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6008B1 -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 - Google Patents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6008B1
KR102116008B1 KR1020200025000A KR20200025000A KR102116008B1 KR 102116008 B1 KR102116008 B1 KR 102116008B1 KR 1020200025000 A KR1020200025000 A KR 1020200025000A KR 20200025000 A KR20200025000 A KR 20200025000A KR 102116008 B1 KR102116008 B1 KR 102116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anel
blocking
guide
elastic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민경
Original Assignee
가온기술진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기술진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기술진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5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6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거 바닥의 손상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유수를 차단하도록 된 가물막이로서, 한쌍의 유수차단패널들과, 상기 유수차단패널들을 연결하는 탄성연결패널로 이루어진 유수차단부와, 상기 유수차단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탄성밀폐부로 이루어져, 한쌍의 유수차단패널들이 탄성연결패널에 의해 연결되어 일정각도을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관거의 유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함과 아울러 안내하여 관거 바닥의 손상여부를 손쉽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 { Portable water barrier with elastic contact structure }
본 발명은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쌍의 유수차단패널들이 탄성연결패널에 의해 연결되어 일정각도을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관거의 유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함과 아울러 안내하여 관거 바닥의 손상여부를 손쉽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물막이는 흐르는 물을 막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가물막이는 흐르는 물을 차단하기 위해 원형 및 사각과 같은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이루어진 관이나 틀구조로 형성시키거나 앵글구조 또는 패널구조로 형성시키게 된다.
최근에는 오수 및 우수가 이동되는 수로암거 등의 관거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균일이나 파손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관거를 따라 이동하는 물을 차단하도록 된 휴대용 가물막이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가물막이는 평면의 패널구조로 이루어지므로 흐르는 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흐르는 물을 차단하면서 발생되는 저항에 의해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가물막이를 파지하거나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가물막이를 형상을 변형시킬 수 없어 휴대 및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094923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한쌍의 유수차단패널들이 탄성연결패널에 의해 연결되어 일정각도을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관거의 유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함과 아울러 안내하여 관거 바닥의 손상여부를 손쉽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관거 바닥의 손상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유수를 차단하도록 된 가물막이로서, 한쌍의 유수차단패널들과, 상기 유수차단패널들을 연결하는 탄성연결패널로 이루어진 유수차단부와, 상기 유수차단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탄성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연결패널에는 이동되는 유수를 안내하여 상기 유수차단부로 유수가 이동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양방향유수안내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양방향유수안내수단은 상기 탄성연결패널의 일면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설치패널과, 상기 설치패널의 외면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간격샤프트와, 상기 간격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한쌍의 유수안내패널들로 이루어진 유수안내부와, 상기 유수안내패널의 상부에 형성되어, 흐르는 유수가 유수안내패널을 넘어 상기 유수차단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경사지게 유수차단날개와, 상기 유수안내패널들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설치샤프트와, 상기 유수안내패널에 일단이 연결된 상기 설치샤프트의 끝단에 체결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체결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유수안내부에 안내되는 유수를 이동시키는 이송임펠러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간격샤프트를 연결하는 보강샤프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수안내부는 흐르는 유수를 안내하도록 " ㅅ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수차단부는 유수차단패널들은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탄성연결패널은 상기 유수차단패널들의 단부를 연결하며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수차단패널에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에는 투시창이 더 끼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수차단패널에는 끝단에 측부탄성밀폐패널이 더 체결되어, 유수가 이동되는 관거의 내측면에 가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는 한쌍의 유수차단패널들이 탄성연결패널에 의해 연결되어 일정각도을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관거의 유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함과 아울러 안내하여 관거 바닥의 손상여부를 손쉽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를 나타낸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발취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를 나타낸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발취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휴대용 가물막이라 명명함)는 수로의 바닥에 형성되는 크렉이나 부분적으로 파쇄된 손상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유수를 일시적으로 차단하도록 된 가물막이로서, 이에 이와같은 가물막이는 유수차단부(20)와 탄성밀폐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수차단부(20)는 한쌍의 유수차단패널(21)들과, 상기 유수차단패널(21)들을 연결하는 탄성연결패널(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수차단패널(21)은 직사각형 또는 사각형의 패널구조로 이루어지며,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연결패널(22)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패널 또는 시트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연결패널(22)은 일단이 어느하나의 유수차단패널(21)의 단부 외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다른 하나의 유수차단패널(21)의 단부 외면에 고정되어, 상기 유수차단패널(21)들을 상호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 탄성연결패널(22)은 상기 유수차단패널(21)에 접착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유수차단패널(21)의 끝단에 곡선지게 곡선안내부를 더 형성하여 유수를 외측으로 안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밀폐부(30)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수차단부(20)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밀폐부(30)는 상기 유수차단부(20)의 유수차단패널(21)들을 연결하며 유수차단패널(21)의 저면에 접착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탄성연결패널(22)의 하부는 상기 탄성밀폐부(30)와 접착하여 상호 연결됨과 아울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탄성밀폐부(30)에 의해 유수를 차단하여 측정할 관거의 바닥으로 유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밀폐부(30)의 양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탄성밀폐부(30) 방향으로 곡선지게 형성되는 유수안내곡선패널을 접착하여, 유수를 안내하도록 함으로써, 유수가 유수차단부(20)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수차단부(20)는 유수차단패널(21)들은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탄성연결패널(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수차단패널(21)들의 단부를 연결하며 고정되어, 상기 유수차단부(20)의 형상을 평면상 " ㅅ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작업자가 도면에서와 같이 유수차단패널(21)의 외면과 탄성밀폐부(30)가 유수가 흘러오는 방향을 바라보도록 가물막이(10)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바닥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탄성밀폐부(30)가 관거의 바닥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흐르는 유수는 사선의 유수차단패널(21) 및 상기 탄성밀폐부(30)에 안내되어 이동하여, 상기 유수차단패널(21)들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에는 유수의 유입이 차단되어 작업자가 바닥면의 손상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거의 바닥은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거는 사각,타원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수차단패널(21)에는 관통구(21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211)에는 투명의 합성수지재 또는 유리재로 이루어진 투시창(212)이 더 끼움되어 접착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투시창(212)을 통해 이동되는 유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수차단패널(21)에는 끝단에 측부탄성밀폐패널(213)이 더 체결되어, 유수가 이동되는 관거의 내측면에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관거의 내측면과 측부탄성밀폐패널(213) 사이로 유수가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유수가 확인할 관거의 바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탄성연결패널(22)에는 이동되는 유수를 안내하여 상기 유수차단부(20)로 유수가 이동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양방향유수안내수단(40)이 더 마련된다.
상기 양방향유수안내수단(40)은 상기 탄성연결패널(22)의 외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설치패널(41)과, 상기 설치패널(41)의 외면 하부에 일단이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간격샤프트(42)와, 상기 간격샤프트(42)의 타단에 용접되어 고정되며, 한쌍의 유수안내패널(431)들로 이루어진 유수안내부(43)와, 상기 유수안내패널(431)의 상부에 용접되어, 흐르는 유수가 유수안내패널(431)을 넘어 상기 유수차단부(2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경사지게 유수차단날개(44)와, 상기 유수안내패널(431)들에 일단이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설치샤프트(45)와, 상기 유수안내패널(431)에 일단이 연결된 상기 설치샤프트(45)의 끝단에 나사체결되는 구동모터(46)와, 상기 구동모터(46)의 구동축에 나사체결되며, 상기 구동모터(46)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유수안내부(43)에 안내되는 유수를 이동시키는 이송임펠러(47)와, 상기 구동모터(46)와 상기 간격샤프트(42)를 연결하며 용접되는 보강샤프트(48)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수안내부(43)는 흐르는 유수를 안내하도록 " ㅅ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수차단날개(44)는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흐르는 유수가 상기 유수안내부(43)에 안내되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유수가 유수차단패널(21)로 이동하는 것을 줄이거나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유수차단부(20)와 관거의 바닥 틈으로 유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유수안내부(43)에 의해 유수가 안내되어 상기 유수안내부(43)와 상기 유수차단부(20) 사이의 관거 바닥의 손상여부도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한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46)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이송임펠러(47)가 구동하여 유수를 외측으로 안내하도록 함으로써, 재차 유수가 유수차단부(20)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속하고 정밀한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수안내부(43)의 저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안내패널을 더 부착하여 상기 유수안내부(43)와 바닥면 사이의 틈으로 유수가 유입되는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간격샤프트(42)의 양측면에는 송풍펜을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송풍펜의 바람에 의해 유수를 외측으로 밀어내어 상기 유수차단부(20)와 상기 유수안내부(43) 사이로 유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패널(41)에는 간격실린더의 일단을 나사체결하고, 상기 간격실린더의 축에 상기 간격샤프트(42)를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간격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간격샤프트(42) 및 유수안내부(43)가 이동되면서 유수를 안내하여 흐르는 유수의 세기에 따라 유수안내부(43)와 유수차단부(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휴대용 가물막이
20 : 유수차단부
21 : 유수차단패널
211 : 관통구
212 : 투시창
213 : 측부탄성밀폐패널
22 : 탄성연결패널
30 : 탄성밀폐부
40 : 양방향유수안내수단
41 : 설치패널
42 : 간격샤프트
43 : 유수안내부
431 : 유수안내패널
44 : 유수차단날개
45 : 설치샤프트
46 : 구동모터
47 : 이송임펠러
48 : 보강샤프트

Claims (5)

  1. 관거 바닥의 손상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유수를 차단하도록 된 가물막이로서,
    한쌍의 유수차단패널들과, 상기 유수차단패널들을 연결하는 탄성연결패널로 이루어진 유수차단부; 및
    상기 유수차단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탄성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연결패널에는 이동되는 유수를 안내하여 상기 유수차단부로 유수가 이동되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양방향유수안내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양방향유수안내수단은,
    상기 탄성연결패널의 일면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설치패널과,
    상기 설치패널의 외면 하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간격샤프트와,
    상기 간격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한쌍의 유수안내패널들로 이루어진 유수안내부와,
    상기 유수안내패널의 상부에 형성되어, 흐르는 유수가 유수안내패널을 넘어 상기 유수차단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경사지게 유수차단날개와,
    상기 유수안내패널들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설치샤프트와,
    상기 유수안내패널에 일단이 연결된 상기 설치샤프트의 끝단에 체결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체결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유수안내부에 안내되는 유수를 이동시키는 이송임펠러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간격샤프트를 연결하는 보강샤프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수안내부는 흐르는 유수를 안내하도록 " ㅅ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차단부는 유수차단패널들은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탄성연결패널은 상기 유수차단패널들의 단부를 연결하며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차단패널에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에는 투시창이 더 끼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차단패널에는 끝단에 측부탄성밀폐패널이 더 체결되어, 유수가 이동되는 관거의 내측면에 가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
  5. 삭제
KR1020200025000A 2020-02-28 2020-02-28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 KR102116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000A KR102116008B1 (ko) 2020-02-28 2020-02-28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000A KR102116008B1 (ko) 2020-02-28 2020-02-28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6008B1 true KR102116008B1 (ko) 2020-05-28

Family

ID=70920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000A KR102116008B1 (ko) 2020-02-28 2020-02-28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6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647B1 (ko) * 2022-04-12 2022-11-23 주식회사 도원안전연구원 박스형 하수관로 바닥 슬라브 안전진단용 간이 물막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239B1 (ko) 2007-07-12 2010-03-24 한국전력공사 수중 축조물의 보수 및 검사를 위한 가물막이 구조물
KR101420854B1 (ko) * 2013-11-14 2014-07-21 주식회사 봉화라이너 차집 관거 차수 장치 및 공법
KR101421459B1 (ko) * 2013-07-01 2014-07-23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배수갑문 보수방법
KR200489323Y1 (ko) * 2019-01-17 2019-05-31 홍종봉 차수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239B1 (ko) 2007-07-12 2010-03-24 한국전력공사 수중 축조물의 보수 및 검사를 위한 가물막이 구조물
KR101421459B1 (ko) * 2013-07-01 2014-07-23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배수갑문 보수방법
KR101420854B1 (ko) * 2013-11-14 2014-07-21 주식회사 봉화라이너 차집 관거 차수 장치 및 공법
KR200489323Y1 (ko) * 2019-01-17 2019-05-31 홍종봉 차수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647B1 (ko) * 2022-04-12 2022-11-23 주식회사 도원안전연구원 박스형 하수관로 바닥 슬라브 안전진단용 간이 물막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008B1 (ko) 탄성밀착구조를 갖는 휴대용 가물막이
KR101786490B1 (ko) 방음벽 패널 연결 구조
US20200325682A1 (en) Cross-laminated timber decorative panel and connecting device thereof
KR102219654B1 (ko) 에프알피 시트 및 종방향으로 분절된 시멘트보드를 이용한 기둥 보강방법
KR20200052727A (ko) 내진보강 및 내화성 확보를 위하여 에프알피 시트 및 시멘트보드를 이용한 기둥 보강방법
CN103542114B (zh) 一种适用于下压浇筑钢筋混凝土的双重截流阀装置
CN2863885Y (zh) 复合型止水带
KR102219104B1 (ko) 방음터널의 누수방지 시스템
EP3108163B1 (en) Flap gate
CN1098116C (zh) 采用纤维增强塑料复合板的气液接触设备及其制造方法
CN204901146U (zh) 变径风管
JP3667838B2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パネル、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壁面の内面更生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製造方法
US8079193B2 (en) Hidden edge connector for mounting panel to frame opening
JP6639366B2 (ja) ウォーターフェンス
CN217998489U (zh) 一种防水效果好的建筑外墙施工用防渗漏结构
CN217353383U (zh) 一种碳纤维板的均匀粘胶装置
JP2007154576A (ja) 橋梁
JPH0211514Y2 (ko)
CN221113111U (zh) 一种强度高的pvc装饰板
CN209414804U (zh) 一种玻璃钢水管道
CN215367876U (zh) 一种建筑工程用防水装置
CN210714659U (zh) 一种便于安装的现场检验用计量装置
CN216196106U (zh) 一种突出于金属屋面的构件根部防水结构
CN211525727U (zh) 一种环氧玻璃钢管外保护装置
KR102199551B1 (ko) 시공 건축물용 쐐기형 소음 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