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998Y1 -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998Y1
KR200323998Y1 KR20-2003-0014389U KR20030014389U KR200323998Y1 KR 200323998 Y1 KR200323998 Y1 KR 200323998Y1 KR 20030014389 U KR20030014389 U KR 20030014389U KR 200323998 Y1 KR200323998 Y1 KR 2003239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main body
bridge
dra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황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일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일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일컨설턴트
Priority to KR20-2003-0014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9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9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9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수장치 본체와, 배수장치 본체로부터 연장된 배수관으로 이루어지는 배수처리장치에서 배수장치 본체의 측면에 유입홀부가 형성되고, 유입홀부로부터 방수층 상면을 따라 연장된 드레인 유도관이 설치됨으로써, 배수장치 본체로부터 먼 부위에 스며든 빗물까지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는 상면은 개구되고, 둘레면에 다수 개의 유입홀부가 형성되며, 저면에 배수홀부가 형성된 배수장치 본체와, 상기 배수장치 본체의 상단에 삽입된 커버와, 상기 배수장치 본체의 둘레면에 설치된 필터와, 상기 배수홀부로부터 콘크리트층 하부 외측으로 연장된 배수관과, 상기 배수장치 본체의 유입홀부와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방수층 상면을 따라 연장되어 배수장치 본체와 먼 부위에 유입된 빗물이 배수장치 본체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는 드레인 유도관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 {A filter drain type drain apparatus for the bridge}
본 고안은 교량의 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량의 홀부에 설치되어 교량 상면에 고인 빗물 및 오수를 모으는 배수장치 본체와 배수장치 본체의 저면으로부터 교량의 외측으로 연장된 배수관으로 이루어지는 배수처리장치에서 배수장치 본체의 측면에 유입홀부가 형성되어 아스팔트층으로 스며든 빗물을 배수장치 본체 내부로 모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 유입홀부로부터 아스팔트층을 따라 연장된 드레인 유도관이 설치됨으로써, 배수장치 본체로부터 먼 부위에 스며든 빗물까지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다수 개의 기둥을 세운 후에 그 상측에 철골 구조로 그 골격을 형성하고, 그 골격에 콘크리트가 공급되어 교량 상판의 형상을 이루며, 교량 상판의 상면에는 아스팔트가 도포되어 일반 도로와 같은 조건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교량 상판은 아스팔트층과 콘크리트층으로 이루어지는데 아스팔트층과 콘크리트층 사이에 건축용 방수재가 도포되어 방수층을 이루는 바, 상기 아스팔트층과 방수층을 통칭하여 포장층이라 하며, 상기 포장층은 교량 상판에 떨어지는 빗물이 교량의 주축을 이루는 콘크리트층에 흡수되어 교량이 부식되는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포장층은 그 상면이 아스팔트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빗물이 아스팔트층으로 스며들어 아스팔트층과 콘크리트층 사이에 고이게 되므로 계절 변화에 의해 온도가 낮아지면 빗물이 응고되면서 아스팔트층과 콘크리트층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다시 계절이 변화되면서 얼음이 녹으면 아스팔트층은 콘크리트층으로부터 들뜬 상태가 되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교량의 파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콘크리트층 일 측에 배수홀부를 형성하고, 상기 배수홀부에 포장층용 배수처리장치를 설치하여 포장층을 통하여 스며든 빗물이 콘크리트층의 하부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바, 종래 기술에 의한 배수처리장치는 신축이음부를 이루는 교량 상판의 양측 단부에 가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의 하단에 드레인 패널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교량의 상면에 고이는 빗물 및 오수를 교량 외측으로 배수시키기 위해 교량 상판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상기 포장층 및 콘크리트층을 관통하는 배수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홀부에 배수처리장치가 설치되어 교량 상면에 고이는 빗물 및 오수가 상기 포장층으로 스며드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교량의 배수처리장치는 교량 상판에 고이는 빗물 및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수처리장치와, 포장층으로 스며든 빗물을 배출시키는 배수처리장치가 개별적으로 제작되어 교량의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배수처리장치를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및 이 배수처리장치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교량의 상면에 고이는 빗물을 배출시키는 배수처리장치와, 포장층으로 스며든 빗물을 배출시키는 배수처리장치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배수처리장치를 간소화시켜 그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및 배수처리장치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교량 상면에서 유입되는 빗물과, 아스팔트층으로 스며든 빗물이 모두 모아지는 배수장치 본체 외벽에 필터가 설치됨으로써, 빗물이 유입될 때에 불순물이 걸러지도록 하므로 배수처리장치에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배수장치 본체로부터 아스팔트층을 따라 다수 개의 드레인 유도관이 설치됨으로써, 배수장치 본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위에 스며든 빗물도 용이하게 배수장치 본체로 모을 수 있어 교량 전체에 걸쳐 완전한 배수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의 결합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의 사용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 콘크리트층 4 : 아스팔트층
6 : 방수층 10 : 배수장치 본체
11 : 유입홀부 12 : 단차
13 : 체결홀부 14 : 턱부
15 : 경사면 20 : 커버
22 : 홀부 30 : 배수관
40 : 필터 42 : 볼트
44 : 너트 50 : 드레인 유도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는 교량의 콘크리트층 상면에 방수층이 도포되고, 상기 방수층 상면에 아스팔트층이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교량에 설치되어 빗물을 배출시키는 배수처리장치에있어서;
상기 아스팔트층 및 방수층, 콘크리트층을 관통하는 홀부에 설치되어 교량 상면에 모이는 빗물 및 상기 아스팔트층으로 유입된 빗물이 모아지도록; 일정 공간을 이루는 케이스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면은 개구되고, 둘레면에 다수 개의 유입홀부가 형성되며, 저면에 배수홀부가 형성된 배수장치 본체와;
다수 개의 홀부가 형성된 패널로 이루어져 상기 배수장치 본체의 상단에 삽입된 커버와;
상기 배수장치 본체의 둘레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홀부로 공급되는 불순물이 걸러지도록 하는 필터와;
상기 배수홀부로부터 콘크리트층 하부 외측으로 연장된 배수관과;
상기 배수장치 본체의 유입홀부와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방수층 상면을 따라 연장되어 배수장치 본체와 먼 부위에 유입된 빗물이 배수장치 본체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는 드레인 유도관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의 주요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는 교량 상판 일 측에 형성된 홀부에 장착되어 교량의 상면에 고인 빗물 및 아스팔트층(4)으로 스며들어 아스팔트층(4)과 콘크리트층(2) 사이에 고이는 빗물이 모두 한 공간에 모아지도록 하는 배수장치 본체(10)와, 상기 배수장치 본체(10)의 둘레면에 설치되어 배수장치 본체(10)를 설치할 때나, 빗물이 유입될 때에 배수장치 본체(10) 내부로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필터(40)와, 상기 배수장치 본체(10)로부터 방수층(6) 상면을 따라 연장되어 배수장치 본체(10)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위의 빗물도 배수장치 본체(10)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는 드레인 유도관(5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장치 본체(10)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면은 개구되어 이 개구부를 통해 교량 상면에 고이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개구부의 단부 내벽에 단차(12)가 형성되어 커버(20)가 안착되도록 하는 바, 상기 커버(20)는 개구부의 단차(12)에 안착되는 크기의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다수 개의 홀부(22)가 형성되어 개구부를 통해 빗물이 유입되면서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수장치 본체(10)는 저면에 중앙 측 방향으로 낮아지는 경사면(15)이 형성되고, 중앙에 배수홀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홀부로부터 콘크리트층(2) 하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배수관(30)이 설치되므로 배수장치 본체(10)에 모인 빗물이 배수관(30)을 따라 교량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배수장치 본체(10)는 그 둘레면에 다수 개의 유입홀부(11)가 형성되어 아스팔트층(2)으로 유입된 빗물이 배수장치 본체(1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고, 배수장치 본체(10)의 둘레면 상단에는 다수 개의 체결홀부(13)가 형성되어 볼트(42)및 너트(44)에 의해 필터(40)가 배수장치 본체(10)의 외벽에 밀착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필터(40)는 부직포 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필터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며, 필터(40)가 설치됨으로써, 배수장치 본체(10)가 최초 설치될 때에 상기 유입홀부(11)를 통해 건조되지 않은 아스팔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불순물의 유입을 방지하여 배수처리장치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배수장치 본체(10)는 둘레면 하단에 턱부(14)가 형성되므로 상기 턱부(14)의 상면에는 필터(40)가 안착되어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고, 턱부(14)의 하단은 상기 콘크리트층(2)에 형성된 홀부에 안착되어 배수장치 본체(10)가 홀부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드레인 유도관(50)은 통상의 관으로서, 상기 배수장치 본체(10)의 유입홀부(11)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필터(40)의 전면으로부터 방수층(6)의 상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배수장치 본체(10)로부터 멀리 떨어진 부위에서 유입된 빗물이 드레인 유도관(50)으로 유입되어 용이하게 배수장치 본체(10)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본 고안에 의한 배수처리장치가 설치되면 교량의 상면에 고이는 빗물 및 아스팔트층(4)으로 유입되는 빗물이 모두 배수장치 본체(10) 내부로 유입되어 완전한 배수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의 설치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먼저, 교량의 본체를 이루는 콘크리트층(2)을 제작할 때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장치 본체(10)가 삽입되는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의 저면 중앙에 콘크리트층(2)의 하부 외측으로 관통되는 드레인 홀부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배수장치 본체(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면에 필터(40)를 안착시킨 후에 볼트(42)를 필터(40)에 관통시켜 상기 체결홀부(13)에 삽입하고, 너트(44)를 끼움으로써, 필터(40)의 장착을 이루며, 배수장치 본체(10)의 상면 개구부로 상기 커버(20)를 삽입하여 상기 단차(12)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배수장치 본체(10)를 콘크리트층(2)의 홈부에 안착시키는데 배수장치 본체(10)의 하단에 연결된 배수관(30)은 상기 드레인 홀부에 끼워져 교량의 하부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이후에 상기 콘크리트층(2) 상면에 방수재를 도포하여 방수층(6)을 형성하는 바, 상기 배수장치 본체(10)의 상면에는 방수재가 도포되지 않아 상기 아스팔트층(4)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배수장치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홀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방수층(6) 상면에는 상기 드레인 유도관(50)이 배치되는데, 상기 드레인 유도관(50)은 배수장치 본체(10)의 유입홀부(11)와 대응되도록 상기 필터(40)의 전면에 배치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 후에, 상기 방수층(6) 및 드레인 유도관(50),필터(40)의 상면에 아스팔트가 도포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는 상면이 개구되어 다수 개의 유입홀부가 형성된 커버가 삽입되고, 둘레면에 다수 개의 유입홀부가 형성되며, 저면에 콘크리트층 하부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수관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배수장치 본체가 교량의 상면으로부터 저면까지 관통되는 홀부에 설치됨으로써, 교량의 상면에 고이는 빗물 및 아스팔트층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모두 배수장치 본체 내부로 모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배수처리장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배수처리장치의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는 배수장치 본체의 둘레면에 필터가 설치됨으로써, 배수장치 본체를 설치할 때에 아스팔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설치가 완료된 후에는 유입홀부를 통해 배수장치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불순물을 거를 수 있도록 하여 배수처리장치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는 배수장치 본체의 둘레면에 형성된 유입홀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필터의 상면으로부터 방수층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다수 개의 드레인 유도관이 설치됨으로써, 배수장치 본체와먼 부위의 아스팔트층으로 유입된 빗물도 상기 드레인 유도관으로 유입되면 용이하게 배수장치 본체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교량의 완전한 배수를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교량의 콘크리트층(2) 상면에 방수층(6)이 도포되고, 상기 방수층(6) 상면에 아스팔트층(4)이 도포되어 이루어지는 교량에 설치되어 빗물을 배출시키는 배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스팔트층(4) 및 방수층(6), 콘크리트층(2)을 관통하는 홀부에 설치되어 교량 상면에 모이는 빗물 및 상기 아스팔트층(4)으로 유입된 빗물이 모아지도록;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면은 개구되고, 둘레면에 다수 개의 유입홀부(11)가 형성되며, 저면에 배수홀부가 형성된 배수장치 본체(10)와;
    다수 개의 홀부(22)가 형성된 패널로 이루어져 상기 배수장치 본체(10)의 상단에 삽입된 커버(20)와;
    상기 배수장치 본체(10)의 둘레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홀부(11)로 공급되는 불순물이 걸러지도록 하는 필터(40)와;
    상기 배수홀부로부터 콘크리트층(2) 하부 외측으로 연장된 배수관(30)과;
    상기 배수장치 본체(10)의 유입홀부(11)와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방수층(6) 상면을 따라 연장되어 배수장치 본체(10)와 먼 부위에 유입된 빗물이 배수장치 본체(10) 내부로 안내되도록 하는 드레인 유도관(5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
KR20-2003-0014389U 2003-05-09 2003-05-09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 KR2003239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389U KR200323998Y1 (ko) 2003-05-09 2003-05-09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389U KR200323998Y1 (ko) 2003-05-09 2003-05-09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998Y1 true KR200323998Y1 (ko) 2003-08-21

Family

ID=4933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389U KR200323998Y1 (ko) 2003-05-09 2003-05-09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9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198B1 (ko) * 2006-03-24 2007-10-04 이상율 고경도,고윤활성 피복재 및 그 피복방법
KR101918634B1 (ko) * 2017-04-24 2018-11-14 삼정아이엔지건설(주) 이중 루프 드레인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198B1 (ko) * 2006-03-24 2007-10-04 이상율 고경도,고윤활성 피복재 및 그 피복방법
KR101918634B1 (ko) * 2017-04-24 2018-11-14 삼정아이엔지건설(주) 이중 루프 드레인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9852B2 (en) Sediment control drain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1351895B1 (ko) 교량의 교면 배수시스템
KR101963429B1 (ko) 측구 구조체
KR102348396B1 (ko)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
KR200323998Y1 (ko)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
KR200405437Y1 (ko) 다중식 루프드레인 및 플로어드레인 장치
KR100654756B1 (ko) 공동주택단지의 하수 역류방지 시설
KR100949478B1 (ko) 도로 배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529500B1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KR200224137Y1 (ko)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KR20100007082U (ko)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KR20000058758A (ko) 교량의 배수처리 시공방법
JP2002227111A (ja) 水路ブロックとそれを使用した排水性舗装の排水設備
JP4315843B2 (ja) 道路構造物の排水装置
KR200151725Y1 (ko) 집수구
KR100471003B1 (ko) 건축 단지의 아스팔트 도로용 배수구 설치구조
KR100954800B1 (ko) 배수로가 형성된 경계부재
KR20110005094U (ko) 집수정
CN215164631U (zh) 一种带有桥下辅道的桥梁排水系统
KR200369572Y1 (ko) 교량 슬래브 바닥의 빗물 배수장치
CN209468655U (zh) 一种基于公路道路两侧的可组合式的防护路肩
KR200263811Y1 (ko) 도로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 결합 구조
KR100437650B1 (ko) 교량용 집수구
JP2008303548A (ja) 水路ブロックの溝蓋受枠部の構造及び水路ブロックの溝蓋受枠部材
KR20160149029A (ko) 경사 연결형 교량 배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