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916B1 -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 - Google Patents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916B1
KR102597916B1 KR1020210045111A KR20210045111A KR102597916B1 KR 102597916 B1 KR102597916 B1 KR 102597916B1 KR 1020210045111 A KR1020210045111 A KR 1020210045111A KR 20210045111 A KR20210045111 A KR 20210045111A KR 102597916 B1 KR102597916 B1 KR 102597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rooftop
body portion
rainwater pip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9018A (ko
Inventor
유석영
Original Assignee
와이에스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에스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에스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5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916B1/ko
Publication of KR20220139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옥상 바닥에 형성된 우수관 설치 공간에 삽입 설치되며, 내부에 우수 통로가 형성된 우수관 유입 바디부; 및 상기 우수관 유입 바디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옥상 우수 드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옥상 바닥의 방수 보호층으로 침투된 빗물이 상기 우수 통로로 안내되도록 상기 우수관 유입 바디부에는 상기 우수관 유입 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우수 유입홀이 형성된 것인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RAINWATER PIPE ENTRANCE}
본 발명은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의 중간 둘레에 우수 유입홀을 형성하여 옥상 콘크리트 바닥 상부의 방수층과 방수 보호층 사이에 침투 및 흡수된 빗물이 우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2차 유도하고, 옥상 콘크리트 바닥의 두께 및 방수 보호층 두께의 유동성을 감안하여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옥상의 바닥 두께에 따라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의 설치가 간편하도록 이루어진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방수 보호층으로 흘러 들어오는 우수를 1차 유도하는 제품이다.
주택, 빌라,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건물의 옥상 콘크리트 바닥 타설시에는 건물 내부로 빗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시공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방수시공이 적용된 옥상은 대개 구조 바닥콘크리트층 상부에 다양한 방법으로 방수층을 시공하고, 방수층의 상부에는 무근콘크리트 및 시멘트모르타르 등을 이용한 방수 보호층을 형성하여 옥상의 방수층을 보호하고 물구배를 형성하여 빗물의 흐름을 옥상 우수관으로 유도하여 건물 외부로 내보내는 방법으로 방수 처리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옥상에 방수 처리가 이루어지더라도, 기존의 제품으로 옥상 우수관을 설치할 시, 방수 보호층은 방수층이 아니므로 빗물을 흡수하며, 외부 충격으로 인해 방수 보호층이 파손되거나, 건물이 노후화되어 방수 보호층에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방수 보호층은 빗물에 의해 포화상태가 된다. (파손 부위를 통해 빗물이 내부로 침투될 수 있다.)
이러한 침투된 빗물은 예를 들어 시멘트모르타르 또는 무근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방수 보호층의 내부에 포화상태로 빗물을 머금고 항상 고인 상태가 되어 습윤한 상태로 오랜시간 있을 수 밖에 없으며, 외부로 배출이 안된다. 이는, 건물의 옥상층 방수 하자와 구조체 하자 및 여러 미관상 하자가 발생하는 요인이 된다.(방수 보호층이 부풀어 오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옥상의 바닥면은 울퉁불퉁하여 미관상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건축물 신축시 건축설계에 따라 옥상바닥 콘크리트의 두께와 방수층 및 방수 보호층의 두께가 다르다.(시공이 이루어진 옥상의 바닥 두께는 현장에 따라 모두 다르다.)
즉, 건물에 따라 옥상의 콘크리바닥의 두께가 다르고, 방수시공을 하는 과정에서 방수 보호층의 두께 역시 설계에 따라 다르며, 작업자에 따라 시공오차가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이, 건물마다 옥상의 두께가 다르기에, 옥상 우수관 유입구를 바닥 콘크리트 타설시 설치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옥상 우수관 유입구의 위치는 방수층위 방수 보호층의 경계에 위치하는 것이 중요한데, 예를 들어, 우수관 유입구의 길이가 우수관 설치 공간의 높이에 비해 짧다면 해당 옥상 우수관 유입구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옥상 우수관 유입구의 길이가 우수관 설치 공간의 높이에 비해 길다면, 현장에서 옥상 우수관 유입구를 우수관 설치 공간의 높이에 맞게 잘라야 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방수 보호층 속으로 침투된 빗물이 방수층에서 신속하게 옥상 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고, 옥상의 바닥 두께에 따라 선택적인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옥상 우수관 유입구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83102호(2020.07.0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옥상의 방수 보호층에서 옥상 우수관으로 유입된 빗물을 1차로 배출하고, 2차로 우수관 유입구의 둘레에 우수 유입홀을 형성하여 옥상 방수 보호층으로 침투된 빗물이 우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는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옥상의 바닥 두께에 따라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의 설치가 간편하도록 이루어진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옥상 바닥에 형성된 우수관 설치 공간에 삽입 설치되며, 내부에 우수 통로가 형성된 우수관 유입 바디부; 및 상기 우수관 유입 바디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옥상 우수 드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옥상 바닥의 방수 보호층으로 침투된 빗물이 상기 우수 통로로 안내되도록 상기 우수관 유입 바디부에는 상기 우수관 유입 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우수 유입홀이 형성된 것인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수관 유입 바디부의 내측면에는 방수 테이프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방수 테이프는 옥상 콘크리트 바닥, 방수층 및 방수 보호층으로 이루어진 옥상 바닥의 시공이 완료된 후, 제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수관 유입 바디부의 내측면에는 우수 가이드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우수 가이드부는 상기 우수 유입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옥상 우수 드레인을 통해 유입된 빗물이 상기 우수 유입홀을 통해 상기 방수 보호층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수관 유입 바디부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상기 우수관 설치 공간의 제1 홀부에 삽입되며, 상기 우수 유입홀이 형성된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우수관 설치 공간의 테이퍼부에 안착 지지되는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2 바디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우수관 설치 공간의 제2 홀부에 삽입되는 제3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부의 직경은 상기 제3 바디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부 바디부; 상기 상부 바디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바디부와 탈착되는 하부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바디부와 하부 바디부는 선택적인 결합을 통해 상기 제1 바디부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디부의 내측면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바디부의 외측면에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바디부와 하부 바디부는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나사산의 최상단에는 일정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탄성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디부의 내측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바디부의 외측면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상기 결합돌기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바디부의 상단 외측면에는 상기 상부 바디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에는 우수 유입홀이 형성됨에 따라 방수 보호층으로 침투된 빗물은 우수 유입홀을 통해 우수 통로로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다양한 현장 조건에서도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옥상 바닥에 설치되는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옥상 바닥에 설치되는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옥상 바닥에 설치되는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1000)는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와 옥상 우수 드레인(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는 옥상 바닥에 형성된 우수관 설치 공간(40, 도 2참조)에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옥상 바닥은 옥상 콘크리트 바닥(10)의 상부에 방수층(20)이 마련되고, 방수층(20)의 상부에는 무근콘크리트 및 시멘트모르타르 등을 이용한 방수 보호층(30)이 마련된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옥상 바닥은 상기에서 언급한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방수층(20)과 방수 보호층(30)이 형성된 옥상 바닥의 우수관 설치 공간(40)에는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가 삽입 설치된다.
이와 같이,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가 우수관 설치 공간(40)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의 상부에는 옥상 우수 드레인(200)이 결합된다.
이러한 옥상 우수 드레인(200)은 일정 이상의 크기를 갖는 이물질이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옥상 우수 드레인(200)에는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유체 통과홀(210)이 형성되어, 일정 이상의 크기를 갖는 이물질이 유체 통과홀(210)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옥상 우수 드레인(200)은 예를 들어 반구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옥상 우수 드레인(200)과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 사이에는 거름망(2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름망(220)은 옥상 우수 드레인(200)을 통과한 일정 이상의 이물질이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1000)에는 옥상 우수 드레인(200)과 거름망(220)이 구비됨에 따라, 일정 이상의 크기를 갖는 이물질이 우수 통로(10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우수 통로(102)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에는 우수 유입홀(10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는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부 바디부와 하부 바디부가 분리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실시예에서는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부 바디부와 하부 바디부가 서로 결합되는 형태로 나타내기로 한다.
이러한 상부 바디부와 하부 바디부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제3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우수 유입홀(101)은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1000)의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우수 유입홀(101)은 예를 들어, 방수 보호층(30)으로 빗물이 침투된 경우, 침투된 빗물은 우수 유입홀(101)을 통해 우수 통로(102)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옥상 콘크리트 바닥(10) 상부의 방수층(20)과 방수 보호층(30) 사이로 침투 및 흡수된 빗물이 방수 보호층(30)에 고여 방수 보호층(30)이 부풀어 오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의 내측면에는 방수 테이프(10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수 테이프(103)는 옥상 콘크리트 바닥(10), 방수층(20) 및 방수 보호층(30)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우수 유입홀(101)을 통해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의 내부로 오염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수 테이프(103)는 시공이 모두 완료된 상태에서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수 테이프(103)는 후술될 제2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서도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옥상 바닥에 설치되는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는 일체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는 제1 바디부(110), 제2 바디부(120) 및 제3 바디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바디부(110) 내지 제3 바디부(130)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디부(110)는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 바디부(110)는 내부에 우수 통로(102)가 형성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바디부(110)는 우수관 설치 공간(40)의 제1 홀부(41)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 바디부(120)는 제1 바디부(11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바디부(120)는 테이퍼 형태를 이루며, 우수관 설치 공간(40)의 테이퍼부(42)에 안착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3 바디부(130)는 제2 바디부(12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된다. 이러한 제3 바디부(130)는 우수관 설치 공간(40)의 제2 홀부(43)에 삽입된다.
여기서 제1 바디부(110)의 직경은 제3 바디부(13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우수관 설치 공간(40)에는 테이퍼부(42)가 형성됨에 따라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를 우수관 설치 공간(40)에 설치함에 있어 안정적이며, 간편한 설치가 가능하다. 즉, 종래의 일직선 형태로 우수관 설치 공간이 마련된 경우에 비해 설치 작업이 간편하며,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의 내측면에는 우수 가이드부(1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우수 가이드부(140)는 옥상 우수 드레인(200)을 통해 우수 통로(102)로 유입된 빗물이 우수 유입홀(101)을 통해 방수 보호층(3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우수 가이드부(140)는 예를 들어 우산의 캐노피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옥상 우수 드레인(200)을 통해 우수 통로(102)로 유입된 빗물은 우수 가이드부(140)를 타고 흐르며, 우수 유입홀(101)을 통해 방수 보호층(3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우수 가이드부(140)의 형상은 일예뿐, 옥상 우수 드레인(200)으로 유입된 빗물이 우수 유입홀(101)을 통해 방수 보호층(30)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우수 가이드부(140)는 옥상 우수 드레인(200)을 통해 유입된 빗물이 방수 보호층(30)으로 재유입되어 방수 보호층(30)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우수 가이드부(140)는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의 내측면에 구비됨에 따라,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를 우수관 설치 공간(40)에 설치함에 있어 걸림 등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방수 보호층(30)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우수 가이드부의 구성이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의 외측면에 구비된 경우에는 우수관 유입 바디부(100)의 설치 과정도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1000')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제1 바디부(110')의 길이는 선택적으로 가변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는 건물의 옥상 두께에 따라 제1 바디부(11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한 상태에서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1000')를 현장 상황에 맞게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건물의 옥상 콘크리트 바닥(10)을 비롯한 방수시공을 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방수층(20) 및 방수 보호층(30)의 두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다양한 두께를 갖는 옥상의 바닥에 대해 제1 바디부(110')는 선택적인 길이 조정을 통해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1000')는 우수관 설치 공간(40)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바디부(110')는 상부 바디부(111)와 하부 바디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바디부(112)는 상부 바디부(111)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부 바디부(111)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부 바디부(111)와 하부 바디부(112)는 선택적인 결합을 통해 제1 바디부(11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바디부(111)의 내측면에는 제1 나사산(113)이 형성되고, 하부 바디부(112)의 외측면에는 제1 나사산(113)과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산(11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부 바디부(111)와 하부 바디부(112)는 제1 나사산(113)과 제2 나사산(114)의 나사 결합을 통해 제1 바디부(110')의 길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나사산(114)의 최상단에는 예를 들어, 일정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11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나사산(114)의 최상단이 탄성부재(115)로 이루어진 것은, 작업자가 일정 이상의 회전력으로 제1 나사산(113)과 제2 나사산(114)을 나사 결합한 후, 작업자가 제1 바디부(110')를 요구하는 길이로 조정한 상태에서 제1 바디부(110')의 길이가 조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115)는 제1 나사산(113)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되, 제1 나사산(113) 보다는 더 큰 부피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부 바디부(111)와 하부 바디부(112)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일정 이상의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부재(115)는 가압이 이루어지며 제2 나사산(114)을 나선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 바디부(111)와 하부 바디부(112)의 조립을 위한 회전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탄성부재(115)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며, 탄성부재(115)의 외측면은 제1 나사산(113)에 밀착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하부 바디부(112)의 최상단에 마련된 탄성부재(115)는 작업자가 제1 바디부(110')를 요구하는 길이로 조정한 상태에서 상부 바디부(111)의 제1 나사산(113)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1 바디부(110')를 요구하는 길이로 조정한 상태에서 제1 바디부(110')의 길이 변화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우수 통로(102)로 이동되는 빗물은 제2 나사산(114)의 상부에 마련된 탄성부재(115)로 인해 제1 나사산(113)과 제2 나사산(114) 사이의 공간으로 빗물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하부 바디부(112)의 상단부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하향지게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부(116)는 예를 들어, 우수 유입홀(101)을 통해 상부 바디부(111)의 내측면을 타고 흐르는 빗물이 하부 바디부(112)의 상부면에 고임이 발생되지 않으며, 우수 통로(102)로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1000")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부 바디부(111')의 내측면 하단부에는 결합돌기(117)가 구비된다.
그리고 하부 바디부(112')의 외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결합돌기(117)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결합홈(118)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홈(118)은 결합돌기(117)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부 바디부(111') 또는 하부 바디부(112')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제1 바디부(11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바디부(112')의 상단 외측면에는 밀착부재(119)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밀착부재(119)는 예를 들어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바디부(111')와 하부 바디부(112')가 결합된 상태에서 밀착부재(119)는 상부 바디부(111')의 내측면에 밀착 결합되어, 상부 바디부(111')와 하부 바디부(112') 사이로 빗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옥상 콘크리트 바닥
20: 방수층
30: 방수 보호층
40: 우수관 설치 공간
41: 제1 홀부
42: 테이퍼부
43: 제2 홀부
100: 우수관 유입 바디부
101: 우수 유입홀
102: 우수 통로
103: 방수 테이프
110, 110', 110": 제1 바디부
111, 111': 상부 바디부
112, 112': 하부 바디부
113: 제1 나사산
114: 제2 나사산
115: 탄성부재
116: 경사부
117: 결합돌기
118: 결합홈
119: 밀착부재
120: 제2 바디부
130: 제3 바디부
140: 우수 가이드부
200: 옥상 우수 드레인
210: 유체 통과홀
220: 거름망
1000, 1000', 1000":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

Claims (7)

  1. 옥상 바닥에 형성된 우수관 설치 공간에 삽입 설치되며, 내부에 우수 통로가 형성된 우수관 유입 바디부; 및
    상기 우수관 유입 바디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옥상 우수 드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옥상 바닥의 방수 보호층으로 침투된 빗물이 상기 우수 통로로 안내되도록 상기 우수관 유입 바디부에는 상기 우수관 유입 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우수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우수관 유입 바디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우수 유입홀이 형성된 제1 바디부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이루되, 상기 제1 바디부에는 상기 제1 바디부와 일체를 이루며 상기 제1 바디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바디부와 이격되는 우수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우수 가이드부의 상단부는 상기 우수 유입홀 상부의 상기 제1 바디부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우수 유입홀의 하부보다 더 낮도록 배치되어, 상기 옥상 우수 드레인을 통해 유입된 빗물이 상기 우수 유입홀을 통해 상기 방수 보호층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인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관 유입 바디부의 내측면에는 방수 테이프가 더 구비되며,
    상기 방수 테이프는 옥상 콘크리트 바닥, 방수층 및 방수 보호층으로 이루어진 옥상 바닥의 시공이 완료된 후, 제거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관 유입 바디부는,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 상기 우수관 설치 공간의 제1 홀부에 삽입되며, 상기 우수 유입홀이 형성된 제1 바디부;
    상기 제1 바디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우수관 설치 공간의 테이퍼부에 안착 지지되는 제2 바디부; 및
    상기 제2 바디부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우수관 설치 공간의 제2 홀부에 삽입되는 제3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부의 직경은 상기 제3 바디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부 바디부;
    상기 상부 바디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바디부와 탈착되는 하부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바디부와 하부 바디부는 선택적인 결합을 통해 상기 제1 바디부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디부의 내측면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바디부의 외측면에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바디부와 하부 바디부는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나사산의 최상단에는 일정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탄성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디부의 내측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바디부의 외측면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상기 결합돌기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바디부의 상단 외측면에는 상기 상부 바디부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
KR1020210045111A 2021-04-07 2021-04-07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 KR102597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111A KR102597916B1 (ko) 2021-04-07 2021-04-07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111A KR102597916B1 (ko) 2021-04-07 2021-04-07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018A KR20220139018A (ko) 2022-10-14
KR102597916B1 true KR102597916B1 (ko) 2023-11-06

Family

ID=83599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111A KR102597916B1 (ko) 2021-04-07 2021-04-07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9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042B1 (ko) * 2015-04-23 2016-07-29 강영심 빗물 배수가 용이한 옥상 방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6558B2 (ja) * 1990-02-16 1998-02-18 直樹 須賀 屋上床面に使用するルーフドレン装置
JPH07317243A (ja) * 1994-05-26 1995-1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軒樋用ドレン
KR20090078535A (ko) * 2008-01-15 2009-07-20 고의환 루프드레인
KR20170125633A (ko) * 2016-05-04 2017-11-15 노벨콘(주) 배수구가 구비된 옥상의 방수 및 단열 보호재 시공공법
KR102245590B1 (ko) 2018-12-31 2021-04-29 (주)스페이스선 빗물 정화를 위한 우수관용 연결소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042B1 (ko) * 2015-04-23 2016-07-29 강영심 빗물 배수가 용이한 옥상 방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018A (ko)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206B1 (ko) 옥상용 드레인 유닛을 이용한 옥상 드레인 보수방법
KR102597916B1 (ko)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
US6594966B2 (en) Bi-functional roof drain and method of retrofitting a roof drainage system therewith
KR101716394B1 (ko) 정합식 맨홀
KR200417292Y1 (ko) 수평형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EP3357384B1 (de) Boden einer dusche
JP4280214B2 (ja) 屋上排水構造
JP4091210B2 (ja) ピット用排水管
KR200405437Y1 (ko) 다중식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 장치
CN209162987U (zh) 一种新型建筑屋顶排水结构
JPH08193393A (ja) バルコニーにおける排水設備構造
KR101925205B1 (ko) 옥상용 드레인 유닛
CN208309760U (zh) 地漏结构及地暖地面结构
JP7131973B2 (ja) 軒樋構造および建物
JP6960594B2 (ja) 接続構造
KR100392076B1 (ko) 아파트 베란다용 배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498039B1 (ko)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
CN110820864A (zh) 一体多功能预埋件
KR100580443B1 (ko) 건축물 옥상바닥 배수구 보강구조
CN219825200U (zh) 一种喷锚泄水管结构
KR102528341B1 (ko) 워터 드레인 파이프를 갖는 피씨기둥 시공방법
CN212294889U (zh) 一种防渗漏潜置地漏管道结构
KR200453346Y1 (ko) 벽체용 루프 드레인
FI130394B (fi) Parvekekaivo, rakennusosa ja parvekkeen vedenpoistojärjestelmä
JP7032617B2 (ja) 雨水利用分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