는 자석부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지지프레임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은 건물 천장에 결합되어 유출되는 오수 또는 이물질을 모아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덕트(100)와 덕트(100)의 배출구(142)에서 유출되는 오수 또는 이물질을 배수구로 유도하는 유도파이프(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의 덕트(100)는 오수 또는 이물질이 누수되는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오수 또는 이물질을 모아서 배출구(142)로 배출시키고, 배출구(142)로 배출되는 오수나 이물질은 유도파이프를 통하여 배수구로 배수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덕트(100)는 건물의 천장에 결합되는 베이스브라켓(120)과 베이스브라켓(120)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유출되는 오수 또는 이물질들이 경사면을 따라 한 곳으로 흐르도록 구성된 방수천(130), 및 베이스브라켓(120)과 하부의 방수천(130)을 감싸는 커버브라켓(14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3의 베이스브라켓 상세도면을 참고하여 베이스브라켓(12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베이스브라켓(120)은 알루미늄 부재로 구성되며 기둥 형상이며 한 쌍의 가로바(121,123)와 제1 가로바(121)와 제2 가로바(123)를 세로로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세로바(122)로 구성한다.
또한, 제1 가로바(121)와 어느 하나의 세로바(122)의 일측은 티자(T)형 결합브라켓(124)에 의하여 결합부재(124a)에 의하여 결합되고, 제2 가로바(123)와 세로바(122)의 타측도 티자(T)형 결합브라켓(124)에 의하여 결합부재(124a)에 의하여 결합하여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베이스브라켓(120)을 알루미늄 부재로 구성하기 때문에 누수로 인한 오염에도 부식되지 않고, 이를 견고하게 지지결합하기 위하여 티자(T)형 결합브라켓(124)을 이용하여 세로바의 양단에서 각각 제1 가로바(121)와 제2 가로바(123)에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베이스브라켓(120)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각각의 가로바와 세로바는 속이 빈 중공의 사각 알루미늄바를 사용하고, 알루미늄바를 천장에 자석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한 쌍의 가로바 또는 한쌍의 세로바의 일측에 각각 금속편(126)을 하나 이상 결합한다.
금속편(126)은 후술하는 고정브라켓(110)의 자석과 자성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자성을 뛸 수 있는 재질의 금속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같이 가로바의 방향으로는 경사진 방수천이 세로바에 지지되어야 하므로, 금속편(126)의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세로바에 구비하지 않고 가로바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가로바(121)의 일측에 2개의 금속편(126)이 금속핀(127)에 의하여 결합되고 제2 가로바(123)에도 2개의 금속편(126)이 금속핀(127)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브라켓(120)은 오수 또는 이물질이 유출되는 천장에 고정되어야 하므로 천장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110)에 의하여 결합된다.
도 6의 고정브라켓의 사시도를 참고하면, 고정브라켓(110)은 오수 또는 이물질이 유출되는 천장에 고정되고, 베이스 브라켓(120)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일측에 자석(113)을 구비한다.
즉, 고정브라켓(110)에 베이스브라켓(120)이 삽설되어 고정되며, 가로바 또는 세로바에 결합된 금속편(126)이 자석(113)과 결합되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고정브라켓(110)은 결합부재에 의하여 천장에 결합고정되는 장방형의 한 쌍의 금속편(111)과 상면이 금속편(111)의 양단에 결합되며 측벽에 자석(113)을 삽설한 사각의 지지바(112)와 지지바(112)의 하면에서 자석이 설치된 측벽 방향으로 돌출된 판형상의 돌출턱(114)으로 구성된다.
천장과 돌출턱(114)이 형성하는 공간_즉 지지바(112)의 측벽의 높이(y2)가 만드는 공간에 베이스브라켓(120)의 가로바 또는 세로바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고, 지지바(112)의 자석(113)과 베이스브라켓(120)의 금속편(126)이 자성에 의하여 결합되게 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삽설고정되게 함과 동시에 고정브라켓(110)에 베이스브라켓(120)을 삽설고정할 때 자석과 금속편이 결합할 때 발생되는 금속끼리 부딪히는 소리(예를 들면 철커덕)를 듣고 정상적으로 결합되었음을 쉽게 인지할 수도 있다.
또한, 이는 천정에 조립되는 부품들이므로 낙하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향후 AS를 위하여 분해가 되어야 하므로 가로바의 높이(y1)는 고정브라켓(110)의 측벽의 높이(y3)보다 같거나 조금 낮아 삽입시 거의 억지끼움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도 9의 고정브라켓에 가로바가 결합되는 자석부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면을 보면, 베이스프레임(120)에서 금속편(126)이 구비된 면이 고정브라켓(110)의 금속편(111)과 돌출턱(114)이 형성하는 슬라이딩 홈으로 끼움결합되고, 금속편(126)과 고정브라켓(110)의 자석(113)이 결합됨을 알 수 있다.
방수천(130)은 베이스브라켓(120)과 커버브라켓(140) 사이에 배치되어 커버브라켓(140)의 배출구(142) 방향으로 오수 또는 이물질이 흐르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배출구(142)로 천장에서 누수된 오수나 이물질을 배출구(142)로 배출되게 설치한다.
도 4의 경사진 방수천의 상세 도면을 보면, 방수천(130)은 베이스브라켓(120)의 하부에 경사지게 또한 오수나 이물질이 누수되지 않는 방수 재질로 구성되어야 하므로 우산천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고, 베이스브라켓(120)의 세로바의 하면에 결합되어 방수천이 경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경사브라켓(135)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경사브라켓(135)은 중앙으로 경사진 좌우경사면(135a,135b)으로 구성되며 일단에는 소정 높이를 갖는 화살표 형상의 브라켓을 구성하여 길이 방향으로 점점 더 깊이가 깊어지는 형상으로 구성하여 좌우에 떨어진 누수는 중앙으로 모이고, 우측에 떨어진 누수는 좌측으로 흘러들어 결국 방수천(130)을 따라 한 곳으로 모인 누수는 배출구(142)로 떨어져 배수관로를 따라 배수구로 흘러가는 것이다.
따라서 베이스브라켓(120)의 하부에 경사브라켓(135)을 설치하고 경사브라켓을 따라 방수천(130)을 설치하면, 방수천(130)은 베이스브라켓(120)의 가로바 측벽을 감싸는 측벽부(131)와 측벽부(131)에서 경사브라켓(135)의 좌우경사면(135a,135b)을 따라 방수천(130)을 위치시키면 중앙을 향하는 제1 경사부(133)와 제2경사부(134)가 형성되어 결국 방수천(130)에 떨어진 누수는 경사면을 따라 중앙으로 모이고 중앙에 모인 누수는 경사면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모이게 되는 것이다.
커버브라켓(10)은 일측이 개방된 사각 상자 형상으로 베이스브라켓(120)과 하부의 방수천(130)을 보호하도록 커버재로 구성한다.
통상 재질은 알루미늄이나 그 합금 또는 함석으로 구성할 있으며, 내부에 베이스브라켓(120)과 방수천(130)을 순서대로 조립하고, 그 측벽을 피스와 같은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또한, 커버브라켓의 내부에는 결로방지용 단열재가 필름 형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도 5의 커버브라켓을 예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커버브라켓(1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 상자 형상으로 일측에는 통공의 배출구(142)가 구성되고, 그 내벽에는 단열재(141)가 바닥과 그 측벽에 적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단열재(141)는 동박의 필름으로 형성하여 부착할 수도 있고 또는 물을 흡수하지 않는 재질의 단열재를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커버브라켓(140)에 베이스브라켓(120)과 방수천(130)을 탑재한 상태에서 고정브라켓(110)에 결합할 수도 있고, 또는 베이스브라켓(120)과 방수천(130)이 고정브라켓(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마지막으로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천장에 커버브라켓(140)이 고정되면 커버브라켓(140)의 외주면을 따라 혹시 모를 누수 방지를 위하여 실리콘이나 우레탄으로 밀봉작업을 하도록 한다.
이후, 배출구(142)에 유도파이프를 결합하여, 배수구로 오수가 흘러들도록 마감 작업을 하면 된다.
그리고 커버브라켓의 일측에서 배출구(142) 까지의 길이(y2)는 커버브라켓(140)의 전체 길이(z1)보다 짧게 형성하여 커버브라켓(140)의 하면에서 배출구(142)에 유도파이프가 원활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구성을 이용하여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의 작동에 대하여 알아본다.
먼저 누수가 발생한 곳에 베이스브라켓의 설치 공간을 확인하여 천장에 고정브라켓(110)을 고정한다.
고정브라켓(110)에 베이스브라켓(120)을 결합하고, 베이스브라켓(120)의 하부에 방수천(130)을 경사브라켓(135)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커버브라켓(140)으로 방수천(130)과 베이스브라켓(120)을 감싸도록 결합한 다음, 커버브라켓(140)이 보다 견고하게 천장에 결합되도록 커버브라켓의 외주면을 따라 실리콘이나 우레탄을 발포하여 천장과 밀폐 결합되게 한다.
이후, 커버브라켓(140)의 하부에 돌출된 배출구(142)에 유도파이프로 유로를 형성한 다음 배출구(142)에서 배출되는 오수가 배수구로 향하도록 설치하면 된다.
따라서, 천장을 통하여 오수나 이물질이 방수천(130)에 떨어지면, 방수천(130)에 떨어진 누수는 제1, 제2경사면을 따라 중앙으로 모이고 중앙에 모인 누수는 경사브라켓에 의하여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모이게 되는 것이다.
방수천의 일단부에 모인 누수는 배출구로 떨어지고, 배출구로 떨어진 누수는 유도파이프를 따라 배수구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천장에 설치되기 때문에 미관을 해치지도 않으면서 누수된 오수나 이물질을 배수구로 배수할 수 있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빙방지용 단열재가 내장되어 있어 지하실과같은 장소에 설치되더라도 결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덕트
110 : 고정브라켓
120 : 베이스브라켓
130 : 방수천
140 : 커버브라켓
142 : 배출구.

Claims (4)

  1. 건물 천장에 결합되어 유출되는 오수 또는 이물질을 모아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덕트와 상기 덕트의 배출구에서 유출되는 오수 또는 이물질을 배수구로 유도하는 유도파이프를 이용한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에 있어서,
    오수 또는 이물질이 유출되는 천장에 고정되며 일측에 자석을 구비한 고정브라켓;
    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는
    알루미늄 부재로 기둥 형상이며 한 쌍의 가로바와 상기 가로바와 가로바를 세로로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세로바 및 상기 가로바와 상기 세로바를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하는 티자(T)형 결합브라켓을 포함하여 건물의 천장에 결합되는 베이스브라켓;
    상기 베이스브라켓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유출되는 오수 또는 이물질들이 경사면을 따라 한 곳으로 흐르도록 구성된 방수천;및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하부의 방수천을 감싸는 커버브라켓; 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에 상기 베이스브라켓이 삽설되어 고정되며, 상기 가로바 또는 세로바에 결합된 금속편이 상기 자석과 결합되어 안정되게 지지되는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브라켓의 내부에는
    결로방지용 단열재가 필름 형상으로 적층되는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





KR1020190047781A 2019-04-24 2019-04-24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 KR102201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781A KR102201419B1 (ko) 2019-04-24 2019-04-24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781A KR102201419B1 (ko) 2019-04-24 2019-04-24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448A KR20200124448A (ko) 2020-11-03
KR102201419B1 true KR102201419B1 (ko) 2021-01-08

Family

ID=73197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781A KR102201419B1 (ko) 2019-04-24 2019-04-24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4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2200A (ja) * 2001-12-07 2003-08-22 Shirataka Kogyo Kk 構造物の漏水部に取り付けられる漏水受樋装置
KR100724069B1 (ko) * 2005-11-30 2007-06-04 임휘식 지하구조물의 누수유도 구조물 및 누수유도 공법
US20140083521A1 (en) * 2012-09-27 2014-03-27 New Pig Corporation Quick-attaching ceiling leak diverter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535B1 (ko) 2010-05-31 2011-06-09 (주)세화에너지산업 전선 삽입관 일체형 상부 지지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2200A (ja) * 2001-12-07 2003-08-22 Shirataka Kogyo Kk 構造物の漏水部に取り付けられる漏水受樋装置
KR100724069B1 (ko) * 2005-11-30 2007-06-04 임휘식 지하구조물의 누수유도 구조물 및 누수유도 공법
US20140083521A1 (en) * 2012-09-27 2014-03-27 New Pig Corporation Quick-attaching ceiling leak diverter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448A (ko)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5585C1 (ru) Модуль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в шахте
KR102201419B1 (ko) 누수 방지용 지지프레임
FR2829945B1 (fr) Module d'extraction de gaz d'un liquide de sous-sol et installation munie du module
JP6344567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618624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668398B2 (ja) 給水装置
JP2007327234A (ja) 棟換気装置
FR3091800B1 (fr)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meuble electrique
JP2018087698A (ja) 熱源ユニット
JP2008255703A (ja) サッシ下枠及びこれを備えたサッシ枠
JP3695876B2 (ja) ドレンパン
US2017030658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water management of a basement
JP6933848B2 (ja) エアコン据付台、エアコン装置、及びエアコン付仮設設備
KR20180059175A (ko) 누수 방지용 물탱크 사다리
CN217580488U (zh) 一种浴盘及具有其的集装箱
JP200505512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9132544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6630758B2 (ja) 給水装置
JP6827885B2 (ja) パネルユニット
JP6574860B2 (ja) 給水装置
JP2023162527A (ja) 建具
KR102194423B1 (ko) 지지프레임
JP3219169U (ja) 給気用ウェザーカバーユニット
CN207881167U (zh) 一种接水盘结构及空调器
JP4638095B2 (ja) 免震建築物の下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