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039B1 -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039B1
KR102498039B1 KR1020200180011A KR20200180011A KR102498039B1 KR 102498039 B1 KR102498039 B1 KR 102498039B1 KR 1020200180011 A KR1020200180011 A KR 1020200180011A KR 20200180011 A KR20200180011 A KR 20200180011A KR 102498039 B1 KR102498039 B1 KR 102498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ayer
drain
buried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410A (ko
Inventor
차옥현
Original Assignee
일산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산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일산종합건설(주)
Priority to KR1020200180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0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03F5/0409Devices for preventing seepage around the floor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브층에 매설되는 배수관의 상단에 하단부가 일부 삽입 결합되고, 상단부는 일정 직경으로 확장되도록 하여 상기 슬라브층의 상부면에 매설되도록 연결되는 하부 파이프; 하단부는 상기 하부 파이프의 상부에 삽입 결합되면서 상기 슬라브층의 상부면으로 포설되는 콘크리트 몰탈 또는 단열재를 적용한 보강층 또는 단열층에 매설되는 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보강층 또는 단열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타일 또는 방수막으로 형성되는 마감층에 매설되도록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한 배수 가이드판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에는 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수직으로 일정 폭의 판면이 관통되도록 배수공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보강층 또는 단열층을 통해 물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파이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Drain structure of a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브의 상부에 형성되는 방수 및 보강층으로부터 슬라브와의 사이로 흡수 및 발생되는 물기를 배수관을 통해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축물에 발생되는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여 건축물의 안전성이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등의 옥상이나 지붕 또는 화장실에서는 빗물이나 사용 오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관이 설치되도록 하고 있고, 배수관은 건축물의 슬라브 형성 시 미리 매설되도록 하고 있다.
건축물에서의 층간 구조물인 슬라브에는 통상 상부로 일정 두께로서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보강층의 상부에는 타일 또는 시멘트 미장에 의해서 마감층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지속적으로 물과 접촉되는 옥상이나 화장실에는 슬라브의 상부로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기 전에 방수층을 형성하거나 마감층을 방수재로서 사용하기도 한다.
즉, 빗물이나 오수와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건축물에서는 아무리 방수층을 형성하게 되더라도 타일이나 방수막을 형성하는 마감층을 통해 미세하게 물기가 흡수된다.
다시 말해 방수막이 형성되거나 타일 또는 시멘트 몰탈에 의해 마감이 이루어지게 되더라도 시간이 경과하면 마감층을 통해 미세한 량의 빗물이나 오수가 흡수된다.
이렇게 하부로 흡수되는 물기는 콘크리트 몰탈층과 슬라브 사이에 고이게 되며, 물기가 잔류하게 되면 마감층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몰탈로 이루어지는 보강층이 미세하게 갈라지는 크랙을 발생하게 된다.
건물 바닥에 크랙이 발생되기 시작하면 발생 위치도 늘어나면서 크랙 사이즈도 커지게 되므로 건물의 강도를 약화시키게 되는 폐단이 발생된다.
이에 등록실용신안 제0405437호(2006.01.02.)의 다중식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 장치에서는 콘크리트 슬라브층 거푸집 위에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 하부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하부 윗면에 맞추어 방수작업을 한 뒤 고정판을 하부에 설치되게 하며, 바닥면의 마감 높이에 맞추어 플랜지를 고정판 위에 설치하면서 그 위에 배수공을 설치하도록 한 바 있다.
즉, 배수관에는 하부의 하단부가 연결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립되도록 하고, 이 하부의 상단에는 플랜지의 하단이 연결되도록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이 설치되게 함으로써 배수공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 또는 오수가 안정적으로 배수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 기술의 드레인 장치는 주로 마감층 상부에 모여지게 되는 우수 또는 오수를 배수관으로 안정적으로 유도되도록 하여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마감층을 통해 보강층으로 흡수되어 슬라브층 상부에 잔류하게 되는 물기에 대해서는 처리할 수가 없으므로 결국 마감층과 보강층에서의 크랙 발생과 함께 건물 전체의 강도를 약화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0405437호(2006.01.0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보강층이나 보강층 하부의 슬라브층 사이에 잔류하는 물기가 안정적으로 배수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층이나 보강층과 슬라브층 사이에서의 물기가 잔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여 건축물을 보다 안전하게 유지되게 하여 내구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는, 슬라브층에 매설되는 배수관의 상단에 하단부가 일부 삽입 결합되고, 상단부는 일정 직경으로 확장되도록 하여 상기 슬라브층의 상부면에 매설되도록 연결되는 하부 파이프; 하단부는 상기 하부 파이프의 상부에 삽입 결합되면서 상기 슬라브층의 상부면으로 포설되는 콘크리트 몰탈 또는 단열재를 적용한 보강층 또는 단열층에 매설되는 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보강층 또는 단열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타일 또는 방수막으로 형성되는 마감층에 매설되도록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한 배수 가이드판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에는 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수직으로 일정 폭의 판면이 관통되도록 배수공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보강층 또는 단열층을 통해 물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파이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하부 파이프는 외경이 상기 배수관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파이프는 배수공을 형성하는 외관과 상기 외관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내관이 일체로 형성되는 이중관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상부 파이프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 파이프의 상단부 내주면에 나사 결합에 의해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 파이프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 파이프의 배수공을 형성하는 측면의 외측으로 일정 이상의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망관이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보강층 또는 단열층과 상기 슬래브층의 사이에는 일정 두께로 방수막을 적층시켜 방수층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에 의해서 마감층과 슬래브층 사이에 잔류하는 물기가 하부 파이프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슬래브층 상부에서의 잔류 물기를 즉각적으로 제거되도록 하여 보강층과 마감층에서의 크랙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가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래브의 상부로 물기가 제거되도록 하면서 누수 발생의 방지와 함께 보다 견고한 건축물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에서 상부 파이프의 다른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에서 망관이 결합되는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에서 슬래브층의 상부에 방수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을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에서 슬래브층에 배수관이 매설된 구성을 예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에서 배수관에 하부 파이프를 연결한 구성을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에서 하부 파이프에 상부 파이프를 연결한 구성을 예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에서 슬래브층의 상부에 보강층을 형성한 구성을 예시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의 결합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는 크게 하부 파이프(10)와 상부 파이프(2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하부 파이프(10)는 슬라브층(30)에 매설되는 배수관(31)에 하단부가 연결되도록 하면서 상단부는 일정 두께가 외측으로 일정 폭이 수평 연장되도록 하여 플랜지면(11)을 형성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슬라브층(30)에는 성형 시 통상 일정 직경의 배수관(31)이 매설되도록 하면서 배수관(31)의 상단부는 슬라브층(30)의 상단부보다는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슬라브층(30)에 매설되는 배수관(31)의 상단부에는 배수관(31)의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는 하부 파이프(10)의 하단부가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하부 파이프(10)의 상단부는 일정 두께가 일정 폭으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게 함으로써 일정 폭의 판면을 갖는 플랜지면(11)을 형성하도록 하고, 이 플랜지면(11)은 슬라브층(30)의 상부면에 매설 또는 안착되도록 한다.
즉, 하부 파이프(10)를 배수관(31)에 연결 시 상부의 플랜지면(11)이 슬라브층(30)의 상부면에 안착 또는 플랜지면(11)의 두께만큼 삽입 매설되게 하면서 자연스럽게 하부 파이프(10)의 하단부는 배수관(31)의 내주면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다만, 하부 파이프(10)의 플랜지면(11)은 상부면이 슬라브층(30)의 상부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배수관(31)의 상부로 연결한 하부 파이프(10)의 상단부에는 상부 파이프(20)의 외주면 하부가 내부로 삽입 연결되도록 한다.
상부 파이프(20)는 원통형의 본체(21)와 이 본체(21) 상단부의 배수 가이드판(22)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배수 가이드판(22)의 상부면에는 그릴(23)이 안착되도록 한다.
상부 파이프(20)의 본체(21)는 하부의 외주면이 하부 파이프(10)의 상부측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며, 본체(21)의 상단부는 외측으로 판면이 확장되도록 하여 배수 가이드판(22)이 형성되도록 한다.
배수 가이드판(22)은 바닥면이 본체(21)에 연결되는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각도로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고, 외측의 단부는 일정 높이 수직으로 상향 돌출되게 함으로써 돌출되는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서 그릴(23)이 안착되도록 한다.
배수 가이드판(22)은 원형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지만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상부 파이프(20)의 본체(21)에는 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수직으로 일정 폭의 판면이 관통되도록 하는 복수의 배수공(210)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상부 파이프(20)의 본체(21)는 콘크리트 몰탈 또는 단열재로서 이루어지는 보강층(40)에 매설되도록 하며, 배수 가이드판(22)은 보강층(40)의 상부에 형성되는 타일 또는 시멘트 몰탈 또는 방수막으로 이루어지는 마감층(50)에 매설된다.
한편, 상부 파이프(20)의 본체(21)는 도 3에서와 같이 복수의 배수공(210)을 형성하는 외관(21a)과 이 외관(21a)보다 작은 직경의 내관(21b)의 이중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면서 이러한 내관(21b)의 상단부는 외관(21a)의 상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형상으로도 형성되게 할 수가 있다.
즉, 우수가 배출되는 통로와 슬래브층(30)의 상부에 흡수되는 물기를 배출하는 통로를 구분하여 형성되도록 하면 좀더 정밀하고 안전하게 건축물을 관리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상부 파이프(20)의 본체(21) 외측으로는 도 4에서와 같이 하부 파이프(10)의 상부에 콘크리트 몰탈 또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보강층(40)으로부터 일정 이상의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망관(60)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부 파이프(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면(11)은 슬래브층(30)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하면서 슬래브층(30)의 상부면에는 도 5에서와 같이 플랜지면(11)의 두께 이상으로 방수막을 적층시켜 방수층(70)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에 의한 작용과 효과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와 같이 건축물 시공 시 통상 슬래브층(30)에는 배수관(31)이 매설되도록 한다.
다만, 슬래브층(30)의 형성 전에 배수관(31)에는 도 7에서와 같이 하부 파이프(10)의 하단부가 배수관(31)의 상단부 내주면으로 삽입 고정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슬래브층(30)을 형성하기 전에 배수관(31)과 이 배수관(31)의 상부로 하부 파이프(10)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한 후 배수관(31)과 함께 하부 파이프(10)의 플랜지면(11)의 높이까지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여 슬래브층(300을 형성하게 된다.
슬래브층(30)의 상부면에 플랜지면(11)이 안착되도록 연결시킨 상태에서 슬래브층(30)에 매설되게 하여 고정한 하부 파이프(10)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상부 파이프(20)의 하단부가 도 8에서와 같이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하부 파이프(10)에 상부 파이프(20)가 나사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슬래브층(30)의 상부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몰탈이나 단열재를 일정 높이로 채워지게 하여 보강층(40) 또는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한다.
보강층(40) 또는 단열층은 배수 가이드판(22)에 이르는 높이로서 형성하면서 보강층(40) 또는 단열층의 형성 높이에 맞춰 상부 파이프(20)를 회전시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부 파이프(20)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한 상태에서 보강층(40) 또는 단열층의 상부에는 타일 또는 시멘트 몰탈 또는 방수막을 부착시켜 마감층(50)을 형성한다.
마감층(50)은 상부 파이프(20)의 배수 가이드판(22) 상단부 높이와 동일 수평선상에 형성되도록 하며, 배수 가이드판(22)에는 그릴(23)이 안착되도록 한다.
이렇게 본체(21)의 주면을 따라 배수공(210)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보강층(40)과 슬래브층(30)의 상부에 모여지게 되는 물기가 배수공(210)을 통해 유입되도록 한다.
즉, 상부 파이프(20)와 하부 파이프(10) 및 배수관(31)을 통해 우수 또는 오수가 배수되도록 하면서 마감층(50)과 보강층(40)을 통해 슬래브층(30)의 상부에 모여지게 되는 물기도 배수공(210)을 통해 원활하게 배수되게 함으로써 보강층(40)과 마감층(50)에서의 크랙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하면서 방수층(70)의 파손을 방지하여 누수 등의 하자가 방지되게 하는 동시에 크랙이 더 이상 커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건축물 유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구성간 간단히 나사결합에 의해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가 있으므로 조작력이 매우 쉽고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상부파이프(20)의 본체(21)에 외관(21a)과 내관(21b)을 두어 좀 더 예민한 구조물에 적용함으로 정밀하고 안전하게 건축물을 관리할 수 있다. 일반적인 건물은 외관(21a)만 적용해도 무방하다.
10 : 하부 파이프
11 : 플랜지면
20 : 상부 파이프
21 : 본체
21a : 외관 21b : 내관
22 : 배수 가이드판 23 : 그릴
210 : 배수공
30 : 슬래브층
31 : 배수관
40 : 보강층
50 : 마감층
60 : 망관
70 : 방수층

Claims (6)

  1. 슬라브층에 매설되는 배수관의 상단에 하단부가 일부 삽입 결합되고, 상단부는 일정 직경으로 확장되도록 하여 상기 슬라브층의 상부면에 매설되도록 연결되는 하부 파이프;
    하단부는 상기 하부 파이프의 상부에 삽입 결합되면서 상기 슬라브층의 상부면으로 포설되는 콘크리트 몰탈 또는 단열재를 적용한 보강층 또는 단열층에 매설되는 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보강층 또는 단열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타일 또는 방수막으로 형성되는 마감층에 매설되도록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한 배수 가이드판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에는 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수직으로 일정 폭의 판면이 관통되도록 배수공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보강층 또는 단열층을 통해 물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파이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수 가이드판은 바닥면이 본체에 연결되는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 각도로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파이프는 배수공을 형성하는 외관과 상기 외관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내관이 일체로 형성되는 이중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파이프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 파이프의 상단부 내주면에 나사 결합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하부 파이프는 외경이 상기 배수관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파이프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 파이프의 배수공을 형성하는 측면의 외측으로 일정 이상의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망관이 삽입되고,
    상기 보강층 또는 단열층과 상기 슬라브층의 사이에는 일정 두께로 방수막을 적층시켜 방수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180011A 2020-12-21 2020-12-21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 KR102498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011A KR102498039B1 (ko) 2020-12-21 2020-12-21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011A KR102498039B1 (ko) 2020-12-21 2020-12-21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410A KR20220089410A (ko) 2022-06-28
KR102498039B1 true KR102498039B1 (ko) 2023-02-10

Family

ID=8226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011A KR102498039B1 (ko) 2020-12-21 2020-12-21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0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115B1 (ko) * 2006-03-07 2006-06-21 주식회사 풍국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택의 화장실 누수방지를 위한 배수구 및 그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437Y1 (ko) 2005-10-14 2006-01-11 박영주 다중식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 장치
KR20110058613A (ko) * 2009-11-26 2011-06-01 최우규 건물의 실내 배수구조
KR102234349B1 (ko) * 2019-01-31 2021-03-31 필립산업(주) 가변형 루프 드레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115B1 (ko) * 2006-03-07 2006-06-21 주식회사 풍국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택의 화장실 누수방지를 위한 배수구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410A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10318B (zh) 卫生间管井防漏水施工方法
KR101135473B1 (ko) 지붕층 구조시스템
KR101925206B1 (ko) 옥상용 드레인 유닛을 이용한 옥상 드레인 보수방법
KR101644042B1 (ko) 빗물 배수가 용이한 옥상 방수 시공방법
KR102498039B1 (ko)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
KR100933637B1 (ko) 교량용 이중 우수 배수구
KR101219076B1 (ko)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및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
CN208830457U (zh) 钢沉箱阻水结构
KR100926825B1 (ko) 다층건축물의 욕실구조
CN215166180U (zh) 一种沉箱式三次排水系统
KR100441965B1 (ko) 조립식 지붕 방수 시스템
KR20100007082U (ko)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KR200417292Y1 (ko) 수평형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EP2905396B1 (en) Method for providing a slope in a cast floor
KR200405437Y1 (ko) 다중식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 장치
KR20100002206U (ko)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CN111075228A (zh) 一种沉池架空吸水式预制板厕所
CN212772790U (zh) 一种梁式防渗预制阳台
CN110984308A (zh) 卫生间排除沉积水防渗漏工艺
KR102234355B1 (ko) 높, 낮이 가변형 루프 드레인 및 이의 하부바디 설치방법
CN220394287U (zh) 一种层间排水用渗水漏管
CN215669704U (zh) 地下室底板后浇带建筑垃圾预制砼清理槽
KR102583751B1 (ko) 완성형 화장실용 고정 구조
CN217896911U (zh) 微降板卫生间的半整体预制沉箱
KR102597916B1 (ko) 옥상 우수관 2중 유입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