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076B1 -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및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 - Google Patents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및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076B1
KR101219076B1 KR1020120085069A KR20120085069A KR101219076B1 KR 101219076 B1 KR101219076 B1 KR 101219076B1 KR 1020120085069 A KR1020120085069 A KR 1020120085069A KR 20120085069 A KR20120085069 A KR 20120085069A KR 101219076 B1 KR101219076 B1 KR 101219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waterproof
drain
cutting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4885A (ko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주)칠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칠칠공사 filed Critical (주)칠칠공사
Priority to KR1020120085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076B1/ko
Publication of KR20120094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076B1/ko
Priority to PCT/KR2013/006846 priority patent/WO20140216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09Drainage outlets, e.g. gull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2013/049Drainage on the roof surface of condensation water or infiltrated rain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에서 유입된 우수(빗물)를 지하로 배수가 되도록 하는 우수 배수관 및 우수 배수구의 주변에 침투해 오랜 기간 동안 배수되지 않고 옥상의 바닥에 잔존하는 침투수 및 우수를 우수관을 통해 완전 배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적어도 옥상 바닥에는 완벽한 방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및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에 관한 것으로,
우수 배수구(20) 주변을 방수 시공하기 위한 시공부(3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옥상 바닥층(10)을 절단하는 1차 절단단계(S100)와, 우수가 상습적으로 고이는 우수 잔존지역(40)에 잔존하는 우수가 우수 배수구(20)를 통해 유도 배수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수 잔존지역(40)과 우수 배수구(20)를 연결하는 연결통로(50)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도록 옥상 바닥층(10)을 절단하는 2차 절단단계(S200)와, 상기 1, 2차 절단 단계에 의해 형성된 옥상 바닥층의 시공부(30) 및 연결통로(50)에서 방수시트(2)의 상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 된 스티로폼(3), 철망(4),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7), 마감재(5)로 이루어지는 옥상 바닥 부자재를 제거하는 옥상 바닥 부자재 제거단계(S300)와, 상기 1, 2차 절단 단계에 의해 형성된 옥상 바닥층의 시공부(30) 및 연결통로(50)와 방수시트(2)가 맞닿는 틈새(80)에 방수액(60)을 주입하는 방수액 주입단계(S400)와, 상기 방수액 주입 후 방수시트(100')를 깔아서 고정시키는 1차 방수시트 고정단계(S500)와, 우수 배관(6)의 상측 끝단에 우수 잔존지역(40)에 있는 우수가 연결통로(50)를 통해 우수 배수구(20)로 배수가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침투수 유도관(90)을 우수 배관에 삽입 고정시키는 침투수 유도관 고정단계(S600)와, 상기 1, 2차 절단 단계에 의해 형성된 옥상 바닥층의 시공부(30) 및 연결통로(50)의 방수시트(2) 상측 면에 공극 형성 매개체(70)를 충진 하는 공극 형성 매개체 충진단계(S700)와, 상기 공극 형성 매개체(70)의 상측 방향으로 방수시트(100)를 깔아서 고정시키는 2차 방수시트 고정단계(S800)와, 상기 방수시트(100)의 상측 방향으로 스티로폼(3), 철망(4),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7), 마감재(5)로 이루어지는 옥상 바닥 부자재를 순차적으로 시공 및 타설하는 옥상 바닥재 시공단계(S900)와, 상기 시공단계 후 일정기간 자연건조를 시킨 다음 옥상 표면정리 및 정돈단계(S10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투수 유도관(90)은 원통형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관통홈(92)이 형성된 본체(91)의 외주 면으로 하나 이상의 유도관(93)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및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Infiltration water induction pipe rain water drain with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and rain water drain the surrounding around the waterproof construction induction pipes for water penetration}
본 발명은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및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옥상에서 유입된 우수(빗물)를 지하로 배수가 되도록 하는 우수 배수관 및 우수 배수구의 주변에 침투해 오랜 기간 동안 배수되지 않고 옥상의 바닥에 잔존하는 침투수 및 우수를 우수관을 통해 완전 배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적어도 옥상 바닥에는 완벽한 방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및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다세대 주택, 빌라, 아파트, 오피스텔 등 고층 건물의 옥상에는 방수시공을 하며, 이러한 종래 방수시공은 도 1 내지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 배관의 끝단에 방수시트를 우수 배관의 내측 방향으로 걸치 듯 배치한 다음, 스티로폼과 철망, 모르타르 및 우레탄 등의 마감재를 도포하여 완성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기존 방수시공방법에 의해 준공된 건물은 사용 후 1 ~ 2년 정도까지는 옥상에서 누수 현상이 발생 되지 않을 수 있지만, 그 이후에는 대부분의 옥상바닥에는 누수현상이 발생하며, 옥상바닥에서부터 시작된 누수현상은 건물의 내부로 번지기도 한다.
또한 옥상 바닥의 물매가 완벽하지 않게 되면, 우수 배수구를 통해 배수되지 않고 옥상 바닥의 내부로 침투(스며 듬)하여 장시간 동안 잔존하는 우수에 의해 누수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완벽하지 않은 물매로 인해 옥상 바닥의 내부에 침투한 우수는 누수의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모르타르 또는 우레탄 등으로 마감되는 마감 층이 침투수에 의해 발생 된 습기로 인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마감재를 우레탄으로 시공할 경우 상기와 같은 현상은 더욱더 심하였으며, 이를 보완하고자 우레탄을 이용한 마감 층 시공 후에는 에어벤트(air vent)를 설치하여 마감재의 내부가 통기가 되도록 하였는데 이는 인적 물적 자원을 추가로 투입하여야 하는 불합리함의 원인이 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안출 한 것으로 옥상 바닥의 내부에 장시간 동안 잔존하는 침투수를 우수 배수관을 통해 완벽하게 배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누수의 직간접적인 원인을 제거함은 물론, 잔존해 있던 침투수에 의해 발생 된 습기가 원인이 되어 마감 층이 갈라지거나, 마모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하여 깔끔한 옥상 바닥의 외관을 제공함과 동시에 누수현상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및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은,
우수 배수구(20) 주변을 방수 시공하기 위한 시공부(3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옥상 바닥층(10)을 절단하는 1차 절단단계(S100)와,
우수가 상습적으로 고이는 우수 잔존지역(40)에 잔존하는 우수가 우수 배수구(20)를 통해 유도 배수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수 잔존지역(40)과 우수 배수구(20)를 연결하는 연결통로(50)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도록 옥상 바닥층(10)을 절단하는 2차 절단단계(S200)와,
상기 1, 2차 절단 단계에 의해 형성된 옥상 바닥층의 시공부(30) 및 연결통로(50)에서 방수시트(2)의 상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 된 스티로폼(3), 철망(4),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7), 마감재(5)로 이루어지는 옥상 바닥 부자재를 제거하는 옥상 바닥 부자재 제거단계(S300)와,
상기 1, 2차 절단 단계에 의해 형성된 옥상 바닥층의 시공부(30) 및 연결통로(50)와 방수시트(2)가 맞닿는 틈새(80)에 방수액(60)을 주입하는 방수액 주입단계(S400)와,
상기 방수액 주입 후 방수시트(100')를 깔아서 고정시키는 1차 방수시트 고정단계(S500)와,
우수 배관(6)의 상측 끝단에 우수 잔존지역(40)에 있는 우수가 연결통로(50)를 통해 우수 배수구(20)로 배수가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침투수 유도관(90)을 우수 배관에 삽입 고정시키는 침투수 유도관 고정단계(S600)와,
상기 1, 2차 절단 단계에 의해 형성된 옥상 바닥층의 시공부(30) 및 연결통로(50)의 방수시트(2) 상측 면에 공극 형성 매개체(70)를 충진 하는 공극 형성 매개체 충진단계(S700)와,
상기 공극 형성 매개체(70)의 상측 방향으로 방수시트(100)를 깔아서 고정시키는 2차 방수시트 고정단계(S800)와,
상기 방수시트(100)의 상측 방향으로 스티로폼(3), 철망(4),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7), 마감재(5)로 이루어지는 옥상 바닥 부자재를 순차적으로 시공 및 타설하는 옥상 바닥재 시공단계(S900)와,
상기 시공단계 후 일정기간 자연건조를 시킨 다음 옥상 표면정리 및 정돈단계(S10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단계에서 절단은 방수시트(2)가 보일 때까지 실시하되, 배수구(20) 주변을 다각형으로 절단할 경우 배수구(20)를 중심으로 가로 100 ~ 120cm, 세로 100 ~ 120cm로 절단을 하고, 원형으로 절단을 할 경우 지름 100 ~ 120cm로 절단하는 한편, 연결통로는 폭 10 ~ 30cm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극 형성 매개체(70)는 지름 0.5 ~ 2cm 크기의 콩자갈, 굵은 모래, 가는 자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옥상 바닥재 시공단계에서 마감재(5)는 모르타르,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90)은,
원통형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관통홈(92)이 형성된 본체(91)의 외주 면으로 우수가 통수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유도관(93)이 일체형 또는 탈착 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도관(93)은 관통홈(9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도관은 원형, 다각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및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은 기존 옥상 바닥의 내부에서 잔존하는 우수를 유도하여 우수 배수구로 배수함으로써 상습 누수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마감재 층이 공극 형성 매개체에 의한 통기성이 좋아져 마감재가 들뜨거나 습기에 의한 부식현상이 감소하여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방수시공이 된 옥상 바닥을 도시한 평면구조도
도 2는 종래 방수시공이 된 우수관 주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시공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우수관 주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의 옥상 바닥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 중 침투수 유도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대한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보인 시공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및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은 도 3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 배수구(20) 주변을 방수 시공하기 위한 시공부(3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옥상 바닥층(10)을 절단하는 1차 절단단계(S100)를 실시한다.
또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가 상습적으로 고이는 우수 잔존지역(40)에 잔존하는 우수가 우수 배수구(20)를 통해 유도 배수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수 잔존지역(40)과 우수 배수구(20)를 연결하는 연결통로(50)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도록 옥상 바닥층(10)을 절단하는 2차 절단단계(S200)를 실시한다.
상기 1, 2차 단계에서 실시하는 절단단계에서 절단방법은 일반적인 노면 절단 방식을 채택하면 되며, 방수시트(2)가 훼손되지 않도록 절단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절단단계에서 절단은 방수시트(2)가 보일 때까지 실시하되, 배수구(20) 주변을 다각형으로 절단할 경우 배수구(20)를 중심으로 가로 100 ~ 120cm, 세로 100 ~ 120cm로 절단을 하고, 원형으로 절단을 할 경우 지름 100 ~ 120cm로 절단하는 한편, 연결통로(50)는 폭 10 ~ 30cm로 절단한다.
또한 상기 1, 2차 절단 단계에 의해 형성된 옥상 바닥층의 시공부(30) 및 연결통로(50)에서 방수시트(2)의 상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 된 스티로폼(3), 철망(4),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7), 마감재(5)로 이루어지는 옥상 바닥 부자재를 제거하는 옥상 바닥 부자재 제거단계(S300)를 실시한다.
또한 상기 1, 2차 절단 단계에 의해 형성된 옥상 바닥층의 시공부(30) 및 연결통로(50)와 방수시트(2)가 맞닿는 틈새(80)에 방수액(60)을 주입하는 방수액 주입단계(S400)를 실시하되, 방수액은 아스팔트 수지 또는 프라이머 등 통상의 방수재료로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 방수액 주입 후 기존 방수시트(2)의 상측 면에 또 다른 방수시트(100')를 깔아서 고정시키는 1차 방수시트 고정단계(S500)를 실시한다.
또한 우수 배관(6)의 상측 끝단에 우수 잔존지역(40)에 있는 우수가 연결통로(50)를 통해 우수 배수구(20)로 배수가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침투수 유도관(90)을 우수 배관에 삽입 고정시키는 침투수 유도관 고정단계(S600)를 실시한다.
상기 1, 2차 절단 단계에 의해 형성된 옥상 바닥층의 시공부(30) 및 연결통로(50)의 방수시트(2) 상측 면에 공극 형성 매개체(70)를 충진하는 공극 형성 매개체 충진단계(S700)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공극 형성 매개체(70)는 지름 0.5 ~ 2cm 크기의 콩자갈, 굵은 모래, 가는 자갈 중 어느 하나로 하되, 통기성을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공극 형성 매개체(70)의 상측 방향으로 방수시트(100)를 깔아서 고정시키는 2차 방수시트 고정단계(S800)를 실시한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100)의 상측 방향으로 스티로폼(3), 철망(4),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7), 마감재(5)로 이루어지는 옥상 바닥 부자재를 순차적으로 시공 및 타설하는 옥상 바닥 부자재 시공단계(S900)를 실시한다.
또한 상기 시공단계 후 일정기간 자연건조를 시킨 다음 옥상 표면정리 및 정돈단계(S1000)를 실시한다.
또한 상기 옥상 바닥재 시공단계에서 마감재는 모르타르, 우레탄 중 어느 하나로 타설 및 시공한다.
그리고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90)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관통홈(92)이 형성된 본체(91)의 외주 면으로 우수가 통수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유도관(93)이 일체형 또는 탈착 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도관(93)은 관통홈(9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시켜 원활한 배수가 되도록 함과 동시에 우수가 관통홈(92)을 통해 배수될 때 서로 간섭받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도관은 도 6 내지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다각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공극 형성 매개체로 인해 막히는 현상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수시공방법에 의해 방수 시공을 하면, 마감재(5) 층과 방수시트(2) 사이에 공극 형성 매개체(70)에 의한 공극이 형성되어 통기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에어벤트와 같은 통기용 기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마감재의 내부에 습기가 발생 되지 않아 마감재가 들뜨거나, 부식되는 현상이 대폭 감소하여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인적, 물적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옥상 바닥이 낙후되어 누수가 심하거나, 물매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우수 배수구(20)의 주변으로 하나 이상의 연결통로(50)를 형성시켜 방수시공을 완성할 수도 있다.
1:슬라브 층 2,100,100':방수시트
3:스티로폼 4:철망
5:마감재 6:우수 배관
7:이물질 유입 방지커버
10:옥상 바닥층 20:우수 배수구
30:시공부 40:우수잔존지역
50:연결통로 60:방수액
70:공극 형성 매개체
80:틈새 90:침투수 유도관
91:본체 92:관통홈
93:유도관

Claims (7)

  1. 우수 배수구(20) 주변을 방수 시공하기 위한 시공부(30)가 형성될 수 있도록 옥상 바닥층(10)을 절단하는 1차 절단단계(S100);
    우수가 상습적으로 고이는 우수 잔존지역(40)에 잔존하는 우수가 우수 배수구(20)를 통해 유도 배수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수 잔존지역(40)과 우수 배수구(20)를 연결하는 연결통로(50)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도록 옥상 바닥층(10)을 절단하는 2차 절단단계(S200);
    상기 1, 2차 절단 단계에 의해 형성된 옥상 바닥층의 시공부(30) 및 연결통로(50)에서 방수시트(2)의 상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 된 스티로폼(3), 철망(4),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7), 마감재(5)로 이루어지는 옥상 바닥 부자재를 제거하는 옥상 바닥 부자재 제거단계(S300);
    상기 1, 2차 절단 단계에 의해 형성된 옥상 바닥층의 시공부(30) 및 연결통로(50)와 방수시트(2)가 맞닿는 틈새(80)에 방수액(60)을 주입하는 방수액 주입단계(S400);
    상기 방수액 주입 후 방수시트(100')를 깔아서 고정시키는 1차 방수시트 고정단계(S500);
    우수 배관(6)의 상측 끝단에 우수 잔존지역(40)에 있는 우수가 연결통로(50)를 통해 우수 배수구(20)로 배수가 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침투수 유도관(90)을 우수 배관에 삽입 고정시키는 침투수 유도관 고정단계(S600);
    상기 1, 2차 절단 단계에 의해 형성된 옥상 바닥층의 시공부(30) 및 연결통로(50)의 방수시트(2) 상측 면에 공극 형성 매개체(70)를 충진 하는 공극 형성 매개체 충진단계(S700);
    상기 공극 형성 매개체(70)의 상측 방향으로 방수시트(100)를 깔아서 고정시키는 2차 방수시트 고정단계(S800);
    상기 방수시트(100)의 상측 방향으로 스티로폼(3), 철망(4), 이물질 유입 방지커버(7), 마감재(5)로 이루어지는 옥상 바닥 부자재를 순차적으로 시공 및 타설하는 옥상 바닥재 시공단계(S900);
    상기 시공단계 후 일정기간 자연건조를 시킨 다음 옥상 표면정리 및 정돈단계(S100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단계에서 절단은 방수시트(2)가 보일 때까지 실시하되, 배수구(20) 주변을 다각형으로 절단할 경우 배수구(20)를 중심으로 가로 100 ~ 120cm, 세로 100 ~ 120cm로 절단을 하고, 원형으로 절단을 할 경우 지름 100 ~ 120cm로 절단하는 한편, 연결통로는 폭 10 ~ 30cm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 형성 매개체(70)는 지름 0.5 ~ 2cm 크기의 콩자갈, 굵은 모래, 가는 자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옥상 바닥재 시공단계에서 마감재는 모르타르,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5. 원통형의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에는 관통홈(92)이 형성된 본체(91)의 외주 면으로 우수가 통수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유도관(93)이 일체형 또는 탈착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93)은 관통홈(9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93)은 원형, 다각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
KR1020120085069A 2012-08-03 2012-08-03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및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 KR101219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069A KR101219076B1 (ko) 2012-08-03 2012-08-03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및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
PCT/KR2013/006846 WO2014021613A1 (ko) 2012-08-03 2013-07-30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및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069A KR101219076B1 (ko) 2012-08-03 2012-08-03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및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885A KR20120094885A (ko) 2012-08-27
KR101219076B1 true KR101219076B1 (ko) 2013-01-11

Family

ID=46885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069A KR101219076B1 (ko) 2012-08-03 2012-08-03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및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19076B1 (ko)
WO (1) WO20140216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644B1 (ko) * 2014-01-16 2014-11-28 (주)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옥상바닥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325B1 (ko) * 2012-10-08 2013-07-09 (주)칠칠공사 도료가 도포 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노출식 방수시공 방법
KR101365962B1 (ko) * 2013-05-22 2014-02-21 (주)칠칠공사 방수액 주입용 하우징을 이용한 옥상 및 지하 천장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액 주입용 하우징
CN106337422B (zh) * 2016-08-31 2018-09-04 西安长庆科技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处理湿陷性黄土地区填方地基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830Y1 (ko) * 2005-05-31 2005-08-31 주식회사 대화 정밀화학 방수층의 배수구
KR20080004755U (ko) * 2007-04-16 2008-10-21 신동식 슬리브 누수방지용 패킹
KR100945719B1 (ko) * 2009-09-16 2010-03-05 창일건설(주) 습기 및 고임물 제거기능이 구비된 옥상의 방수구조
KR20110009798A (ko) * 2009-07-23 2011-01-31 삼공건설화학 주식회사 옥외 콘크리트 표면 방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274Y1 (ko) * 1997-11-08 2000-06-01 정명수 루프 드레인
KR100769929B1 (ko) * 2007-03-08 2007-10-24 (주)월드플러스씨앤씨 통기라인이 형성된 옥상 방수층의 통기장치 및 통기방법
KR100967187B1 (ko) * 2010-01-25 2010-07-05 박성만 이중 배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830Y1 (ko) * 2005-05-31 2005-08-31 주식회사 대화 정밀화학 방수층의 배수구
KR20080004755U (ko) * 2007-04-16 2008-10-21 신동식 슬리브 누수방지용 패킹
KR20110009798A (ko) * 2009-07-23 2011-01-31 삼공건설화학 주식회사 옥외 콘크리트 표면 방수구조
KR100945719B1 (ko) * 2009-09-16 2010-03-05 창일건설(주) 습기 및 고임물 제거기능이 구비된 옥상의 방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644B1 (ko) * 2014-01-16 2014-11-28 (주)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옥상바닥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885A (ko) 2012-08-27
WO2014021613A1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076B1 (ko) 침투수 유도관을 이용한 우수 배수구 주변 방수시공방법 및 우수 배관 주변 방수 시공용 침투수 유도관
KR102579636B1 (ko) 건물 누수 유도배출장치
KR20100025172A (ko) 건물 바닥용 배수트랩
CN103741715B (zh) 一种地下室防水疏水施工方法
CN104234089B (zh) 一种地下室防排水结合的施工方法
CN103410318A (zh) 卫生间管井防漏水施工方法
KR101283325B1 (ko) 도료가 도포 되는 방수시트를 이용한 노출식 방수시공 방법
KR20150025652A (ko) 건물 옥상의 방수구조
CN108442649B (zh) 地下空间可疏排渗水的地面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659035B1 (ko) 점성토 연약지반의 개량을 위한 표층처리강화공법 및표층처리구조
CN208830084U (zh) 一种隐藏式地库地面排水系统
CN210238812U (zh) 一种基于bim的卫生间地面防渗漏构造系统
CN107989287A (zh) 倒置式屋面明暗排水系统施工方法
US20090183461A1 (en) Manufacturing process of swimming pools, ponds and other similar areas of water
KR100383656B1 (ko) 지하층 바닥 콘크리트를 이용한 배수로 시공방법
JP2011089347A (ja) 排水容器及び排水容器の施工方法、排水容器を用いた床排水構造
CN206279547U (zh) 基坑降水水井结构
KR102649480B1 (ko) 빗물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 및 침투수의 배출과 공기를 제거할 수 있는 건물 옥상 모서리용 배출 제거 유닛 및 그 배출 제거 유닛을 이용한 옥상 모서리 주위 보수 방법
CN213837378U (zh) 既有屋面开孔加建管道井的防水结构
CN217107120U (zh) 一种地铁车站防排水系统
CN220377474U (zh) 一种地面渗漏导流装置
KR102498039B1 (ko)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 구조
CN108894076A (zh) 一种隐藏式地库地面排水系统及其施工方法
CN219825964U (zh) 一种防水地面暗漏排水构造
CN107882350A (zh) 屋面补漏工艺及对应的屋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