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0344B1 - 건축 구조체의 하드 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건축 구조체의 하드 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344B1
KR100840344B1 KR1020070026243A KR20070026243A KR100840344B1 KR 100840344 B1 KR100840344 B1 KR 100840344B1 KR 1020070026243 A KR1020070026243 A KR 1020070026243A KR 20070026243 A KR20070026243 A KR 20070026243A KR 100840344 B1 KR100840344 B1 KR 100840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hard board
coupling
building structur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영화
Original Assignee
지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영화 filed Critical 지영화
Priority to KR1020070026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adhesive join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외장재를 고정 패스너등을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는 구조체의 표면에 착설된 섬유 보강 시멘트 압출판으로 구성되는 하드 보드 표면에 차수막 시이트 및 연결 시이트를 부착하여, 물 및 습기등을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며, 건축 구조체 내부의 결로현상을 및 열 손실을 미연에 예방하면서, 내구성을 가일층 강화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건축 구조체 전방에 차수막의 시공 후 건축 외장재의 시공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여, 석재등의 건축 외장재를 손쉽고, 용이하게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한 건축 구조체의 하드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건축 외장재(110)의 상측 및 하측 패스너 결합홈(120) 내부에 고정용 패스너(130)의 절곡부(131)가 내삽되어 고정되며, 이때 상기 건축 외장재(11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130)의 수평방향 단부는 연결 고정구(150)의 결합홈(140) 내측에 내삽되어 결합볼트(160)로서 일체로 결합 고정토록 되고,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후방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 결합편(170)은 차수막(180)을 개재하여 건축 구조체(190)와 결합볼트(200)로서 밀착 고정토록 설치되며, 섬유보강 시멘트 압출판으로 형성되어 차수막(180) 역할을 수행하는 하드 보드(210)의 표면에는 차수막 시이트(240)가 착설되며, 이때 상기 차수막 시이트(240)는 일정 두께의 부틸 시이트(220)와 상기 부틸 시이트(220) 상측으로 착설되는 섬유조직이 보강된 알루미늄 호일(230)로 구성되고, 상기 건축 구조체(190)의 하드 보드(210)와 하드 보드(210')를 연결토록 상기 차수막 시이트(240)의 연결부(250) 사이에는 물과 습기등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하여, 일정두께의 연질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시이트로 구성되는 연결 시이트(260)가 상기 연결부(250) 사이의 틈새에 절곡 형성되어 착설토록 되는것을 요지로 한다.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차수막, 구조체, 차수막 시이트, 연결 시이트

Description

건축 구조체의 하드 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A Device for Water Barrier Combine and Connect of Building Wall Hard Board}
도 1은 종래 건축 외장재를 고정용 패스너로서 차수막을 개재하여 건축 구조체에 결합한 상태의 정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체의 하드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정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인 금속 구조체 표면으로 착설되는 차수막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드 보드용 차수막의 요부 결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건축 외장재 120...패스너 결합홈
130...고정용 패스너 131...절곡부
140...결합홈 150...연결 고정구
160...결합볼트 170...수직 결합편
180...차수막 190...구조체
200...결합볼트 210,210'...하드 보드
220...부틸 시이트 230...알루미늄 호일
240...차수막 시이트 250...연결부
260...연결 시이트
본 발명은 석재(石材)등과 같은 건축 외장재를 고정 패스너등을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는 구조체 전방으로 차수막(Water Barrier)을 구성하는 하드 보드(Hard Board)의 표면으로 차수막 시이트가 착설되며, 이때 상기 차수막 시이트는 일정 두께의 부틸 시이트(Butyl-Sheet)와 상기 부틸 시이트 상측에 착설되는 섬유조직이 보강된 알루미늄 호일로 구성되고, 상기 건축 구조체의 하드 보드와 하드 보드를 연결토록 상기 차수막 시이트의 연결부에는 물과 습기등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한 일정두께의 연질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시이트로 구성되는 연결 시이트가 착설토록 되어, 건축 외장재를 고정 패스너등을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는 구조체의 하드 보드 표면에 착설된 차수막 시이트 및 연결 시이트를 통하여, 물 및 습기등을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며, 건축 구조체 내부의 결로현상을 및 열 손실을 미연에 예방하면서, 내구성을 가일층 강화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건축 구조체 전방에 차수막의 시공 후 건축 외장재의 시공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여, 석재등의 건축 외장재를 손쉽고, 용이하게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한 건축 구조체의 하드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고층 건축물에 사용되는 석재등과 같은 건축 외장재는, 이를 연결 고정용 패스너를 이용하여 금속 구조체에 연결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금속 구조체의 전방에는 하드 보드(Hard Board)를 착설하여 고정용 패스너와 금속 구조체 사이의 완충 및 방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건축 구조체 연결구조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건축 외장재(110)의 패스너 결합홈(120)내부에 고정용 패스너(130)의 절곡부(131)가 각각 내삽되어 고정되며, 상기 건축 외장재(11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130)의 수평방향 단부는, 내측으로 결합홈(140)이 형성된 연결 고정구(150)와 결합볼트(160)로서 결합 고정토록 되고,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후방 단부인 수직 결합편(170)은 하그 보드로 구성되는 차수막(180)을 개재하여 금속 구조물(190)과 결합볼트(200)로서 밀착 고정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건축 외장재(110)의 패스너 결합홈(120)내부에 고정용 패스너(130)의 절곡부(131)를 내삽하여 고정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 패스너(130)의 수평방향 단부를 연결 고정구(150)의 결합홈(140) 내측으로 삽입하여 결합볼트(160)로서 일체로 결합 고정시키고, 이때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후방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결합편(170)은 차수막(180)을 개재하여 금속 구조체(190)와 결합볼트(200)로서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건축 구조체의 전방에 착설되는 차수막(180)은, 금속 구 조체(190)의 전방으로 단순히 하드 보드로 구성되는 차수막(180)을 위치시켜 밀착시키는 관계로, 연결 고정구(150)와 금속 구조체(190) 사이를 밀착시키는 역활 이외에는, 상하측으로 위치되는 금속 구조체 사이의 틈새에 물 또는 습기가 쉽게 침투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구조체(190) 전방으로 결로 및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설되는 차수막(180)은, 상기 연결 고정구와 구조체의 결합을 위하여 부분적으로 시공 부착함에 따라, 결로현상 및 열 손실을 제대로 방지하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건축 외장재를 고정 패스너등을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는 구조체의 전방에 착설된 섬유 보강 시멘트 압출판으로 구성되는 하드 보드 표면에 차수막 시이트 및 연결 시이트를 부착하여, 물 및 습기등을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며, 건축 구조체 내부의 결로현상을 및 열 손실을 미연에 예방하면서, 내구성을 가일층 강화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건축 구조체 전방에 차수막의 시공 후 건축 외장재의 시공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여, 석재등의 건축 외장재를 손쉽고, 용이하게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는 건축 구조체의 하드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건축 외장재의 패스너 결합홈내부에 고정용 패스너의 절곡부가 각각 내삽되어 고정되며, 상기 건축 외장재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의 수평방향 단부는, 내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된 연결 고정구와 결합볼로서 결합 고정토록 되고, 상기 연결 고정구의 후방 단부인 수직 결합편은 하드 보드로 구성되는 차수막을 개재하여 건축 구조체와 결합볼트로서 밀착 고정토록 설치되는 건축 구조체의 하드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에 있어서,
섬유보강 시멘트 압출판으로 형성되어 차수막 역할을 수행하는 하드 보드의 표면에는 차수막 시이트가 착설되며, 이때 상기 차수막 시이트는 일정 두께의 부틸 시이트와 상기 부틸 시이트 상측으로 착설되는 섬유조직이 보강된 알루미늄 호일로 구성되고, 상기 건축 구조체의 하드 보드와 하드 보드를 연결토록 상기 차수막 시이트의 연결부에는 물과 습기등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한 일정두께의 연질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시이트로 구성되는 연결 시이트가 착설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체의 하드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드 보드의 표면에 착설되는 차수막 시이트는, 0.3 ~0.7mm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차수막 시이트의 연결부에 착설되는 연질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시이트로 구성되는 연결 시이트는 1 ~ 2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구조체의 하드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정단면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금속 구조체 전방으로 착설되는 차수막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하드 보드용 차수막의 요부 결합상태도로서 도 1의 동일 부분에 동일부호로 연계하여 설명하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건축 외장재(110)의 상측 및 하측 패스너 결합홈(120) 내부에 고정용 패스너(130)의 절곡부(131)가 내삽되어 고정되며, 이때 상기 건축 외장재(11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130)의 수평방향 단부는 연결 고정구(150)의 결합홈(140) 내측에 내삽되어 결합볼트(160)로서 일체로 결합 고정토록 되고,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후방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 결합편(170)은 차수막(180)을 개재하여 건축 구조체(190)와 결합볼트(200)로서 밀착 고정토록 설치된다.
또한, 섬유보강 시멘트 압출판으로 형성되어 차수막(180) 역할을 수행하는 하드 보드(210)의 표면에는 차수막 시이트(240)가 착설되며, 이때 상기 차수막 시이트(240)는 일정 두께의 부틸 시이트(220)와 상기 부틸 시이트(220) 상측으로 착설되는 섬유조직이 보강된 알루미늄 호일(230)로 구성되고, 상기 건축 구조체(190)의 하드 보드(210)와 하드 보드(210')를 연결토록 상기 차수막 시이트(240)의 연결부(250) 사이에는 물과 습기등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하여, 일정두께의 연질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시이트로 구성되는 연결 시이트(260)가 상기 연결부(250) 사이의 틈새에 절곡 형성되어 착설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드 보드(210)의 표면에 착설되는 차수막 시이트(240)는, 0.3 ~0.7mm의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차수막 시이트(240)의 연결부(250) 사이에 착설되는 연질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시이트로 구성되는 연결 시이트(260)는 1 ~ 2mm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석재등과 같은 취성이 강한 소재의 건축 외장재(110)를 고층건물의 구조체(190)에 차수막(180)을 개재하여 부착 고정시킬 경우에는, 상기 수직으로 설치되는 건축 외장재(110)에 패스너 결합홈(120)이 형성되는 상태에서, 상기 패스너 결합홈(120) 내측에는 90도의 각도로 절곡 형성되는 고정용 패스너(130)의 절곡부(131)가 내삽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용 패스너(130)는 그 후방에 수평방향으로 연설되는 연결부가 연결 고정구(15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결합홈(140) 내측에 긴밀하게 삽입되어 결합볼트(160)로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 고정구(150)는 그 후방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 결합편(170)이 차수막(180)을 개재하여 금속재로 구성되는 건축 구조체(190)와 결합 볼트(200)로서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수직 결합편(170)을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금속재로 구성되는 건축 구조체(190)의 전방에 착설되는 차수막(180)은 도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수막(180) 역할을 수행하는 하드 보드(210)가 섬유보강 시멘트 압출판으로 형성되어 그 표면으로 차수막 시이트(240)가 착설되며, 이때 상기 차수막 시이트(240)는 일정 두께의 부틸 시이트(220)와, 상기 부틸 시이트(220) 상측으로 착설되는 섬유조직이 보강된 알루미늄 호일(230)로 구성 됨으로써, 건축 구조체 내부의 결로현상을 및 열 손실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수막 시이트(240)는, 그 두께가 0.3 ~0.7mm로 형성되며, 상기 차수막 시이트(240)의 두께가 0.3mm이하일 경우에는 하드 보드(210) 표면에 부착시 쉽게 차수막 시이트(240)의 크랙등이 발생하고, 상기 차수막 시이트(240)로 구성되어 접착 역할을 수행하는 부틸 시이트(220) 자체의 접착력이 약하게 되어, 그 상측에 착설되는 알루미늄 호일이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차수막 시이트(240)의 두께가 0.7mm이상일 경우에는, 차수막 시이트(240)로 구성되어 접착 역할을 수행하는 부틸 시이트(220)의 두꺼운 두께에 의해 접착력이 우수하게 되는 반면에, 그 상측에 착설되는 알루미늄 호일의 주연부로 부틸 시이트가 퍼지게 되어 후가공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차수막 시이트(240)의 두께가 0.3 ~0.7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건축 구조체(190)의 하드 보드(210)와 하드 보드(210') 사이의 틈새를 연결하도록 상기 차수막 시이트(240)의 연결부(250) 사이에는 물과 습기등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하여, 일정두께의 연질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시이트 로 구성되는 연결 시이트(260)가 상기 연결부(250) 사이의 틈새에 절곡되는 상태로 착설된다.
상기 차수막 시이트(240)의 연결부(250) 사이에 착설되는 연질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시이트로 구성되는 연결 시이트(260)는, 1 ~ 2mm의 두께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연결 시이트(260)의 두께가 1mm 이하일 경우에는 차수막 시이트(240)의 연결부(250)에 부착된 연결 시이트(260)가 쉽게 박리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상기 연결 시이트(260)의 두께가 2mm 이상일 경우 너무 두꺼운 두께에 의해 시공성이 어렵고, 고가의 연질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시이트의 특성상 경제적으로 부담이 가중되는데 기인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 시이트(260)가 상기 연결부(250) 사이의 틈새에 절곡되는 상태로 착설됨으로써, 상하측으로 설치되는 건축 구조체(190)의 상하 위치조절에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건축 구조체의 하드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에 의하면, 건축 외장재를 고정 패스너등을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는 구조체의 전방에 착설된 섬유 보강 시멘트 압출판으로 구성되는 하드 보드 표면에 차수막 시이트 및 연결 시이트를 부착하여, 물 및 습기등을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며, 건축 구조체 내부의 결로현상을 및 열 손실을 미연에 예방하면서, 내구성을 가일층 강화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건축 구조체 전방에 차수막의 시공 후 건축 외장재의 시공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여, 석재등의 건축 외장재를 손쉽고, 용이하게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3)

  1.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건축 외장재(110)의 상측 및 하측 패스너 결합홈(120) 내부에 고정용 패스너(130)의 절곡부(131)가 내삽되어 고정되며, 이때 상기 건축 외장재(11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130)의 수평방향 단부는 연결 고정구(150)의 결합홈(140) 내측에 내삽되어 결합볼트(160)로서 일체로 결합 고정토록 되고, 상기 연결 고정구(150)의 후방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 결합편(170)은 차수막(180)을 개재하여 건축 구조체(190)와 결합볼트(200)로서 밀착 고정토록 설치되는 건축 구조체의 하드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에 있어서,
    섬유보강 시멘트 압출판으로 형성되어 차수막(180) 역할을 수행하는 하드 보드(210)의 표면에는 차수막 시이트(240)가 착설되며, 이때 상기 차수막 시이트(240)는 일정 두께의 부틸 시이트(220)와 상기 부틸 시이트(220) 상측으로 착설되는 섬유조직이 보강된 알루미늄 호일(230)로 구성되고, 상기 건축 구조체(190)의 하드 보드(210)와 하드 보드(210')를 연결토록 상기 차수막 시이트(240)의 연결부(250) 사이에는 물과 습기등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하여, 일정두께의 연질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시이트로 구성되는 연결 시이트(260)가 상기 연결부(250) 사이의 틈새에 절곡 형성되어 착설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체의 하드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보드(210)의 표면에 착설되는 차수막 시이트(240)는, 0.3 ~0.7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체의 하드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막 시이트(240)의 연결부(250) 사이에 착설되는 연질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시이트로 구성되는 연결 시이트(260)는, 1 ~ 2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체의 하드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
KR1020070026243A 2007-03-16 2007-03-16 건축 구조체의 하드 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 KR100840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243A KR100840344B1 (ko) 2007-03-16 2007-03-16 건축 구조체의 하드 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243A KR100840344B1 (ko) 2007-03-16 2007-03-16 건축 구조체의 하드 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344B1 true KR100840344B1 (ko) 2008-06-20

Family

ID=39772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243A KR100840344B1 (ko) 2007-03-16 2007-03-16 건축 구조체의 하드 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9496A (zh) * 2022-05-16 2022-07-29 福建小兔快装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竹木纤维墙板连接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032Y1 (ko) * 1983-02-10 1987-03-20 채이순 차수용(遮水用)매트
KR870001035Y1 (ko) * 1983-02-12 1987-03-20 채이순 차수용(遮水用) 매트
KR20020036927A (ko) * 2000-11-11 2002-05-17 정용주 외벽 오픈조인트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0093875A (ko) * 2003-04-30 2004-11-09 대웅석재 주식회사 건축 외장재의 부착 시공방법
KR20050111990A (ko) * 2004-05-24 2005-11-29 지영화 건축 외장재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032Y1 (ko) * 1983-02-10 1987-03-20 채이순 차수용(遮水用)매트
KR870001035Y1 (ko) * 1983-02-12 1987-03-20 채이순 차수용(遮水用) 매트
KR20020036927A (ko) * 2000-11-11 2002-05-17 정용주 외벽 오픈조인트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0093875A (ko) * 2003-04-30 2004-11-09 대웅석재 주식회사 건축 외장재의 부착 시공방법
KR20050111990A (ko) * 2004-05-24 2005-11-29 지영화 건축 외장재 조립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9496A (zh) * 2022-05-16 2022-07-29 福建小兔快装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竹木纤维墙板连接结构
CN114809496B (zh) * 2022-05-16 2024-02-20 福建小兔快装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式竹木纤维墙板连接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74196A1 (en) Top of wall ventilation screed device and assembly
EP0856614A1 (en) Drainage track
CA2597186A1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TWM353257U (en) Water baffle
JP5080191B2 (ja) 外壁施工構造
KR100840344B1 (ko) 건축 구조체의 하드 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
KR20190134150A (ko) 폴리카보네이트 패널용 방수 커넥터
JP4962772B2 (ja) 壁面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前記取付構造に使用する壁面パネルと軟質部材
JP2011231506A (ja) 二重窓
US10982431B2 (en) Drainage channel for use in a building wall
KR101084404B1 (ko) 방수 처리용 건축 내외장 판넬 및 그 시공 방법
RU2626980C2 (ru) Фасадная система и угловой элемент для такой системы
KR20200087498A (ko) 건축 구조물용 모서리 마감부재
KR20120140283A (ko) 욕실용 덕트마감재
JP5080190B2 (ja) 外壁施工構造
JP5659034B2 (ja) 屋根構造
KR20120140284A (ko) 욕실용 덕트마감재의 시공방법
CN210117817U (zh) 一种建筑外墙体的保温结构
JP7296307B2 (ja) 化粧部材
EP2775067B1 (en) Jamb facing profile
JP2008057260A (ja) 目地の防水構造
JP4864800B2 (ja) 外装材付き壁パネル
JP4678332B2 (ja) 外壁パネル
KR101192306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JPH07113306A (ja) 縦目地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