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3875A - 건축 외장재의 부착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외장재의 부착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3875A
KR20040093875A KR1020030027734A KR20030027734A KR20040093875A KR 20040093875 A KR20040093875 A KR 20040093875A KR 1020030027734 A KR1020030027734 A KR 1020030027734A KR 20030027734 A KR20030027734 A KR 20030027734A KR 20040093875 A KR20040093875 A KR 20040093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exterior
fixing
building
exterior member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5196B1 (ko
Inventor
지영화
Original Assignee
대웅석재 주식회사
지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웅석재 주식회사, 지영화 filed Critical 대웅석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7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196B1/ko
Publication of KR20040093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joint fil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석재등과 같은 건축 외장재의 줄눈 메움용으로 사용되는 실란트의 자체 오염과 노화로 인한 누수 및 결로현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외장재를 용이하게 부착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외장재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방지시켜 고층 건물의 외장적 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하며, 상기 건축 외장재의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한 건축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석재등과 같은 소재의 건축 외장재의 배면으로 일정깊이의 고정구 결합홀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 결합홀 내에 에폭시 수지의 충진과 동시에 매립용 고정구의 일단부를 삽입하여, 상기 에폭시 수지의 경화에 의해 매립용 고정구를 고정시키며, 상기 건축 외장재의 배면에 매립용 고정구의 일단부 경화가 완료되면, 상기 매립용 고정구와 건축 외장재 배면 사이에 일정한 틈새를 확보할 수 있도록 너트를 체결한 후, 상기 매립용 고정구가 고정된 건축 외장재의 배면의 고정 위치 주변의 일정면적에 구조용 실란트를 일정두께 도포하고, 상기 건축 외장재의 배면에 일단부가 매립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설되는 매립용 고정구는 고정용 패스너의 일면(一面)과 결합너트를 이용하여 결합 고정되며, 이때 상기 고정용 패스너의 일면은 상기 건축 외장재의 배면 결합부위에 도포된 구조용 실란트와 밀착 결합되어 부착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고정용 스패너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홈내에 연결 금속구의 결합편이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연결 금속구의 일측면에형성되는 볼트 관통홀을 통해 결합볼트로서 차수막이 형성되는 금속 구조물과 연결 금속구를 결합하여 건축 외장재를 금속 구조물에 결합하며, 상기 연결 금속구와 결합되는 금속 구조물과, 방습막이 형성된 벽체 사이의 틈새에는 단열을 위한 단열재를 착설하 것이다.

Description

건축 외장재의 부착 시공방법{A Method for Build in Outer Wall Ornamental}
본 발명은 고층건물에 취부되는 석재(石材)등과 같은 소재의 건축 외장재를 고정용 패스너(Fastener) 및 구조용 실란트(Sealant)를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부착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외장재에 가해지는 동하중(動荷重) 및 정하중(靜荷重)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한 건축 외장재의 부착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석재등과 같은 소재의 건축 외장재의 배면으로 매립 고정구를 매립 및 소정두께의 구조용 실란트를 착설하고, 상기 외장재의 배면으로 연설된 매립용 고정구 일단부를 통해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를 연결 설치하여 상기 구조용 실란트에 부착 고정시키며, 상기 고정용 패스너는 연결 금속구를 통해 차수막이 설치된 금속 구조물에 간격 조절용 패드를 개재하여 결합볼트로 결합 고정시키며, 상기 금속 구조물과 방습막이 형성된 벽체 사이의 틈새에는 단열을 위한 단열재를 착설 시킴으로 인하여, 종래 석재등과 같은 건축 외장재의 줄눈 메움용으로 사용되는 실란트의 자체 오염과 노화로 인한 누수 및 결로현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외장재를 용이하게 부착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외장재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방지시켜 고층 건물의 외장적 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하며, 상기 건축 외장재의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한 건축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고층 건축물에 사용되는 건축 외장재의 부착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건축 외장용 석재(40)의 배면 상부 및 하부에 고정홈(41)을 횡설한 후, 상기 석재(40)의 배면에 형성되는 고정홈(41)에 상,하로 분리되는 석재 지지용 금속구(10)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상하측 석재 지지용 금속구(10)의 일단부에는 그립부(11)가 각각 절곡되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41)에 삽입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상,하측 석재 지지용 금속구(10)는, 다수의 체결볼트(20)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상기 건축 외장용 석재(40)를 고정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석재 지지용 금속구(10) 하측에는 금속 지지구(3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편(31)을 삽입하여, 상기 상기 석재 지지용 금속구(10)와 금속 지지구(30)를 연결한 후, 상기 금속 지지구(30)의 타측면을 건축 구조물의 벽면에 밀착시켜 결합볼트(50)로 결합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건축 외장용 석재(40)가 건축 구조물의 벽면에 부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건축 외장용 석재(40) 사이의 틈새인 줄눈(60)에는 줄눈 사이에 노출되는 석재 지지용 금속구(10)의 노출에 따른 미감 저하 및 외부로 부터의 우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마감재로서 실리콘 등을 착설하여 건축 외장용 석재(40)의부착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석재등과 같은 건축 외장재의 줄눈 메움용으로 사용되는 실리콘등은, 외부의 온도 및 우수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오염 및 노화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인한 누수 및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고층건물의 외장적 가치를 크게 저하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같은 종래의 건축 외장재의 부착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건축 외장용 석재(40)의 배면 상하측으로 별도의 고정홈(41)을 횡설함으로써, 석재의 가공이 어렵고, 특히상기 고정홈(41)에 삽입되는 석재 지지용 금속구(10)의 그립부(11)가 정밀하게 삽입되어 건축 외장용 석재를 석재 지지용 금속구에 고정시키기가 극히 어렵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건축 외장용 석재의 부착 시공이 어렵게 됨은 물론, 상기 건축 외장용 석재의 보수 및 교체가 극히 어렵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석재등과 같은 건축 외장재의 줄눈 메움용으로 사용되는 실란트의 자체 오염과 노화로 인한 누수 및 결로현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외장재를 용이하게 부착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외장재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방지시켜 고층 건물의 외장적 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하며, 상기 건축 외장재의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상기 외장재에 가해지는동하중(動荷重) 및 정하중(靜荷重)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건축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층 건축물에 사용되는 건축 외장재의 부착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건축 외장용 석재의 결합상태 단면 구조도.
도 2(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인 건축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을 통해 건축 외장재가 금속 구조물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상태 단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금속 구조물 110...건축 외장재
111...고정구 결합홀 120...구조용 실란트
130...에폭시 수지 140...매립용 고정구
150...결합너트 160...고정용 패스너
170...결합홈 180...연결 금속구
181...결합편 182...볼트 관통홀
190...결합볼트 200...벽체
210...우수 제거용 플레이트 211...스크류
220...차수막 230...방습막
240...단열재 250...간격 조절용 패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건축 외장재의 부착 시공방법에 있어서,
석재등과 같은 소재의 건축 외장재의 배면으로 고정위치의 설정 및 상기 고정위치에 일정깊이의 고정구 결합홀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 결합홀 내부의 분진을 제거한 후, 상기 고정구 결합홀 내에 에폭시 수지의 충진과 동시에 매립용 고정구의 일단부를 삽입하여, 상기 에폭시 수지의 경화에 의해 매립용 고정구를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건축 외장재의 배면에 매립용 고정구의 일단부 경화가 완료되면, 상기 매립용 고정구와 건축 외장재 배면 사이에 일정한 틈새를 확보할 수 있도록 너트를 체결한 후, 상기 매립용 고정구가 고정된 건축 외장재의 배면의 고정 위치 주변의 일정면적에 구조용 실란트를 일정두께 도포하는 구조용 실란트 도포단계;
상기 건축 외장재의 배면에 일단부가 매립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설되는 매립용 고정구는 고정용 패스너의 일면(一面)과 결합너트를 이용하여 결합 고정되며, 이때 상기 고정용 패스너의 일면은 상기 건축 외장재의 배면 결합부위에 도포된 구조용 실란트와 밀착 결합되어 부착되도록 하는 고정용 스패너 부착단계;
상기 고정용 스패너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홈내에 연결 금속구의 결합편이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연결 금속구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볼트 관통홀을 통해 결합볼트로서 차수막이 형성되는 금속 구조물과 연결 금속구를 결합하여 건축 외장재를 금속 구조물에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금속구와 결합되는 금속 구조물과, 방습막이 형성된 벽체 사이의 틈새에는 단열을 위한 단열재를 착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을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 금속구와 결합볼트로서 결합되는 금속 구조물 사이에는 간격 조절용 패드를 다수개 착설하여, 상기 결합볼트로서 일체로 결합 고정시켜, 상기 연결 금속구와 금속 구조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건축 외장재를 지지 고정하여 금속 구조물에 결합시키는 연결 금속구의 양측 결합편 사이에는, 단면이 ┘형상의 우수 제거용 플레이트를 스크류로서 체결하여, 상기 건축 외장재 사이의 줄눈으로 유입되는 우수가, 상기 우수 제거용 플레이트를 통해 금속 구조물로 유입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건축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을 통해 건축 외장재가 금속 구조물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상태 단면 구조도로서, 석재등과 같은 소재의 건축 외장재(110)의 배면으로 고정위치를 설정한 후, 상기 배면의 고정위치에 일정한 깊이(t)의 고정구 결합홀(111)을 드릴등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 결합홀(111) 내부의 분진을 진공 흡착기를 통해 제거한 다음, 상기 고정구 결합홀(111) 내부에는 에폭시 수지(130)를 충진함과 동시에 매립용 고정구(140)의 일단부를 삽입하여, 상기 에폭시 수지(130)의 경화에 의해 매립용 고정구(14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건축 외장재(110)의 배면으로 형성되는 고정구 결합홀(111)의 깊이(t)는, 상기 건축 외장재 두께(T)의 3/5정도의 깊이로 형성하여, 소재의 물성에 따른 강도약화 및 파손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건축 외장재(110)의 배면에 매립용 고정구(140)의 일단부 경화가 완료되면, 상기 매립용 고정구(140)와 건축 외장재(110) 배면 사이에 일정한 틈새를 확보할 수 있도록 너트(141)를 체결한 후, 상기 매립용 고정구(140)가 고정된 건축 외장재(110)의 배면의 고정 위치 주변의 일정면적에 구조용 실란트(120)를 일정두께 도포하며, 이때 상기 건축 외장재(110)의 배면에 고정된 매립용 고정구(140)의 고정위치에 도포되는 구조용 실란트(120)는, 상기 매립용 고정구에 체결되는 너트(141)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도포되도록 하여, 상기 구조용 실란트의 경화시, 너트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건축 외장재(110)의 배면에 일단부가 매립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설되는 매립용 고정구(140)는 고정용 패스너(160)의 일면(一面)과 결합너트(150)를 이용하여 결합 고정시키며, 이때 상기 고정용 패스너(160)의 일면은 상기 건축 외장재의배면 결합부위에 도포된 구조용 실란트(120)와 밀착 결합되어 일체로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한다.(도 2a 참조)
계속해서, 상기 고정용 패스너(160)의 일면이 건축 외장재(110) 배면의 결합부위에 도포된 구조용 실란트(120)와 밀착 결합되어 부착이 완료되면, 상기 고정용 패스너(160)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홈(170) 내부에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같은 연결 금속구(180)의 결합편(181)을 슬라이드식으로 밀어넣어 상기 고정용 패스너(160)에 연결 금속구(180)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 고정시키게 되어, 상기 건축 외장재(110)의 보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 금속구(18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볼트 관통홀(182)을 통해 결합볼트(190)로서 차수막(220)이 형성되는 금속 구조물(100)과 상기 연결 금속구(180)를 결합하여 건축 외장재(110)를 금속 구조물(10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건축 외장재(110)를 금속 구조물(100)에 지지하여 고정하는 연결 금속구(180)는, 그 양측 결합편(181) 사이에 단면이 ┘형상의 우수 제거용 플레이트(210)를 스크류(211)로서 체결시킴으로 인하여, 상기 건축 외장재(110) 사이의 줄눈으로 유입되는 우수가, 상기 우수 제거용 플레이트(210)를 통해 금속 구조물(100)로 유입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토록 되어 상기 줄눈 사이에 별도의 실일용 실란트를 충진시킬 필요가 없도록 한다.
다른 한편, 상기 연결 금속구(180)와 결합되는 금속 구조물(100)과, 그 배면으로 방습막(230)이 형성된 벽체(200) 사이의 틈새에는 단열을 위한 단열재(240)를착설시켜, 방습 및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연결 금속구(180)와 결합볼트(190)로서 결합되는 금속 구조물(100) 사이에는 한쪽이 개구된 말발굽 형상의 간격 조절용 패드(250)를 다수개 착설시킨 후, 상기 결합볼트(190)로서 일체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금속구(180)와 금속 구조물(100) 사이의 쐐기 역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건축 외장재(110)는, 이를 지지 고정하는 고정용 패스너(160)가, 구조용 실란트(120) 및 매립용 고정구(140)에 의해 가일층 견고하게 고정되어 정하중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고정용 패스너(160)는 금속 구조물(100)과 결합되는 연결 금속구(180)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어, 동하중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건축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에 의하면, 석재등과 같은 건축 외장재의 줄눈 메움용으로 사용되는 실란트의 자체 오염과 노화로 인한 누수 및 결로현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되면서도, 상기 외장재를 손쉽고, 용이하게 부착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외장재의 오염을 원천적으로 방지시켜 고층 건물의 외장적 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하며, 상기 건축 외장재의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상기 외장재에 가해지는 동하중 및 정하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건축 외장재의 부착 시공방법에 있어서,
    석재등과 같은 소재의 건축 외장재의 배면으로 고정위치의 설정 및 상기 고정위치에 일정깊이의 고정구 결합홀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 결합홀 내부의 분진을 제거한 후, 상기 고정구 결합홀 내에 에폭시 수지의 충진과 동시에 매립용 고정구의 일단부를 삽입하여, 상기 에폭시 수지의 경화에 의해 매립용 고정구를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건축 외장재의 배면에 매립용 고정구의 일단부 경화가 완료되면, 상기 매립용 고정구와 건축 외장재 배면 사이에 일정한 틈새를 확보할 수 있도록 너트를 체결한 후, 상기 매립용 고정구가 고정된 건축 외장재의 배면의 고정 위치 주변의 일정면적에 구조용 실란트를 일정두께 도포하는 구조용 실란트 도포단계;
    상기 건축 외장재의 배면에 일단부가 매립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설되는 매립용 고정구는 고정용 패스너의 일면(一面)과 결합너트를 이용하여 결합 고정되며, 이때 상기 고정용 패스너의 일면은 상기 건축 외장재의 배면 결합부위에 도포된 구조용 실란트와 밀착 결합되어 부착되도록 하는 고정용 스패너 부착단계;
    상기 고정용 스패너 하부에 형성되는 결합홈내에 연결 금속구의 결합편이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연결 금속구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볼트 관통홀을 통해 결합볼트로서 차수막이 형성되는 금속 구조물과 연결 금속구를 결합하여 건축 외장재를 금속 구조물에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금속구와 결합되는 금속 구조물과, 방습막이 형성된 벽체 사이의 틈새에는 단열을 위한 단열재를 착설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외장재의 배면으로 형성되는 고정구 결합홀의 깊이(t)는, 상기 건축 외장재 두께(T)의 3/5정도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외장재의 배면에 고정된 매립용 고정구의 고정위치에 도포되는 구조용 실란트는, 상기 매립용 고정구에 체결되는 너트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도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금속구와 결합볼트로서 결합되는 금속 구조물 사이에는 간격 조절용 패드를 다수개 착설한 후, 상기 결합볼트로서 일체로 결합 고정시켜, 상기 연결 금속구와 금속 구조물 사이의 쐐기 역활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 외장재를 지지 고정하여 금속 구조물에 결합시키는 연결 금속구의 양측 결합편 사이에는, 단면이 ┘형상의 우수 제거용 플레이트를 스크류로서 체결하여, 상기 건축 외장재 사이의 줄눈으로 유입되는 우수가, 상기 우수 제거용 플레이트를 통해 금속 구조물로 유입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외장재 부착 시공방법.
KR10-2003-0027734A 2003-04-30 2003-04-30 건축 외장재의 부착 시공방법 KR100525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734A KR100525196B1 (ko) 2003-04-30 2003-04-30 건축 외장재의 부착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734A KR100525196B1 (ko) 2003-04-30 2003-04-30 건축 외장재의 부착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875A true KR20040093875A (ko) 2004-11-09
KR100525196B1 KR100525196B1 (ko) 2005-11-01

Family

ID=3737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734A KR100525196B1 (ko) 2003-04-30 2003-04-30 건축 외장재의 부착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19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223B1 (ko) * 2006-11-13 2007-10-01 주식회사 케이.알 교량 외장재 부착용 프레임의 진동흡수 및 밀림 방지장치
KR100840343B1 (ko) * 2007-03-16 2008-06-20 지영화 건축 외장재 상부 연결 고정장치
KR100840344B1 (ko) * 2007-03-16 2008-06-20 지영화 건축 구조체의 하드 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
KR100901005B1 (ko) * 2007-03-16 2009-06-04 지영화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조립장치
CN105971116A (zh) * 2016-06-29 2016-09-28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一种预制外墙板与柱连接装置
KR101701088B1 (ko) * 2016-05-23 2017-01-31 김재헌 습식공법용 건축물 외벽 마감패널의 시공부재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 시공방법
CN107299728A (zh) * 2017-06-29 2017-10-27 深圳市卓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水保温一体化板的施工方法
CN111485692A (zh) * 2020-04-26 2020-08-04 顺德职业技术学院 一种空心隔热隔音的快拆型装饰墙板
CN114960967A (zh) * 2022-05-26 2022-08-30 中建八局总承包建设有限公司 树脂丝杆连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738B1 (ko) * 2020-04-24 2020-12-23 정재근 건축 판넬용 고정 브라켓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223B1 (ko) * 2006-11-13 2007-10-01 주식회사 케이.알 교량 외장재 부착용 프레임의 진동흡수 및 밀림 방지장치
KR100840343B1 (ko) * 2007-03-16 2008-06-20 지영화 건축 외장재 상부 연결 고정장치
KR100840344B1 (ko) * 2007-03-16 2008-06-20 지영화 건축 구조체의 하드 보드용 차수막 연결 결합장치
KR100901005B1 (ko) * 2007-03-16 2009-06-04 지영화 건축 외장재 위치조정 및 조립장치
KR101701088B1 (ko) * 2016-05-23 2017-01-31 김재헌 습식공법용 건축물 외벽 마감패널의 시공부재 및 이를 이용한 마감패널 시공방법
CN105971116A (zh) * 2016-06-29 2016-09-28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一种预制外墙板与柱连接装置
CN107299728A (zh) * 2017-06-29 2017-10-27 深圳市卓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水保温一体化板的施工方法
CN111485692A (zh) * 2020-04-26 2020-08-04 顺德职业技术学院 一种空心隔热隔音的快拆型装饰墙板
CN114960967A (zh) * 2022-05-26 2022-08-30 中建八局总承包建设有限公司 树脂丝杆连接装置
CN114960967B (zh) * 2022-05-26 2023-08-11 中建八局总承包建设有限公司 树脂丝杆连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5196B1 (ko) 2005-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52394B2 (en) A support system for mounting building facade elements to a framework
US9995333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 component to a surface
KR100525196B1 (ko) 건축 외장재의 부착 시공방법
KR100751487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100609472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100525194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200421884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100525195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CN111851896B (zh) 一种建筑外墙的保温装饰烧结一体板施工方法
JP7157565B2 (ja) タイル剥落防止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タイル剥落防止工法
KR200421886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연결장치
CN107687239B (zh) 一体化外墙板安装结构及施工方法
KR100609471B1 (ko) 건축 외장재 조립장치
KR200358613Y1 (ko) 건축 외장재의 코너부 고정장치
KR200358615Y1 (ko) 건축 외장재 상부 고정장치
JP4258936B2 (ja) 改装窓
KR200421885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KR200320872Y1 (ko) 건축 외장재 연결 고정장치
KR100609475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JP3744832B2 (ja) 水路内面のライニング工法
KR100696616B1 (ko) 건축 외장재 상부 고정장치
KR200358614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20160012754A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CN220814314U (zh) 一种幕墙外墙变形缝处防水节点结构
CN217871452U (zh) 一种外墙上雨水管节点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