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437Y1 - 다중식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식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437Y1
KR200405437Y1 KR2020050029279U KR20050029279U KR200405437Y1 KR 200405437 Y1 KR200405437 Y1 KR 200405437Y1 KR 2020050029279 U KR2020050029279 U KR 2020050029279U KR 20050029279 U KR20050029279 U KR 20050029279U KR 200405437 Y1 KR200405437 Y1 KR 200405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flange
circumferential surface
roof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주
Original Assignee
박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주 filed Critical 박영주
Priority to KR2020050029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4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4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E04D2013/0413Strainers for drainag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옥상이나 건축물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빗물이나 기타 오수등을 배수하는 장치로서, 특히 바닥의 구조나 높이에 관계없이 마감 높이에 맞추어 간단하게 시공이 가능하여 이물질에 의한 배수공(1a)이 막혀 빗물이나 오수등의 배출에 영향을 받지 않는 다중식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슬라브층 거푸집위의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의 설치위치에 하부(1d)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 뒤 하부(1d) 윗면(11)에 맞추어 방수작업(21)을 한 뒤 고정판(1c)을 하부(1d)에 설치한 후 바닥면의 마감 높이에 맞추어 플랜지(1b,1f)을 고정판(1c)위에 설치하고 그위에 배수공(1a,1e)을 설치하는 것이다.
다중식루프드레인, roof drain, 옥상배수구, 이중루프드레인, 삼중식루프드레인, 선홈통배수구, 바닥배수구, floor drain

Description

다중식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 장치{RAYER ROOF AND FLOOR DRAIN SYSTEM}
도 1 - 다중식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의 분해 사시도
도 2 - 종래의 3중식루프드레인의 설치 단면도
도 3 - 본 발명의 다중식 루프드레인의 설치 단면도
도 4 - 본 발명의 다중식 플로어드레인의 설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e. 배수공 1b,1f. 플랜지 1c. 고정판
1d. 하부 1. 플랜지 날개 3,10. 지지돌기
4. 배수공지지턱 5. 플랜지지턱 6. 여과망
8,16. 체결볼트 9,12. 볼트구멍 14. 하부플랜지
15. 상부플랜지 17. 하부너트 18. 중간너트
19. 상부너트 20. 콘크리트슬라브층 21. 방수층
22. 단열재층 23. 몰탈층 24. 바닥타일층
루프드레인은 건축물의 옥상 바닥에 설치되어 빗물이나 기타 오수등을 배수하는 장치로서, 종래의 루프드레인은 도2에 도시한 것과 같은 바닥콘크리트 타설시 설치한 하부(1d)위에 방수층(21)을 형성한뒤 그위에 하부플랜지(14)를 체결볼트(16)와 하부너트(17)를 사용하여 하부(1d)에 고정한 뒤, 단열재(22) 설치후 중간너트(18)와 상부너트(19)를 사용하여 상부플랜지(15)를 단열재 설치높이에 맞추어 고정한 뒤 상부플랜지(15) 위에 배수공(1a)을 설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종래의 루프드레인 설치구조는 단열재층(22) 위에 타설되는 몰탈층(23)의 마감 높이에 의하여 루프드레인의 설치 주위에서 급경사를 이루어 이루게 되어 배수공(1a)의 상단 보다도 몰탈층(23)의 마감높이가 높은 경우가 대부분으로 옥상층의 바닥면에 있는 이물질등이 빗물이나 오수등의 흐름에 의하여 배수공(1a)위에 쌓이게 되면서 배수공(1a)의 구멍을 막게되어 빗물이나 오수등의 배출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은 체결볼트(16)를 연장하여 상부너트(19)와 중간너트(18)를 사용하여 몰탈층(23)의 마감 높이에 맞추어 상부플랜지(15)을 하나 더 설치하여 그위에 배수공(1a)을 설치하여 해결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 경우 몰탈층(23) 타설작업시 상부플랜지(15)와 그위에 몰탈층(23)의 마감 높에에 맞추어 따로 설치되는 상부플랜지(15) 사이로 몰탈이 하부(1d)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상부플랜지(15)와 그위에 설치되는 상부플랜지(15)사이를 별도로 막아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단열재층(22)이나 몰탈층(23)의 높이에 따라 체결볼트의 길이를 따로 제작하여야 하고 설치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이 안출된 것으로, 루프드레인 또는 플로어드레인의 설치높이를 바닥의 마감 구조 및 높이에 관계없이 바닥면에 맞추어 쉽게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루프드레인의 경우 이물질에 의한 배수공의 막힘 현상을 제거하여 빗물이나 오수등의 배출을 원활하도록 함을 첫째로 하며, 마감높이의 조절에 따른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이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을 둘째로 하며, 2중구조의 여과망 장치로 이물질의 배관내의 유입을 방지함을 셋째로 하며, 방수층 위에 고여있는 빗물이나 오수등의 배출을 원활하게 함을 네번째 목적으로 하여 간편한 설치로 작업시간을 단축 시켜주며 공사비를 절감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부면(11)에 2개 또는 그이상의 체결볼트용 볼트구멍(12)을 갖는 하부(1d)위에, 방수층(21) 작업후, 내주면(7)에 2개 이상의 지지돌기(10)와 체결볼트용 구멍(9)을 가지는 고정판(1c)을 체결볼트(8)를 이용하여 하부(1d)의 상부면(11)에 고정시킨후, 외주면(2)의 수직 방향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돌기층(3)을 고정판(1c) 내주면(7)에 설치한 지지돌기(10)의 갯수와 같이 외주면(2)에 원형으로 배치하고, 외주면(2)의 상부에 날개(1)와 그위의 외측에 배수공지지턱(4)과 내측에 후렌지지지턱(5), 여과망(6)의 구조를 갖는 플랜지(1b)를, 플랜지(1b)의 외주면(2)에 있는 지지돌기(3)를 고정판(1c)의 내주면(7)의 홈으로 설치높이에 맞추어 수직으로 삽입한 뒤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회전하여 플랜지(1b)의 지지돌기(3)가 고정판(1c)의 지 지돌기(10)에 걸치도록 하여 설치하고, 마감층의 설치 높이가 높아질 때에는 플랜지(1b)의 상부에 있는 플랜지지지턱(5)안쪽에 플랜지(1b)의 외주면(2)이 오게하여 플랜지(1b)를 계속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플랜지(1b)의 배수공지지턱(4) 안에 배수공(1a)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사용장소가 옥상이 아닌 건축물의 내부일 경우에는 플랜지(1b)의 상단부에 있는 여과망(6)을 제거하고 여과망(6)이 위치한 부분의 내주면에 나사홈(13)을 내어 플로어용 배수공(1e)을 설치할 수도 있다.
위의 구성에서와 같이 마감 높이에 따라 플랜지(1b,1e)를 수직 이동한뒤 좌 또는 우로 수평 회전하여 플랜지(1b,1e)의 지지돌기(3)을 고정판(1c)의 지지돌기(10)에 걸치는 것으로 마감높이 조절에 따른 플랜지(1b,1e)의 설치가 완료 되므로 작업 시간이 매우 짧고 별도의 공구가 필요 없으며, 바닥면의 마감 높이에 따라 플랜지(1b,1e)의 플랜지고정턱(5)을 이용하여 플랜지(1b,1e)를 계속 연결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 높이를 원하는대로 쉽게 설치할 수가 있으며, 루프드레인의 경우 배수공(1a)이 항상 바닥 마감면 위로 설치되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한 배수공(1a)의 막힘을 방지하여 빗물의 흐름에 지장이 없으며, 배수공(1a)이 갖는 이물질 걸름장치와 함께 플랜지(1b)에 별도의 여과망(6)을 설치하여 2중 구조의 이물질 걸름장치로 이물질이 배관 내에로 유입되어 배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4에서와 같이 플랜지(1b)의 상단부에 있는 여과망(6)을 제거하고 여과망(6)이 위치한 부분의 내주면에 나사홈(13)을 낸 플로어드레인용 플랜지(1f)를 이용하여 배수공(1e)의 상단부와 마감층의 바닥면(24)을 일치하게 시공하는 화장실이나 주방, 주차장등에 사용되는 배수공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와 같이 다중식 루프드레인 또는 플로어드레인을 설치를 완료 하였을때 고정판(1c)의 내주면(7)과 플랜지(1b,1f)의 외주면(2) 사이에 일정한 틈이 생기게 되어 방수층위에 고여있는 빗물이나 오수를 빠르게 배출할 수 있고, 높이 조절에 따른 고정판(1c)과 플랜지(1b,1f) 또는 플랜지(1b,1f)를 계속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플랜지(1b,1f)와 플랜지(1b,1f)사이에 틈이 없기 때문에 몰탈층(23) 작업시에도 몰탈이 하부(1d)내부로 유입되어 배관이 막히는 일이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2)

  1. 상부면(11)에 2개 또는 그이상의 볼트구멍(12)을 갖는 하부(1d)에, 내주면에 2개 이상의 지지돌기(10)와 볼트구멍(9)을 가지는 고정판(1c)을 체결볼트(8)를 이용하여 하부(1d)의 상부면(11)에 고정시킨후, 외주면(2)의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지지돌기(3)층을 외주면(2)에 원형으로 고정판(1c) 내주면에 설치한 지지돌기(10)의 갯수와 같이 배치하고 외주면(2)의 상부에 날개(1)와 그위의 외측에 배수공지지턱(4), 내측에 플랜지지지턱(5), 여과망(6)의 구조를 갖는 후렌지(1b)를, 플랜지(1b)의 외주면(2)에 있는 지지돌기(3)를 고정판(1c)의 내주면의 홈(7)으로 설치높이에 맞추어 수직으로 삽입하여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회전하여 플랜지(1b)의 지지돌기(3)가 고정판(1c)의 지지돌기(10)에 걸치도록 하고, 플랜지(1b)의 상부에 있는 플랜지지지턱(5)안쪽에 플랜지(1b)의 외주면(2) 하단부가 오게하여 플랜지(1b)를 연결 설치하며, 플랜지(1b)의 배수공지지턱(4) 안에 배수공(1a)을 설치하도록 하는 루프드레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플랜지(1b)의 상단부에 있는 여과망(6)과 배수공지지턱(4)을 제거하고 여과망(6)이 위치한 부분의 내주면에 나사홈(13)을 낸 플랜지(1f)의 나사홈(13)에 플로어 드레인용 배수공(1e)을 설치하도록 하는 플로어드레인 장치.
KR2020050029279U 2005-10-14 2005-10-14 다중식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 장치 KR200405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279U KR200405437Y1 (ko) 2005-10-14 2005-10-14 다중식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279U KR200405437Y1 (ko) 2005-10-14 2005-10-14 다중식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437Y1 true KR200405437Y1 (ko) 2006-01-11

Family

ID=41757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279U KR200405437Y1 (ko) 2005-10-14 2005-10-14 다중식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43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293B1 (ko) * 2007-07-23 2008-10-24 이우진 코너용 루프드레인
KR20200095062A (ko) * 2019-01-31 2020-08-10 필립산업 (주) 가변형 루프 드레인
KR20220089410A (ko) 2020-12-21 2022-06-28 일산종합건설(주)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293B1 (ko) * 2007-07-23 2008-10-24 이우진 코너용 루프드레인
KR20200095062A (ko) * 2019-01-31 2020-08-10 필립산업 (주) 가변형 루프 드레인
KR102234349B1 (ko) 2019-01-31 2021-03-31 필립산업(주) 가변형 루프 드레인
KR20220089410A (ko) 2020-12-21 2022-06-28 일산종합건설(주)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821B1 (ko) 배수로 시공설비 및 배수로 시공방법
KR101776805B1 (ko) 조립식 교량 배수장치
KR200405437Y1 (ko) 다중식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 장치
KR101925206B1 (ko) 옥상용 드레인 유닛을 이용한 옥상 드레인 보수방법
KR100913781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한 세면욕조실의 바닥배수관 장치
KR20100007082U (ko)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KR102234349B1 (ko) 가변형 루프 드레인
KR20100002206U (ko)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KR200417292Y1 (ko) 수평형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KR100901261B1 (ko) 상인방 벽돌 조적용 가설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상인방벽돌 조적 방법
KR100581015B1 (ko) 발코니 배수시설
KR20160121676A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JPH08193393A (ja) バルコニーにおける排水設備構造
KR20080038949A (ko) 도로설치용 높낮이 조절형 집수구
KR100642983B1 (ko)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KR200411287Y1 (ko) 플랜지형 루프드레인
KR102234355B1 (ko) 높, 낮이 가변형 루프 드레인 및 이의 하부바디 설치방법
KR200323998Y1 (ko)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
KR100596891B1 (ko) 다세대 공동주택 확장형 발코니의 배수장치
KR102498039B1 (ko)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
KR200352175Y1 (ko) 욕실의 저소음 배수 배관 시공법
KR102337379B1 (ko) 지하 주차장용 배수설비 시공방법
KR200440925Y1 (ko) 확장형 발코니의 배수장치
JP2004084414A (ja) 建設中の建物の中に流入する雨水を排水する排水装置
KR20100001891U (ko) 수평형 루프드레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