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811Y1 - 도로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도로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811Y1
KR200263811Y1 KR2020010034406U KR20010034406U KR200263811Y1 KR 200263811 Y1 KR200263811 Y1 KR 200263811Y1 KR 2020010034406 U KR2020010034406 U KR 2020010034406U KR 20010034406 U KR20010034406 U KR 20010034406U KR 200263811 Y1 KR200263811 Y1 KR 200263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opening
concrete
road
boundary stone
stra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호
Original Assignee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10034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811Y1/ko

Links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도와 도로의 사이에 설치되는 경계석의 하부에 설치되는 일자형 측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측구 콘크리트를 조립식 구조로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고, 다공성 특성을 가지는 압축스티로폴 폼으로 제작한 일자형 측구를 제작하여 측구 콘크리트와 일자형 측구를 결합시키는 구조로 형성하여 도로를 건설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고, 비가 내리는 경우 일자형 측구를 관통하여 우수가 쉽게 지중으로 흘러 내려가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들의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도로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보도와 도로를 구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경계석과 측구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경계석에는 하부에 콘크리트 측구가 고정 앵커로 결합되고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와 수평하게 일자형 측구가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의 경계석에는 하부 밑면에 다수개의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에는 경계석이 안착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나사 결합홀(180)이 형성되며,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에는 나사 결합홀과 연결구 결합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90)에는 도로측에 ㄷ자형 요입홈(190)이 형성되고 상기의 ㄷ자형 요입홈(190)이 형성된 상면에 측면 지지부(220)가 형성되며,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110)는 길이방향의 측면에 ㄷ자 연결구(200)가 결합되어 다른 콘크리트 측구가 연결되고,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110)에는 아스팔트가 포설되어 층을 이루는 위치에 ㄷ자형 요입홈(190)이 형성되며, 상기의 일자형 측구(110)는 다공성 재질을 가지는 압축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일측에 사각 돌출부(140)가 형성되어 콘크리트 측구와 결합됨과 아울러 타측에 톱날 이음부(150)가 형성되며, 상기의 일자형 측구(110)에는 내측에 유공홀(160)이 형성되고, 상기의 경계석(80)에는 관통홈이 설치된 바닥면으로 너트(230)가 매설되어 있어 콘크리트 측구(90)를 관통한 고정 앵커(100)가 경계석(80)과 견고하게 체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로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 결합 구조{HORIZONTAL CONNECTING STRUCTURE OF ASSEMBLY SIDE BODY OF ROAD}
본 고안은 보도와 도로의 사이에 설치되는 경계석의 하부에 설치되는 일자형 측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측구 콘크리트를 조립식 구조로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고, 다공성 특성을 가지는 압축스티로폴 폼으로 제작한 일자형 측구를 제작하여 측구 콘크리트와 일자형 측구를 결합시키는 구조로 형성하여 도로를 건설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고, 비가 내리는 경우 일자형 측구를 관통하여 우수가 쉽게 지중으로 흘러 내려가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들의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도로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와 도로를 구분하는 경계석의 하부에 설치되는 측구는 대부분 L형 측구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의 L형 측구는 경계석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도로와 보도를 구분하는 경계지역에 설치되게 된다.
상기의 L형 측구는 지중 터파기를 실시한 후 지반에 대한 다짐 작업을 실시하고, 상기의 터파기한 장소에 거푸집을 설치한 뒤에 그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L형 측구를 형성하게 되며, 이때 상기의 타설된 콘크리트 위에는 경계석을 적재하여 양생을 시켜 L형 측구를 제작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L형 측구가 설치된 보도와 도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보도(10)와 도로(13)를 구분하기 위해서 중간부에 경계석(15)이 설치되게 되는데, 이때 경계석(15)에는 하부에 L형 측구(17)가 형성되어 경계석(15)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의 L형 측구(17)에는 일정한 거리마다 도로(13)측의 아스팔트위로 발생되는 오수와 우수를 집수할 수 있도록 집수구(20)가 매설되고 상기의 집수구(20)에는 배수 연결관(21)이 설치되어 하수관과 연결된다.
상기의 도로(13)에는 제일 상부에 아스팔트층(23)이 포설되어 차량의 통행로로 이용되고, 상기의 보도(10)에는 보도 블록(25)이 설치되어 보행자의 통행로로 사용된다.
상술한 구성과 같은 L형 측구는, 콘크리트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제작하는 관계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특히 상기의 L형 측구의 상부에 안착된 경계석이 파손되어 새로운 경계석으로 교체하는 경우 작업 반경을 크게 잡은 상태에서 주위의 경계석도 들어내면서 작업을 하게되어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게 되며, 특히 하절기와 같은 경우에 발생되는 폭우시 지대가 낮은 도로측으로 물이가득 고이게 되어 보행자의 통행과 차량의 통행을 순조롭게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경계석과 측구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대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L형 측구의 형태를 변경하는 한편, 경계석이 파손된 경우에도 쉽게 교체가 가능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통제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작업이 가능하고 하절기와 같은 경우 집수통 주변으로 모여있는 우수를 일자형 측구를 통하여 지중으로 자연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도로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 결합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보도와 도로를 구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경계석과 측구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경계석에는 하부에 콘크리트 측구가 고정 앵커로 결합되고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와 수평하게 일자형 측구가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의 경계석에는 하부 밑면에 다수개의 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에는 경계석이 안착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나사 결합홀이 형성되며,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에는 나사 결합홀과 연결구 결합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에는 도로측에 ㄷ자형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의 ㄷ자형 요입홈이 형성된 상면에 측면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는 길이방향의 측면에 ㄷ자 연결구가 결합되어 다른 콘크리트 측구가 연결되고,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에는 아스팔트가 포설되어 층을 이루는 위치에 ㄷ자형요입홈이 형성되며, 상기의 일자형 측구는 다공성 재질을 가지는 압축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일측에 사각 돌출부가 형성되어 콘크리트 측구와 결합됨과 아울러 타측에 톱날 이음부가 형성되며, 상기의 일자형 측구에는 내측에 유공홀이 형성되고, 상기의 경계석에는 관통홈이 설치된 바닥면으로 너트가 매설되어 있어 콘크리트 측구를 관통한 고정 앵커가 경계석과 견고하게 체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L형 측구가 설치된 보도와 도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식 콘크리트 측구와 일자형 측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식 콘크리트 측구와 경계석의 분해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식 콘크리트 측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콘크리트 측구와 경계석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자형 측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40 : 보도 50 : 보도 블록
60 : 도로 70 : 아스팔트층
80 : 경계석 90 : 콘크리트 측구
100 : 고정 앵커 110 : 일자형 측구
120 : 집수구 130 : 배수 연결관
140 : 사각 돌출부 150 : 톱날 이음부
160 : 유공홀 170 : 관통홈
180 : 나사 결합홀 190 : ㄷ자형 요입홈
200 : ㄷ자형 연결구 210 : 연결구 결합홈
220 : 측면 지지부 230 : 너트
310 : 다른 일자형 측구 320 : 집수구 안착 사각홀
330 : 안착부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식 콘크리트 측구와 일자형 측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보도(40)와 도로(50)의 사이에는 경계석(80)이 설치되고, 상기의 경계석(80)에는 하부에 콘크리트 측구(90)가 고정 앵커(100)로 결합되며, 상기의 경계석(80)에는 도로(60)측 수평면으로 일자형 측구(110)가 연결된다.
이때, 설치되는 다수개의 일자형 측구 중에는 일정한 거리에서 발생되는 오수와 우수를 집수하는 집수구(120)가 결합되고 상기의 집수구(120)에는 배수 연결관(130)이 설치되어 하수관과 연결된다.
상기의 도로(60)에는 제일 상부에 아스팔트층(70)이 다단으로 포설되고, 상기의 보도(40)에는 보도 블록(50)이 설치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의 사시도로서, 상기의 일자형 측구(110)는 다공성 재질을 가지는 압축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한편, 일측에 사각 돌출부(140)가 형성되어 콘크리트 측구와 결합되고, 타측에 톱날 이음부(150)가 형성되어 아스팔트와 이음부면이 견고하게 밀착된다.
또한, 상기의 일자형 측구(110)에는 내측에 수많은 유공홀(160)이 형성되어 상면에서 하면으로 유체가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조립식 콘크리트 측구와 경계석의 분해 상태도로서, 상기의 경계석(80)과 일자형 측구(110)가 측면으로 누운 상태에서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상기의 경계석(80)에는 하부 밑면에 다수개의 관통홈(170)이 형성되고,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90)에는 경계석(80)이 안착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나사 결합홀(18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의 경계석(80)의 관통홈(170)과 콘크리트 측구(110)의 나사 결합홀(180)이 일치된 상태에서 고정 앵커(100)가 결합되는 한편,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110)는 길이방향의 측면에 ㄷ자 연결구(200)가 결합되어 다른 콘크리트 측구를 연결시키게 되며,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110)에는 아스팔트가 포설되어 층을 이루는 위치에 ㄷ자형 요입홈(190)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조립식 콘크리트 측구의 사시도로서,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90)는 다수개의 나사 결합홀(180)과 연결구 결합홈(210)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90)에는 도로측으로 ㄷ자형 요입홈(190)과 길이방향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의 ㄷ자형 요입홈(190)이 형성된 상면에 측면 지지부(220)가 형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콘크리트 측구와 경계석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의 경계석(80)과 콘크리트 측구(90)는 고정 앵커(100)로 결합되는데, 상기의 경계석(80)에는 관통홈이 설치된 바닥면으로 너트(230)가 매설되어 있어 콘크리트 측구(90)를 관통한 고정 앵커(100)가 경계석(80)과 견고하게 체결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자형 측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의 집수구(120)가 결합되는 다른 일자형 측구(3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의 다른 일자형 측구(310)는 중앙부에 집수구 안착 사각홀(320)이 형성되고, 상기의 다른 일자형 측구(310)에는 집수구가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330)가 형성되며, 상기의 안착부(330)에는 볼트홀()이 형성되어 집수구(120)가 안착된 경우 결합 볼트로 고정된다.
즉, 상기의 안착부(330)에는 집수구가 안착된 상태에서 결합 볼트(일반적인 기술사항이라 도면상 미도시함)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한편, 그 밀착되는 안착부(330)에 실링재(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부재)를 이용하여 집수구를 고정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의 집수구(120)가 설치되는 경우 상부에는 아연도 철재로 제작된 상부 덮개가 설치됨은 집수구의 설치 구조상 당연하다 할 수 있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의 보도(40)와 도로(60)의 사이에 설치되는 L형 측구의 구조를 조립식으로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일자형 구조로 형성시켜 설치시에는 결합이 용이하고 파손시에도 해체가 간편한 구조로 형성시키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 측구(90)와 일자형 측구(110)가 결합되는 구조상 밀착력이 커지게 되고 콘크리트 측구(90)에 측면 지지부(220)가 형성되는 관계로경계석(80)과 결합이 용이함과 동시에 도로(60)에 우수가 적체되는 경우 그 측면 지지부(220)에 의해서 우수는 집수구(120)로 흘러 들어가거나 일자형 측구(110)를 통하여 도로(60)의 하부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또한, 상기의 일자형 측구(110)는 그 구조상 아스팔트층(70)이 형성되는 측에 톱날 이음부(150)가 형성되는 관계로 아스콘을 포설할 때 측구면과 아스팔트층이 접하는 이음부면에서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경계석(80)과 콘크리트 측구(90)는 콘크리트를 현장에서 타설하여 시공하는 공법이 아니라 조립식 타입으로 공장에서 기성제품으로 사용된 제품들을 조립식으로 결합시키는 관계로 종래에 비하여 작업 여건이 양호하게 되고 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의 경계석(80)과 콘크리트 측구(90)가 결합되는 경우 그 밀착되는 이음부면에 고무 부재를 설치하게 되면 그 밀착이 견고하게 됨은 당연하다 할 것으로 그러한 세세한 사항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도로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 결합 구조는,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측구 콘크리트와 다공성 특성을 가지는 압축스티로폴 폼으로 제작한 일자형 측구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여 조립식으로 결합시키는 관계로 도로를 건설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도로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가 형성된 장소에 비가 내리는 경우 우수는 곧바로 일자형 측구를 관통하여 지중으로 흘러 내려가게 되는 관계로 지대가 낮은 지역의 도로의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들의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와 일자형 측구는 그 구조상, 경계석이 파손된 경우 보도측의 보도 블록을 걷어낸 후 곧바로 고정 앵커를 풀어 파손된 경계석을 새롭게 교체할 수 있어 도시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보도와 도로를 구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경계석과 측구의 결합 구조에 있어서,
    경계석(80)에는 하부에 콘크리트 측구(90)가 고정 앵커(100)로 결합되고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90)와 수평하게 일자형 측구(110)가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의 경계석(80)에는 하부 밑면에 다수개의 관통홈(170)이 형성되고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90)에는 경계석(80)이 안착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나사 결합홀(180)이 형성되며,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90)에는 나사 결합홀(180)과 연결구 결합홈(210)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90)에는 도로측에 ㄷ자형 요입홈(190)이 형성되고 상기의 ㄷ자형 요입홈(190)이 형성된 상면에 측면 지지부(220)가 형성되며,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110)는 길이방향의 측면에 ㄷ자 연결구(200)가 결합되어 다른 콘크리트 측구가 연결되고, 상기의 콘크리트 측구(110)에는 아스팔트가 포설되어 층을 이루는 위치에 ㄷ자형 요입홈(190)이 형성되며, 상기의 일자형 측구(110)는 다공성 재질을 가지는 압축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일측에 사각 돌출부(140)가 형성되어 콘크리트 측구와 결합됨과 아울러 타측에 톱날 이음부(150)가 형성되며, 상기의 일자형 측구(110)에는 내측에 유공홀(160)이 형성되고, 상기의 경계석(80)에는 관통홈이 설치된 바닥면으로 너트(230)가 매설되어 있어 콘크리트 측구(90)를 관통한 고정 앵커(100)가 경계석(80)과 견고하게 체결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조립식 일자형측구 결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집수구(120)는 중앙부에 집수구 안착 사각홀(320)이 형성된 다른 일자형 측구(310)의 안착부(330)에 결합 볼트로 고정될 수 있도록 안착부(330)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의 집수구(120)와 다른 일자형 측구(310)에 밀착되는 위치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재가 사용되어 집수구와 다른 일자형 측구가 결합 고정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 결합 구조.
KR2020010034406U 2001-11-09 2001-11-09 도로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 결합 구조 KR200263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406U KR200263811Y1 (ko) 2001-11-09 2001-11-09 도로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406U KR200263811Y1 (ko) 2001-11-09 2001-11-09 도로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811Y1 true KR200263811Y1 (ko) 2002-02-09

Family

ID=7311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406U KR200263811Y1 (ko) 2001-11-09 2001-11-09 도로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8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254A (ko) * 2002-04-22 2002-09-14 김태균 L형측구 (공장제품화)
KR101137449B1 (ko) * 2009-07-14 2012-04-20 유미정 도로 경계용 측구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254A (ko) * 2002-04-22 2002-09-14 김태균 L형측구 (공장제품화)
KR101137449B1 (ko) * 2009-07-14 2012-04-20 유미정 도로 경계용 측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429B1 (ko) 측구 구조체
CN112663541B (zh) 中央分隔带生态预制装配式护栏安装施工方法
JP3168841U (ja) 道路橋の排水装置
EP3786376B1 (en) Road gutter having dust collection function
KR200263811Y1 (ko) 도로의 조립식 일자형 측구 결합 구조
KR200439619Y1 (ko) 매입형 배수로 부재
CN214301440U (zh) 中央分隔带生态预制装配式护栏安装结构
JP2003074008A (ja) 排水性舗装用境界ブロック
KR101973983B1 (ko)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
JPH10114993A (ja) 集水用ブロックとこのブロックを用いた排水構造
KR20040076231A (ko) 도로용 보도블록
JP4105595B2 (ja) 歩車道境界体を構築するための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1895753B1 (ko) 배수가 용이한 케이블 수용 경계석
KR200403786Y1 (ko) 폐고무를 이용한 트랜치 커버.
CN220116945U (zh) 一种用于透水沥青路面的排水沟、以及沥青路结构
CN220846906U (zh) 一种疏导式透水砖及疏导式透水砖铺设结构
KR100954800B1 (ko) 배수로가 형성된 경계부재
KR100592185B1 (ko) 도로용 엘형측구 설치구조
JP3047285U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街渠及びそれを用いた排水構造
JP4142949B2 (ja) ドレンブロックを用いた舗装道路の排水構造
KR200323998Y1 (ko) 필터 드레인형 교량 배수처리장치
KR200249334Y1 (ko) 조립식 측구 겸용 옹벽
JP2011047107A (ja) 歩車道境界ブロック及び歩車道境界排水構造
KR200175123Y1 (ko) 배수성 아스팔트포장용 반다공관
JP3594561B2 (ja) 溝構造体用セグメント、溝構造体、該溝構造体用セグメントおよび該溝構造体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