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323Y1 - 차수판 장치 - Google Patents

차수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323Y1
KR200489323Y1 KR2020190000244U KR20190000244U KR200489323Y1 KR 200489323 Y1 KR200489323 Y1 KR 200489323Y1 KR 2020190000244 U KR2020190000244 U KR 2020190000244U KR 20190000244 U KR20190000244 U KR 20190000244U KR 200489323 Y1 KR200489323 Y1 KR 200489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support unit
plates
foot
slid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봉
Original Assignee
홍종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봉 filed Critical 홍종봉
Priority to KR2020190000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3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3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7Floo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차수판 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차수판 장치는, 제1 및 제2 차수판; 상기 제1 및 제2 차수판 사이에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차수판의 일측을 슬라이딩 조립 가능하게 지지하는 센터 지지유닛; 상기 센터 지지유닛의 일측에 이격배치되며, 상기 센터 지지유닛과 함께 상기 제1 차수판을 슬라이딩 조립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사이드 지지유닛; 및 상기 센터 지지유닛의 타측에 이격배치되며, 상기 센터 지지유닛과 함께 상기 제2 차수판을 슬라이딩 조립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사이드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수판 장치{Water stop device}
본 고안은, 차수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설치와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철거가 유리하며, 특히 차수판이 결합되는 코어 부위가 들뜨지 않게 밀착될 수 있어서 종전보다 차수효과를 높일 수 있는 차수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수판(water stop)은 누수를 방지하는 판으로서 지수판이라고도 부른다. 차수판의 재료로는 내구성이나 수밀성이 큰 재료인 동판이나 스테인리스판, 고무판 등을 사용한다.
한편, 최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기상이변이 심해지면서 슈퍼태풍 및 국지성 집중호우로 자연재해 위험이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홍수량 증가로 도심지 저지대의 침수피해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서울처럼 대도시에는 주택난 해소와 서민 주거 확보를 위해 저소득층의 주거지에는 반지하 형태의 주택이 많이 공급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주거지에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실제, 반지하 주택이나 도심의 저지대는 매년 장마철마다 침수에 무방비 상태로 놓이고 있는데, 예컨대 2010년에는 기습 폭우로 인해 수도권에서만 2만여 가구가 침수피해를 입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와 같은 피해는 지하 출입구를 통해 빗물이 흘러들어 지대가 낮은 지하층으로 고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마나 국지성 집중호우가 발생될 때, 도심의 저지대에서는 임시방편이나마 모래자루를 쌓아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기도 한다.
하지만, 시간당 100mm 정도의 집중적인 강수량을 보일 경우, 신속한 대처가 어렵고, 모래자루 역시, 충분치 못하거나 설사 모래자루를 쌓더라도 그 효과가 그리 크지 않아 대처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입구로 유입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수판 장치(혹은 차수판)이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수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설치 상태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차수판 장치는 출입구가 마련되도록 이격 배열된 한 쌍의 벽체(10) 측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주(40)와, 평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폭방향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지주(40)에 삽입됨으로써 출입구를 차단하는 몸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20)의 좌우측 및 하단에는 패킹(30)이 구비되어 있는바, 물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수판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몸체(20)를 지주(40) 위로 들어 올린 후 아래로 내리면서 좌우측단을 지주(40)에 삽입시켜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몸체(20)는 폭이 수 미터에 이르며 금속으로 제작되는 바, 중량이 매우 커서 여성이나 노약자가 장착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폭이 수 미터에 이르는 몸체(20)를 들어 아래로 내리는 과정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균형이 맞지 아니하는 경우 즉, 좌우측 높이가 동일하지 아니하는 경우, 몸체(20)가 한 쌍의 지주(40)에 장착되지 못하게 된다는 어려움이 있다.
결과적으로, 종전의 차수판 장치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유지보수 역시 수월하지 않고, 특히, 결합부위가 들뜰 우려가 높아 차수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차수판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2-005789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02680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1775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71033호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설치와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철거가 유리하며, 특히 차수판이 결합되는 코어 부위가 들뜨지 않게 밀착될 수 있어서 종전보다 차수효과를 높일 수 있는 차수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제1 및 제2 차수판; 상기 제1 및 제2 차수판 사이에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차수판의 일측을 슬라이딩 조립 가능하게 지지하는 센터 지지유닛; 상기 센터 지지유닛의 일측에 이격배치되며, 상기 센터 지지유닛과 함께 상기 제1 차수판을 슬라이딩 조립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사이드 지지유닛; 및 상기 센터 지지유닛의 타측에 이격배치되며, 상기 센터 지지유닛과 함께 상기 제2 차수판을 슬라이딩 조립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사이드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판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센터 지지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지지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차수판의 하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차수판이 동일한 구조로 마련되되 상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동일한 구조로 마련되되 상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며, 사각 판체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차수판; 상기 제1 및 제2 차수판 사이에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차수판의 일측을 슬라이딩 조립 가능하게 지지하는 센터 지지유닛; 상기 센터 지지유닛의 일측에 이격배치되고 일측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 센터 지지유닛과 함께 상기 제1 차수판을 슬라이딩 조립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사이드 지지유닛; 상기 제1 사이드 지지유닛과 동일한 구조로 적용되며, 상기 센터 지지유닛의 타측에 이격배치되고 타측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 센터 지지유닛과 함께 상기 제2 차수판을 슬라이딩 조립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사이드 지지유닛; 및 상기 센터 지지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지지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차수판의 하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되 PVC 재질로 제작되는 탄성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센터 지지유닛은, 센터 바디; 상기 센터 바디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차수판의 단부가 슬라이딩 조립되는 제1 및 제2 센터 슬라이딩 조립레일; 상기 센터 바디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브래킷;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센터 고정 하우징; 상기 센터 고정 하우징의 상단부에 체결 가능하게 마련되며, 공구 없이 체결이 가능한 센터 체결 나사; 상기 센터 고정 하우징의 하단부에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센터 체결 나사의 정역 방향 회전에 기초하여 조작되는 체결부; 지면에 매립되되 상기 체결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매립식 체결 보스; 상기 센터 바디의 일측에 체결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센터 슬라이딩 조립레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상기 제1 및 제2 차수판을 가압에 의해 고정시키되 공구 없이 체결이 가능한 다수의 가압 나사; 및 상기 가압 나사의 단부에 결합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차수판에 가압되는 가압 고무를 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지지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센터 슬라이딩 조립레일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사이드 슬라이딩 조립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지지체는, 상기 상기 센터 지지유닛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센터 지지유닛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센터 푸트; 상기 제1 사이드 지지유닛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사이드 지지유닛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제1 사이드 푸트; 상기 제2 사이드 지지유닛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사이드 지지유닛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제2 사이드 푸트; 상기 제1 사이드 푸트와 상기 센터 푸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차수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 바아; 및 상기 제2 사이드 푸트와 상기 센터 푸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차수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차수판의 두께가 상기 제1 및 제2 센터 슬라이딩 조립레일과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슬라이딩 조립레일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판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설치와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철거가 유리하며, 특히 차수판이 결합되는 코어 부위가 들뜨지 않게 밀착될 수 있어서 종전보다 차수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수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설치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수판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차수판 장치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탄성 지지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센터 지지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조립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가압 나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수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수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도 1의 설치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수판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차수판 장치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탄성 지지체의 확대 사시도, 도 7은 센터 지지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조립도,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가압 나사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수판 장치(100)는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설치와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철거가 유리하며, 특히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이 결합되는 코어 부위가 들뜨지 않게 밀착될 수 있어서 종전보다 차수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차수판 장치(100)는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 센터 지지유닛(130), 제1 사이드 지지유닛(150), 제2 사이드 지지유닛(160), 그리고 탄성 지지체(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은 사각 판체로 이루어지는 구조물로서, 실질적으로 차수효과, 즉 물을 막는 효과를 제공한다.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은 모두 동일한 구조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에는 그 상단부에 손잡이(111,121)가 형성된다. 손잡이(111,121)로 인해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의 핸들링이 유리해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의 두께는 후술할 제1 및 제2 센터 슬라이딩 조립레일(132,133)과 제1 및 제2 사이드 슬라이딩 조립레일(151,16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띠라서 가압 나사(139)가 필요하게 된다.
센터 지지유닛(130)은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 사이에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의 일측을 슬라이딩 조립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센터 지지유닛(130)은 센터 바디(131)와, 센터 바디(131)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의 단부가 슬라이딩 조립되는 제1 및 제2 센터 슬라이딩 조립레일(132,133)과, 센터 바디(131)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브래킷(134)과, 한 쌍의 고정 브래킷(134)에 의해 고정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센터 고정 하우징(135)과, 센터 고정 하우징(135)의 상단부에 체결 가능하게 마련되며, 공구 없이 체결이 가능한 센터 체결 나사(136)와, 센터 고정 하우징(135)의 하단부에 돌출되게 마련되고 센터 체결 나사(136)의 정역 방향 회전에 기초하여 조작되는 체결부(137)와, 지면에 매립되되 체결부(137)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매립식 체결 보스(138)를 포함한다.
매립식 체결 보스(138)는 본 실시예의 차수판 장치(100)가 설치될 지역, 예컨대 도 3와 같은 지하 주차장의 입구의 바닥에 매립되게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에, 이러한 매립식 체결 보스(138)에 체결부(137)를 배치하고, 센터 체결 나사(136)로 체결함으로써 센터 지지유닛(130)을 매우 신속하고 또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사이드 지지유닛(150)과, 제2 사이드 지지유닛(160)을 양측 벽체에 설치하고, 그 사이에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을 배치함으로써 도 3과 같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의 두께는 후술할 제1 및 제2 센터 슬라이딩 조립레일(132,133)과 제1 및 제2 사이드 슬라이딩 조립레일(151,16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띠라서 가압 나사(139)가 필요하게 된다.
가압 나사(139)는 센터 바디(131)의 일측에 체결 가능하게 마련되며, 제1 및 제2 센터 슬라이딩 조립레일(132,133)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을 가압에 의해 고정시키되 공구 없이 체결이 가능한 나사이다.
이러한 가압 나사(139)의 단부에는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에 가압되는 가압 고무(139a)가 마련된다. 가압 고무(139a)가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에 가압되게 가압 나사(139)를 조이는 형태라서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에 손상이 가지 않는다.
제1 사이드 지지유닛(150)은 센터 지지유닛(130)의 일측에 이격배치되고 일측 벽체에 고정되며, 센터 지지유닛(130)과 함께 제1 차수판(110)을 슬라이딩 조립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그리고 제2 사이드 지지유닛(160)은 제1 사이드 지지유닛(150)과 동일한 구조로 적용되며, 센터 지지유닛(130)의 타측에 이격배치되고 타측 벽체에 고정되며, 센터 지지유닛(130)과 함께 제2 차수판(120)을 슬라이딩 조립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제1 및 제2 사이드 지지유닛(150,160)에는 제1 및 제2 센터 슬라이딩 조립레일(132,133)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사이드 슬라이딩 조립레일(151,161)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사이드 슬라이딩 조립레일(151,161)의 폭과 제1 및 제2 센터 슬라이딩 조립레일(132,133)의 폭은 서로 동일하다.
탄성 지지체(170)는 센터 지지유닛(130)과 제1 및 제2 사이드 지지유닛(150,16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의 하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 지지체(170)는 PVC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바닥과 밀착이 잘 이루어진다. 따라서 차수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의 하단부를 완충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의 파손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지지체(170)는 상기 센터 지지유닛(13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센터 지지유닛(13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센터 푸트(171)와, 제1 사이드 지지유닛(15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제1 사이드 지지유닛(15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제1 사이드 푸트(172)와, 제2 사이드 지지유닛(16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제2 사이드 지지유닛(16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제2 사이드 푸트(173)와, 제1 사이드 푸트(172)와 센터 푸트(171)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차수판(11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 바아(174)와, 제2 사이드 푸트(173)와 센터 푸트(171) 사이에 배치되며, 제2 차수판(12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 바아(17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차수판 장치(100)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지하 주차장의 입구의 바닥에 매립되게 마련되는 매립식 체결 보스(138)에 체결부(137)를 배치한다. 그리고 센터 체결 나사(136)를 통해 체결부(137)로 체결함으로써 센터 지지유닛(130)을 설치한다.
이어서, 사이드 지지유닛(150)과, 제2 사이드 지지유닛(160)을 양측 벽체에 설치하고, 그 사이에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을 배치함으로써 도 3과 같이 차수판 장치(10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장마나 집중호우에 대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설치와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철거가 유리하며, 특히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이 결합되는 코어 부위가 들뜨지 않게 밀착될 수 있어서 종전보다 차수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1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수판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수판 장치(200) 역시, 제1 및 제2 차수판(210,220), 센터 지지유닛(130), 제1 사이드 지지유닛(150), 제2 사이드 지지유닛(160), 그리고 탄성 지지체(1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제1 및 제2 차수판(210,220)은 금속으로 제작되는 제1 및 제2 프레임 구조체(211,221)와, 제1 및 제2 프레임 구조체(211,221) 내에 마련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제1 및 제2 윈도우(212,22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차수판(210,220)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제1 및 제2 윈도우(212,222)가 적용되면 외부 상황이 보일 수 있기 때문에 빠른 대처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설치와 유지보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철거가 유리하며, 특히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이 결합되는 코어 부위가 들뜨지 않게 밀착될 수 있어서 종전보다 차수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2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수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수판 장치(300) 역시,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와 달리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의 하단부에 밀착을 위한 탄성 지지체(390)가 부착되는데, 이와 같은 탄성 지지체(390)의 사용으로 인해 제1 및 제2 차수판(110,120)이 결합되는 코어 부위가 들뜨지 않게 밀착될 수 있어서 종전보다 차수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센터 지지유닛(130)은 바닥에 매입되는 매립식 체결 보스(138)에 암수 체결구조(130a,138a)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장치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게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차수판 장치 110 : 제1 차수판
111 : 제1 손잡이 120 : 제2 차수판
121 : 제2 손잡이 130 : 센터 지지유닛
131 : 센터 바디 132 : 제1 센터 슬라이딩 조립레일
133 : 제2 센터 슬라이딩 조립레일 134 : 고정 브래킷
135 : 센터 고정 하우징 136 : 센터 체결 나사
137 : 체결부 138 : 매립식 체결 보스
139 : 가압 나사 139a : 가압 고무
150 : 제1 사이드 지지유닛 151 : 제1 사이드 슬라이딩 조립레일
160 : 제2 사이드 지지유닛 161 : 제2 사이드 슬라이딩 조립레일
170 : 탄성 지지체 171 : 센터 푸트
172 : 제1 사이드 푸트 173 : 제2 사이드 푸트
174 : 제1 탄성 바아 175 : 제2 탄성 바아

Claims (4)

  1. 동일한 구조로 마련되되 상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며, 사각 판체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차수판;
    상기 제1 및 제2 차수판 사이에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상기 제1 및 제2 차수판의 일측을 슬라이딩 조립 가능하게 지지하는 센터 지지유닛;
    상기 센터 지지유닛의 일측에 이격배치되고 일측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 센터 지지유닛과 함께 상기 제1 차수판을 슬라이딩 조립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사이드 지지유닛;
    상기 제1 사이드 지지유닛과 동일한 구조로 적용되며, 상기 센터 지지유닛의 타측에 이격배치되고 타측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 센터 지지유닛과 함께 상기 제2 차수판을 슬라이딩 조립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사이드 지지유닛; 및
    상기 센터 지지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지지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차수판의 하단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되 PVC 재질로 제작되는 탄성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센터 지지유닛은,
    센터 바디;
    상기 센터 바디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차수판의 단부가 슬라이딩 조립되는 제1 및 제2 센터 슬라이딩 조립레일;
    상기 센터 바디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브래킷;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센터 고정 하우징;
    상기 센터 고정 하우징의 상단부에 체결 가능하게 마련되며, 공구 없이 체결이 가능한 센터 체결 나사;
    상기 센터 고정 하우징의 하단부에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센터 체결 나사의 정역 방향 회전에 기초하여 조작되는 체결부;
    지면에 매립되되 상기 체결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매립식 체결 보스;
    상기 센터 바디의 일측에 체결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제1 및 제2 센터 슬라이딩 조립레일로 슬라이딩 삽입되는 상기 제1 및 제2 차수판을 가압에 의해 고정시키되 공구 없이 체결이 가능한 다수의 가압 나사; 및
    상기 가압 나사의 단부에 결합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차수판에 가압되는 가압 고무를 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지지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센터 슬라이딩 조립레일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사이드 슬라이딩 조립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지지체는,
    상기 상기 센터 지지유닛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센터 지지유닛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센터 푸트;
    상기 제1 사이드 지지유닛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사이드 지지유닛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제1 사이드 푸트;
    상기 제2 사이드 지지유닛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사이드 지지유닛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제2 사이드 푸트;
    상기 제1 사이드 푸트와 상기 센터 푸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차수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 바아; 및
    상기 제2 사이드 푸트와 상기 센터 푸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차수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차수판의 두께가 상기 제1 및 제2 센터 슬라이딩 조립레일과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슬라이딩 조립레일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90000244U 2019-01-17 2019-01-17 차수판 장치 KR200489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244U KR200489323Y1 (ko) 2019-01-17 2019-01-17 차수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244U KR200489323Y1 (ko) 2019-01-17 2019-01-17 차수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323Y1 true KR200489323Y1 (ko) 2019-05-31

Family

ID=66651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244U KR200489323Y1 (ko) 2019-01-17 2019-01-17 차수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3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008B1 (ko) * 2020-02-28 2020-05-28 가온기술진단 주식회사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891A (ko) 2002-05-27 2002-07-12 주식회사 인트로닉스 컴퓨터의 유에스비 포트를 이용한 전화통화 녹음 장치
KR20120026800A (ko) 2010-09-10 2012-03-20 (주)쉬즈마켓 정보제공 기능을 갖는 라커
KR20130017750A (ko) 2011-08-12 2013-02-2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적응적 노출 제어 방법, 적응적 노출 제어 장치 및 상기 적응적 노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KR20130071033A (ko) 2011-12-20 2013-06-28 석승국 줄눈제거공구
KR101313668B1 (ko) * 2012-12-06 2013-10-02 주식회사 청담씨엔에스 3방향 폐쇄형 차수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891A (ko) 2002-05-27 2002-07-12 주식회사 인트로닉스 컴퓨터의 유에스비 포트를 이용한 전화통화 녹음 장치
KR20120026800A (ko) 2010-09-10 2012-03-20 (주)쉬즈마켓 정보제공 기능을 갖는 라커
KR20130017750A (ko) 2011-08-12 2013-02-2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적응적 노출 제어 방법, 적응적 노출 제어 장치 및 상기 적응적 노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KR20130071033A (ko) 2011-12-20 2013-06-28 석승국 줄눈제거공구
KR101313668B1 (ko) * 2012-12-06 2013-10-02 주식회사 청담씨엔에스 3방향 폐쇄형 차수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008B1 (ko) * 2020-02-28 2020-05-28 가온기술진단 주식회사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7448B2 (en) Retrofit catch basin for use in storm water management practice
JP2016108897A (ja) 止水装置
KR200489323Y1 (ko) 차수판 장치
CN206346208U (zh) 移动式组合防水围堰
KR101186612B1 (ko) 차수판
KR20130041045A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 겸용 배수장치
CN102926453B (zh) 防倒灌的窨井盖
KR20100057559A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 겸용 배수장치
JP4377356B2 (ja) 床支持方式防水扉構造
CN208933776U (zh) 一种公路排水渠加固装置
CN205242610U (zh) 一种城市地下智能综合管廊防倒灌装置
KR200205760Y1 (ko) 보도용 맨홀덮개
CN214497767U (zh) 一种多功能截水沟
CN211689885U (zh) 一种市政工程用排水装置
CN205399132U (zh) 一种线性路缘石排水管涵
KR101567440B1 (ko) 차수판
KR20100004347A (ko) 상하수도용 또는 전기통신용 맨홀
CN215253318U (zh) 一种市政雨污水管道用检查井
CN201326216Y (zh) 一种建筑专用排水槽
CN215862032U (zh) 一种给排水管道安装用预埋管
CN219261286U (zh) 一种新型市政建筑高效排水结构
KR20100112941A (ko) 배수로 덮개의 무소음식 시공방법
CN209818904U (zh) 一种给排水工程排污管道
CN221001341U (zh) 一种地铁用防水保护装置
CN220889196U (zh) 一种仿古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