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821B1 - 배수로 시공설비 및 배수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배수로 시공설비 및 배수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821B1
KR101747821B1 KR1020150046940A KR20150046940A KR101747821B1 KR 101747821 B1 KR101747821 B1 KR 101747821B1 KR 1020150046940 A KR1020150046940 A KR 1020150046940A KR 20150046940 A KR20150046940 A KR 20150046940A KR 101747821 B1 KR101747821 B1 KR 101747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mold
supporter
drainag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9317A (ko
Inventor
이찬익
Original Assignee
이찬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익 filed Critical 이찬익
Priority to KR1020150046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821B1/ko
Publication of KR20160119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2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 E03F2005/0413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ir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urrounding surface for height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로 시공설비 및 배수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포터, 상기 서포터에 상, 하 위치 조절할 수 있게 결합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있는 형틀을 포함하며, 상기 형틀은 배수로 시공 후 상기 지지부에서 분리되며, 상기 서포터 및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수로 시공 후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어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배수로는 바닥을 형성할 구조물의 기초층에 서포터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서포터에 지지부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지부에 형틀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기초층에 상기 형틀 상면까지 콘크리트(concrete)를 타설하는 단계 및 상기 형틀을 제거하는 단계를 통해 배수로가 시공된다.

Description

배수로 시공설비 및 배수로 시공방법{construction equipment for drainage way and construction method for drainage way}
본 발명은 배수로 시공설비 및 배수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조체(건물)의 옥상, 지하주차장, 기계실, 전기실 등의 바닥에는 우수, 청소용수, 유입수(이하, 물이라 함)을 집수하여 하수로 배출하기 위한 트랜치가 시공된다.
배수로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구조체 바닥(이하, 기초층 이라 함.) 위에 트랜치(이하, 배수로라 함.)의 폭과 높이를 잡는 금속 재질의 앵글을 설치한다. 앵글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면은 무근 콘크리트(이하, 콘크리트라 함.) 두께만큼 기초층에서 떨어져 지지부재로 지지되어 있다.
앵글 설치 후 측면에 합판 거푸집, 시멘트 벽돌, 리브라스 등을 설치 후 앵글의 상면 높이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되면 거푸집을 제거한다. 거푸집 제거후 배수로의 측면과 바닥은 시멘트 몰탈로 마감함과 동시에 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바닥 구배 작업 등을 한다.
위와 같은 배수로 시공은, 앵글 설치, 거푸집 설치(벽돌막기, 리브라스막기), 콘크리트 타설, 거푸집 해체, 배수로 측면 및 바닥 마감 미장, 배수로 바닥의 구배 작업 등 여러 공정에 의해 공기가 길어지고, 시공 비용이 상당히 소요되었다.
배수로 시공 후 시간이 지나면, 재질이 다른 콘크리트와 앵글 사이에 틈이 발생하고, 앵글 하부에 콘크리트가 완전하게 채워지지 않은 경우 앵글이 처지는 상황이 발생하며, 노출된 앵글 표면에 녹막이 처리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으면 물을 사용하는 곳이라 쉽게 부식이 발생하며 부식으로 인한 부피증가로 마감부 파괴 등이 발생하여 미관 저하 등 하자가 발생 하게 된다(도 15 참조). 이로 인해 추가적인 유지보수 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배수로의 구배를 정밀하게 형성하지 않으면 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 배수로에 고여 부패하고 악취 등이 발생하게 되었다
배수로의 깊이는 기초층 위에 형성되는 바닥의 두께에 따라 결정되고, 길이는 바닥의 넓이에 따라 결정된다. 바닥의 넓이가 비교적 넓은 경우 배수로의 길이 또한 길어져야 한다. 작업자가 바닥의 일정 두께 내에서 길이가 긴 배수로의 구배를 잡기 어려워 구배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
또한 몰탈로 바닥 구배를 잡는 경우 두께가 얇아 제대로 부착이 안되면 박리 현상이 일어나며 옥상의 경우 물이 원활히 배수되지 않으면 이것이 몰탈로 침투 겨울에 동결하여 부피증가로 바닥 구배 몰탈층이 쉽게 파손되곤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44805호 (2001.06.05.)
본 발명은 배수로 시공 공정을 간소화하고, 시공 후 하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배수로 시공설비 및 배수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 시공설비는 구조체 바닥에 배수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구조체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고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레벨 조절부재, 상기 레벨 조절부재에 결합된 제1 및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서포터, 상기 레벨 조절부재가 통과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사이에 위치한 지지부, 그리고 바닥부재 및 상기 바닥부재의 양단에 곡면으로 연결되어 있는 측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측벽부재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와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분리될 수 있는 형틀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측벽부재의 상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상기 바닥부재의 기울어진 밑면에 의해 상기 바닥부재의 밑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구배지고, 상기 형틀은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상기 지지부와 분리되며 상기 서포터 및 상기 지지부는 상기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어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측벽부재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측벽부재의 외부면은 상면을 기준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측벽부재의 경사에 따라 상기 배수로의 측벽 또한 경사진 상태가 되며 상기 측벽부재의 제2 부분에 의해 상기 측벽과 상기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된 바닥의 표면이 연결된 부분(C)은 경사진 상태가 된다.
상기 배수로 시공설비는 상기 측벽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측벽부재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의 위치에 따라 기초층인 상기 구조체 바닥과 상기 지지부의 간격이 조절된다.
삭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재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레벨 조절부가 관통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의 위치에 따라 위치 조절될 수 있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와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측벽부재와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수직바 및 상기 수직바 끝에서 상기 측벽부재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재에는 결합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재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포터가 고정되는 기초층을 기준으로 상기 형틀의 높이는 상기 지지부의 높이보다 더 높을 수 있다.
상기 형틀의 상면에서 바닥까지의 깊이가 길이 방향을 따라가며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가 고정되는 기초층을 기준으로 상기 형틀의 높이는 상기 지지부의 높이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 시공방법은, S10)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에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레벨 조절부재, 상기 레벨 조절부재에 결합된 제1 및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서포터를 구조체 바닥에 설치하는 단계, (S20) 상기 서포터에 지지부를 결합하는 단계, (S30) 바닥부재 및 상기 바닥부재의 양단에 곡면으로 연결되어 있는 측벽부재를 포함하는 형틀을 결합부재로 상기 지지부와 결합하는 단계, (S40) 상기 기초층에 상기 형틀 상면까지 콘크리트(concrete)를 타설하는 단계 및 (S50) 상기 결합부재를 분리하여 상기 형틀을 상기 지지부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를 상기 구조체 바닥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를 상기 레벨 조절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S40) 단계에서 콘크리트는 상기 형틀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도 타설되며, 상기 (S50) 단계에서 상기 형틀을 제거하면 상기 지지부는 타설된 모르타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측벽부재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측벽부재의 외부면은 상면을 기준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측벽부재의 경사에 따라 상기 배수로의 측벽 또한 경사진 상태가 되며 상기 측벽부재의 제2 부분에 의해 상기 측벽과 상기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된 바닥의 표면이 연결된 부분(C)은 경사진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형틀이 분리되면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홀 주변이 노출되고, 상기 배수로 시공방법은 (S60) 상기 지지부의 결합홀을 메우는 마무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30) 단계에서, 상기 기초층을 기준으로 상기 형틀의 높이가 상기 지지부의 높이보다 더 높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S30) 단계에서 상기 형틀 내에 스페이서를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닥부재가 측벽부재의 상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져 바닥부재에 의해 형성된 배수로 바닥 또한 기울어지게(구배)된다. 형틀에 의해 배수로 바닥의 구배를 잡으므로 구배가 정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초층에 설치된 지지부에 형틀을 결합함으로써 배수로 시공설비를 설치할 수 있고, 형틀에 의해 배수로가 형성된다. 형틀을 분리하여도 배수로는 매끄럽게 형성된다. 이에 종래와 같이 앵글 설치, 측면 미장, 바닥 구배 미장 공정 등이 발생하지 않아 바닥 공기를 공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한 형틀은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이에 폐기물이 최소화 할수 있으며 폐기물 처리에 따른 환경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로 시공설비가 공장에서 생산되므로 정교하며 사용이 쉽고 배수로 시공 또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배수로 시공에 따른 전문가 없이 비 전문가라도 배수설비를 손쉽게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형틀의 형상에 의해 배수로 바닥과 측면이 곡면으로 연결되어 물의 흐름과 청소가 용이하여 물의 고임으로 발생하는 악취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형틀에 의해 배수로가 형성되고, 배수로 측벽 상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모서리의 파손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사용에 따른 보수 작업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수로 시공설비를 이용하면 앵글을 설치하지 않고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앵글 사용으로 발생하는 앵글과 바닥 사이에 발생하는 틈, 앵글 부식 등이 일어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어 배수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 시공설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서포터 결합방식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 시공 방법 블럭도.
도 7은 서포터 설치 단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서포터에 지지부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지지부에 형틀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형틀에 스페이서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결합부재 및 형틀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결합홀을 메우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4는 배수구 양측으로 배수로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5는 종래의 앵글이 설치된 배수로를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 시공설비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 시공설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 시공설비(100)는 서포트(110), 지지부(120), 형틀(130), 결합부재(140) 및 스페이서(150)를 포함한다.
서포터(110)는 기초층(300)에 배열되어 지지부(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베이스 부재(111), 레벨 조절부재(112), 제1 스토퍼(113) 및 제2 스토퍼(114)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111)는 기설정된 넓이를 가지며 구조체 바닥인 기초층(300)에 고정된다. 베이스 부재(111)는 기초층의 구조에 따라 고정하는 방식이 다르다.
예컨대 기초층(300)에 방수층이 없는 경우 베이스 부재(111)는 못(111a) 또는 앵커볼트(111b) 등으로 고정된다. 못(111a)은 베이스 부재(111)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기초층에 고정된다(도 5의 (a) 참조). 앵커볼트(111b)는 베이스 부재(111)의 가장자리와 접한 상태에서 기초층에 고정되고, 앵커볼트(111b)와 베이스 부재(111)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서로 결합된다(도 5의 (b) 참조). 그러나 기초층에 방수층이 형성된 경우 방수층이 손상되지 않도록 베이스 부재(111)는 모르타르(mortar)(111c)로 고정 고정된다(도 5의 (c) 참조).
레벨 조절부재(112)는 베이스 부재(111)의 중앙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외부 둘레면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111)가 모르타르로 고정된 경우 모르타르(111c)는 레벨 조절부재(112)를 넘지 않는다. 이에 레벨 조절부재(112)의 상부측은 모르타르 외부로 노출된다(도 5의 (c) 참조).
제1 스토퍼(113) 및 제2 스토퍼(114)는 너트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레벨 조절부재(112)에서 간격을 수고 상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먼저 제1 스토퍼(113)가 결합되고, 지지부(120)가 레벨 조절부재(112)에 결합된 뒤 그 위에 제2 스토퍼(114)가 레벨 조절부재(112)와 결합된다. 바닥(400)(도 12 참조)의 두께(T)(도 12 참조)에 따라 제1 스토퍼(113) 및 제2 스토퍼(114)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지지부(120)는 배열된 각 서포터(110) 마다 결합되어 형틀(130)을 지지하는 것으로 수평바(121), 수직바(122), 돌기부재(123) 및 결합부재(140)를 포함한다.
수평바(12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일측과 타측에 레벨 조절부재(112)가 관통하는 레벨홀(121a)이 형성되어 있다. 레벨홀(121a)의 직경은 레벨 조절부재(112)의 직경보다 크다.
수평바(121)는 제1 스토퍼(113) 만 레벨 조절부재(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레벨 조절부재(112)에 결합되어 제1 스토퍼(113) 위에 놓여진다. 그리고 제2 스토퍼(114)를 레벨 조절부재(112)에 결합하여 수평바(121)를 고정한다.
수직바(122)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한다. 수직바(122)는 레벨홀(121a)이 형성된 수평바(121) 부분에서 수평바 중앙 부분으로 떨어져 수직하게 결합된다. 수직바(122)와 수평바(121)의 연결된 부분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직바(122)와 수평바(121)는 제조 시 일체로 성형되거나, 용접 등의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수직바(122)와 수평바(121)는 돌기와 돌기홈(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돌기부재(123)는 수직바(122)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서 수평바(121) 중앙(S)을 향해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돌기부재(123)에는 나사를 갖는 결합홀(123a)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홀(123a)에는 형틀(130)을 지지부(120)에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재(140)가 체결된다.
바닥을 형성하기 위해 기초층(300) 위에 콘크리트(concrete) 또는 모르타르가 타설되면 지지부(120)는 양생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지지부(120)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지지부(120)와 서포터(110)는 필요한 지지력을 위해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형틀(130)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배수로를 형성한다. 형틀(130)은 바닥부재(131), 측벽부재(132)를 포함한다. 바닥부재(131) 및 측벽부재(132)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재(131)는 배수로(200)의 바닥(210)(도 13 참조)을 형성하며, 측벽부재(132)는 배수로(200)의 측벽(220)(도 13 참조)을 형성한다. 측벽부재(132)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바닥부재(131)는 측벽부재(132) 하부측을 서로 연결한다. 바닥부재(131)와 측벽부재(132)는 곡면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배수로의 바닥과 측면은 곡면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측벽부재(132)의 간격은 100mm, 150mm, 200mm일 수 있다. 측벽부재(132)의 간격에 따라 바닥부재(131)의 폭이 결정된다. 측벽부재(132)의 간격에 따라 배수로의 폭이 결정된다.
바닥부재(131)는 동일한 폭을 가지며, 측벽부재(132)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 높이가 변화된다. 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갈수록 바닥부재(131)는 측벽부재(132)의 상측에서 점진적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이에 바닥부재(131)는 측벽부재(132)의 상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져 있다.
측벽부재(132)의 상부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부재(140)가 관통하는 관통홀(133)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웃한 관통홀(133)의 간격은 450mm 내지 500mm일 수 있다.
형틀(130)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알루미늄(aluminium), 철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형틀(130)의 재질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측벽부재(132)는 외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여기서 측벽부재(132)를 제1 부분(132a)과 제2 부분(132b)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2 부분(132b)의 경사도는 제1 부분(132a)의 경사도 보다 크다. 그러나 제1 부분(132a)은 경사도가 생략되고 제2 부분(132b)가 경사질 수 있다. 측벽부재(132)의 경사는 측벽부재(132) 전체가 경사지거나, 외측면만 경사질 수 있다.
한편, 형틀(130)을 양생된 콘크리트에서 용이하게 분리되고, 분리 시 콘크리트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형틀(130)의 외부 표면에는 박리제가 도포될 수 있다. 박리제는 건설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페이서(150)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측벽부재(132) 사이에 위치하며 양단이 결합부재(140)에 결합되어 있다. 스페이서(150)의 양단은 결합부재(140)에 걸쳐지는 형태로 결합된다. 스페이서(150)는 측벽부재(132)가 기설정된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측벽부재(132)는 압력을 받을 수 있다. 이때 스페이서(150)는 압력을 지지하여 측벽부재(132)가 내측 방향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스페이서(150)는 생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12를 참고하여 배수로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 시공 방법 블록도이고, 도 7 내지 도 13은 배수로 시공 공정도이다.
도 6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 시공방법은 서포터 설치단계(S10), 지지부 결합단계(S20), 형틀 결합단계(S30), 콘크리트 타설단계(S40), 형틀 분리단계(S50) 및 마무리 단계(S60)를 포함한다.
배수로를 시공하기 앞서 바닥을 형성할 구조물의 기초층(300)을 정리한다. 기초층(300)이 정리되면 배수로를 형성할 위치에 서포터(110) 들을 배열한다. 서포터(110)는 2개 1조로 이루어져 일 방향으로 배열된다. 베이스부재(111)를 기초층(30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한다. 서포터(11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기초층(300)의 구조에 따라 못(111a), 앵커볼트(111b) 및 모르타르(111c) 등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레벨 조절부재(112)에 제1 스토퍼(113)를 결합한다(S10)(도 7 참조).
제1 스토퍼(113)의 위치는 바닥(400)의 두께에 따라 달라진다.
지지부(120)를 한 쌍의 서포터(110) 사이에 결합한다. 레벨홀(121a)을 이용하여 수평바(121)를 레벨 조절부재(112)에 결합한다. 제2 스토퍼(114)를 레벨 조절부재(112)에 결합하여 지지부(120)를 서포터(110)에 고정한다(S20)(도 8 참조).
외부 표면에 박리제가 도포된 형틀(130)을 수직바(122) 사이에 위치시키고, 관통홀(133)과 결합홀(123a)을 일치시킨다. 관통홀(133)을 관통시킨 결합부재(140)를 결합홀(123a)에 체결하여 형틀(130)을 지지부(120)에 결합한다. 돌기부재(123)가 형틀(130)의 외측면에 접하게 되어 수직바(122) 및 수평바(121)는 형틀(130)의 외측면과 간격을 두고 있다. 바닥부재()가 측벽부재()의 상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져 있으고, 관통홀(133) 들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므로 형틀(130)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S30)(도 3 및 도 9 참조).
측벽부재(132) 사이에 스페이서(150)를 결합하여 측벽부재(132)를 지지한다. 스페이서(150)는 결합부재(140)에 걸쳐지는 형태로 결합된다(도 10 참조). 그러나 스페이서(150) 결합은 생략될 수 있다
위 실시예와 도면에서 서포터(110)를 기초층에 고정한 뒤, 서포터(110)에 지지부(120)를 결합하고, 지지부(120)에 형틀(130)을 결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서포터(110), 지지부(120) 및 형틀(130)이 제작 공장에서 조립된 상태에서 운반되어 시공 현장에 바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수로 형성을 위한 배수로 시공설비(100) 설치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수로 시공설비(100)가 기초층(300)에 설치되면, 기초층(300)에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타설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것으로 설명한다. 기초층(300)에 철근이 없는 상태로 타설된다. 그러나 구조물의 구조에 따라 기초층(300) 위에 와이어메쉬(도시하지 않음), 철근(도시하지 않음)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기초층(300)에서 형틀(130)의 상면까지 타설되고 형틀(130)과 지지부(120) 사이까지 빈 틈 없이 타설된다(S40)(도 11 참조). 바닥부재(131)의 기울어진 밑면에 의해 바닥부재(131)의 밑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구배지게 된다.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기초층(300) 위에 바닥(400)이 형성된다. 바닥(400)이 형성된 상태에서 스페이서(150), 결합부재(140) 및 형틀(130)을 분리한다(S50)(도 12 (a) 참조). 형틀(130)의 외부 표면에 박리제가 도포되어 있으므로 형틀(130)은 콘크리트를 손상시키지 않고 분리될 수 있다.
형틀(130) 분리로 바닥(400)에는 형틀(130) 형상의 배수로(200)가 형성된다. 바닥(210)과 측벽(220)의 연결 부분은 부드러운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측벽부재(132)의 기울기에 따라 배수로(200)의 측벽(220) 또한 경사진 상태가 된다. 측벽부재(132)의 제2 부분(132b)에 의해 측벽(220)과 바닥(400)의 표면이 연결된 부분(C)은 경사진 상태가 된다(도 12 (a) 참조).
바닥부재(131)의 기울기에 의해 배수로(200)의 바닥(210)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도 12 (b) 참조(배수로를 길이 방향으로 자른 단면). 경사진 바닥(210)에 의해 물은 배수로(200)에 고이지 않고 흐를 수 있다.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형틀(130)과 지지부(120) 사이에도 위치하므로 형틀(130)을 분리하면 지지부(120)는 바닥(400) 내부에 매립된 상태가 된다. 이에 배수로(200)로 지지부(120)가 노출되지 않는다. 다만 형틀(130)과 돌기부재(123)가 서로 접해 있으므로 형틀(130)과 접한 돌기부재(123) 부분이 배수로(200)에 노출된다. 이 경우 결합홀(123a)의 주변부가 보이므로 미관을 저해 하고, 결합홀(123a)에 물이 유입되어 고이거나, 고인 물이 부패되면서 악취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결합홀(123a)에 방수를 위한 실리콘 등을 주입하고 볼트(B)를 결합하여 결합홀(123a)을 메운다(S60)(도 13 참조). 볼트(B)는 둥근 머리 볼트일 수 있다. 결합홀(123a)을 메우는 것을 볼트로 한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결합홀(123a)을 메우는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앵글 설치, 미장 등의 공정이 발생하지 않아 공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지지부(120)와 결합된 형틀(130)에 의해 배수로(200) 바닥(210)이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형틀(130) 분리 후 배수로(200) 바닥(210)을 구배 잡는 공정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형틀에 의해 구배를 잡으므로 구배가 정확해질 수 있다.
형틀(130) 분리 후 재 사용이 가능하므로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폐기물 처리에 따른 환경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배수로 시공설비가 공장에서 생산되므로 정교하며 사용이 쉬어 배수로 시공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배수로 시공에 따른 전문가 없이 비 전문가라도 배수를 손쉽게 시공할 수 있다.
형틀(130)이 6000mm 길이로 형성되므로 배수로 시공설비(100)가 배수구(H)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하면 12000mm의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다. 형틀(130)의 형상에 의해 배수로(200)가 배수구를 향해 경사지므로 물은 배수로에 고이지 않고 배수구로 완벽하게 배수될 수 있다(도 14 참조).
형틀(130)의 형상에 의해 배수로 바닥과 측면이 곡면으로 연결되어 물 흐름과 청소가 용이하여 고인 물이 부패되면서 발생하는 악취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형틀(130)에 의해 배수로가 형성되고, 배수로 측벽과 바닥 표면 연결된 부분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측벽(220)과 바닥(400) 표면이 직각으로 연결되면서 발생한 모서리의 파손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사용에 따른 보수 작업이 발생하지 않는다.
배수로 시공설비를 이용하면 앵글을 설치하지 않고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앵글 사용으로 발생하는 앵글과 바닥 사이에 발생하는 틈, 앵글 부식 등이 발생하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어 배수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배수로 시공설비 110: 서포터
111: 베이스 부재 111a: 못
111b: 앵커볼트 111c: 모르타르
112: 레벨 조절부재 113: 제1 스토퍼
114: 제2 스토퍼 120: 지지부
121: 수평바 121a: 레벨홀
122: 수직바 123: 돌기부재
123a: 결합홀 130: 형틀
131: 바닥부재 132: 측벽부재
132a: 제1 부분 132b: 제2 부분
133: 관통홀 140: 결합부재
150: 스페이서 200: 배수로
210: 바닥 220: 측벽
300: 기초층 400: 바닥

Claims (11)

  1. 구조체 바닥에 배수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구조체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고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레벨 조절부재, 상기 레벨 조절부재에 결합된 제1 및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서포터,
    상기 레벨 조절부재가 통과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사이에 위치한 지지부, 그리고
    바닥부재 및 상기 바닥부재의 양단에 곡면으로 연결되어 있는 측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측벽부재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와 간격을 두고 결합되어 분리될 수 있는 형틀
    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측벽부재의 상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상기 바닥부재의 기울어진 밑면에 의해 상기 바닥부재의 밑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구배지고, 상기 형틀은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상기 지지부와 분리되며 상기 서포터 및 상기 지지부는 상기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어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측벽부재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측벽부재의 외부면은 상면을 기준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측벽부재의 경사에 따라 상기 배수로의 측벽 또한 경사진 상태가 되며 상기 측벽부재의 제2 부분에 의해 상기 측벽과 상기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된 바닥의 표면이 연결된 부분(C)은 경사진 상태가 되는
    배수로 시공설비.
  2. 제1항에서,
    상기 측벽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측벽부재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배수로 시공설비.
  3. 제1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의 위치에 따라 기초층인 상기 구조체 바닥과 상기 지지부의 간격이 조절되는
    배수로 시공설비.
  4. 제1항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재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레벨 조절부가 관통하며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의 위치에 따라 위치 조절될 수 있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와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측벽부재와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수직바 및
    상기 수직바 끝에서 상기 측벽부재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부재에는 결합부재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재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있는
    배수로 시공설비.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형틀의 상면에서 바닥까지의 깊이가 길이 방향을 따라가며 변화하는 배수로 시공설비.
  7. 제1항에서,
    상기 서포터가 고정되는 기초층을 기준으로 상기 형틀의 높이는 상기 지지부의 높이보다 더 높은 배수로 시공설비.
  8. (S10)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앙에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는 레벨 조절부재, 상기 레벨 조절부재에 결합된 제1 및 제2 스토퍼를 포함하는 서포터를 구조체 바닥에 설치하는 단계,
    (S20) 상기 서포터에 지지부를 결합하는 단계,
    (S30) 바닥부재 및 상기 바닥부재의 양단에 곡면으로 연결되어 있는 측벽부재를 포함하는 형틀을 결합부재로 상기 지지부와 결합하는 단계,
    (S40) 기초층에 상기 형틀 상면까지 콘크리트(concrete)를 타설하는 단계 및
    (S50) 상기 결합부재를 분리하여 상기 형틀을 상기 지지부에서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를 상기 구조체 바닥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를 상기 레벨 조절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S40) 단계에서 콘크리트는 상기 형틀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도 타설되며, 상기 (S50) 단계에서 상기 형틀을 제거하면 상기 지지부는 타설된 모르타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측벽부재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측벽부재의 외부면은 상면을 기준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측벽부재의 경사에 따라 배수로의 측벽 또한 경사진 상태가 되며 상기 측벽부재의 제2 부분에 의해 상기 측벽과 상기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된 바닥의 표면이 연결된 부분(C)은 경사진 상태가 되는
    배수로 시공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결합부재 및 상기 형틀이 분리되면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홀 주변이 노출되고, (S60) 상기 지지부의 결합홀을 메우는 마무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수로 시공방법.
  10. 제8항에서,
    상기 (S30) 단계에서, 상기 기초층을 기준으로 상기 형틀의 높이가 상기 지지부의 높이보다 더 높게 설치되는 배수로 시공방법.
  11. 제8항에서,
    상기 (S30) 단계에서 상기 형틀 내에 스페이서를 설치하는 배수로 시공방법.
KR1020150046940A 2015-04-02 2015-04-02 배수로 시공설비 및 배수로 시공방법 KR101747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40A KR101747821B1 (ko) 2015-04-02 2015-04-02 배수로 시공설비 및 배수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940A KR101747821B1 (ko) 2015-04-02 2015-04-02 배수로 시공설비 및 배수로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317A KR20160119317A (ko) 2016-10-13
KR101747821B1 true KR101747821B1 (ko) 2017-06-28

Family

ID=5717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940A KR101747821B1 (ko) 2015-04-02 2015-04-02 배수로 시공설비 및 배수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8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278B1 (ko) 2020-10-14 2021-02-15 주식회사 계림폴리콘 배수 구배 및 레벨 조정이 용이하고 오염물질 정화기능이 강화된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배수트렌치 결합시스템
KR102215279B1 (ko) 2020-11-03 2021-02-15 주식회사 계림폴리콘 비점오염을 저감하기 위한 다공성 필터를 구비한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배수트렌치
KR102434761B1 (ko) 2022-01-18 2022-08-24 주식회사 계림폴리콘 이산화티타늄 표면개질 광촉매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로관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749B1 (ko) * 2017-04-10 2018-06-11 주식회사 홍우비앤티 Pc트렌치 레벨작업용 받침대
CN109797834A (zh) * 2019-01-26 2019-05-24 北京中建润通机电工程有限公司 地下车库的积水排放系统
KR102200910B1 (ko) * 2020-09-07 2021-01-11 유수정 스마트 조립형 물순환 배수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9049B2 (ja) * 1995-02-03 1999-01-20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樹脂製溝部材および水勾配を有する溝の施工方法
KR200244705Y1 (ko) * 2001-06-04 2001-10-29 (주)청호종합기술단 도로 공사시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
KR200284854Y1 (ko) * 2002-03-29 2002-08-10 (주) 협신기업 오수차단블럭
JP2004100240A (ja) * 2002-09-09 2004-04-02 Horkos Corp ステンレス製細型排水溝及びその施工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805A (ko) 2001-03-27 2001-06-05 안경헌 배수트렌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9049B2 (ja) * 1995-02-03 1999-01-20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樹脂製溝部材および水勾配を有する溝の施工方法
KR200244705Y1 (ko) * 2001-06-04 2001-10-29 (주)청호종합기술단 도로 공사시 도수로 시공용 거푸집
KR200284854Y1 (ko) * 2002-03-29 2002-08-10 (주) 협신기업 오수차단블럭
JP2004100240A (ja) * 2002-09-09 2004-04-02 Horkos Corp ステンレス製細型排水溝及びその施工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278B1 (ko) 2020-10-14 2021-02-15 주식회사 계림폴리콘 배수 구배 및 레벨 조정이 용이하고 오염물질 정화기능이 강화된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배수트렌치 결합시스템
KR102215279B1 (ko) 2020-11-03 2021-02-15 주식회사 계림폴리콘 비점오염을 저감하기 위한 다공성 필터를 구비한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배수트렌치
KR102434761B1 (ko) 2022-01-18 2022-08-24 주식회사 계림폴리콘 이산화티타늄 표면개질 광촉매를 포함하는 복합소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수로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317A (ko)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7821B1 (ko) 배수로 시공설비 및 배수로 시공방법
US10982427B2 (en) Prefabricated bathroom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nd installing the same
KR101170103B1 (ko) 조립식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트렌치 구조
KR101027016B1 (ko) 그레이팅 지지용 받침판 시공방법
KR10105214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신축이음부 물받이 시공방법
KR101726852B1 (ko) 트렌치가 설치된 지하주차장 수로의 트렌치 보수용 받침 앵글 및 그 보수용 받침 앵글을 이용한 보수 시공방법
JP6616629B2 (ja) グレーチングの取付構造及び取付工法
KR101939321B1 (ko) 교량용 횡배수관 매설형 선배수 시설의 시공 방법
KR20210001050U (ko) 건축물용 전선 안내관의 지지철근 고정홀더
JP2018091019A (ja) 型枠固定装置、型枠、型枠固定方法および目地の施工方法
JP4489644B2 (ja) 側溝蓋用埋設型枠、及び側溝の蓋体の形成方法
JP5166225B2 (ja) 屋上浮き型枠の足元固定用打ち込み型枠とそれを用いた防水層の端部処理構造の構築方法
JP2007217871A (ja) 乾式基礎及びその構築方法
KR100450113B1 (ko) 다층 건축물의 계단 형성구조
KR200223187Y1 (ko) 키커브라켓트
JP6874051B2 (ja) 溝の施工方法
KR20060029830A (ko) 배수트렌치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102707799B1 (ko) 콘크리트 경계부 누수방지용 수팽창지수제 고정시스템
KR200372042Y1 (ko) 배수트렌치 구조
JP5342773B2 (ja) 防水処理用打ち込み型枠とそれを用いた防水層の端部処理構造
KR100953033B1 (ko) 재사용이 가능한 배수 트렌치 유닛
KR20100039039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매입볼트 매입방법
JPH08311980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道路側溝蓋版
JPH0886013A (ja) バルコニーの施工方法及びバルコニー施工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
CN113417458A (zh) 后浇带封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