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096A -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과 방수패널 및 그 방수패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과 방수패널 및 그 방수패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096A
KR20160148096A KR1020150084072A KR20150084072A KR20160148096A KR 20160148096 A KR20160148096 A KR 20160148096A KR 1020150084072 A KR1020150084072 A KR 1020150084072A KR 20150084072 A KR20150084072 A KR 20150084072A KR 20160148096 A KR20160148096 A KR 20160148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wall
finishing plate
panel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라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라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라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84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8096A/ko
Publication of KR20160148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과 방수패널 및 그 방수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구조물의 콘크리트 벽체와 스페이서 사이의 트렌치 및 벽체에서 온도차로 발생되는 결로수, 용출수 또는 불량시공에 따른 누수 등을 신속하고 간단히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과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 그 방수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패널 스페이서(30)와 사이로 구성되는 트렌치(20)를 형성시키는 패널 마감플레이트(40)을 제조가 원가 절감을 위한 진공성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패널 스페이서(30)와 패널 마감플레이트(40)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패널 스페이서(30)와 패널 마감플레이트(40)를 벽체(10)에 시공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과 방수패널 및 그 방수패널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the dual structure of the wall of the building structure paenel waterproof and water resistant construction methods and their waterproof paenel paenel}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과 방수패널 및 그 방수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습기가 많고 통풍이 불량한 지하주차장등의 내벽 벽체에서 온도차로 발생되는 결로수 및 불량시공에 따른 누수 등을 신속하고 간단히 건조시킬 수 있도록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과 방수패널 및 그 방수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고층건물, 아파트 등의 건축물 지하 및 지하주차장 벽체에는 결로로 인한 결로수의 발생 및 용출수가 발생하게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하구조물 벽체에 우레탄수지 경화제를 적절히 배합하여 교반한 방수용액으로 도장하여방수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수용액은,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서 벽면으로부터 이완되는 들뜸현상과 발생된 결로수 및 용출수를 근본적으로 처리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벽체의 방수기능이 현저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쉽게 파손됨과 함께 결로수 및 용출수 발생으로 인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또한 지하구조물 해체시 재생골재로 활용할 수 없는 단점과 함께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선행기술로 특허 제 10-0592423호에서는 종래 방수 및 배수를 위한 시공방법으로 상기 방수 콘크리트 벽체 내측으로 일정간격 트렌치(trench)를 시공하고 있으나, 콘크리트 벽체에서 발생되는 결로수 및 용출수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없으면서 발생된 배수가 극히 어렵고, 별도의 배수구를 구성하는 경우에도 상기 결로수 등에 의해 쉽게 막히는 단점이 발생함으로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트렌치가 형성되는 내벽 블럭에 통기공을 형성하여 상기 트렌치내로 공기순환을 제공하여 결로수 및 용출수를 건조하도록 한바 있으나, 이러한 조적(組積)은 작업이 어렵고 쉽게 파손 및 공기의 순환이 제한적인 문제로 건조효과가 미흡하다.
이에 따라 상기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특허 등록 제10-1518239호에서는 건축물 콘크리트벽체와 트렌치가 형성되도록 합성수지재 단열재를 구성하되, 상기 트렌치에서 발생되는 결로수가 상기 단열재에서 응집되고 이 단열재에 구성된 유로홈을 통해 결로수의 모집과 함께 배수통로로 흘러내리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과 주기적으로 상기 단열재에 뚫린 송풍공을 통해 건조한 송풍을 불어 넣어 빠른 건조를 이룸으로서 곰팡이가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단열 복합 패널의 조립 및 설치구조에 관한 기술이 알려진바 있다.
그리고, 특허등록 제 10-1518232호에서는 상기 단열판 트렌치 내면에 결로수 유도홈이 구성되되 하부의 결로수 유도홈에 연결되는 집수홈을 구비하고, 여기에 에어컨디셔너의 응축수 배수관을 집수홈에 연결하여 건축물 벽체와 벽체단열판 사이에서 발생하는 결로수와 에어컨디셔너의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집수하여 배수 및 건조할 수 있도록 하고 또는 특허 공개번호 제 10-2011-0083890호는 배수 트렌치 등으로 유도하여 배출시키는 배수용 조립체를 개시하기 위하여 벽체에 고정된 패널장착용 바(bar) 그리고 상기 패널장착용 바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저면부가 바닥면에 접하도록 설치된 방수턱부재를 포함하여 벽돌을 쌓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방수턱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벽체용 방습패널의 하단부를 깔끔하게 마감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벽체용 방습패널 및 벽체에서 발생한 결로수를 벽체용 방습패널의 후방에서 수집하여 곧바로 배수트렌치 등으로 배출시키므로 결로수로 인한 바닥오염이 방지되고 깨끗한 미관을 유지할 수 있다는 기술이 알려진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에서의 상기 콘크리트 벽에와 사이로 트렌치를 형성하는 패널로 합성수지재의 성형물로 하고 있으나, 상기 성형수지는 그 제조공정 즉 금형에 의해 제조됨으로서 크기가 한정되어 제작의 어려움과 많은 패널의 조립에 따른 설치공정의 어려움 및 패널에 공기유로가 미흡하여 패널이 쉽게 파손되거나 출렁임이 발생되고 특히 건조공기를 순환시키기 어려워 자연 건조가 미미한 단점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특허 등록 제 10-0545012호는 지하의 콘크리트 외벽체에 일정 높이와 간격으로 지지핀을 고정하여 외벽체에 밀착되고 다른쪽에는 지지핀의 헤드가 수용되어 밀착되는 요철형의 스페이서를 지지핀 헤드와 열접착테이프로 접착한 후 상기 스페이서의 외측으로 마감플레이트를 열접착테이프로 접착하여 이루어진바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스페이서와 마감플레이트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또한 열접착으로 고정됨으로서 콘크리트 벽체와 스페이서 사이의 트렌치 및 벽체에서 온도차로 발생되는 결로수, 용출수 또는 불량시공에 따른 누수 등을 신속하고 간단히 건조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전혀 발휘되지 못하는 단순 미감용패널에 불과하다.
특허 등록 제 10-0592423호. 특허 등록 제10-1518239호. 특허 등록 제 10-1518232호. 특허 공개번호 제 10-2011-0083890호. 특허 등록 제 10-0545012호.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콘크리트 벽체와 스페이서 사이의 트렌치 및 벽체에서 온도차로 발생되는 결로수, 용출수 또는 불량시공에 따른 누수 등을 신속하고 간단히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과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 그 방수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패널 스페이서(30)와 외벽사이로 구성되는 트렌치(20)를 형성시키는 패널 마감플레이트(40)을 제조가 원가 절감을 위한 진공성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패널 스페이서(30)와 패널 마감플레이트(40)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패널 스페이서(30)와 패널 마감플레이트(40)를 벽체(10)에 시공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건축 구조물의 콘크리트벽체(10)에서 온도차로 발생되는 결로수, 용출수 또는 불량시공에 따른 누수 등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패널 스페이서(30)와 패널 마감플레이트(40)로 트렌치(20)를 구성하여 발생 된 습한 공기를 자연순환시켜 건조하도록 하는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로서,
마감플레이트(40)는 스페이서(30)를 감싸지고 상면수평면(45)에 습한 공기를 외부로 자연 배출과 순환을 이루도록 만곡형상의 돌출컵(46)중앙부측에 천공되는 배출공(47)을 구성하는 마감플레이트(40)와,
스페이서(30)는 마감플레이트(40)의 감싼부(41)내로 밀착수용되고 내측으로 구성되는 간격유지컵(31)에 의해 트렌치(20) 형성공간을 형성함과 함께 측면 또는 밀착면에 복수의 공기유로공(33)을 뚫어 벽체(10)와 사이 트렌치(20)내의 습한 공기가 자연 순환되게 구성함과 함께, 바닥면에 벽체(10)와 나사체결시키는 보강부(34)에 체결공(35)을 구성하는 스페이서(30),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30)에 형성되는 간격유지컵(31)과 근접하여 상하좌우로 형성되는 깊이의 공기유로(36)들을 서로 교차시켜 상하 좌우측의 습한 공기가 쉽게 순환 이동되고,
상기 상하 또는 좌우 공기유로(36)와 공기유로(36) 사이로 형성되어 모양체(42)의 분할부를 이루는 접착면부(43) 하면과 접착되는 접착면(37)을 구성시켜 접착제의 접착제층(38)에 의해 벽면에 고정된 스페이서(30)와 마감플레이트(40)가 접착시킬 수 있도록 한 스페이서(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과 상기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과 방수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습기가 많고 통풍이 불량한 지하주차장등의 내벽 벽체에서 온도차로 발생되는 결로수 및 불량시공에 따른 누수 등을 신속하고 간단히 건조시킬 수 있도록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과 방수패널 및 그 방수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서,
발생된 결로수 및 용출수 또는 누수를 신속히 제거시켜 건축물의 안전과 악취를 방지하는 효과,
마감플레이트(40)와 결합되는 스페이서(30)에 형성된 간격유지컵(31)으로 벽체(10)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트렌치(20)를 구성시켜 공기의 순환과 순환공기에 의해 습기를 교환하고 순환공기는 마감플레이트(40)와 스페이서(30)에서의 자연순환으로 건조한 외부공기를 흡기하여 습한공기와 교환흡수된 수분을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되록 함으로서 벽체(10)에서 발생된 결로수등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함과,
상기 트렌치(20)와 마감플레이트(40) 및 스페이서(30)에 형성된 공기유로에 의한 자연순환을 촉진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순환으로 습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상기 마감플레이트(40)와 스페이서(30)를 진공성형으로 제조하도록 함으로 제조가 용이하고 대량생산성을 총족하는 효과,
그리고 상기 마감플레이트(40)와 스페이서(30)를 간단히 제조하는 제조방법과 마감플레이트(40)와 스페이서(30)의 시공방법을 제안하여 현장에서의 시공이 간단하고 편리하도록 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패널 스페이서와 패널 마감플레이트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패널 스페이서와 패널 마감플레이트을 벽체에 시공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중요부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패널 스페이서와 패널 마감플레이트을 벽체에 시공하는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 패널 스페이서와 패널 마감플레이트을 제조하는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블럭도.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 구조물의 콘크리트 벽체와 스페이서 사이의 트렌치 및 벽체에서 온도차로 발생되는 결로수, 용출수 또는 불량시공에 따른 누수 등을 신속하고 간단히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과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 그 방수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의 콘크리트 벽체, 건축물의 지하벽 등의 벽체(이하 벽체라함)(10)에서 온도차로 발생되는 결로수, 용출수 또는 불량시공에 따른 누수 등을 신속하고 간단히 건조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벽체(10)와 일정간격으로 구성되는 패널 스페이서(30)와 사이로 구성되되는 트렌치(20)를 형성시키는 패널 마감플레이트(40)를 제공되, 상기 트렌치(20)내의 습한 공기를 자연순환으로 습기를 건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미려성을 충족하도록 요철형상으로 디자인된 마감플레이트(40)와,
상기 마감플레이트(40)와 밀착과 접착되고 타측은 벽체(10)면에 고정과 함께 일정한 공간 트렌치(20)가 형성될 수 있도록 돌출된 간격유지컵(31)이 구성되는 스페이서(30)로 구성되되,
상기 마감플레이트(40)는 외주면으로 스페이서(30)가 감싸지는 감싼부(41)와 외관이 미려하게 디자인되는 복수개의 모양체(42)가 접착면부(43)으로 분할 구성되고,
각각의 모양체(42)는 복수 절곡부(44)로 형성되는 돌출형상과 함께 상면수평면(45)을 구성하고,
상기 상면수평면(45)에는 트렌치(20)와 간격유지컵(31)내의 습한 공기를 외부로 자연 배출과 순환을 촉진할 수 있도록 만곡형상의 돌출컵(46)을 구성하여 중앙부측에 배출공(47)을 형성한다.
상기 스페이서(30)는 마감플레이트(40)의 감싼부(41)내로 밀착수용되는 날개부(32)를 구성한 내측으로 상기 마감플레이트(40)의 모양체(42)와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좁혀지는 형상의 간격유지컵(31)이 트렌치(20) 형성공간 크기로 돌출구성되고, 측면 또는 밀착면에 복수의 공기유로공(33)을 뚫어 벽체(10)와 사이 트렌치(20)내의 습한 공기가 자연 순환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함과,
상기 간격유지컵(31)의 내측 바닥면에는 벽체(10)와 나사체결고정에서의 견고성을 유지하기 위한 보강부(34)와 체결공(35)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30)에 형성되는 간격유지컵(31)에 근접하여 상하좌우로 형성되는 일정 깊이의 공기유로(36)들을 서로 교차시켜 상하 좌우측의 습한 공기가 쉽게 순환 이동하여 마감플레이트(40)의 돌출컵(46)에 구성된 배출공(4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함과 함께 상기 상하 또는 좌우 공기유로(36)과 공기유로(36) 사이로 형성되는 모양체(42)의 분할부를 이루는 접착면부(43) 하면과 접착되는 접착면(37)을 구성하여 접착제로 하는 접착제층(38)에 의해 벽면에 고정된 스페이서(30)와 마감플레이트(40)가 접착되어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스페이서(30)를 도 2와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10)에 나사체결하고, 이 스페이서(30)의 접착면(37)에 마감플레이트(40)를 접착제로 접착시켜 설치된다.
따라서, 벽체(10)에서 온도차로 발생되는 결로수, 용출수 또는 불량시공에 따른 누수 등이 간격유지컵(31)과 사이공간 트렌치(20)부에서 내부로 순환되고, 다시 마감플레이트(40)와 공기유로(36) 및 만곡형상의 돌출컵(46)으로 순환되면서 배출공(4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순환작용이 일어나 내부의 습한 공기를 외부로 신속히 배출하고 외부의 건조한 공기를 내부로 흡기하므로서 보다 빠른 건조를 이루게 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은, 건축 구조물의 벽체(10)에서 온도차로 발생되는 결로수, 용출수 또는 불량시공에 따른 누수 등을 신속하고 간단히 건조시키도록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패널의 시공방법으로,
본 발명의 방수패널을 시공한 벽체(10)에 대응하여 미려성을 충족한 디자인된 마감플레이트(40)와, 상기 마감플레이트(40)와 결합되는 스페이서(30)를 선택하고 시공할 벽체(10)의 크기로 배치하는 스페이서배치설계단계(S100);
상기 배치설계된 스페이서(30)를 벽체(10)면에 기본체를 우선하여 배치하고 스페이서(30)에서 돌출된 간격유지컵(31)을 벽체(10)에 밀착한 상태에서 간격유지컵(31)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보강부(34)에 뚫린 체결공(35)에 체결볼트(11)를 관통시켜 벽체(10)에 고정하는 스페이서 고정단계(S200);
상기 벽체(10)에 고정된 스페이서(30)의 간격유지컵(31) 상하좌우로 형성되는 공기유로(36)와 근접하여 이루어진 접착면(37)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300);
상기 벽체(10)에 고정된 기본 스페이서(30)의 접착면(37)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제층(38)을 형성하고 상기 스페이서(30)에 마감플레이트(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감싼부(41)가 스페이서(30)의 측면 날개부(32)가 감싸지게 수용시키면서 상기 도포된 접착제층(38)에 마감플레이트(40)의 모양체(42) 분할부를 이루는 접착면부(43) 하면과 밀착시켜 접착하는 스페이서와 마감플레이트 접착단계(S400);
상기 스페이서와 마감플레이트접착단계(S400)로 시공된 기본의 패널 마감플레이트(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감싼부(41)와 밀착되게 상기 스페이서고정단계(S200), 접착제 도포단계(S300), 그리고 스페이서와 마감플레이트접착단계(S400)를 연속하여 시공함으로서, 벽체(10) 전체에 본 발명의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단계(S50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발명의 상기 스페이서(30)와 마감플레이트(40)는 최소의 제작비용과 신속하고 대량 생산성을 충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제조방법은 도 5에서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30)와 마감플레이트(40)는 통상의 금형에 의한 성형과 달리 진공성형공법으로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30)와 마감플레이트(40)를 성형하기 위한 미도시한 형틀을 구비한 형틀 구비단계(S110);
상기 형틀에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 수지인 플라스틱 시트를 밀착하고, 가열하여 무르게 하는 연화점(軟化點)에 도달시키는 시트 연화단계(S220);
상기 가열로 연화되는 플라스틱 시트를 형틀내로 흡착되게 형틀 내부를 진공작업을 실시하여 연화된 플라스틱 시트가 형틀내 성형공에 밀착되는 압착으로 성형하기 위한 진공성형단계(S330);
상기 연화된 플라스틱 시트가 형틀의 성형공에 흡착되어 성형된 성형물을 냉각한 후 형틀과 분리하는 성형물 분리단계(S440);
그리고 분리된 성형물 스페이서(300)의 간격유지컵(31)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보강부(34)에 체결볼트(11)를 관통시키기 위한 체결공(35)을 천공하는 스페이서 천공단계(S550); 및
상기 형틀에 의해 성형된 마감플레이트(40)의 모양체(42)를 구성하기 위한 절곡부(44)로 형성되는 상면수평면(45)의 돌출컵(46)에 공기 입출입과 배출을 이루도록 한 배출공(47)을 천공하는 마감플레이트천공단계(S660);로 이루어지는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작용효과 및 그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페이서(30)와 마감플레이트(40)는 최소의 제작비용과 신속하고 대량 생산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진공성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진공성형은 상기 스페이서(30)와 마감플레이트(40)를 성형하기 위하여 설계된 형틀을 구비한 형틀 구비단계(S110);를 실시하되, 상기 형틀은 마감플레이트(40)가 벽체면에 시공된 후 건축물의 미려성, 견고성을 가질수 있도록 디자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의해 구비된 형틀의 성형공에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 수지인 플라스틱 시트를 밀착하고, 가열하여 무르게 하는 연화점(軟化點)에 도달시키는 시트 연화단계(S220);로 연화된 상태에서 상기 형틀 내부를 진공화시킴으로서 연화된 플라스틱 시트가 형틀내 성형공에 밀착되는 진공성형단계(S330);를 거치게 되며, 상기 연화점은 시트의 재질 두께 등에 따라 시간차를 가질 수 있음으로 미리 계산된 시간과 열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화된 플라스틱 시트가 형틀의 성형공에 흡착되어 성형된 성형물을 냉각한 후 형틀과 분리하는 성형물 분리단계(S440);로 분리된 스페이서(30)의 간격유지컵(31)에 체결공(35)을 천공하고, 마감플레이트(40)의 모양체(42) 상면수평면(45)의 돌출컵(46)에 공기 입출입과 배출을 이루도록 한 배출공(47)을 천공하는 스페이서 천공단계(S550)와 마감플레이트천공단계(S660)로 스페이서(30)와 마감플레이트(40)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페이서(30)와 마감플레이트(40)를 시공하게 되고 이러한 시공은 건축구조물의 벽체(10) 즉, 온도차로 발생되는 결로수, 용출수 또는 불량시공에 따른 누수가 발생되는 벽체(10)에 본 발명의 패널이 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할 벽체(10)에 대응하여 미려성을 충족한 디자인된 마감플레이트(40)와, 상기 마감플레이트(40)와 결합되는 스페이서(30)를 선택하고 시공할 벽체(10)의 크기로 배치하는 스페이서배치설계단계(S100)가 이루어진다.
상기 배치설계된 스페이서(30)를 벽체(10)면에 기본체를 우선하여 배치하되, 스페이서(30)에서 돌출된 간격유지컵(31)을 벽체(10)에 밀착한 상태에서 간격유지컵(31)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보강부(34)에 뚫린 체결공(35)에 체결볼트(11)를 관통시켜 벽체(10)에 고정하는 스페이서 고정단계(S200)로 상기 기본의 스페이서(30)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벽체(10)에 고정된 스페이서(30)의 간격유지컵(31) 상하좌우로 형성되는 공기유로(36)와 근접하여 이루어진 접착면(37)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300)로 접착제층(38)이 형성된 상기 스페이서(30)에 마감플레이트(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감싼부(41)가 스페이서(30)의 측면 날개부(32)가 감싸지게 수용시키면서 상기에서 도포된 접착제층(38)과 밀착시켜 마감플레이트(40)를 결합함과 함께 모양체(42) 분할부를 이루는 접착면부(43) 하면과 상기 접착제층(38)을 밀착시켜 접착하는 스페이서와 마감플레이트 접착단계(S400)로 상기 기본의 스페이서(30)에 기본이 되는 패널 마감플레이트(40)를 시공한다.
이와 같이 기본을 구성한 상태에서 이 기본체와 측면부가 밀착되게 연속하여 좌우 상하로 스페이서(30)를 상기와 같이 고정하고 여기에 또다시 마감플레이트(40)를 씌워 고정하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함으로서 벽체(10)전체에 본 발명을 시공하게 되는 본 발명의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단계(S500);로 이루어진 시공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공에 의해 도 2와 3에서와 같이 시공된 본 발명은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벽체(10)에서 발생되는 온도차로 인한 결로수, 용출수 또는 불량시공에 따른 누수 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 상기 스페이서(30)의 측면으로부터 외부 건조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건조한 공기는 스페이서(30)로 형성된 트렌치(20)를 거처 간격유지컵(31)의 공기유로공(33)을 통해 상기 간격유지컵(31)내로 순환과 다시 순환 상승되어 상부의 마감플레이트(40) 하부로 순환된다.
상기 마감플레이트(40) 하부로 순환된 습한 공기는 다단의 모양체(42)내측과 스페이서(30)에 형성된 좌우상하로 형성되고 간격유지컵(31)에 근접하여 상하좌우로 형성된 일정 깊이의 공기유로(36)에서 서로 교차로 순환을 촉진 시키면서 간격유지컵(31)내의 습한공기와 함께 마감플레이트(40)의 돌출컵(46)내에서 상부로 뚫린 배출공(4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서 습한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공기의 유입과 배출로 트렌치(20)내의 공기순환 및 습기를 교환하면서 트렌치(20)내의 습기를 함께 제거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스페이서(30)와 마감플레이트(40)에 형성되는 공간과 굴곡된 형상으로 공기의 순환을 촉진함으로서 이동되는 공기가 더 많은 습기를 교환하여 배출함으로 트렌치(20)내의 습한 공기를 더욱 신속하고 대량으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스페이서(30)와 마감플레이트(40)의 감싼부(41)내로 밀착수용되는 결합으로 내외부의 밀폐와 접착제로 부착하는 작업의 용이성으로 시공이 간단한 특징과 함께 상기 마감플레이트(40)에 형성되는 공간과 굴곡된 형상 그리고 마감플레이트(40)의 돌출컵(46)에 상부로 뚫린 배출공(47)을 공기가 자유롭게 유통되어 얇은 마감플레이트(40)가 공기의 저항에 따른 출렁임을 방지하는 효과도 함께 발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많은 량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발생된 결로수 및 용출수등을 신속히 제거하지 못하여 흐르는 용수를 배출하기 위한 바닥슬래브에 배수로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나, 대량의 용수발생을 감안하여 공지와 같이 도시하지 아니한 바닥슬래브에 배수로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페이서(30)와 마감플레이트(40)를 진공성형에 의해 구성함으로서 대량의 생산성과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함께 발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다.
10 : 벽체 11 : 체결볼트 20 : 트렌치
30 : 스페이서 31 : 간격유지컵 32 : 날개부
33 : 공기유로공 34 : 보강부 35 : 체결공
36 : 공기유로 37 : 접착면 38 : 접착제층
40 : 마감플레이트 41 : 감싼부 42 : 모양체
43 : 접착면부 44 : 절곡부 45 : 상면수평면
46 : 돌출컵 47 : 배출공

Claims (4)

  1. 건축 구조물의 콘크리트벽체(10)에서 온도차로 발생되는 결로수, 용출수 또는 불량시공에 따른 누수 등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패널 스페이서(30)와 패널 마감플레이트(40)로 트렌치(20)를 구성하여 발생된 습한 공기를 자연순환시켜 건조하도록 하는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로서,

    마감플레이트(40)는 스페이서(30)가 감싸지는 감싼부(41)와 복수개의 모양체(42)가 접착면부(43)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모양체(42)는 복수 절곡부(44)로 형성되는 돌출형상과 함께 상면수평면(45)을 구성시켜 습한 공기를 외부로 자연 배출과 순환을 이루도록 만곡형상의 돌출컵(46)중앙부측에 천공되는 배출공(47)을 구성하는 마감플레이트(40)와,

    스페이서(30)는 마감플레이트(40)의 감싼부(41)내로 밀착수용되는 날개부(32)를 구성한 내측으로 상기 마감플레이트(40)의 모양체(42)와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좁혀지는 형상의 간격유지컵(31)이 트렌치(20) 형성공간 크기로 돌출구성되고,
    상기 간격유지컵(31)은 측면 또는 밀착면에 복수의 공기유로공(33)을 뚫어 벽체(10)와 사이 트렌치(20)내의 습한 공기가 자연 순환되게 구성함과 함께, 바닥면에 벽체(10)와 나사체결시키는 보강부(34)에 체결공(35)을 구성하는 스페이서(30),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30)에 형성되는 간격유지컵(31)과 근접하여 상하좌우로 형성되는 깊이의 공기유로(36)들을 서로 교차시켜 상하 좌우측의 습한 공기가 쉽게 순환 이동되고,

    상기 상하 또는 좌우 공기유로(36)와 공기유로(36) 사이로 형성되어 모양체(42)의 분할부를 이루는 접착면부(43) 하면과 접착되는 접착면(37)을 구성시켜 접착제의 접착제층(38)에 의해 벽면에 고정된 스페이서(30)와 마감플레이트(40)가 접착시킬 수 있도록 한 스페이서(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
  2. 건축 구조물의 벽체에 방수패널을 이중구조로 시공방법으로서,

    방수패널을 시공한 벽체(10)에 대응하여 디자인된 마감플레이트(40)와, 상기 마감플레이트(40)와 결합되는 스페이서(30)를 선택하고 시공할 벽체(10)의 크기로 배치하는 스페이서배치설계단계(S100);

    상기 배치설계된 스페이서(30)를 벽체(10)면에 기본체를 우선하여 배치하고 스페이서(30)에서 돌출된 간격유지컵(31)을 벽체(10)에 밀착한 상태에서 간격유지컵(31)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보강부(34)에 뚫린 체결공(35)에 체결볼트(11)를 관통시켜 벽체(10)에 고정하는 스페이서 고정단계(S200);

    상기 벽체(10)에 고정된 스페이서(30)의 간격유지컵(31) 상하좌우로 형성되는 공기유로(36)와 근접하여 이루어진 접착면(37)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300);

    상기 벽체(10)에 고정된 기본 스페이서(30)의 접착면(37)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제층(38)을 형성하고 상기 스페이서(30)에 마감플레이트(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감싼부(41)가 스페이서(30)의 측면 날개부(32)가 감싸지게 수용시키면서 상기 도포된 접착제층(38)에 마감플레이트(40)의 모양체(42) 분할부를 이루는 접착면부(43) 하면과 밀착시켜 접착하는 스페이서와 마감플레이트 접착단계(S400);

    상기 스페이서와 마감플레이트접착단계(S400)로 시공된 기본의 패널 마감플레이트(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감싼부(41)와 밀착되게 상기 스페이서고정단계(S200), 접착제 도포단계(S300), 그리고 스페이서와 마감플레이트접착단계(S400)를 연속하여 시공함으로서, 벽체(10) 전체에 본 발명의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단계(S50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
  3. 건축 구조물의 벽체 이중구조 방수패널의 제조방법으로서,

    스페이서(30)와 마감플레이트(40)를 성형하기 위한 미도시한 형틀을 구비한 형틀 구비단계(S110);

    상기 형틀에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 수지인 플라스틱 시트를 밀착하고, 가열하여 무르게 하는 연화점(軟化點)에 도달시키는 시트 연화단계(S220);

    상기 가열로 연화되는 플라스틱 시트를 형틀내로 흡착되게 형틀 내부를 진공작업을 실시하여 연화된 플라스틱 시트가 형틀내 성형공에 밀착되는 압착으로 성형하기 위한 진공성형단계(S330);

    상기 연화된 플라스틱 시트가 형틀의 성형공에 흡착되어 성형된 성형물을 냉각한 후 형틀과 분리하는 성형물 분리단계(S440);

    그리고 분리된 성형물 스페이서(300)의 간격유지컵(31)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보강부(34)에 체결볼트(11)를 관통시키기 위한 체결공(35)을 천공하는 스페이서 천공단계(S550); 및

    상기 형틀에 의해 성형된 마감플레이트(40)의 모양체(42)를 구성하기 위한 절곡부(44)로 형성되는 상면수평면(45)의 돌출컵(46)에 공기 입출입과 배출을 이루도록 한 배출공(47)을 천공하는 마감플레이트천공단계(S66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제조방법,
  4. 상기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30)와 마감플레이트(40)를 형틀을 이용한 진공성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 및 방수패널의 제조방법.
KR1020150084072A 2015-06-15 2015-06-15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과 방수패널 및 그 방수패널의 제조방법. KR20160148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072A KR20160148096A (ko) 2015-06-15 2015-06-15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과 방수패널 및 그 방수패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072A KR20160148096A (ko) 2015-06-15 2015-06-15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과 방수패널 및 그 방수패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096A true KR20160148096A (ko) 2016-12-26

Family

ID=5773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072A KR20160148096A (ko) 2015-06-15 2015-06-15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과 방수패널 및 그 방수패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809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392A (ko) 2017-07-20 2019-01-30 지준일 벽체 방수패널
KR20190101939A (ko) 2019-08-23 2019-09-02 지준일 벽체 방수패널
CN110424682A (zh) * 2019-05-23 2019-11-08 深圳市名雕装饰股份有限公司 防霉防腐收纳系统结构及设置方法
CN114109176A (zh) * 2021-11-26 2022-03-01 梅艳姣 建筑装修用节能型自闭风口结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012B1 (ko) 2005-09-05 2006-01-24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건축구조물의 벽체 방수구조 및 그 방수공법
KR100592423B1 (ko) 2004-06-24 2006-06-22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벽면을 형성하는 통기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20110083890A (ko) 2010-01-15 2011-07-21 주식회사 대창산업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패널의 결로수 배수구조와 그 시공방법
KR101518232B1 (ko) 2015-01-26 2015-05-18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복합 판넬의 이중구조 설치방법이 적용된 설치장치
KR101518239B1 (ko) 2015-01-22 2015-05-18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단열 복합 판넬의 조립 및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423B1 (ko) 2004-06-24 2006-06-22 (주)아이티엠 코퍼레이션 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벽면을 형성하는 통기블럭 및 그 시공방법
KR100545012B1 (ko) 2005-09-05 2006-01-24 주식회사 삼보케미칼 건축구조물의 벽체 방수구조 및 그 방수공법
KR20110083890A (ko) 2010-01-15 2011-07-21 주식회사 대창산업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패널의 결로수 배수구조와 그 시공방법
KR101518239B1 (ko) 2015-01-22 2015-05-18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단열 복합 판넬의 조립 및 설치구조
KR101518232B1 (ko) 2015-01-26 2015-05-18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복합 판넬의 이중구조 설치방법이 적용된 설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392A (ko) 2017-07-20 2019-01-30 지준일 벽체 방수패널
CN110424682A (zh) * 2019-05-23 2019-11-08 深圳市名雕装饰股份有限公司 防霉防腐收纳系统结构及设置方法
KR20190101939A (ko) 2019-08-23 2019-09-02 지준일 벽체 방수패널
CN114109176A (zh) * 2021-11-26 2022-03-01 梅艳姣 建筑装修用节能型自闭风口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8096A (ko) 건축 구조물의 벽체 방수패널의 이중구조 시공방법과 방수패널 및 그 방수패널의 제조방법.
KR100934004B1 (ko) 조립식 욕실의 바닥층 방수구조
KR101518239B1 (ko) 건축용 단열 복합 판넬의 조립 및 설치구조
CN109057230B (zh) 反打成型的卫浴底盘及其制造方法
KR102109533B1 (ko) 방음효과가 우수한 친환경 건축 내장패널
KR20140006571A (ko) 벽체하부면 수분차단 과 콘크리트 바닥 습기제거를 위한 방수판 패널 이의 제조방법
EP3225763B1 (en) Support for heating elements of floors and of radiating claddings
KR20110083890A (ko)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패널의 결로수 배수구조와 그 시공방법
KR20110119874A (ko) 벽체설치형 방습용 프레임
CN109706958A (zh) 地下建筑的排渗水和防冷凝结露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40008569A (ko) 벽체하부면 수분차단 과 콘크리트 바닥 습기제거를 위한 방수판 패널 이의 제조방법
KR100586404B1 (ko) 욕실 방수판용 금형장치
KR101555260B1 (ko) 창틀 단열 공법을 이용한 단차 단열재
JP4672444B2 (ja) 改装用防水パン
CN109171520B (zh) 人造石英石卫浴底盘及其制造方法
JP5075694B2 (ja) 建物の構造
CN108019013B (zh) 一种用于建筑外墙凸造型的装饰保温结构
KR101069563B1 (ko) 하이브리드형 조립식 욕실 쉬트 몰딩 콤파운드 방수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09308B1 (ko) 욕실용 방수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351756Y1 (ko) 욕실 방수판용 금형장치
KR100550457B1 (ko) 콘크리트벽의 방수시공 구조체의 시공방법
CN220747177U (zh) 一种整装卫浴用地板及集水盆
KR102387380B1 (ko) 욕실 건식 바닥 시스템
KR101682500B1 (ko) 습기배출이 용이한 건축용 방통 테이프
KR101293396B1 (ko) 멀티-사이즈 방수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