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890A -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패널의 결로수 배수구조와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패널의 결로수 배수구조와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3890A
KR20110083890A KR1020100003864A KR20100003864A KR20110083890A KR 20110083890 A KR20110083890 A KR 20110083890A KR 1020100003864 A KR1020100003864 A KR 1020100003864A KR 20100003864 A KR20100003864 A KR 20100003864A KR 20110083890 A KR20110083890 A KR 20110083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member
wall
panel
panel mounting
waterproof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산업
Priority to KR1020100003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3890A/ko
Publication of KR20110083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8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38Evacuating water from cavity walls, e.g. by using weep holes
    • E04B1/7046Evacuating water from cavity walls, e.g. by using weep holes using trays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에 형성된 결로수를 배수트렌치 등으로 유도하여 배출시키는 배수용 조립체를 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배수용 조립체는, 벽체에 고정된 패널장착용 바(bar); 상기 패널장착용 바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저면부가 바닥면에 접하도록 설치된 방수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돌을 쌓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방수턱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벽체용 방습패널의 하단부를 깔끔하게 마감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벽체용 방습패널 및 벽체에서 발생한 결로수를 벽체용 방습패널의 후방에서 수집하여 곧바로 배수트렌치 등으로 배출시키므로 결로수로 인한 바닥 오염이 방지되고 깨끗한 미관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패널의 결로수 배수구조와 그 시공방법 {Draining assembly for condensation water, draining structure of damp-proof wall pane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벽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결로수를 배출시키는 배수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벽체용 방습패널과 함께 사용되는 배수용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등의 지하층에 마감공사를 할 때는 기초 콘크리트 벽면에 방수처리를 함에도 불구하고, 차가운 온도로 인해 벽면에 결로수가 발생한다. 벽체에 결로수가 발생하면 마감자재를 설치하기가 곤란하고 시공품질에 대한 불신이 초래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현장에서는 결로수가 보이지 않도록 별도의 시설물을 설치한다.
종래에는 벽체의 내측에 방습용 블록을 축조하였으나 시공이 복잡하고 이로 인해 실내 면적이 좁아지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벽체 마감과 결로수 방지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의 방습패널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벽체용 방습패널은 등록실용신안 제300708 이 그 효시라고 할 수 있는데,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벽면에 고정된 베이스프레임에 별도의 커버패널을 부착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벽체용 방습패널(1)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따르면 양면이 관통된 격자 구조를 가지는 베이스프레임(10)과, 베이스프레임(10)의 일면에 결합하여 벽체와의 사이에 방습공간을 형성하는 커버패널(20)을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0)은 사각 링 형태의 테두리부재(11)와, 그 내부에 서로 직교로 배치된 다수의 가로살대(12)와 다수의 세로살대(13)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베이스프레임(10)에는 가로살대(12)와 세로 살대(13)에 의해, 또는 가로 살대(12), 세로 살대(13) 및 테두리부재(11)에 의해 구획되는 사각형(통상 정사각형)의 단위영역이 다수 개 형성된다.
각 단위영역의 중앙에는 컵형상의 받침부(16)가 배치되고, 받침부(16)는 상단 주연부에 연결된 다수의 연결살대(14)에 의해 가로살대(12), 세로살대(13) 및/또는 테두리부재(11)에 연결된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0)은 커버패널(20)을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결합공(18)을 가지며, 커버패널(20)은 결합공(18)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도면에는 보이지 않음)를 가진다.
이러한 벽체용 방습패널(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못을 이용하여 받침부(16)의 저면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한편 이러한 벽체용 방습패널(1)을 설치하더라도 차가운 벽면에는 결로수가 발생하게 되고, 벽체(50)의 크랙을 통해 침투수가 유입되는 경우도 빈번하므로 바닥에는 이러한 결로수나 침투수(이하, 편의상 ‘결로수’로 통칭하기로 한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트렌치(40)가 설치된다.
만일 배수트렌치(40)가 벽체용 방습패널의 직하부에 설치되어 있다면 결로수가 곧바로 배수트렌치(40)로 유입되므로 추가적인 배수장치는 필요 없다. 그런데 벽체용 방습패널(1)이 설치되는 대부분의 현장에서는 일정 간격마다 실내측으로 돌출된 기둥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으로부터 상당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수트렌치(4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결로수는 벽체(50)와 배수트렌치(40) 사이의 바닥면(30)을 따라 흘러내려가서 배수트렌치(40)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 바닥면에 곰팡이가 발생하거나 변색되어 미관을 크게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벽체용 방습패널(1)과 배수트렌치(40)의 사이에 벽돌로 소정 높이의 방수턱(미도시)을 축조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방법은 시공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재질의 방습패널과도 미관상의 조화를 이루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벽체용 방습패널이나 벽체에서 발생한 결로수를 배수트렌치 등으로 유도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설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벽체용 방습패널의 하단부에 대한 마감자재로서도 기능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벽체에 고정된 패널장착용 바(bar); 상기 패널장착용 바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저면부가 바닥면에 접하도록 설치된 방수턱부재를 포함하는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용 조립체는, 상기 방수턱부재에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방수턱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결로수를 수집하는 입구와 유입된 결로수를 배출하는 출구를 각각 구비하는 취수(取水)부재; 상기 취수부재의 상기 출구와 배수트렌치를 연결하는 배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용 조립체는, 상기 패널장착용 바에 상기 방수턱부재를 결합시키는 바(bar)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 결합부재는 상기 패널장착용 바에 결합되는 제1결합수단과 상기 방수턱부재에 결합되는 제2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용 조립체는, 상기 패널장착용 바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패널장착공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턱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바 결합부재의 상기 제1결합수단은 상기 방수턱부재의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수단은 상기 패널장착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벽돌을 쌓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방수턱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벽체용 방습패널의 하단부를 깔끔하게 마감처리할 수 있다.
또한 벽체용 방습패널 및 벽체에서 발생한 결로수가 벽체용 방습패널의 후방에서 수집되어 배수트렌치 등을 통해 배출되므로 결로수로 인한 오염이 방지되고 깨끗한 미관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벽체용 방습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벽체용 방습패널의 설치 단면도
도 3은 패널장착용 바를 이용하여 벽체용 방습패널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패널장착용 바의 사시도
도 5는 패널장착용 바를 이용하여 벽체용 방습패널을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조립체(100)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및 정면도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조립체(100)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은 바 결합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취수부재의 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조립체(100)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
도 14는 방수턱부재가 2개의 부재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5는 2개의 부재로 구성된 방수턱부재를 다수 조립한 모습을 예시한 도면
도 16은 최하층과 상부층의 서로 다른 배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조립체는 벽체용 방습패널을 벽체에 직접 부착하는 경우(도 1 및 도 2 참조)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본 출원인이 고안한 벽체용 방습패널 시공방법과 함께 사용되는 것이므로 먼저 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9-77530호 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장착용 바(60)를 벽체(50)의 세로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벽체용 방습패널을 구성하는 커버패널 또는 베이스프레임을 패널장착용 바(60)에 결합함으로써 시공편의성을 높이고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벽체용 방습패널의 설치 공법을 소개한 바 있다.
도 4는 상기 패널장착용 바(60)를 나타낸 것으로서, 대략 사각의 관 형상을 가지는 바디(61)와, 상기 바디(61)의 상면(설치시에 실내를 향하는 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패널장착공(66,67)을포함한다.
패널장착공(66,67)은 벽체용 방습패널의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부분이며, 바디(61)의 측면에는 높이조절장치(도 5의 300참조)의 고정부재와 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톱니(6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패널장착용 바(60)는 도 5의 평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조절부재(300)에 의해 벽체(50)에 대해 고정되며, 패널장착용 바(60)의 각 패널장착공(66,67)에 베이스프레임(210)의 결합돌기(250)가 삽입되고, 베이스프레임(210)에는 각 단위영역마다 커버패널(220)이 결합된다. 특별한 문양이 필요없는 부분에는 시공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베이스프레임(210)과 동일한 크기의 커버패널을 장착할 수도 있다.
높이조절장치(300)는 벽면에 고정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플레이트(312)를 구비하는 고정부재(310), 고정부재(3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압박부재(32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310)의 각 플레이트(312)는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에 패널장착용 바(60)의 톱니(68)와 치합하는 톱니부(314)를 구비한다.
압박부재(320)는 패널장착용 바(60)의 측면을 압박하는 고정부재(310)의 플레이트(312)에 내측 방향의 압력을 가하여 결합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압박부재(320)는 저면부(321)와, 저면부(321)에 대해 수직으로 연결되어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벽부(322)와, 2개의 측벽부(322)의 사이에 위치하며 저면부(321)와 측벽부(322)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의 저면부(321)에 형성되는 관통부(324)를 구비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벽체의 소정 위치에 높이조절장치(300)를 설치한 후에, 패널장착용 바(60)를 고정부재(310)의 대향하는 플레이트(312)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패널장착용 바(60)의 높이를 결정한 다음 압박부재(320)를 당겨올려서 압박부재(320)의 각 측벽부(322)가 플레이트(312)의 외측면을 강하게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패널장착용 바(60)를 평탄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전술한 방식으로 설치된 벽체용 방습패널(200)의 하단부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조립체(100)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조립체(100)는 패널장착용 바(6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벽체(50) 또는 방습패널(200)의 표면에서 발생한 결로수를 배수트렌치(40)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용 조립체(100)를 설치하면 도 7의 정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용 방습패널(200)의 하단부가 방수턱부재(110)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상기 배수용 조립체(100)는 벽체용 방습패널(200)의 마감자재로서의 역할도 하게 된다.
도 7에서 도면부호 210은 패널장착용 바(60)에 직접 결합된 베이스프레임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 220은 베이스프레임(210)에 결합되는 여러 형태(삼각, 또는 사각)의 커버패널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면부호 220’은 베이스프레임(210)과 동일한 평면크기를 가지며 패널장착용 바(60)에 직접 결합되는 대형 커버패널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조립체(100)는 도 8의 사시도와 도 9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용 방습패널(200)의 직하부에 위치하며 실내공간과 벽체(50)의 사이에서 방수턱으로 기능하는 방수턱부재(110), 방수턱부재(110)를 패널장착용 바(60)에 결합시키는 바(bar) 결합부재(120), 방수턱부재(110)의 배면(설치시 벽체를 향하는 면) 하단부에 결합되는 취수(取水)부재(130), 취수부재(130)와 배수트렌치(도 6의 40 참조)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방수턱부재(110)의 하부를 거쳐 전방으로 연장되는 배수관(140)을 포함한다. 배수관(140)을 배수트렌치(40)에 연결하기 위하여 배수관(140)의 단부에 트렌치연결부재(150)가 결합될 수도 있다.
방수턱부재(11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도 8에는 편의상 짧은 관(管) 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제로는 약 3m 정도의 길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기둥과 기둥 사이의 단위 시공벽면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다수 개를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방수턱부재(110)는 플라스틱 압출성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수턱부재(110)의 저면부는 이후에 통상 무근으로 타설되는 바닥면(30)에 밀착되거나 바닥면(30)의 내부로 일부 삽입된다. 또한 방수턱부재(110)의 정면부(실내를 향하는 면)는 벽체용 방습패널(200)의 하단부를 가려주어 마감자재의 역할도 한다.
바 결합부재(120)는 방수턱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방수턱부재(1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방수턱부재(110)가 임의 길이로 절단된 경우에도, 바 결합부재(120)가 방수턱부재(110)에 고정된 경우에 비해, 방수턱부재(110)를 패널장착용 바(60)에 보다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취수부재(130)도 방수턱부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방수턱부재(1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배수트렌치(40)의 연결부위에 따라 취수부재(130)를 적당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설치작업이 보다 편리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수턱부재(110)에는 바 결합부재(120)와 취수부재(130)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방수턱부재(110)에 길이방향을 따라 2개의 후크결합홈(112)을 형성하고, 상기 후크결합홈(112)에 바 결합부재(120)의 제1후크쌍(124)을 결합하였다. 또한 방수턱부재(110)에 길이방향을 따라 거치홈(114)을 형성하고, 상기 거치홈(114)에 취수부재(130)의 걸림돌기(132)를 결합하였다.
그런데 도시된 후크결합홈(112)과 제1후크쌍(124), 거치홈(114)과 걸림돌기(132)는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딩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예시한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 밖에도 슬라이딩 가능한 암수 결합수단이 다양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방수턱부재(110)에서 후크결합홈(112)과 거치홈(114)이 형성되는 위치는 바 결합부재(120)와 취수부재(130)의 구체적인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므로 도시된 부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수턱부재(110)는 단순히 사각의 단면을 가지는 관 형상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략 L 자 형의 단면을 가짐으로써 정면부의 높이가 배면부에 비해 더 높은 것을 사용한다. 즉, 방수턱부재(110)의 상면부의 전반부가 상부로 돌출되는데 상기 돌출부(116)가 벽체용 방습패널의 하단부를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돌출부(116)의 배면에 후크결합홈(11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 결합부재(1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바디(122), 상기 바디(122)의 일면에서 돌출되고 제1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한 제1후크쌍(124), 상기 바디(122)의 타면에서 돌출되고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한 제2후크쌍(126)을 포함한다. 바디(122)의 형상이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1후크쌍(124)과 제2후크쌍(126)이 각각 2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은 예시에 불과한 것이어서, 이를 대신하여 각각 1개의 후크 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더 많은 개수의 후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 결합부재(120)는 방수턱부재(110)의 돌출부(116)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후크쌍(124)은 방수턱부재(110)의 각 결합홈(112)에 결합되고, 제2후크쌍(126)은 패널장착용 바(60)의 각 패널장착공(도 4의 66, 67 참조)에 결합된다.
취수부재(130)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개구부(136,138)가 정면과 상면에 각각 형성된 본체(131), 본체(131)의 상면부에서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32)를 구비하며, 돌출부(132)의 상단부에는 하방으로 절곡된 고리 형태의 걸림돌기(134)가 형성된다. 걸림돌기(134)는 방수턱부재(110)의 거치홈(114)에 삽입되며, 이를 통해 취수부재(130)는 방수턱부재(110)에 대해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38)는 돌출부(132)의 후방에서 결로수가 유입되는 입구의 역할을 하고, 정면에 형성된 개구부(도 9의 136)는 유입된 결로수를 배수관(140)으로 배출시키는 출구의 역할을 한다.
취수부재(130)를 방수턱부재(11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취수부재(130)에 상기 걸림돌기(134) 이외에 다른 결합수단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2)의 전방에 소정 높이의 돌기(135)를 형성하고 방수턱부재(110)에 이에 대응하는 삽입홈(118)을 형성할 수도 있다.
취수부재(130)의 정면부는 배수관(140)의 일단에 삽입되며, 배수관(140)의 타단에는 트렌치연결부재(150)가 결합될 수 있다. 원활한 배수를 위해서는 배수관(140)은 트렌치쪽이 더 낮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조립체(100)가 벽체용 방습패널(200)과 함께 시공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조립체(100)의 시공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용 조립체(100)는 기초콘크리트층의 상부에 바닥면(도 6의 30)을 형성하기 위해 무근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기초콘크리트층의 상부에 방수액을 도포하고 바닥배수판을 설치한 다음, 배수트렌치(40)를 가설(假設)한 이후에 또는 배수트렌치(40) 가설공사와 동시에 본 발명의 배수용 조립체(4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배수용 조립체(100)는 패널장착용 바(60)에 결합되는 것이므로, 먼저 벽체(50)에 다수의 패널장착용 바(60)를 세로방향으로 설치해 두어야 하고, 이어서 패널장착용 바(60)의 하단부에 결합할 방수턱부재(110)의 개수를 결정하고 적당한 길이로 제단한 다음 각 방수턱부재(110)에 소정 개수의 바 결합부재(120)와 취수부재(130)를 결합한다.
이어서 바 결합부재(120)의 제2후크쌍(126)을 패널장착용 바(60)의 패널장착공(66,67)에 결합시키고, 방수턱부재(110)의 수평을 맞춘다. 이때 방수턱부재(110)의 저면은 기초콘크리트층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취수부재(130)에 배수관(140)을 연결하고, 방수턱부재(110)의 하부를 거쳐 전방으로 연장된 배수관(140)의 단부에 트렌치연결부재(150)를 결합한다. 트렌치연결부재(150)는 배수트렌치(40)의 측벽상단에 형성된 미도시된 삽입홈에 삽입된다. 이때 트렌치연결부재(150)의 단부는 트렌치(40)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그 단부가 적절히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수의 방수턱부재(110)를 연속으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 각 방수턱부재(110)의 경계면을 접착제 등으로 접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취수부재(130)의 상면 개구부(138)를 판재 등으로 임시로 밀봉하고, 무근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바닥면(30)의 높이는 방수턱부재(110)의 저면보다 약간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취수부재(130)의 상면 개구부(138)나 배수트렌치(40)의 측벽상단부의 높이와 일치하거나 그 보다 약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취수부재(130)와 배수관(140)은 바닥면(30)에 매설된 상태가 된다.
바닥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에는 취수부재(130)의 상면 개구부(138)를 개방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배수용 조립체(100)를 설치하고 나면, 벽체용 방습패널(200)을 설치한다. 이미 패널장착용 바(60)가 설치된 상태이므로 아래에서부터 패널장착용 바(60)에 베이스프레임(210) 및/또는 커버패널(220,220’)을 장착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용 방습패널(200)을 완성시킨다.
설치가 완료되면, 배수용 조립체(100)의 취수부재(130)에 구비된 상면 개구부(138)는 벽체용 방습패널(200)의 후방에서 결로수를 수집하는 역할을 하고, 수집된 결로수는 바닥면에 매립된 배수관(140) 및 트렌치연결부재(150)를 통해 배수트렌치(40)로 배출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는 벽체용 방습패널(200)과 그 하단부에 결합된 방수턱부재(110)만이 보이게 되므로 방수턱부재(110)는 벽체용 방습패널(200)의 마감자재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방수턱부재(110)는, 그 상면에 돌출부(116)를 구비하고, 돌출부(116)의 배면에 바 결합부재(120)가 장착되는 후크결합홈(112)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벽체(50)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방수턱부재(110)가 연속적으로 설치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접착제를 이용하여 각 방수턱부재(110)의 경계면을 접착하더라도 다른 연결수단이나 지지수단이 없어서 강한 접착력을 얻기는 어렵다.
이를 대비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턱부재(110)를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가 조립되는 구조로 제작할 수도 있다.
제1부재(110a)는 대략 사각 관 형상이며, 상면부에는 정면쪽을 치우친 위치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19a)이 형성된다. 제1부재(110a)의 배면 하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거치홈(114)을 형성한다. 상기 거치홈(114)에는 취수부재(130)의 걸림돌기(13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부재(110b)도 대략 사각 관 형상이며, 저면부에 상기 제1부재(110a)의 가이드홈(119a)에 삽입되는 삽입돌기(119b)가 형성되고, 배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바 결합부재(120)의 제1후크쌍(124)이 결합되는 후크결합홈(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부재(110a)의 가이드홈(119a)에 제2결합부재(110b)의 삽입돌기(119b)를 삽입하면, 그 측단면의 구조가 도 9에 도시된 방수턱부재(110)와 동일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홈(119a)과 삽입돌기(119b)는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수단이므로, 서로 반대쪽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것과 다른 형태의 암수 결합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를 조립하여 방수턱부재(110)를 형성하면, 다수의 제1부재(110a)와 다수의 제2부재(110b)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더라도 결합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제1부재(110a)를 연속하여 설치한 경우에는 제1부재(110a)의 상부에 다수의 제2부재(110b)도 동일한 길이로 장착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110a)의 결합면(A)과 제2부재(110b)의 결합면(B)이 서로 어긋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렇게 설치하면 제2부재(110b)는 인접한 2개의 제1부재(110a)에 대한 결합수단의 역할을 하게 되고, 제1부재(110a)는 인접한 2개의 제2부재(110b)에 대한 결합수단의 역할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설치하는 경우에도 결합강도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제1부재(110a)의 결합면(A)과 제2부재(110b)의 결합면(B)을 각각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배수용 조립체(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이 기초콘크리트층의 상부에 무근으로 타설되는 바닥면(30)에 매립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건물의 최하층의 바닥에만 무근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상부층에는 무근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방수턱 역할을 하는 방수턱부재(110)만을 패널장착용 바(60)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에는 최하층에는 전술한 배수용 조립체(100)가 설치되고, 그 상부층에는 패널장착용 바(60)에 방수턱부재(110)만이 장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물론 상부층에도 바닥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배수용 조립체(100)를 설치하면 된다. 어떤 경우이든지 방수턱부재(110)는 일체형일 수도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부재(110a)와 제2부재(110b)가 조립된 형태일 수도 있다.
상부층에서 패널장착용 바(60)의 하단부에 바 결합부재(120)를 이용하여 방수턱부재(110)만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방수턱부재(110)의 저면을 바닥면에 접촉시킨 후 누수방지를 위해 실리콘(94) 등으로 바닥면과의 경계부를 밀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방수턱부재(110)와 벽체(50)사이의 바닥면은 방수액을 도포하여 방수층(92)을 형성하고, 바닥에는 하부층의 벽체용 방습패널(200)의 뒷공간과 연통하는 관통홀을 다수 형성하여 통수관(80)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층의 벽체용 방습패널(200) 또는 벽체(50)에서 형성된 결로수는 통수관(80)을 통해 하부층의 벽체용 방습패널(200)의 뒷공간으로 유입되고, 이어서 배수용 조립체(100)의 취수부재(130)를 통해 배수트렌치(40)로 배수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60: 패널장착용 바 100: 배수용 조립체
110: 방수턱부재 112: 후크결합홈
114: 거치홈 120: 바 결합부재
124: 제1후크쌍 126: 제2후크쌍
130: 취수부재 140: 배수관
150: 트렌치연결부재 200: 벽체용 방습패널
210: 베이스프레임 220: 커버패널
300: 높이조절장치

Claims (9)

  1. 벽체에 고정된 패널장착용 바(bar);
    상기 패널장착용 바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저면부가 바닥면에 접하도록 설치된 방수턱부재;
    를 포함하는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턱부재에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방수턱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결로수를 수집하는 입구와 유입된 결로수를 배출하는 출구를 각각 구비하는 취수(取水)부재;
    상기 취수부재의 상기 출구와 배수트렌치를 연결하는 배수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장착용 바에 상기 방수턱부재를 결합시키는 바(bar)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 결합부재는 상기 패널장착용 바에 결합되는 제1결합수단과 상기 방수턱부재에 결합되는 제2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장착용 바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패널장착공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턱부재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바 결합부재의 상기 제1결합수단은 상기 방수턱부재의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수단은 상기 패널장착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부재의 상기 입구는 상기 방수턱부재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방수턱부재의 하부를 거쳐 상기 방수턱부재의 전방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
  6. 벽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패널장착공을 구비하는 패널장착용 바(bar);
    상기 패널장착용 바에 결합되어 상기 벽체와의 사이에 방습공간을 형성하는 벽체용 방습패널;
    상기 패널장착용 바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저면부가 바닥면에 접하도록 설치된 방수턱부재;
    상기 바닥면과 상기 방수턱부재의 사이에 도포된 누수방지제;
    를 포함하는 벽체용 방습패널의 결로수 배수구조
  7. 벽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패널장착공을 구비하는 패널장착용 바(bar);
    상기 패널장착용 바에 결합되어 상기 벽체와의 사이에 방습공간을 형성하는 벽체용 방습패널;
    상기 패널장착용 바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저면부가 바닥면에 접하도록 설치된 방수턱부재;
    상기 방수턱부재에 결합된 것으로서, 결로수를 수집하는 입구와 유입된 결로수를 배출하는 출구를 각각 구비하며, 상기 입구는 상기 벽체용 방습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취수(取水)부재;
    상기 취수부재의 상기 출구와 상기 벽체용 방습패널의 전방에 설치된 배수트렌치를 연결하는 배수관;
    을 포함하며, 상기 취수부재와 상기 배수관은 상기 바닥면의 내부에 매설되고 상기 방수턱부재는 그 저면부가 상기 바닥면과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용 방습패널의 결로수 배수구조
  8. (a) 벽체에 패널장착용 바(bar)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b) 방수턱부재를 상기 패널장착용 바의 하단부에 결합하되, 상기 방수턱부재의 저면부가 바닥면에 접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하는 단계;
    (c) 누수방지제를 이용하여 상기 방수턱부재와 상기 바닥면의 사이에 누수방지처리를 하는 단계;
    (d) 상기 패널장착용 바에 벽체용 방습패널을 장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벽체용 방습패널의 시공방법
  9. (a) 벽체에 패널장착용 바(bar)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b) 방수턱부재를 상기 패널장착용 바의 하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결합하는 단계;
    (c) 결로수를 수집하는 입구와 유입된 결로수를 배출하는 출구를 각각 구비하는 취수(取水)부재를 상기 방수턱부재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단계;
    (d) 상기 취수부재의 상기 출구에 배수트렌치와 연결되는 배수관을 연결하는 단계;
    (e) 상기 취수부재의 상기 입구를 막은 상태에서, 상기 취수부재와 상기 배수관이 매설되고 상기 방수턱부재의 저면부가 상기 바닥면과 밀착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단계;
    (f) 상기 패널장착용 바에 벽체용 방습패널을 장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벽체용 방습패널의 시공방법
KR1020100003864A 2010-01-15 2010-01-15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패널의 결로수 배수구조와 그 시공방법 KR20110083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864A KR20110083890A (ko) 2010-01-15 2010-01-15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패널의 결로수 배수구조와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864A KR20110083890A (ko) 2010-01-15 2010-01-15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패널의 결로수 배수구조와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890A true KR20110083890A (ko) 2011-07-21

Family

ID=44921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864A KR20110083890A (ko) 2010-01-15 2010-01-15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패널의 결로수 배수구조와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389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096A (ko) 2015-06-15 2016-12-26 주식회사 나라텍코리아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과 방수패널 및 그 방수패널의 제조방법.
KR20180134090A (ko) * 2017-06-08 2018-12-18 주식회사 지에스코 지하 차수벽 구조
KR102149289B1 (ko) * 2019-12-26 2020-08-28 윤정욱 시공 편의성이 개선된 방수단턱
KR102188992B1 (ko) * 2020-04-02 2020-12-09 주식회사 송운시스템 결로 유도형 판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096A (ko) 2015-06-15 2016-12-26 주식회사 나라텍코리아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과 방수패널 및 그 방수패널의 제조방법.
KR20180134090A (ko) * 2017-06-08 2018-12-18 주식회사 지에스코 지하 차수벽 구조
KR102149289B1 (ko) * 2019-12-26 2020-08-28 윤정욱 시공 편의성이 개선된 방수단턱
KR102188992B1 (ko) * 2020-04-02 2020-12-09 주식회사 송운시스템 결로 유도형 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0371B2 (en) Shower receptor
US9510712B2 (en) Drain wall for a prefabricated shower module
US7383670B1 (en) Panel bracket system
JP4273766B2 (ja) コンクリート建築物構築用型枠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装置およびコンクリート建築物の構築方法
KR20170105966A (ko) 조립식 욕실 바닥
CN1972616A (zh) 淋浴器围板和基座
KR20110083890A (ko)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패널의 결로수 배수구조와 그 시공방법
US20040226230A1 (en) Decorative ceiling, wall, and floor structure
KR20100106656A (ko) 티피알 방수판을 이용한 욕실의 건식 습식 병용 방수구조
AU2003231697A1 (en) Floor drainage construction
KR20160148096A (ko)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과 방수패널 및 그 방수패널의 제조방법.
KR101275273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20160028809A (ko) 욕실 시공용 방수판
JP5283953B2 (ja) サッシの設置構造
US10028623B1 (en) Unitary shower curb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of a unitary shower curb system
KR20120118705A (ko) 지하수 배수장치
JP4672444B2 (ja) 改装用防水パン
KR20110119874A (ko) 벽체설치형 방습용 프레임
US20070157538A1 (en) Modular curb assembly of pre-cast pre-finished components
KR20120027659A (ko) 타일 시공장치
JPH08289852A (ja) 組立式浴室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069563B1 (ko) 하이브리드형 조립식 욕실 쉬트 몰딩 콤파운드 방수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52808B1 (ko) 방수 시스템
CN215331727U (zh) 一种壁龛结构和整体卫浴
RU13925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лицовки угловых участков зда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