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992B1 - 결로 유도형 판넬 - Google Patents

결로 유도형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992B1
KR102188992B1 KR1020200040327A KR20200040327A KR102188992B1 KR 102188992 B1 KR102188992 B1 KR 102188992B1 KR 1020200040327 A KR1020200040327 A KR 1020200040327A KR 20200040327 A KR20200040327 A KR 20200040327A KR 102188992 B1 KR102188992 B1 KR 102188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densation
hose
condensation water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송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송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송운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40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건축 시설물의 내외부 온도차에 따라 마감 부분의 내부에 발생되는 결로수를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결로 유도형 판넬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유도형 판넬은, 복합 판넬 또는 알루미늄 시트 판넬로 구현되어, 건축 시설물의 외부 벽체를 마감하도록 하는 외부 마감부; 외부 마감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각파이프가 구비되어, 외부 마감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내측 고정부; 외부 마감부와 내측 고정부 사이에 마련되되, 외부 마감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는 판넬 고정부; 판넬 고정부의 상부 판넬에 삽입관통되는 상부 호스가 구비되어, 외부 마감부의 내부에 생기는 결로수가 하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상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 및 상부 호스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판넬 고정부의 하부 판넬에 삽입관통되는 하부 호스가 구비되어, 상부 호스를 통해 유도되는 결로수가 하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하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마감재 내부에 발생되는 결로수를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건출 시설물의 내부 마감재 등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결로 유도형 판넬{Panel for condensation guide type}
본 발명은 결로 유도형 판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시설물의 내외부 온도차에 따라 마감 부분의 내부에 발생되는 결로수를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결로 유도형 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시설물의 외벽에는 내부와 외부 온도 차이로 인하여 건축 시설물의 벽체 또는 이중벽 마감재에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결로 현상은 내부 결로와 표면 결로로 나뉘어 발생하는데 내부 결로는 주로 겨울철에 발생하며, 내부 결로는 지하 외벽 구조체의 온도와 건물 내부 공간의 공기 온도차에 의해서 발생되고, 내부 결로의 결로수 맺힘은 차가운 쪽인 외벽 구조체에 맺힌다. 표면 결로는 주로 여름철에 대기 중의 습도가 높아서 발생하는데 마감재의 표면에 결로수가 맺히는 현상을 말한다.
특히, 외부 마감재인 복합판넬, 알루미늄 쉬트 등 마감 부분 내부에서 생기는 결로수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체 또는 창호 및 여러 마감재의 틈새나 공극으로 침투하여 건축물 및 내부 마감재를 훼손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마감재의 내부에 생기는 결로수에 의해, 건출 시설물의 내부 마감재 등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감재 내부에 발생되는 결로수를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결로 유도형 판넬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유도형 판넬은, 복합 판넬 또는 알루미늄 시트 판넬로 구현되어, 건축 시설물의 외부 벽체를 마감하도록 하는 외부 마감부; 외부 마감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각파이프가 구비되어, 외부 마감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내측 고정부; 외부 마감부와 내측 고정부 사이에 마련되되, 외부 마감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는 판넬 고정부; 판넬 고정부의 상부 판넬에 삽입관통되는 상부 호스가 구비되어, 외부 마감부의 내부에 생기는 결로수가 하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상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 및 상부 호스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판넬 고정부의 하부 판넬에 삽입관통되는 하부 호스가 구비되어, 상부 호스를 통해 유도되는 결로수가 하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하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판넬 고정부는, 결로수의 유도 효과가 향상되도록, 상부 판넬이 끝단에서 상부 호스가 삽입관통되는 지점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는, 판넬 고정부에 삽입관통 시, 상부 호스가 하부 판넬에 삽입관통된 이후,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부 판넬까지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유도형 판넬은, 최하부층 설치된 판넬에 마련되어, 하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를 통해 하측으로 유도되는 결로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결로수 유도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로수 유도판부는, 벌레나 이물질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결로수가 배출되는 배출구에 망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결로수 유도판부는, 하측으로 유도되는 결로수가 배출구의 주변에 잔존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배출구의 직경이 하부 호스의 직경의 1.1 내지 1.25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로수 유도판부는, 하측으로 유도되는 결로수가 배출구의 주변에 잔존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배출구의 테두리를 따라 모따기 가공한 만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감재 내부에 발생되는 결로수를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건출 시설물의 내부 마감재 등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결로 현상에 의한 내부 마감재 훼손을 막아줌으로써, 건물의 내구성 증진 및 유지 관리 보수 비용을 절감시켜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유도형 판넬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유도형 판넬 구조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유도형 판넬 구조의 더욱 상세한 설명에 제공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고정부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유도판부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유도형 판넬(10)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유도형 판넬(10) 구조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유도형 판넬(10) 구조의 더욱 상세한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 유도형 판넬(10)은, 마감재 내부에 발생되는 결로수를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결로 유도형 판넬(10)은, 외부 마감부(100), 내측 고정부(200), 판넬 고정부(300), 상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400), 하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500), 결로수 유도판부(600) 및 코킹 마감부(700)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마감부(100)는, 축 시설물의 외부 벽체를 마감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외부 마감부(100)는, 복합 판넬 또는 알루미늄 시트 판넬로 구현되어, 축 시설물의 외부 벽체를 마감할 수 있다.
여기서, 복합 판넬은, 두 장의 알루미늄 사이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소재를 넣고, 고온 접합시킨 샌드위치 구조의 자재를 의미한다.
그리고 외부 마감부(100)는, 상측에 마련되는 상부 마감부(110)와 하측에 마련되는 하부 마감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내측 고정부(200)는, 외부 마감부(100)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내측 고정부(200)는, 외부 마감부(100)의 내측에 마련되는 각파이프가 구비되어, 외부 마감부(10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판넬 고정부(300)는, 외부 마감부(100)와 내측 고정부(200) 사이에 마련되어, 내측 고정부(200)가 외부 마감부(100)를 지지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넬 고정부(300)는, 외부 마감부(100)와 내측 고정부(200) 사이에 마련되되, 외부 마감부(100)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넬 고정부(300)는, 외부 마감부(100)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Z"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 고정부(200)가 외부 마감부(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판넬 고정부(300)는, 상부 마감부(110)의 상측에 마련되는 상부 판넬(310)과 하부 마감부(120)의 하측에 마련되는 하부 판넬(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400)는, 외부 마감부(100)의 내부에 생기는 결로수가 하측으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400)는, 판넬 고정부(300)의 상부 판넬(310)에 삽입관통되는 상부 호스(410)가 구비되어, 외부 마감부(100)의 내부에 생기는 결로수가 하측으로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400)는, 판넬 고정부(300)에 삽입관통 시, 상부 호스(410)가 하부 판넬(320)에 삽입관통된 이후,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부 판넬(310)까지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하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500)는, 상부 호스(410)를 통해 유도되는 결로수가 하측으로 유도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500)는, 상부 호스(410)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판넬 고정부(300)의 하부 판넬(320)에 삽입관통되는 하부 호스(510)가 구비되어, 상부 호스(410)를 통해 유도되는 결로수가 하측으로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하부 호스(510)는, 최하층부 판넬까지 연장형성되거나 또는 소정의 길이까지만 연장형성되어, 하측으로 유도되는 결로수가 결로수 유도판부(600)에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하부 호스(510)가, 소정의 길이까지만 연장형성되는 경우에는, 결로수 유도판부(600)에 결로수가 안정적으로 떨어지도록 하기 위해, 결로수 유도판부(600)의 배출구(610) 직경이 하부 호스(5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결로수 유도판부(600)는 하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500)를 통해 하측으로 유도되는 결로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결로수 유도판부(600)는 최하부층 설치된 판넬에 마련되어, 하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500)를 통해 하측으로 유도되는 결로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로수 유도판부(600)는, 벌레나 이물질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결로수가 배출되는 배출구(610)에 망(620)이 설치될 수 있다.
코킹 마감부(700)는, 내측으로 절곡된 판넬 고정부(300)에 끼움결합되어, 판넬 고정부(30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킹 마감부(700)는, 일측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판넬 고정부(300)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의 외주연을 따라 실리콘 재질의 기밀 부재가 마련되어, 기밀 부재의 탄성력 및 복원력을 이용하여, 추가 부품 없이도, 판넬 고정부(300)에 끼움결합될 수 있으며, 끼움결합된 상태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넬 고정부(300)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판넬 고정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마감부(100)와 내측 고정부(200) 사이에 마련되되, 외부 마감부(100)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내측 고정부(200)가 외부 마감부(100)를 지지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상부 마감부(110)의 상측에 마련되는 상부 판넬(3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끝단인 제1 지점(311)에서 상부 호스(410)가 삽입관통되는 제2 지점(312)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결로수의 유도 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로수 유도판부(600)의 설명에 제공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결로수 유도판부(6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최하부층 설치된 판넬에 마련되어, 하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500)를 통해 하측으로 유도되는 결로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결로수 유도판부(600)는 하부 호스(510)가, 소정의 길이까지만 연장형성되는 경우에, 하측으로 유도되는 결로수가 배출구(610)의 주변에 잔존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구(61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배출구(610)의 직경이 하부 호스(5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배출구(610)의 직경은 하부 호스(510)의 직경의 1.1 내지 1.25배로 형성되는 것이 결로수가 배출구(610)의 주변에 잔존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구(61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데 바람직하다.
또한, 결로수 유도판부(600)는, 하부 호스(510)가, 소정의 길이까지만 연장형성되는 경우에, 하측으로 유도되는 결로수가 배출구(610)의 주변에 잔존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구(61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배출구(610)의 직경이 하부 호스(5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 이외에도, 배출구(610)의 테두리를 따라 모따기 가공한 만곡부(6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감재 내부에 발생되는 결로수를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건출 시설물의 내부 마감재 등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결로 유도형 판넬 100 : 외부 마감부
110 : 상부 마감부 120 : 하부 마감부
200 : 내측 고정부 300 : 판넬 고정부
310 : 상부 판넬 311 : 제1 지점
312 : 제2 지점 320 : 하부 판넬
400 : 상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 410 : 상부 호스
500 : 하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 510 : 하부 호스
600 : 결로수 유도판부 610 : 배출구
611 : 만곡부 620 : 망
700 : 코킹 마감부

Claims (7)

  1. 복합 판넬 또는 알루미늄 시트 판넬로 구현되어, 건축 시설물의 외부 벽체를 마감하도록 하는 외부 마감부;
    외부 마감부의 내측에 마련되는 각파이프가 구비되어, 외부 마감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내측 고정부;
    외부 마감부와 내측 고정부 사이에 마련되되, 외부 마감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는 판넬 고정부;
    판넬 고정부의 상부 판넬에 삽입관통되는 상부 호스가 구비되어, 외부 마감부의 내부에 생기는 결로수가 하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상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 및
    상부 호스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판넬 고정부의 하부 판넬에 삽입관통되는 하부 호스가 구비되어, 상부 호스를 통해 유도되는 결로수가 하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하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를 포함하고,
    판넬 고정부는,
    결로수의 유도 효과가 향상되도록, 상부 판넬이 끝단에서 상부 호스가 삽입관통되는 지점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유도형 판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는,
    판넬 고정부에 삽입관통 시, 상부 호스가 하부 판넬에 삽입관통된 이후,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부 판넬까지 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유도형 판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최하부층 설치된 판넬에 마련되어, 하부 결로 유도형 호스부를 통해 하측으로 유도되는 결로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결로수 유도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유도형 판넬.
  5. 청구항 4에 있어서,
    결로수 유도판부는,
    벌레나 이물질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결로수가 배출되는 배출구에 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유도형 판넬.
  6. 청구항 4에 있어서,
    결로수 유도판부는,
    하측으로 유도되는 결로수가 배출구의 주변에 잔존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배출구의 직경이 하부 호스의 직경의 1.1 내지 1.25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유도형 판넬.
  7. 청구항 6에 있어서,
    결로수 유도판부는,
    하측으로 유도되는 결로수가 배출구의 주변에 잔존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배출구의 테두리를 따라 모따기 가공한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유도형 판넬.
KR1020200040327A 2020-04-02 2020-04-02 결로 유도형 판넬 KR102188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327A KR102188992B1 (ko) 2020-04-02 2020-04-02 결로 유도형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327A KR102188992B1 (ko) 2020-04-02 2020-04-02 결로 유도형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992B1 true KR102188992B1 (ko) 2020-12-09

Family

ID=7378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327A KR102188992B1 (ko) 2020-04-02 2020-04-02 결로 유도형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9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2024A (ja) * 2008-01-09 2009-07-23 Asahi Tostem Gaiso Kk 垂壁納まり用部材及び該部材を用いた垂壁
KR20110083890A (ko) * 2010-01-15 2011-07-21 주식회사 대창산업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패널의 결로수 배수구조와 그 시공방법
KR101687517B1 (ko) * 2016-07-22 2016-12-16 주식회사 화인 단열 벽체용 내외장 판넬 연결 구조
KR20180002258A (ko) * 2016-06-29 2018-01-08 홍종화 단열드레인보드를 이용한 지하 방습벽 시공방법 및 그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2024A (ja) * 2008-01-09 2009-07-23 Asahi Tostem Gaiso Kk 垂壁納まり用部材及び該部材を用いた垂壁
KR20110083890A (ko) * 2010-01-15 2011-07-21 주식회사 대창산업 벽체 결로수 배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방습패널의 결로수 배수구조와 그 시공방법
KR20180002258A (ko) * 2016-06-29 2018-01-08 홍종화 단열드레인보드를 이용한 지하 방습벽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101687517B1 (ko) * 2016-07-22 2016-12-16 주식회사 화인 단열 벽체용 내외장 판넬 연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1335B2 (en) Top of wall ventilation screed device and assembly
US7966773B2 (en) Wall edge vortex suppressor
KR102188992B1 (ko) 결로 유도형 판넬
KR101606363B1 (ko) 건축물 층간소음 방지구조
EP3130721A1 (en) Multilayered renovation building element
US11180918B2 (en) Modular thermal panels for building shells and methods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reof
US20100257800A1 (en) Prefabricated insulation panel
KR101814707B1 (ko) 신축 및 기존 건물의 옥상 바닥 내부에서 발생 되는 에어와 습기 제거, 누수방지용 유닛 및 그 유닛을 이용한 에어와 습기 제거, 누수방지 시공 방법
KR101288886B1 (ko) 습·음 배출용 바닥완충재를 이용한 층간 뜬바닥구조의 시공방법
DE102013210798B3 (de) Vorrichtung für eine Durchführung durch eine Wand eines Fertighauses sowie Verfahren zur Anbringung einer derartigen Durchführung an einem Bauelement eines Fertighauses
CN102747838B (zh) 飘窗板空调机位预留筋的施工方法
KR102176722B1 (ko) 접착식 내진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 구조물
KR102279650B1 (ko) 방수시트 및 바탕 조정용 배수패널이 구비된 3중 구조의 방수시트
US20050006050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recting flow in air-cooled condenser systems
RU2717595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реновации наружной оболочки здания
EP3835504A1 (en) Insulating and drying panel, wall thermal insulation and drying system, and mounting method for wall thermal insulation and drying system
JP2011052414A (ja) 建物外壁の改修構造
CN212026650U (zh) 一种保温隔声系统的门洞口施工结构
KR102193339B1 (ko) 건축물의 개방부 차폐판 회전 개폐장치
KR101450690B1 (ko) 외단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측면 보호고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외단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CN217737439U (zh) 一种新通风工艺系统
KR102277457B1 (ko) 통풍성을 개선한 지하 벽체 구조물 및 시공 방법
KR100340248B1 (ko) 커튼월의 층간변위 흡수구조
KR102597916B1 (ko)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
KR200496446Y1 (ko) 건축물의 개방부 소음 및 분진 차단용 패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