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440B1 - 차수판 - Google Patents

차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440B1
KR101567440B1 KR1020150056358A KR20150056358A KR101567440B1 KR 101567440 B1 KR101567440 B1 KR 101567440B1 KR 1020150056358 A KR1020150056358 A KR 1020150056358A KR 20150056358 A KR20150056358 A KR 20150056358A KR 101567440 B1 KR101567440 B1 KR 101567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wall
fastening
coupled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웅
Original Assignee
정진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웅 filed Critical 정진웅
Priority to KR1020150056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6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dverse conditions, e.g. extreme climate, pes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벽체 사이에 인입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좌우측단 및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와 벽체 사이의 공간과 상기 몸체와 바닥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패킹; 상기 몸체의 좌우측에 고정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한 쌍의 벽체 전방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장착프레임; 상기 몸체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프레임이 상기 벽체의 전방면에 압착되도록 상기 벽체를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을 이용하면, 수평방향으로 미는 방식으로 출입구에 설치되므로 착탈이 용이해지고, 보다 큰 힘으로 벽체에 압착되어 누수의 우려가 없어지며, 벽체에 별도의 지주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관이 미려해질 뿐만 아니라 통행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수판 {Waterproof plate equipment}
본 발명은 장마나 홍수 시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기 위한 차수판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지주 없이도 장착이 가능하여 착탈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외관이 미려해지는 차수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기상이변이 심해지면서 슈퍼태풍 및 국지성 집중호우로 자연재해 위험이 증가하고, 홍수량 증가로 도심지 저지대의 침수피해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는 주택난 해소와 서민 주거 확보를 위해 저소득층의 주거지에는 반지하 형태의 주택이 많이 공급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반지하 주택은 매년 장마철마다 침수에 무방비 상태로 놓이게 되고, 2010년에는 기습 폭우로 인해 수도권에서만 2만여 가구가 침수피해를 입기도 했다.
이는 지하 출입구를 통해 빗물이 흘러들어 지대가 낮은 지하층으로 고이기 때문인데, 임시방편으로 모래자루를 쌓아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기도 하나, 시간당 100mm정도의 집중적인 강수량을 보일 경우에 신속한 대처가 어렵고, 모래자루가 충분치 못해 대처에 많은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입구로 유입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수판이 제안된 바 있다.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차수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차수판이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종래의 차수판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가 마련되도록 이격 배열된 한 쌍의 벽체(10) 측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주(40)와, 평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폭방향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지주(40)에 삽입됨으로써 출입구를 차단하는 몸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20)의 좌우측 및 하단에는 패킹(30)이 구비되어 있는바, 물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수판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몸체(20)를 지주(40) 위로 들어 올린 후 아래로 내리면서 좌우측단을 지주(40)에 삽입시켜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몸체(20)는 폭이 수 미터에 이르며 금속으로 제작되는바, 중량이 매우 커서 여성이나 노약자가 장착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폭이 수 미터에 이르는 몸체(20)를 들어 아래로 내리는 과정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균형이 맞지 아니하는 경우 즉, 좌우측 높이가 동일하지 아니하는 경우, 몸체(20)가 한 쌍의 지주(40)에 장착되지 못하게 된다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차수판 사용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상기 몸체(20)를 탈거시켜 별도로 보관해 두는데, 상기 지주(40)는 차수판 사용 여부에 상관없이 항상 벽체(10)에 고정되어 있는바, 외관이 나빠질 뿐만 아니라 출입구를 지나는 사람이 지주(40)에 다리를 긁혀 상해를 입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64317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평방향으로 미는 방식으로 출입구에 설치되므로 착탈이 용이하고, 보다 큰 힘으로 벽체에 압착되어 누수의 우려가 없고, 벽체에 별도의 지주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관이 미려해질 뿐만 아니라 통행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는 차수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벽체 사이에 인입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좌우측단 및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와 벽체 사이의 공간과 상기 몸체와 바닥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패킹; 상기 몸체의 좌우측에 고정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한 쌍의 벽체 전방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장착프레임; 상기 몸체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프레임이 상기 벽체의 전방면에 압착되도록 상기 벽체를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몸체의 후방면 좌우측에 결합되되 일측이 후방으로 연장되는 체결브라켓과, 상기 체결브라켓 중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위에 나사결합되되 길이방향이 상기 벽체의 측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열되는 체결나사와, 상기 체결나사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벽체의 측면에 압착되는 가압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블록은, 상기 체결나사의 종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체결나사에 결합된다.
상기 체결나사와 평행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체결브라켓에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가압블록 내측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가압블록은 상기 체결나사 회전 시 상기 체결나사를 따라 회전은 불가하고 상기 가이드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방향 이동만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압블록은, 상기 벽체의 측면과 접촉되는 면에 밀착패드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나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블록이 상기 벽체의 측면을 가압하는 힘은, 상기 벽체의 측면과 직교하는 힘의 성분과, 전방을 향하는 힘의 성분과, 상측을 향하는 힘의 성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체결브라켓은 상기 몸체의 좌측단과 우측단을 각각 감싸도록 결합되되, 전방측이 상기 벽체의 전방면을 덮도록 연장되며, 상기 패킹 중 상기 벽체의 좌측단 및 우측단과 대응되는 부위는, 상기 체결브라켓 상에 결합된다.
상기 패킹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브라켓은, 상기 몸체의 후방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벽체의 측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는 이동브라켓으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이 접촉되는 면에는, 상기 이동브라켓이 상기 벽체의 측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지 아니하도록 제1 래칫과 제2 래칫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 중 상기 이동브라켓이 안착되는 면의 반대면에는 상기 이동브라켓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이동브라켓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관통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 내에 인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블록과, 상기 이동브라켓을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되 끝단이 상기 관통슬롯을 관통한 후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나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을 이용하면, 수평방향으로 미는 방식으로 출입구에 설치되므로 착탈이 용이해지고, 보다 큰 힘으로 벽체에 압착되어 누수의 우려가 없어지며, 벽체에 별도의 지주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관이 미려해질 뿐만 아니라 통행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차수판이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한 쌍의 벽체 사이에 장착된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의 후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이 한 쌍의 벽체에 장착되는 방향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에 포함되는 패킹이 벽체에 압착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가압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가압유닛이 벽체를 가압하는 형상을 도시하는 평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가압유닛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가압유닛 제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및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몸체의 사시도 및 수직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한 쌍의 벽체 사이에 장착된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의 후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이 한 쌍의 벽체에 장착되는 방향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에 포함되는 패킹이 벽체에 압착되는 형상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은 출입구가 형성되도록 상호 이격된 두 개의 벽체(10) 사이의 공간(더 명확하게는 출입구 공간)을 가로막도록 설치되어, 빗물 등이 상기 출입구를 통해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제수단의 일종으로서, 종래와 같이 벽체(10)에 별도의 지주를 설치하지 아니하더라도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은, 수직으로 세워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벽체(10) 사이에 인입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좌우측단 및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와 벽체(10) 사이의 공간과 상기 몸체(100)와 바닥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패킹(200)과, 상기 몸체(100)의 좌우측에 고정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한 쌍의 벽체(10) 전방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장착프레임(300)과, 상기 몸체(100)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프레임(300)이 상기 벽체(10)의 전방면에 압착되도록 상기 벽체(10)를 가압하는 가압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10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갖는 금속으로 제작되며, 중량대비 높은 굽힘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보강살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몸체(100)는 종래의 차수판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으로 두 벽체(10) 사이의 출입구를 막고자 하는 경우, 먼저 몸체(10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된 장착프레임(300)이 좌우측 벽체(10) 전방면에 접촉되도록 몸체(100)를 후방으로 민 후, 가압유닛(400)이 벽체(10)를 전방으로 밀도록 상기 가압유닛(400)을 조작한다. 이때 상기 벽체(10)는 항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바, 가압유닛(400)이 벽체(10)를 가압하더라도 상기 벽체(10)는 움직이지 아니하고, 상기 가압유닛(400)이 벽체(10)를 가압하는 힘의 반력으로 장착프레임(300)이 벽체(10)의 전방면에 압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프레임(300)이 벽체(10)의 전방면에 압착되면, 상기 장착프레임(300)이나 벽체(10)가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은 두 벽체(10) 사이의 공간을 가로지르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은 별도의 지주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하향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몸체(100)를 수평방향으로 미는 동작(더 명확하게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미는 동작)과 가압유닛(400)을 동작시키는 조작에 의해 벽체(10)에 장착되는바, 힘이 약한 노약자나 여성도 차수판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지주를 설치해 둘 필요가 없으므로, 차수판을 사용하지 아니할 때 벽체(10)의 외관이 깔끔해질 뿐만 아니라, 통행자의 신체가 상기 지주에 긁히는 상해가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에 포함되는 패킹(200)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상기 패킹(200)은 몸체(100)가 한 쌍의 벽체(10) 사이로 삽입될 때 벽체(10)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쉽게 변형될 수 있어야 하는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패킹(200)의 내부에 빈 공간이 마련되면 상기 패킹(200)이 보다 쉽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더욱 높은 밀폐력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체결브라켓(410)이 몸체(100)의 전방면 중 좌우측 끝단에만 결합되면, 상기 체결브라켓(410)이 벽체(10)에 압착되는 과정에서 체결브라켓(410)이 몸체(100)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체결브라켓(410)은 상기 몸체(100)의 좌측단과 우측단을 각각 감싸도록 결합되되, 전방측이 상기 벽체(10)의 전방면을 덮도록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브라켓(410)이 몸체(100)의 좌우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면, 가압유닛(400)이 벽체(10)를 미는 힘의 반력에 의해 체결브라켓(410)이 벽체(10)에 압착되더라도, 상기 체결브라켓(410)은 몸체(100)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패킹(200) 중 상기 벽체(10)의 좌측단 및 우측단과 대응되는 부위는, 상기 체결브라켓(410) 상에 안착되는 구조로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몸체(100) 중 장착프레임(300)이 결합되지 아니하는 하단에는, 상기 패킹(200)이 몸체(100)에 직접 결합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가압유닛(400)의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가압유닛(400)이 벽체(10)를 가압하는 형상을 도시하는 평면도 및 후면도이다.
한 쌍의 벽체(10) 중 상호 마주보는 측의 일면(이하 '벽체(10)의 측면'이라 약칭함)을 가압하는 상기 가압유닛(400)은, 상기 몸체(100)의 후방면 좌우측에 결합되되 일측이 후방으로 연장되는 체결브라켓(410)과, 상기 체결브라켓(410) 중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위에 나사결합되되 길이방향이 상기 벽체(10)의 측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열되는 체결나사(420)와, 상기 체결나사(420)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벽체(10)의 측면에 압착되는 가압블록(430)을 필수 구성요소로 구비한다.
사용자는 몸체(100)를 한 쌍의 벽체(10) 사이로 인입시킨 이후, 체결나사(420)의 손잡이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체결나사(420) 및 이에 결합된 가압블록(430)을 벽체(10)의 측면에 압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가압블록(430)이 벽체(10)의 측면에 압착되면 상기 가압블록(430)의 반력에 의해 상기 체결브라켓(410)이 벽체(10)의 전방면에 매우 큰 힘으로 고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나사(420)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가압블록(430)이 체결나사(420)를 따라 함께 회전하면, 가압블록(430) 중 벽체(10)의 측면에 밀착되는 부위가 지속적으로 바뀌는 현상 즉, 가압블록(430)이 벽체(10)의 측면에 안정적으로 압착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는바, 상기 가압블록(430)은 상기 체결나사(420)의 종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체결나사(420)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가압블록(430)과 체결나사(420)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면, 가압블록(430)이 벽체(10)의 내벽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체결나사(420)가 벽체(10)의 내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켜 상기 가압블록(430)을 벽체(10) 내벽에 가압시킬 수 있으므로, 가압블록(430)이 보다 효과적으로 벽체(10)의 내벽을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가압블록(430)이 체결나사(420)와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연결된다 하더라도, 상기 체결나사(420)의 회전에 의해 가압블록(430)이 일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은 상기 가압블록(430)의 회전을 강제적으로 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은, 상기 체결나사(420)와 평행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체결브라켓(410)에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가압블록(430) 내측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바(44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바(440)가 추가로 구비되면, 상기 가압블록(430)은 상기 가이드바(4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방향 이동만 할 수 있을 뿐, 상기 체결나사(420)를 따라 회전되는 현상을 전혀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체결나사(420)에 의해 가압블록(430)이 벽체(10)의 측면에 가압될 때 상기 가압블록(430)과 벽체(10)의 측면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되면 장착프레임(300)이 벽체(10)에 안정적으로 압착될 수 없으므로, 상기 가압블록(430) 중 벽체(10)의 측면과 접촉되는 면에는 밀착패드(43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나사(420)의 길이방향은 좌우 방향으로도 비스듬히 경사지고 상하방향으로도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체결나사(420)의 길이방향이 좌우 및 상하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배열되면, 상기 가압블록(430)이 상기 벽체(10)의 측면을 가압하는 힘에는, 상기 벽체(10)의 측면과 직교하는 힘의 성분과, 전방을 향하는 힘의 성분과, 상측을 향하는 힘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바, 상기 몸체(100)는 단순히 후방으로 밀리는 것이 아니라 하향으로도 밀리는바, 몸체(100)와 바닥면 사이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가압유닛(400)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및 저면사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가압유닛(400) 제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및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한 쌍의 벽체(10) 사이로 몸체(100)를 인입시켰을 때 가압블록(430)과 벽체(10)의 측면 사이의 거리가 매우 멀면, 상기 체결나사(420)를 수십 회에 걸쳐 회전시켜야 가압블록(430)을 벽체(10)의 측면에 압착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즉, 체결나사(420)의 회전수가 매우 적더라도 가압블록(430)이 벽체(10)의 측면에 압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브라켓(410)은, 상기 몸체(100)의 후방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브라켓(411)과, 상기 벽체(10)의 측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고정브라켓(411)에 결합되는 이동브라켓(415)으로 구분되고, 상기 체결나사(420)는 상기 이동브라켓(415)의 연장부(417)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몸체(100)가 한 쌍의 벽체(10) 사이로 삽입되었을 때, 가압블록(430)이 벽체(10)의 측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브라켓(415)을 최대한 이동시킨 후, 상기 체결나사(420)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압블록(430)을 벽체(10) 측면에 압착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체결나사(420)의 회전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차수판을 설치하고 해체하는데 소용되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가압블록(430)이 벽체(1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나사(420)를 회전시켰을 때 상기 가압블록(430)의 반력에 의해 이동브라켓(415)이 고정브라켓(411) 상에서 뒤로 밀릴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브라켓(415)은 벽체(10)의 내벽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는 고정브라켓(411) 상에서 슬라이딩이 매우 용이하지만, 벽체(10)의 내벽과 멀어지는 방향으로는 고정브라켓(411) 상에서 슬라이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브라켓(411)과 상기 이동브라켓(415)이 접촉되는 면에는, 상기 이동브라켓(415)이 상기 벽체(10)의 측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지 아니하도록 제1 래칫(412)과 제2 래칫(416)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411)에 형성된 제1 래칫(412)은 벽체(10)의 측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동브라켓(415)에 형성된 제2 래칫(416)은 벽체(10)의 측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는바, 상기 이동브라켓(415)은 벽체(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는 쉽게 밀리지 아니하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동브라켓(415)이 고정브라켓(411) 상에 압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브라켓(411) 중 상기 이동브라켓(415)이 안착되는 면의 반대면에는 상기 이동브라켓(415)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가이드홈(41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414)의 바닥면에는 상기 이동브라켓(415)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관통슬롯(413)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414) 내에 인입되어 상기 가이드홈(414)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블록(419)과, 상기 이동브라켓(415)을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되 끝단이 상기 관통슬롯(413)을 관통한 후 상기 슬라이드블록(419)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나사(418)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블록(419)과 결합나사(418)가 추가로 구비되면, 사용자는 상기 결합나사(418)를 일정 수준 풀어 놓음으로써 이동브라켓(415)을 쉽게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결합나사(418)가 끝까지 체결한 상태에서는 이동브라켓(415)이 쉽게 밀리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일방향으로만 쉽게 이동될 수 있고 반대방향으로는 쉽게 이동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래칫은, 이미 여러 분야에서 널리 상용화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몸체의 사시도 및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수판에 포함되는 몸체(100)는, 장착되는 구조물의 규격에 따라 높이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단위패널(110)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패널(110)은, 중량대비 높은 강도를 갖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패널구조 즉, 한 쌍의 세로판(112)과, 상기 한 쌍의 세로판(112) 상단을 덮는 상판(116)과, 상기 한 쌍의 세로판(112) 하단을 덮는 하판(118)으로 구성된다. 또한, 한 쌍의 세로판(112) 중단의 강도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한 쌍의 세로판(112)을 연결하는 보강판(114)이 추가될 수 있다.
한편, 이웃하는 두 개의 단위패널(110) 사이로 유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두 개의 단위패널(110) 사이(더 명확하게는 상측 단위패널(100)의 하판(118)과 하측 단위패널(100)의 상판(116) 사이)에 실리콘(12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판(116)과 하판(118)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판(116)과 실리콘(120) 사이 또는 하판(118)과 실리콘(120) 사이를 통해 물이 유출될 우려가 있는바, 상기 상판(116)과 하판(118)은 다수의 굴곡을 갖는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실리콘(120)은 상판(116)과 하판(118) 사이의 공간을 밀실하게 채우도록 장착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벽체 100 : 몸체
200 : 패킹 300 : 장착프레임
400 : 가압유닛 410 : 체결브라켓
411 : 고정브라켓 412 : 제1 래칫
413 : 관통슬롯 414 : 가이드홈
415 : 이동브라켓 416 : 제2 래칫
417 : 연장부 418 : 결합나사
419 : 슬라이드블록 420 : 체결나사
430 : 가압블록 432 : 밀착패드
440 : 가이드바

Claims (10)

  1. 수직으로 세워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벽체(10) 사이에 인입되는 몸체(100);
    상기 몸체(100)의 좌우측단 및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와 벽체(10) 사이의 공간과 상기 몸체(100)와 바닥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는 패킹(200);
    상기 몸체(100)의 좌우측에 고정 결합되며, 일측이 상기 한 쌍의 벽체(10) 전방면에 안착되는 한 쌍의 장착프레임(300);
    상기 몸체(100)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프레임(300)이 상기 벽체(10)의 전방면에 압착되도록 상기 벽체(10)를 가압하는 가압유닛(4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400)은,
    상기 몸체(100)의 후방면 좌우측에 결합되되 일측이 후방으로 연장되는 체결브라켓(410)과, 상기 체결브라켓(410) 중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위에 나사결합되되 길이방향이 상기 벽체(10)의 측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열되는 체결나사(420)와, 상기 체결나사(420)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벽체(10)의 측면에 압착되는 가압블록(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압블록(430)은, 상기 체결나사(420)의 종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한 구조로 상기 체결나사(4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판.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나사(420)와 평행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체결브라켓(410)에 결합되되 일단이 상기 가압블록(430) 내측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바(440)를 더 포함하여,
    상기 가압블록(430)은 상기 체결나사(420) 회전 시 상기 체결나사(420)를 따라 회전은 불가하고 상기 가이드바(4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방향 이동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판.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압블록(430)은, 상기 벽체(10)의 측면과 접촉되는 면에 밀착패드(4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판.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나사(4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압블록(430)이 상기 벽체(10)의 측면을 가압하는 힘은, 상기 벽체(10)의 측면과 직교하는 힘의 성분과, 전방을 향하는 힘의 성분과, 상측을 향하는 힘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판.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라켓(410)은, 상기 몸체(100)의 후방면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브라켓(411)과, 상기 벽체(10)의 측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고정브라켓(411)에 결합되는 이동브라켓(415)으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브라켓(411)과 상기 이동브라켓(415)이 접촉되는 면에는, 상기 이동브라켓(415)이 상기 벽체(10)의 측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리지 아니하도록 제1 래칫(412)과 제2 래칫(416)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411) 중 상기 이동브라켓(415)이 안착되는 면의 반대면에는 상기 이동브라켓(415)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가이드홈(41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414)의 바닥면에는 상기 이동브라켓(415)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관통슬롯(413)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414) 내에 인입되어 상기 가이드홈(414)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블록(419)과, 상기 이동브라켓(415)을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되 끝단이 상기 관통슬롯(413)을 관통한 후 상기 슬라이드블록(419)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나사(4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체결브라켓(410)은 상기 몸체(100)의 좌측단과 우측단을 각각 감싸도록 결합되되, 전방측이 상기 벽체(10)의 전방면을 덮도록 연장되며,
    상기 패킹(200) 중 상기 벽체(10)의 좌측단 및 우측단과 대응되는 부위는, 상기 체결브라켓(410) 상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킹(200)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판.
KR1020150056358A 2015-04-22 2015-04-22 차수판 KR101567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358A KR101567440B1 (ko) 2015-04-22 2015-04-22 차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358A KR101567440B1 (ko) 2015-04-22 2015-04-22 차수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440B1 true KR101567440B1 (ko) 2015-11-09

Family

ID=5460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358A KR101567440B1 (ko) 2015-04-22 2015-04-22 차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4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514B1 (ko) * 2023-12-29 2024-04-04 (주)코렌아트 차수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차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392B1 (ko) 2012-10-17 2013-05-22 오달성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적층식 차수장치
KR200469308Y1 (ko) 2013-04-19 2013-10-04 권대운 신속설치가 가능한 건축물 입구 우수유입 방지 물막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392B1 (ko) 2012-10-17 2013-05-22 오달성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 적층식 차수장치
KR200469308Y1 (ko) 2013-04-19 2013-10-04 권대운 신속설치가 가능한 건축물 입구 우수유입 방지 물막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514B1 (ko) * 2023-12-29 2024-04-04 (주)코렌아트 차수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차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74115B (zh) 包括面板夹紧装置的隔断墙系统
JP2016108897A (ja) 止水装置
KR101173304B1 (ko) 침수방지를 위한 건물 출입구용 물막이 장치
KR101567440B1 (ko) 차수판
CN106368167B (zh) 一种防洪组合式挡板机构
JP2016075133A (ja) 駐輪及び防水兼用器具
KR200469308Y1 (ko) 신속설치가 가능한 건축물 입구 우수유입 방지 물막이 장치
JP2011094432A (ja) 手摺
US20120305871A1 (en) Construction site fence panel foot boot
CN109629606B (zh) 一种安装稳定且具有防盗功能的市政道路井盖
KR101186612B1 (ko) 차수판
JP2009074238A (ja) 手摺り装置
CN210195084U (zh) 一种快捷简易安装的玻璃护栏
KR200489323Y1 (ko) 차수판 장치
GB2517550A (en) Flood barriers
US20030029099A1 (en) Telescopic type store
JP2015048676A (ja) 防水装置の止水板
US20210348406A1 (en) Basic unit, infrastructure facility and infrastructure system
KR102654514B1 (ko) 차수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차수장치
KR200254924Y1 (ko)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장치
KR20110083890A (ko)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패널의 결로수 배수구조와 그 시공방법
CN212336281U (zh) 一种一体化自动除臭预制提升泵站
CN103362259A (zh) 一种钢结构倒流式雨篷
CN216974718U (zh) 一种多功能安全工程梯
JP3827550B2 (ja) 路面埋設引上げ式防水パネ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