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5062A - 가변형 루프 드레인 - Google Patents

가변형 루프 드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5062A
KR20200095062A KR1020190012670A KR20190012670A KR20200095062A KR 20200095062 A KR20200095062 A KR 20200095062A KR 1020190012670 A KR1020190012670 A KR 1020190012670A KR 20190012670 A KR20190012670 A KR 20190012670A KR 20200095062 A KR20200095062 A KR 20200095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ain
lower body
socket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4349B1 (ko
Inventor
고의환
고재환
Original Assignee
필립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산업 (주) filed Critical 필립산업 (주)
Priority to KR1020190012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349B1/ko
Publication of KR20200095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상의 콘크리트층을 형성할 때 하부 거푸집에 배수관 교체용 임시배관이 지나는 관통공을 천공하거나 하부 거푸집에 임시배관의 관통공을 뚫지 않고 시공하는 방법에 관계없이 단열층의 두께변화에 상응한 길이로 높낮이를 맞출 수 있고,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수를 잔수 없이 외부에 상시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루프 드레인에 관한 것으로, 마감층 표면의 배수로에 노출되어 이물질을 거르고 오수나 우수를 유입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배수캡과; 단열층에 매설되며 상부에 상기 배수캡의 하부를 수납 고정하기 위한 플렌지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배수캡의 배수공을 통과한 유입수를 하부측으로 보내기 위한 중공의 연결관을 구비한 상부 바디와; 상기 단열층에 매입되되 상단부가 상기 상부 바디의 연결관에 결합되고, 상기 단열층의 변경두께에 상응하게 상, 하부바디의 설치간격을 맞추도록 절단하는 길이조절관과; 상기 길이조절관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단열층에서 발생되는 결로수를 유입하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공을 통해 유입된 결로수를 하부바디로 보내는 소켓부와; 콘크리트층 및 제2방수층에 매설되되, 상부에 상기 소켓부의 하부와 결합되고, 하부에 배수관과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관을 구비한 하부 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별도의 가공 작업 없이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폐관을 길이조절관으로 활용하여 단열층의 두께에 상응한 길이로 루프 드레인의 높이를 간단하게 정확히 맞출 수가 있고, 또 단열층의 결로수가 잔존함이 없이 소켓부의 배수공을 통해 상시적으로 하부 바디측으로 완전히 배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결로수에 의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잠식할 수 있는 효과 외에도 종래의 루프 드레인에 비해 길이(높이)조절수단을 간소화하고 경량의 소재를 채용토록 하므로서 슬래브의 전체 하중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동시에 원가절감으로 인한 제작코스트를 대폭 낮출 수 있으며, 또한 관부와 관부를 조립식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하므로서 숙련자가 아닌 초보자라도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견고하게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 외에도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변형 루프 드레인{Variable Roof Drain}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붕이나 옥상을 이루는 슬래브에 매설되어 오수나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루프 드레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래브상의 콘크리트층을 형성할 때 하부 거푸집에 배수관 교체용 임시배관이 지나는 관통공을 천공하거나 하부 거푸집에 임시배관의 관통공을 뚫지 않고 시공하는 방법에 관계없이 단열층의 변경두께에 상응한 길이로 높낮이를 맞출 수 있고,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수를 잔수 없이 외부에 상시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루프 드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가구주택이나 빌딩, 지하구조물, 공동 주택 등의 지붕이나 옥상은 철근이 들어간 콘크리트층 위에 외기의 냉, 온기를 차단하는 단열층과 오수나 빗물과 같은 우수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층을 비롯해 미장층에 이르기까지 여러 층으로 슬래브를 형성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옥상이나 지붕의 슬래브는 사용 목적, 용도 및 기온차가 심한 지역적 여건 등에 따라 콘크리트층의 두께와, 단열층 및 방수층의 두께를 다르게 형성하거나 단열층을 하나 이상의 복수층으로 겹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슬래브에는 대기에 노출되어 눈이나 비를 맞게 되는데, 통상 눈 녹은 물이 지붕이나 옥상에 쌓여 있던 대기물과 섞인 오염된 오수나 빗물과 같은 우수를 수집하여 신속히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배수로와 루프 드레인과 같은 배수구조물을 반드시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슬래브는 대기에 상시적으로 노출되어 눈이나 빗물을 비롯해 계절별로 각기 다른 온도를 가지게 되기 마련인데, 특히 배수구조물의 루프 드레인이 설치된 슬래브상의 단열층 부근은 장마나 태풍으로 인한 굵은 비를 동반하거나 눈, 등 겨울철과 같은 혹한기에 있어서는 대기층(미장층)과 콘크리트층 간을 비롯해 내, 외부와 연결되는 루프드레인의 상호 작용에 의해 심한 기온격차가 발생되어 자연적으로 결로현상이 발생하고, 결로현상에 의한 결로수는 슬래브상의 콘크리트층과 루프 드레인의 사이를 통해 천정에 도달하게 되어 그 주변을 인체에 해로운 곰팡이로 오염시키고 콘크리트층을 균열시키거나 응집력을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가 야기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붕이나 옥상의 슬래브 역시 사용 목적, 용도 및 기온차가 심한 지역적 여건 등에 따라 현장에 맞게 콘크리트층의 두께와, 단열층 및 방수층의 두께를 더 두텁게 변경 형성할 때에도 이에 상응하는 길이로 맞출 수 있는 루프 드레인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두 가지 문제점 즉, 결로수 처리와 슬래브의 두께변화에 상응한 루프 드레인의 길이를 맞추는 종래 기술의 일예시로, 본인이 개발하여 선출원한 공개특허 제10-2009-0078535호의 루프 드레인이 제안된 바 있다.
이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층에 매설되는 제1바디의 플랜지와 단열층에 매설되는 제2바디의 플랜지에 복수의 체결공과 관통공을 형성하고 배수캡의 체결공에 맞추어 장볼트를 끼워 이 장볼트를 조이고 푸는 형태로 단열층의 두께에 따라 루프 드레인의 길이를 맞출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제1바디의 내벽에 제2바디의 중공관부를 끼움하는 형태로 드레인의 길이를 맞출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또한 제1바디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결로수를 배출하는 유입구와 다단 높이조절홈이 형성된 제2바디의 중공관부를 끼움하여 단열층 두께에 루프 드레인 길이를 조정하고, 상기 중공관부의 유입구를 통해 결로수를 배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종래 기술의 다른 일예로,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내벽에 나사탭이 형성된 소켓(커플링)에 축결합하여 제2바디를 좌,우 회전하여 루프 드레인의 설치길이를 조정하도록 한 방안도 제시된 바 있으며, 또한 상기 예시된 방법과는 달리 소켓을 생략하되, 제1바디의 관부 내벽 또는 외벽과, 제2바디의 내벽 또는 외벽에 각각 나사탭을 형성하여 제2바디를 좌, 우회전하는 형태로 하거나 하나 이상의 이음관을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적층하여 단열층의 두께에 맞게 루프 드레인의 설치길이를 조정하도록 한 방안도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에 종래 기술로 예시된 배수캡의 체결공에 맞추어 장볼트를 조이고 푸는 형태로 단열층의 두께에 따라 루프 드레인의 길이를 맞추는 타입이나 제1바디의 내벽에 제2바디의 중공관부를 끼움하는 형태,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내벽에 나사탭이 형성된 소켓(커플링)에 축결합하는 형태 및 소켓을 생략하되, 제1바디의 관부 내벽 또는 외벽과, 제2바디의 내벽 또는 외벽에 각각 나사탭을 형성하여 제2바디를 좌, 우회전하는 형태이거나 하나 이상의 이음관을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적층하는 형태는 단열층의 두께에 따라 루프드레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그 길이조정을 위한 부대적인 구성이 복잡하고 단열층의 변경두께에 상응한 길이로 조정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 기술들은 단열층에서 형성되는 결로수를 배수하는 구성이 결여되어 주철형태의 루프드레인을 부식시켜 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고, 또한 제1 바디 내지 제2바디에 루프드레인의 길이 조절 수단을 두기 위해 세심한 정밀작업을 통해 가공하거나 구현해야 하는 등, 가공상의 번거로움과 어려움이 뒤 따르는가 하면, 여러 공정을 통해 제작해야 하므로서 제품단가를 결코 낮출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바디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결로수를 배출하는 유입구 기능을 겸한 다단 높이조절홈이 형성된 제2바디의 중공관부를 끼움하여 제2바디를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단열층 두께에 루프 드레인 길이를 조정하고 유입구를 통해 결로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있어서도 제2바디의 중공관부 역시 주철형태로 중량의 두터운 두께로 성형 제작되는데 이러한 중량의 제2바디를 회전시켜 단열층의 두께에 따라 루프 드레인의 길이를 맞추기는 결코 쉬운 것이 아닌 한편, 등간격으로 다단 형성된 높이조절홈과 높이조절홈 간에 등간격이 어느 정도 존재하여 루프 드레인의 길이를 단열층의 변경두께에 정밀하게 맞출 수가 없는 단점이 있고, 나아가 단열층의 두께를 더 두텁게 할 경우 복수의 이음관을 이용하여 루프 드레인의 길이를 맞추도록 하므로서 슬래브상의 하중을 더욱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 기술은 제2바디의 중공관부 및 이음관에 형성되는 결로수를 배출하는 유입구와 다단 높이조절홈을 형성함에 있어서도 제2바디를 성형시에 함께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천공기 등의 2차 작업에 의해 완성되는 것이므로 장시간의 작업성을 요하는 만큼 짧은 시간에 대량생산이 어렵고 제작코스트를 상승시키는 문제점 외에도 다단으로 형성된 높이조절홈의 상단에 제1 바디의 걸림돌기가 위치할 경우, 결로수의 유입구가 방수층 위의 단열층 내에 위치하게 되어 오로지 상단에 위치한 높이조절홈을 통해서만이 결로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라는 점에서 단열층과 방수층 사이의 결로수는 완전히 배출할 수 없는 기술적 단점으로 인해 루프 드레인의 제1바디가 매설된 부근의 콘크리트층을 하단의 높이조절홈이 있는데 이르기 까지 타격하여 콘크리트를 제거한 후, 다시 방수층을 형성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시공상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루프 드레인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별도의 가공 작업 없이 현장에 비취된 폐관을 활용하여 단열층의 변경두께에 따라 상, 하부 바디의 설치간격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루프 드레인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더한 목적은 단열층에서 내,외 기온차에 의해 수시로 발생되는 결로수를 유입시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루프 드레인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더한 목적은 배출수의 낙차속도를 완충하여 소음발생을 최소화하고, 원가절감을 꾀할 수 있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을 제공함에도 있다.
본 발명에 더한 또 다른 목적은 조립식 형태로 누구나 손쉽게 견고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시공성 향상과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가변형 루프 드레인을 제공함에도 있다.
본 발명에 더한 또 다른 목적은 거푸집에 배수관이 지나는 관통구의 유무에 관계없이 시공하는 설치공법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을 제공함에도 있다.
상기한 다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변형 루프 드레인은, 마감층 표면의 배수로에 노출되어 이물질을 거르고 오수나 우수를 유입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배수캡과; 단열층에 매설되며 상부에 상기 배수캡의 하부를 수납 고정하기 위한 플렌지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배수캡의 배수공을 통과한 유입수를 하부측으로 보내기 위한 중공의 연결관을 구비한 상부 바디와; 상기 단열층에 매입되되 상단부가 상기 상부 바디의 연결관에 결합되고, 상기 단열층의 변경두께에 상응하게 상, 하부바디의 설치간격을 맞추도록 절단하는 길이조절관과; 상기 길이조절관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단열층에서 발생되는 결로수를 유입하는 배수공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공을 통해 유입된 결로수를 하부바디로 보내는 소켓부와; 콘크리트층 및 제2방수층에 매설되되, 상부에 상기 소켓부의 하부와 결합되고, 하부에 배수관과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관을 구비한 하부 바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소켓부는 상기 길이조절관의 하단부를 수납 결합하는 안착관부와; 상기 안착관부의 연장선상에 상기 안착관부의 구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부바디의 중공관부 내 둘레에 결합되는 소구관과; 상기 안착관부와 소구관 사이의 외 둘레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 바디의 수납홈부에 수납되는 플레이트부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소구관의 둘레면에 복수의 배수공을 등 간격으로 천공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소구관 둘레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배수공은 제2방수층의 표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켓부는 상기 길이조절관의 하단부를 수납 결합하는 안착관부와; 상기 안착관부의 연장선상에 상기 안착관부의 구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둘레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배수공이 형성되며 하부바디의 중공관부 내 둘레에 결합되는 소구관과; 상기 안착관부와 소구관 사이의 외 둘레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 바디의 수납홈부에 수납되는 플레이트부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플레이트부의 원주면에 걸쳐 복수의 배수공을 등 간격으로 천공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소켓부의 안착관부는 내둘레에 길이조정관의 하단이 상기 소구관측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단턱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길이조절관은 현장에 비취된 내열성과 내부식성이 우수한 합성수지관 또는 합성수지로 피복된 강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길이조절관의 상단내경은 상부 바디의 연결관 외경에 준한 구경이고, 하단의 외경은 소켓부의 안착관부의 내경과 같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소켓부는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부식성이 없는 합성수지가 피복된 금속재이거나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부식성이 없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소켓부의 소구관은 플레이트부가 하부 바디의 수납홈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하부바디의 중공관부 내에서 부양되도록 이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소켓부의 플레이트부에는 하부 바디의 수납홈부에 수납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소켓부의 고정수단은 플레이트부 하부에 원주면에 걸쳐 등간격으로 복수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하부 바디의 수납홈부에 체결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플레이트부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나사공을 형성하여 볼트로 상기 하부 바디의 수납홈부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소켓부의 플레이트부와 하부 바디의 수납홈부 사이 및 상기 길이조절관의 상, 하단부와 결합되는 상부 바디의 연결관부와 소켓부의 안착관부 간에는 배출수의 역류에 의한 누수를 차단하고 상호간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접착성 충진재가 도포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별도의 가공 작업 없이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폐관을 단열층의 변경두께에 상응하게 절단하여 상, 하부바디의 간격을 정확하게 맞출 수가 있는 효과가 있고, 또 단열층의 결로수가 잔존함이 없이 소켓부의 배수공을 통해 상시적으로 하부 바디측으로 완전히 배출될 수 있게 됨으로써 결로수에 의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잠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루프 드레인에 비해 상,하부바디 간의 간격조절수단을 간소화하고 경량화 하므로서 슬래브의 전체 하중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동시에 원가절감으로 인한 제작코스트를 대폭 낮출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관부와 관부를 조립식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하므로서 숙련자가 아닌 초보자라도 손쉽게 견고하게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 외에도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공기를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루프 드레인을 일예시로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가변형 루프 드레인 분리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가변형 루프 드레인 조립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가변형 루프 드레인을 슬래브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소켓부를 가변형 루프 드레인에 적용한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가변형 루프 드레인을 슬래브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아울러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루프 드레인의 분리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루프 드레인의 조립 종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루프 드레인을 슬래브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루프 드레인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캡(10)과, 상부바디(20)와, 길이조절관(30), 소켓부(40), 하부바디(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배수캡(10)은 미장층(S1) 표면의 배수로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이물질을 거른 오수나 우수를 상부바디(20)측으로 유도하기 위해 둘레 및 상부면에 등간격으로 배수공(11)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캡(10)의 형태에 있어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볼록한 돔형태나 원통형 또는 납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 중, 어떤 형태의 것을 채용하더라도 공통적으로는 하단부에 상부바디(20)와 결합시에 형태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보강테(12)가 형성되고, 또 상기 보강테(12)의 외둘레면에는 상기바디(20)의 수납부(23) 갯수와 상응하게 등간격으로 복수의 고정대(13)를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상부바디(20)는 제1방수층(S2) 및 단열층(S3)에 매설되고 상기 배수캡(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수캡(10)의 배수공(11)을 통과한 유입수를 하부에 설치되는 길이조절관(30)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부에 배수캡(10)을 수납하고 유입수를 내부로 유도하는 플렌지부(21)와, 하부에 내부가 중공형태로 관통된 연결관(26)을 포함하여 주물형태로 성형 제작된다.
상기 플렌지부(21)의 구체적으로는, 배수캡(10)의 보강태(12) 및 고정대(13)가 안치되는 안착부(22) 및 수납부(23)와, 제1방수층(S2)이 포설되는 테두리부(25)와, 오수나 우수를 집수하는 집수부(28)와, 상기 안착부(22)와 집수부(28) 사이에 오수나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는 수직벽(24)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에서 플렌지부(21)의 안착부(22)에는 상기 배수캡(10)의 보강테(12)가 놓이도록 설치하고, 수납부(23)에는 상기 보강테(12)의 둘레면에 형성된 고정대(13)를 수납하여 나사로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플렌지부(21)의 수직벽(24)은 원주에 걸쳐 수납부(23)를 기점으로 3개가 등간격으로 입설되며, 이들 수직벽(24)의 각각마다 상부에 상기 집수부(28)의 면과 일치하는 동일 선상의 홈부(29)를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오수나 우수를 상기 홈부(29)를 통해 배수캡(10)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플렌지부(21)의 테두리부(25)와 안착부(22) 사이의 집수부(28)는 상기 안착부(22)의 바닥면보다 높게 단턱지게 형성하되, 집수된 결로수가 안착부(22)측으로 자연적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도록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바디(2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공시에 안착부(22)와 연결관(26)이 접하는 위치에 이르기 까지 단열층(S3)에 매설되며, 안착부(22) 및 플렌지부(21)의 외둘레는 미장층(S1) 및 제1방수층(S2)에 매설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바디(20)가 미장층(S1), 제1방수층(S2) 및 단열층(S3)에 설치될 경우, 플렌지부(21)의 테두리부(27)를 비롯해 안착부(22), 수직벽(24)의 홈부(29), 집수부(28)는 외부에 시각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 향후에 배수캡(10)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길이조절관(30)은 상부바디(20)와 소켓부(40)의 연결매개체이면서, 단열층(S3)에 매설되어 상기 단열층(S3)의 변경두께에 따라 상응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되는 길이조절 부재로, 이는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내부식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합성수지관이나 합성수지가 피복된 강관이 될 수 있다.
이는 일측에 상기한 상부바디(20)의 연결관(26)을 끼움하여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여기서 길이조절관(30)의 상단내경은 상부 바디(20)의 연결관(26)의 외경에 준하거나 0.1 내지 0.2mm 정도 큰 구경으로 이루어지고, 연결관(26)이 끼움 결합되는 부분에 있어서는 선택되는 길이조절관(30)의 재질에 따라 역류에 의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호간의 긴밀성과 견고성을 위해 접착제로 접착 고정하거나 용접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길이조절관(30)은 정해진 길이가 아닌 현장의 단열층(S3)의 두께에 따라 상응한 길이로 절단 사용되는 가변형태를 취할 수 있다. 즉 다시 말해 현장에서 단열층(S3)의 설계두께가 아닌 설계두께보다 더 두텁게 시공해야 하거나 더 얇게 변경할 때 그 변경 두께에 맞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된다.
또한 상기 소켓부(40)는 상기 길이조절관(30)과 하부바디(50)의 연결매개체로, 상부로 상기 길이조절관(30)의 하단부를 끼움 수납하는 안착관부(41)와, 상기 안착관부(41)보다 구경이 작은 소구관(42)과, 상기 소구관(42)의 외둘레에 하부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걸쳐지는 플레이트부(43)를 포함하여 일체로 구성되며, 그 재질은 내열성과 내부식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이거나 주물형태의 금속재로 구성하며, 이때 소켓부(40)를 금속재로 할 경우 물에 쉽게 부식되지 않는 페인트 등으로 피복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소켓부(40)의 안착관부(41)와 소구관(42)이 접하는 위치에 단턱부(44)를 형성하여 길이조절관(30)의 단부가 소구관(42)측으로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도록 막아주고, 상기 소구관(42)의 둘레에는 등간격으로 단열층의 결로수를 배출하는 복수의 배수공(42a)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공(42a)를 통해 단열층(S3)에서 발생된 결로수를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측으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에서 상기 소구관(42)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관통된 복수의 배수공(42a)는 시공시에 제2방수층(S4)의 표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설치하거나 상기 제2방수층(S4)의 표면보다 0.1mm 내지 0.3mm 정도 낮은 위치에 있도록 설치하여 결로수의 잔수에 이르기까지 완전한 배출을 이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소켓부(40)의 플레이트부(43)는 제2방수층(S4) 보다 낮은 위치에 매설되며, 하부바디(50)의 수납홈(51)에 수납된 상태에서 임의 해체가 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고정수단과, 콘크리트층(S5)의 철근 등에 철사나 고정끈을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기부(4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켓부(40)의 플레이트부(43)와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수납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상기 소켓부의 플레이트부(43)에 복수의 나사공(43a)과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체결홈(52a)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나사로 체결하거나, 또는 상기 하부바디(50)의 수납홈부(52)와 마주하는 플레이트부(43)의 저면에 수납홈부(52)의 체결홈(52a)에 상응하는 복수의 고정핀(43b)를 형성하여 상기 수납홈부(52)의 체결홈(52a)에 끼움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길이조절관(30)의 하단부를 끼움결합하는 소켓부(40)의 안착관부(41)의 내경은 길이조절관(30)의 외경과 같거나 0.1 내지 0.3mm 정도 크게 하여 길이조절관(30)의 하단부를 보다 쉽게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어 단열층(S3)의 두께에 길이조절관(30)의 길이가 크거나 짧을 경우에 새로운 배관으로 교체하거나 끼움 결합된 길이조절관(30)을 빼서 남는 길이를 절단한 후 다시 결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그리고 소켓부(40)의 소구관(42)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43)가 하부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장착된 상태에서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에 위치하되, 중공관부(53) 내에서 아무런 간섭 받지 않고 부양되는 형태를 취하도록 이격 설치하여 소켓부(40)의 소구관(42)을 통해 내려오는 유입수가 소량이면 상기 하부바디(50)의 연결관(54)을 통해 직접 내려 갈 수도 있으나 많은 량의 유입수이라면 상기 연결관(54)의 구경보다 크게 형성된 중공관부(53)의 바닥면(연결관의 주변)에 낙차되어 낙차된 유입수가 새로이 유입된 유입수를 완충시켜 연결관(54)측으로 서서히 배출하도록 유도하므로서 유입수로 인한 소음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소켓부(40)의 소구관(42)과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가 접하는 결합부분은 서로 쉽게 분리되거나 이완되지 않도록 하면서 누수 발생 방지를 위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접착성 실리콘이나 접착제로 접착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중공관부(53) 내의 배출수나 역류수가 플레이트부(43)와 하부바디(50)의 수납홈부(52) 사이는 물론 나사공(43a)을 통해 누수되지 않도록 패킹부재를 넣거나 실리콘 또는 접착제를 충진하여 상호간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바디(50)는 콘크리트층(S5)에 매설되고, 상부로 소켓부(40)를, 하부에 배수관 또는 받침관(60)과 결합되는 매체개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에 상기 소켓부(40)의 플레이트부(43)를 장착하기 위한 수납홈부(52)가 형성된 플렌지부(51)와, 중간에 배출수를 완화시켜 배수하는 중공관부(53) 및 하부에 배수관(P)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54)을 포함하여 주물형태로 일체로 성형제작되며, 이는 상기 플렌지부(51)의 하부에 상기 소켓부(40)의 소구관(42)보다 구경이 큰 중공관부(53)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관부(53)의 아래에 상기 중공관부(53)보다 구경이 작으면서 배수관(P)의 내경에 준한 외경을 갖는 연결관(5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연결관(54)의 다르게는 배수관(P)의 외경에 준한 내경으로 형성하여 배수관(P)를 연결관(54)의 내둘레에 끼움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연결관(54)의 끼움형태가 어떤 형태로 하던 배수관(P)과 연결관(54)의 끼움결합시에 서로 쉽게 분리되거나 이완되지 않도록 하면서 누수 발생 방지를 위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접착성 실리콘이나 접착제로 접착하거나, 또는 배수관(P)과 연결관(54)의 결합부분에 나사탭을 형성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렌지부(51)의 수납홈부(52)에 소켓부(40)의 플레이트부(43)를 장착할 경우, 제2방수층(S4)이 울퉁불퉁함이 없이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능한 상기 소켓부의 플레이트(43)와 플렌지부(51)의 테두리부(51a)는 콘크리트층(S5)의 표면과 서로 동일 선상을 이루도록 설치함이 바람직 하다.
참고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상기 배수관(P)은 본 발명의 가변형 루프드레인이 슬래브상에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배수관에 해당되나, 이는 슬래브의 콘크리트층(S5)을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시에 실질적 사용 배수관과 교체하기 위한 임시 배수관(관통구를 천공한 거푸집 적용)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배수관이 지나는 관통구를 천공하지 않은 거푸집(S6) 상면에 실질적 배수관과 연결하기 위한 중공형태의 배수관 결합구 일 수 있다.
한편 본발명의 가변형 루프드레인은 상기한 소켓부(40)를 하기와 같이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즉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의 소켓부를 가변형 루프 드레인에 적용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가변형 루프 드레인을 슬래브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이다.
이는, 앞서 설명한 가변형 루프 드레인이 포함하고 있는 배수캡(10), 상부바디(20), 길이조절관(30), 하부바디(5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 설명의 생략과 동일 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가변형 루프드레인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의 소켓부(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관(30)과 하부바디(50)의 연결매개체로, 상기 길이조절관(30)의 하단부를 수납 결합하는 안착관부(411)와; 상기 안착관부(411)의 연장선상에 상기 안착관부의 구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 내둘레에 결합되는 소구관(422)과; 상기 안착관부(411)와 소구관(422) 사이의 외둘레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수납되는 플레이트부(43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에서 길이조절관(30)의 하단부를 수납 결합하는 안착관부(411)는 내둘레의 상, 하 두께를 달리하여 단턱부(444)를 일체로 형성하여 길이조절관(30)의 하단이 상기 단턱부(444)에 의해 소구관(422)측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 내둘레에 결합되는 소구관(422)은 상기 안착관부(411)의 연장선상에서 연장되어 상기 안착관부의 구경보다 작고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으로 이루어지되, 이들 결합부분은 누수발생방지를 위해 접착성 실리콘이나 접착제로 접착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안착관부(411)와 소구관(422)의 연장선상은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450)을 갖도록 구성하여 안착관부(411)를 통과하는 유입수가 소구관(422)측으로 원활한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소구관(422)의 둘레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결로수 배수공(42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수납되는 플레이트부(433)는 상기 소구관(422)이 접하는 안착관부(411)의 외둘레면에 수평형태로 연장하여 일체로 구성하되, 이의 상부면에 상기 안착관부(411)의 외둘레에서 일정 간격 이격하여 원주에 걸쳐 제2방수층(S4)이 포설되는 돌턱부(460)를 형성하고, 상기 돌턱부(460)의 내측으로 결로수를 집수하는 집수부(435)가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집수부(435)에는 원주에 걸쳐 단열층(S3)에서 발생되는 결로수를 유입하는 복수의 배수공(433a)이 등간격으로 관통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집수부(435)의 배수공(433a)을 통해 유입된 결로수는 소구관(422)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천공된 복수의 배수공(422a)을 통해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부(433)가 하부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설치되면 플레이트부(433)의 배수공(433a) 하부와 하부바디(50)의 플랜지부(51)의 사이에 결로수가 흐르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을 통해 소구관(422)의 배수공(422a)에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433)의 저면에는 하부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수납된 상태에서 임의 해체가 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고정수단과, 콘크리트층(S5)의 표면 주변에 철사나 고정끈을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핀(433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켓부(40)의 플레이트부(433)와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수납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상기 소켓부의 플레이트부(433)에 복수의 나사공(433d)과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체결홈(52a)을 등간격으로 형성하여 나사로 체결하거나, 또는 상기 하부바디(50)의 수납홈부(52)와 마주하는 플레이트부(433)의 저면에 수납홈부(52)의 체결홈(52a)에 상응하는 복수의 고정핀(433b)를 형성하여 상기 수납홈부(52)의 체결홈(52a)에 끼움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길이조절관(30)의 하단부를 끼움결합하는 소켓부(40)의 안착관부(411)의 내경은 길이조절관(30)의 외경과 같거나 0.1 내지 0.3mm 정도 크게 하여 길이조절관(30)의 하단부를 보다 쉽게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어 단열층(S3)의 두께에 길이조절관(30)의 길이가 크거나 짧을 경우에 새로운 배관으로 교체하거나 끼움 결합된 길이조절관(30)을 빼서 남는 길이를 절단한 후 다시 결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그리고 소켓부(40)의 소구관(422)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433)가 하부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장착된 상태에서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에 위치하되, 중공관부(53) 내에서 아무런 간섭 받지 않고 부양되는 형태를 취하도록 이격 설치하여 소켓부(40)의 소구관(422)을 통해 내려오는 유입수가 소량이면 상기 하부바디(50)의 연결관(54)을 통해 직접 내려 갈 수도 있으나 많은 량의 유입수이라면 상기 연결관(54)의 구경보다 크게 형성된 중공관부(53)의 바닥면(연결관의 주변)에 낙차되어 낙차된 유입수가 새로이 유입된 유입수를 완충시켜 연결관(54)측으로 서서히 배출하도록 유도하므로서 유입수로 인한 소음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소켓부(40)의 소구관(422)과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이 접하는 결합부분은 서로 쉽게 분리되거나 이완되지 않도록 하면서 누수 발생 방지를 위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접착성 실리콘이나 접착제로 접착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중공관부(53) 내의 배출수나 역류수가 플레이트부(433)와 하부바디(50)의 수납홈부(52) 사이는 물론 나사공(433a)을 통해 누수되지 않도록 패킹부재를 넣거나 실리콘 또는 접착제를 충진하여 상호간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배수관(P)은 본 발명의 가변형 루프드레인이 슬래브상에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배수관에 해당되나, 이는 슬래브의 콘크리트층(S5)을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시에 실질적 사용 배수관과 교체하기 위한 임시 배수관(관통구를 천공한 거푸집 적용)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배수관이 지나는 관통구를 천공하지 않은 거푸집(S6) 상면에 실질적 배수관과 연결하기 위한 중공형태의 배수관 결합구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 배수캡 20 : 상부바디
30 : 길이조절관 40 : 소켓부
41,411 : 안착관부 42,422 : 소구관
42a,422a,433a : 배수공 43,63, 433 : 플레이트부
43a,433d: 나사공 43b,433b : 고정핀
44,444 : 단턱부 45 : 돌기부
50 : 하부바디 51 : 플렌지부
52 : 수납홈부 52a : 체결홈
53 : 중공관부 54 : 연결관
435 : 집수부 450 : 경사면
460 : 돌턱부 P : 배수관

Claims (11)

  1. 마감층(S1) 표면의 배수로에 노출되어 이물질을 거르고 오수나 우수를 유입하기 위한 다수의 배수공(11)이 형성되는 배수캡(10)과;
    단열층(S3)에 매설되며, 상부에 상기 배수캡(10)의 하부를 수납 고정하기 위한 플렌지부(21)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배수캡(10)의 배수공(11)을 통과한 유입수를 하부 측으로 보내기 위한 중공의 연결관(26)을 구비한 상부 바디(20)와;
    상기 단열층(S3)에 매입되되 상단부가 상기 상부 바디(20)의 연결관(26)에 결합되고, 상기 단열층(S3)의 변경두께에 상응하게 상, 하부바디(20)(50)의 설치간격을 맞추도록 절단하는 길이조절관(30)과;
    상기 길이조절관(30)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단열층(S3)에서 발생되는 결로수를 유입하는 배수공(42a)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공(42a)을 통해 유입된 결로수를 하부바디(50)로 보내는 소켓부(40)와;
    제2방수층(S4) 및 콘크리트층(S5)에 매설되되, 상부에 상기 소켓부(40)의 하부와 결합되고, 하부에 배수관(P)과 결합되는 중공의 연결관(53)을 구비한 하부 바디(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40)는 상기 길이조절관(30)의 하단부를 수납 결합하는 안착관부(41)와; 상기 안착관부의 연장선상에 상기 안착관부(41)의 구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 내 둘레에 결합되는 소구관(42)과; 상기 안착관부(41)와 소구관(42) 사이의 외 둘레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수납되는 플레이트부(43)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소구관(42)의 둘레에 복수의 배수공(42a)을 등 간격으로 천공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구관(42) 둘레에 등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배수공(42a)은 제2방수층(S4)의 표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40)는 상기 길이조절관(30)의 하단부를 수납 결합하는 안착관부(411)와; 상기 안착관부(411)의 연장선상에 상기 안착관부의 구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둘레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배수공(422)이 형성되며,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 내 둘레에 결합되는 소구관(422)과; 상기 안착관부(411)와 소구관(422) 사이의 외둘레에 돌출되어 상기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수납되는 플레이트부(433)를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플레이트부(433)의 원주면에 걸쳐 복수의 배수공(433a)을 등 간격으로 천공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가변형 루프 드레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40)의 안착관부(411)는 내둘레에 길이조절관(30)의 하단이 상기 소구관(422)측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단턱부(44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관(30)은 상단부 내경이 상부 바디(20)의 연결관(26) 외경에 준한 구경이고, 하단부의 외경은 소켓부(40)의 안착관부(41)의 내경과 같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40)의 소구관(42)은 플레이트부(43)가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수납된 상태에서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 내에서 부양되도록 이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40)의 소구관(422)은 플레이트부(433)가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수납된 상태에서 하부바디(50)의 중공관부(53) 내에서 부양되도록 이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40)는 플레이트부(433)가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수납하여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40)의 고정수단은 플레이트부(433) 저면에 원주면에 걸쳐 등간격으로 복수의 고정핀(433b)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하는 하부 바디(5)의 수납홈부(52)에 체결홈(52a)을 형성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플레이트부(433)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나사공(433a)을 형성하여 볼트로 상기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에 형성된 체결홈(52a)에 체결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40)의 플레이트부(43,433)와 하부 바디(50)의 수납홈부(52) 사이 및 상기 길이조절관(30)의 상, 하단부와 결합되는 상부 바디(20)의 연결관(26)과 소켓부(40)의 안착관부(41,411)의 사이는 배출수의 역류에 의한 누수를 차단하고 상호간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접착성 충진재가 더 도포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루프 드레인.
KR1020190012670A 2019-01-31 2019-01-31 가변형 루프 드레인 KR102234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670A KR102234349B1 (ko) 2019-01-31 2019-01-31 가변형 루프 드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670A KR102234349B1 (ko) 2019-01-31 2019-01-31 가변형 루프 드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062A true KR20200095062A (ko) 2020-08-10
KR102234349B1 KR102234349B1 (ko) 2021-03-31

Family

ID=72049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670A KR102234349B1 (ko) 2019-01-31 2019-01-31 가변형 루프 드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3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410A (ko) * 2020-12-21 2022-06-28 일산종합건설(주)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
CN116669402A (zh) * 2023-07-26 2023-08-29 中国海洋大学 一种海洋洋流环境观测平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437Y1 (ko) * 2005-10-14 2006-01-11 박영주 다중식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 장치
KR20100002206U (ko) * 2008-08-21 2010-03-04 박영주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KR20100007082U (ko) * 2008-12-31 2010-07-08 박영주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KR20170125633A (ko) * 2016-05-04 2017-11-15 노벨콘(주) 배수구가 구비된 옥상의 방수 및 단열 보호재 시공공법
KR200486752Y1 (ko) * 2016-01-19 2018-06-26 최한솔 조립식 루프드레인
KR20180093600A (ko) * 2017-02-14 2018-08-22 심국진 옥상용 드레인 유닛을 이용한 옥상 드레인 보수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437Y1 (ko) * 2005-10-14 2006-01-11 박영주 다중식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 장치
KR20100002206U (ko) * 2008-08-21 2010-03-04 박영주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KR20100007082U (ko) * 2008-12-31 2010-07-08 박영주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KR200486752Y1 (ko) * 2016-01-19 2018-06-26 최한솔 조립식 루프드레인
KR20170125633A (ko) * 2016-05-04 2017-11-15 노벨콘(주) 배수구가 구비된 옥상의 방수 및 단열 보호재 시공공법
KR20180093600A (ko) * 2017-02-14 2018-08-22 심국진 옥상용 드레인 유닛을 이용한 옥상 드레인 보수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410A (ko) * 2020-12-21 2022-06-28 일산종합건설(주)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
CN116669402A (zh) * 2023-07-26 2023-08-29 中国海洋大学 一种海洋洋流环境观测平台
CN116669402B (zh) * 2023-07-26 2023-10-03 中国海洋大学 一种海洋洋流环境观测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349B1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3518A (en) Lined manhole assembly and liner
CN207228684U (zh) 整体式预制卫生间
KR102234349B1 (ko) 가변형 루프 드레인
US7882856B2 (en) Separated sanitary and storm sewer system
KR100758560B1 (ko) 구배 프리캐스트 트렌치 구조
CN103410318B (zh) 卫生间管井防漏水施工方法
US7021338B2 (en) Separated sanitary and storm sewer system
KR101925206B1 (ko) 옥상용 드레인 유닛을 이용한 옥상 드레인 보수방법
CN1059726C (zh) 一种楼板与管道间隙防渗漏施工方法及设备
KR102234355B1 (ko) 높, 낮이 가변형 루프 드레인 및 이의 하부바디 설치방법
CN109797988A (zh) 一种外壁预留管线槽孔的同层排水精装分块预制卫生间
KR200383565Y1 (ko) 하수관거의 오수 분리용 패널
KR100441965B1 (ko) 조립식 지붕 방수 시스템
KR200405437Y1 (ko) 다중식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 장치
KR200417292Y1 (ko) 수평형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KR200302234Y1 (ko) 배수관용 슬리브
CN109779322A (zh) 一种内壁预留管线槽孔的同层排水精装整体卫生间
KR102337379B1 (ko) 지하 주차장용 배수설비 시공방법
KR100801890B1 (ko) 보강금속링과 수밀링이 일체로 형성된 우·오수받이용합성수지 플랜지
CN103774803B (zh) 横排式双层排水落水装置及其安装方法
KR101215873B1 (ko) 누수 및 부식 방지가 완벽한 빗물 및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 저류조와 그의 제작방법
KR100931929B1 (ko) Frp보강재가 구비된 가변인버터 타입의 맨홀용 형틀 및이를 이용한 맨홀
CN219364714U (zh) 一种新型防雨水检修井盖板组件
KR101925205B1 (ko) 옥상용 드레인 유닛
CN220847718U (zh) 地下室后浇带防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