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565Y1 - 하수관거의 오수 분리용 패널 - Google Patents

하수관거의 오수 분리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565Y1
KR200383565Y1 KR20-2005-0003225U KR20050003225U KR200383565Y1 KR 200383565 Y1 KR200383565 Y1 KR 200383565Y1 KR 20050003225 U KR20050003225 U KR 20050003225U KR 200383565 Y1 KR200383565 Y1 KR 2003835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groove
bottom plate
pane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2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구
정성윤
Original Assignee
이선구
정성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구, 정성윤 filed Critical 이선구
Priority to KR20-2005-00032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5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5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5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3Partitioned to allow more than one medium to flow throug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하수를 차집하여 배출하는 관거에서 오수와 빗물을 분리하기 위해 설치하는 하수 관거의 오수 분리용 패널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보강 리브를 가진 판과 저판의 단위체로 구성된 몸체와, 몸체를 하수관거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홈과, 개별 단위체인 몸체를 연결하기 위해 몸체의 양측에 각각 돌출부와 함몰부로 구성되는 결합돌기 및 결합홈으로 구성되는 몸체 연결부와, 몸체의 저판 및 몸체 연결부에 일정한 폭과 깊이로 홈을 파서 수팽창성 지수재를 삽입하도록 한 지수홈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하수 관거의 오수 분리용 패널을 기존 또는 신설 하수관거 등에 설치하면, 비가 올 때 본 고안의 오수 차단 패널이 빗물과 오수를 완전히 분리함으로써, 빗물과 오수가 섞여서 하수처리장으로 흘러들어 하수처리장의 효율을 급격하게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하수관거의 오수가 그대로 하천으로 배출됨으로서 수질을 악화시키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수자원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하수관거의 오수 분리용 패널은 고강도 폴리머 콘크리트로 공장에서 제작되므로 품질이 우수하며, 현장에서는 간단하게 설치만 하므로 인력을 절감하고 경량화하여 운반과 설치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압축.인장강도가 큰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므로 운반과 설치 과정에서 쉽게 파손되지 않고, 산과 알카리 등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며 부식되거나 열화되지 않으므로 오수차단 블록의 유지관리비를 크게 절감한다.

Description

하수관거의 오수 분리용 패널{Sewer Water Separation Panel for Sewer Culvert}
오수 분리용 차단벽은 하수 관거에 흐르는 오수 중에서 하수와 빗물을 분리하여 하수만 하수처리장으로 보내 하수처리장에서는 하수만 정화 처리하도록 하여 하수처리장의 처리 용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하수와 빗물을 분리하여 흐르게 하기 위해 종래에 사용되어 온 오수 분리용 차단벽은 콘크리트를 하수 관거의 바닥에 직접 타설하여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기존의 관거에 폐비닐로 제작한 하수구용 오수 차단 블록을 하수 관거의 바닥에 고정하는 경우가 있었다.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직접 타설하는 경우에는 협소한 하수 관거 내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 시공성이 떨어져서 인력 손실에 따른 인건비의 증가 요인이 되며 시공이 불량하여 균열 및 열화에 따른 누수가 발생하여 하수와 빗물의 분리 능력이 저하되고 차단벽 내부에 매설된 철근이 부식되어 조기에 재설치해야 하는 등 내구성 저하에 따른 유지관리비가 증가하였다.
특히 기존의 하수 관거에는 오수 분리벽이 설치되지 않았으므로 오수가 흐르는 상태에서 협소한 관거 내에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여 오수 차단벽을 설치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폐비닐을 성형하여 제작한 오수 차단 블록은 제작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는 설치작업만 하면 되므로 비교적 시공성을 향상시켰으나, 사용 재료의 특성상 대기중에 장기간 노출되면 열화되어 내구성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동절기에 기온이 내려가면 경화되어 쉽게 파손되어 블록을 교체해 주어야 하므로 유지관리비가 증가하는 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기술에서 사용된 재료 및 제품의 단점을 제거하여 시공성과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새로운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 콘크리트에 철근을 보강한 철근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타설하는 공법을 지양하도록 고강도 폴리머 콘크리트로 단위 블록을 제작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하여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과거의 기술에서 현장타설에 따른 균열 등 시공불량을 개선하고 협소한 관거 내에서 장기간 작업하는 인건비를 대폭 줄여 경제성을 도모하였다.
또한 기존에 폐비닐 등으로 복잡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온 하수구용 오수차단 블록은 대기에 노출되면 열화되어 파손되고 동절기에 기온이 내려가면 경화되어 쉽게 파손되어 단위 블록을 교체하는 데 따른 경제적인 손실과 교체하는 동안에 빗물과 오수가 섞이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오수 분리용 패널을 고강도 폴리머 콘크리트로 단순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제품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제품의 내구성을 높여 반영구적인 오수 분리용 차단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렇게 제작 및 설치된 오수 분리용 블록은 빗물과 오수가 완전하게 분리되어 빗물은 하천으로 배출하고 오수만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도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품에 사용되는 재료를 최적화하고 구조형상을 단순하게 고안하여 오수 분리 능력을 향상하고 시설의 제작과 설치에 드는 비용을 저렴하게 하며 오수 분리 패널에 사용되는 모든 단위부재들을 표준화하고 조립식으로 하며 단위부재들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시설을 단시간 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오수 분리용 차단 벽을 필요로 하는 하수 관거 등에 설치할 수 있도록 오수 분리용 패널을 제공하기 위해 재료와 구조형상을 고안하여 오수 분리 능력을 향상하고 사용되는 모든 단위부재들을 표준화하고 조립식으로 하며 단위부재들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 및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대표도로서 본 고안을 적용한 하수관거의 오수 분리용 패널(100)의 단면도이며 몸체(110), 상부 보강리브(120), 설치용 너트(990), 연직 보강리브(150), 저판(160), 저판 고정구멍(165), 저판 지수홈(169) 등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을 적용한 오수 분리용 패널(100)의 평면도로서 몸체(110), 상부 보강리브(120), 설치용 너트(990), 연직 보강리브(150), 저판(160), 저판 고정구멍(165), 결합돌기(130), 결합홈(140), 결합 지수홈(145) 등으로 구성된다.
오수분리용 패널(100)은 길이 방향으로 여러 개의 패널을 연결하여 오수 차단벽을 형성하게 되며, 이 때 좌측에 형성된 결합돌기(130)을 우측의 결합홈(140)에 끼워서 기계적인 맞물림 작용을 통해 구조적인 결합을 완전하게 하며 결합 지수홈(145)에는 수팽창 지수재를 삽입하고 방수하여 오수와 빗물이 누수되어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을 적용한 오수 분리용 패널(100)의 정면도로서 몸체(110), 상부 보강리브(120), 설치용 너트(990), 연직 보강리브(150), 저판(160) 및 패널 양측의 연결돌기(130)과 연결홈(140) 등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을 적용한 오수 분리용 패널(100)의 배면도로서 몸체(110), 상부 보강리브(120), 설치용 너트(990), 연직 보강리브(150), 저판(160) 및 패널 양측의 연결돌기(130)과 연결홈(140) 등으로 구성되어 도 3과 그 구성은 동일하지만 패널의 배면은 평면인 것이 특징이 된다.
도 5는 본 고안을 적용한 오수 분리용 패널(100)의 사시도이며 몸체(110), 상부 보강리브(120), 설치용 너트(990), 연직 보강리브(150), 결합돌기(130), 결합홈(140), 결합 지수홈(145), 저판(160), 저판 고정구멍(165), 저판 지수홈(169) 등으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을 적용한 오수 분리용 패널(100)의 결합홈(140)을 보이는 것으로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결합 지수홈(145)은 저판(160)의 저판 지수홈(169)과 연속되어 패널의 연결부를 통한 누수를 방지하여 오수와 빗물이 섞이지 않도록 한다.
도 7은 본 고안을 적용한 오수 분리용 패널(100)의 높이가 낮은 경우를 보이는 정면도로서 오수의 수압이 크지 않아서 구조적으로 연직 보강리브가 필요없는 경우이므로 도 3에서 높이가 낮고 연직 보강리브가 생략된 경우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오수 분리용 패널(100)을 하수 관거(900)에 적용한 단면도로서 하수구(800)에서 유입되는 오수(500)와 빗물(550)을 분리하여 서로 섞이지 않게 한다.
본 고안의 고강도 폴리머 콘크리트를 이용한 오수 분리용 패널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상 및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오수 분리용 차단 패널은 고강도 폴리머 콘크리트로 단위 패널을 제작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으로 운반하여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과거의 기술에서 현장타설에 따른 균열 등 시공불량을 개선하고 협소한 관거 내에서 장기간 작업하는 인건비를 대폭 줄여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폐비닐 등으로 제작되어 온 하수구용 오수차단 블록에 대비하여,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오수 분리용 패널은 고강도 폴리머 콘크리트로 단순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제품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제품의 내구성을 높여 반영구적인 오수 분리용 차단벽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사용되는 재료를 최적화하고 구조형상을 단순하게 고안하여 오수 분리 능력을 향상하고 시설의 제작과 설치에 드는 비용을 저렴하게 하며, 오수 분리 패널에 사용되는 모든 단위부재들을 표준화하고 조립식으로 하며 단위부재들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시설을 단시간 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을 적용한 오수 분리용 차단벽을 하수 관거, 소규모 하천, 구거 등에서 오수와 빗물을 분리할 필요가 있는 구간에 설치하면, 오수 분리용 차단 벽은 하수 관거에 흐르는 하수와 빗물을 분리하여 빗물은 하천으로 배출하고 하수만 하수처리장으로 보내 하수처리장에서는 하수만 정화 처리하도록 하여 하수처리장의 처리 용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구성 재료는 부식되거나 열화되지 않으므로 오수차단 벽의 유지관리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대표도로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하수 관거의 오수 분리용 패널(100)의 단면도로서 몸체(110), 저판(160), 연직 보강리브(150), 저판 고정구멍(165) 운반설치용 너트(990) 저판 지수홈(169)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정면도, 도 4는 배면도, 도 5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측면도로서 함몰연결부이다.,
100 오수 분리용 패널 110 몸체
120 상부 보강리브 130 돌출연결부
135 결합돌기 140 함몰연결부
145 결합홈 145 결합 지수홈
150 연직 보강리브 160 저판
165 저판 고정구멍 169 저판 지수홈
500 오수 550 빗물
800 하수관 900 하수 관거
990 설치용 너트

Claims (2)

  1. 고강도 폴리머 콘크리트로 제작되며, 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몸체(110), 상부 보강리브(120) 및 연직 보강리브(150)과, 몸체의 양측으로 돌출된 저판(160)및 저판의 하부에 저판 지수홈(169)과, 저판을 하수 관거의 본체에 고정하는 고정구멍(165)과, 몸체(110)의 양측으로 각각 결합돌기(130) 및 결합홈(140)과, 결합홈(140)에는 결합 지수홈(145)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관거의 오수 분리용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하수 관거의 오수 분리용 패널의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는 고강도 폴리머 콘크리트, 고강도 콘크리트, 고강도 경량콘크리트, 섬유강화 콘크리트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관거의 오수 분리용 패널
KR20-2005-0003225U 2005-02-02 2005-02-02 하수관거의 오수 분리용 패널 KR2003835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225U KR200383565Y1 (ko) 2005-02-02 2005-02-02 하수관거의 오수 분리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225U KR200383565Y1 (ko) 2005-02-02 2005-02-02 하수관거의 오수 분리용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565Y1 true KR200383565Y1 (ko) 2005-05-06

Family

ID=43685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225U KR200383565Y1 (ko) 2005-02-02 2005-02-02 하수관거의 오수 분리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56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570Y1 (ko) * 2008-04-08 2009-08-14 (주) 협신기업 하수관거의 우수 및 오수 분리벽구조
KR100938853B1 (ko) 2009-01-30 2010-01-26 배석동 다공 pc 패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12226B1 (ko) 2010-05-27 2011-02-08 진두남 하수관거의 오수 및 우수 분리벽 어셈블리
EP3527732A1 (de) * 2018-02-14 2019-08-21 Wenger, Projekte und Coaching Wandelement für einen abwasserkanal und system zum auftrennen eines abwasserkanal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570Y1 (ko) * 2008-04-08 2009-08-14 (주) 협신기업 하수관거의 우수 및 오수 분리벽구조
KR100938853B1 (ko) 2009-01-30 2010-01-26 배석동 다공 pc 패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12226B1 (ko) 2010-05-27 2011-02-08 진두남 하수관거의 오수 및 우수 분리벽 어셈블리
EP3527732A1 (de) * 2018-02-14 2019-08-21 Wenger, Projekte und Coaching Wandelement für einen abwasserkanal und system zum auftrennen eines abwasserkana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13455B (zh) 现浇与预制结合的单仓综合管廊节点及施工方法
KR200383565Y1 (ko) 하수관거의 오수 분리용 패널
CN111809629A (zh) 一种预制装配节段式沉井及装配方法
KR102234349B1 (ko) 가변형 루프 드레인
CN111636316A (zh) 一种分块拼接式预制混凝土箱涵及其施工工艺
CN216075022U (zh) 一种新型装配式灌溉渠
US20100115691A1 (en) Basin, elemen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basin
CN111335442B (zh) 一种大型整体式检查井及其制备方法
CN210140780U (zh) 防淤堵生态透水箱涵
CN211368952U (zh) 一种隐藏式雨水收集装置
CN210134455U (zh) 一种环保型预制装配整体式综合管廊
CN203768753U (zh) 桥式钢板路面体系
KR100805555B1 (ko) 다분할 세그먼트를 이용한 조립식 맨홀
CN216920626U (zh) 一种模块化装配式截流井
CN201458922U (zh) 组合式化粪池
KR200211578Y1 (ko) 합성수지와 콘크리트로 구성된 조립식 배수구
CN221052796U (zh) 一种用于污水检查井整体浇筑的模板结构
CN112302140A (zh) 一种隐藏式雨水收集装置
CN220953529U (zh) 一种高强混凝土预制现场拼装护脚墙
CN220318293U (zh) 装配式公路工程排水槽
KR100777036B1 (ko) 라이너가 설치된 pc암거 제조장치, 이의 조립방법,라이너가 설치된 pc암거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pc암거
CN204112366U (zh) 一种插接式现场拼装检查井体
CN218345847U (zh) 一种排水沟与路缘石一体化预制构件
CN103850163A (zh) 桥式钢板路面体系及其施工方法
CN109760178B (zh) 装配整体式楼板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