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000B1 - 배수로 일체형 측구 - Google Patents

배수로 일체형 측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000B1
KR101141000B1 KR1020110067901A KR20110067901A KR101141000B1 KR 101141000 B1 KR101141000 B1 KR 101141000B1 KR 1020110067901 A KR1020110067901 A KR 1020110067901A KR 20110067901 A KR20110067901 A KR 20110067901A KR 101141000 B1 KR101141000 B1 KR 101141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coupling
groove
drain
se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운
변민근
조성주
Original Assignee
박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운 filed Critical 박지운
Priority to KR1020110067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adapted to be used with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는 배수로와 측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프리캐스트콘크리트로 제작되어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폭우에도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져 차량의 통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도로의 침수나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측구의 기능 이외에 전선, 케이블 텔레비젼 선로 등의 연결통로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배수구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있으며, 방호책지주기초 또는 가로등주기초를 일체로 형성하여 한번의 시공만으로 별도의 방호책지주기초 또는 가로등주기초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공기 및 공사비 단축이 가능하고,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배수로 일체형 측구이다.

Description

배수로 일체형 측구{Monolithic gutter with drainage canal}
본 발명은 배수로 일체형 측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로와 측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프리캐스트콘크리트로 제작되어 배수로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도로의 침수나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배수로 일체형 측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측구는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배수로의 단면모습에 따라 L형 측구와 U형 측구로 나뉘어진다. L형 측구의 경우 도로의 측면에 완만한 형태로 도로를 따라 우수가 흘러가도록 수로를 이루는 것이고, U형 측구의 경우 도로를 따라 U형 홈을 형성시킴으로서 이루어진다.
L형 측구의 경우, 주행차량이 배수로에 빠질 위험이 없어 교통안전성이 높은 반면 통수단면이 작아 처리할 수 있는 배수량이 작다는 문제가 있고, U형 측구의 경우, 통수단면이 커 배수량이 크다는 이점이 있는 반면 상부에 그레이팅을 구성하여야 하고 배수구가 넓어 그레이팅이 파손되거나 이탈되어 주행챠량의 바퀴가 배수로에 빠질 위험이 있어 대형사고의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20-0364528(특허문헌 1) 으로써, 상기와 같은 차도의 노면에 모인 우수에 대한 배수 용량이 큰 배수시설의 설치는 물론, 상기 인도와 차도의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경계블록의 설치를 신속히 진행하여 포장도로공사의 공기(工期)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된 블록을 제공하기 위하여, 배수로를 갖는 측구 수로관과, 차도와 인도의 경계를 위해 상기 측구 수로관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경계부와, 상기 배수로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그 상부를 덮되 노면에 모인 우수가 상기 배수로로 유입되는 유입구를 갖는 덮개부로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측구 수로관과 경계부 및 덮개부가 일체로 된 블록을 인도가 포함된 도로건설에 적용함으로서, 배수시설, 경계부 및 교통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덮개 등의 설치작업 등을 별도로 할 필요가 없게 되어, 도로건설 작업이 보다 용이해지고 그 공기(工期) 또한 단축시킬 수 있으며, 노면에 모인 우수가 경계부 안쪽으로 수평하게 유입되므로 배수로 안이 외관상 드러나지 않게되어 보다 깔끔하고 미관상 정돈된 도로건설을 시행할 수 있는 "도로의 측구 수로관 및 경계의 일체형 블록"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배경기술은 수로관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유입구가 이물질에 의하여 막히는 등의 문제가 있어서,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배경기술로는 특허등록 10-0963882 (특허문헌 2) 으로써, 절, 성토부와 도로측면에 설치되는 측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절, 성토부로부터 유입되는 지표수 및 지하수가 측구를 월류 및 침투하지 않도록 측구 배면 하부에 별도의 배수로가 더 형성되도록 하고, 식생층에 의하여 측구 배면공간에 식생물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친환경적이고, 상기 식생층 및 측구의 수직벽에 의하여 낙석방지가 가능한 배면 배수로가 형성된 측구 및 그 시공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 U자형 배수관을 형성하고 상부에 그레이팅이 형성되어 있어, 그레이팅이 구성되는 표면적이 넓어 그레이팅의 파손 및 이물질이 배수로로 유입되어 배수가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절, 성토부와 도로측면에 설치되는 측구에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등록 20-0364528 특허등록 10-096388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수로와 측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프리캐스트콘크리트로 제작되어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폭우에도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져 차량의 통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도로의 침수나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측구의 기능 이외에 전선, 케이블 텔레비젼 선로 등의 연결통로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배수구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있으며, 방호책지주기초 또는 가로등주기초를 일체로 형성하여 한번의 시공만으로 별도의 방호책지주기초 또는 가로등주기초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공기 및 공사비 단축이 가능하고,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배수로 일체형 측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긴 박스형의 형상으로, 양단면에는 각각 돌출되어 결합공이 통공되어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공이 형성되어 구성된 결합홈과, 양측면은 상부를 일정부분 남겨두고 일정간격으로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블록아웃하여 형성되는 포켓홈과,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수로와, 상부면은 배수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통공되어 형성되는 배수구와, 배수구를 중심으로 일측면은 길이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경계석안착홈과, 타측면은 배수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전선배관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일체형 측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배수구는 주변을 일정깊이로 낮게 구성하여 배수유도홈를 형성하고, 상부의 인입구가 좁고 인출구가 넓은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일체형 측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양단면에는 각각 돌출되어 결합공이 통공되어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공이 형성되어 구성된 결합홈과, 양측면은 상부를 일정부분 남겨두고 일정간격으로 지지부가 형성되도록 블록아웃하여 형성되는 포켓홈과,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수로와, 상부면은 배수로 방향으로 배수로의 상부면보다 좁게 통공되며, 그레이팅안착홈을 형성하고, 그레이팅안착홈에 그레이팅이 구성되는 배수구와, 배수구를 중심으로 일측면은 길이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경계석안착홈과, 타측면은 배수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과,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전선배관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경계석안착홈이 형성된 쪽의 측면에는 앵커볼트가 구성된 방호책지주기초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일체형 측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경계석안착홈이 형성된 쪽의 측면에는 구성되며, 전선배관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전선보관케이스가 인입되어 구성되며, 앵커볼트가 구성된 가로등주기초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일체형 측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는 배수로와 측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프리캐스트콘크리트로 제작되어 배수를 원활하게 하여 폭우에도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져 차량의 통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도로의 침수나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측구의 기능 이외에 전선, 케이블 텔레비젼 선로 등의 연결통로 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배수구의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방호책지주기초 또는 가로등주기초를 일체로 형성하여 한번의 시공만으로 별도의 방호책지주기초 또는 가로등주기초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공기 및 공사비 단축이 가능하고,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2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1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5의 C-C선을 따른 단면도,
도 7는 상기 도 3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상기 도 7의 D-D선을 따른 단면도,
도 9는 상기 도 3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상기 도 9의 E-E선을 따른 단면도,
도 11은 상기 도 3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는 상기 도 11의 F-F선을 따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의 시공 실시예를 도시한 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는 긴 박스형의 형상으로, 양단면에는 각각 돌출되어 결합공(111)이 통공되어 형성된 결합돌기(110)와 결합공(121)이 형성되어 구성된 결합홈(120)과, 양측면은 상부를 일정부분 남겨두고 일정간격으로 지지부(131)가 형성되도록 블록아웃하여 형성되는 포켓홈(130)과,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수로(140)와, 상부면은 배수로(140)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통공되어 형성되는 배수구(150)와, 배수구(150)를 중심으로 일측면은 길이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경계석안착홈(160)과, 타측면은 배수구(15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170)과, 상기 지지부(131)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전선배관브라켓(18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는 긴 박스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배수로 일체형 측구(1)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배수로와 측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일정한 길이의 단위부재로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시공하도록 한다.
결합돌기(110)는 결합공(111)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일측단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결합홈(120)은 결합공(121)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타측단부에서 홈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공(111)(121)은 포켓홈(130)측으로 통공되어 포켓홈(130)에서 결합수단으로 결합하게 된다.
결합돌기(110)와 결합홈(120)은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의 양단면에는 구성되어,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 끼리의 결합시에 결합돌기(110)가 결합홈(120)에 끼워지도록 하고, 볼트 등의 결합수단으로 배수로 일체형 측구(1) 끼리 체결한다.
포켓홈(130)은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의 양측면에 상부를 일정부분 남겨두고 일정간격으로 지지부(131)가 형성되도록 블록아웃하여 형성된다.
포켓홈(130)은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의 중량감소 및 상기 결합공(111)(121)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이때 배수로 일체형 측구(1)의 상부는 배수구(150), 경계석안착홈(160), 경사면(170)이 구성되기 때문에 남겨두고 하측면에 하중을 받지 않는 부분에 포켓홈(130)을 구성한다.
배수로(140)는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배수구(150)로 유입되는 우수를 배수로(140)를 따라 흘러 집수정(20)으로 유도한다. 배수로(140)는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배수로 일체형 측구(1)를 이어서 시공시에는 배수로(140)가 연결되게 된다.
배수구(150)는 상부면은 배수로(140)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통공되어 형성된다. 배수구(150)는 배수로(140)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고, 배수로(140)와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장공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배수구(150)를 통하여 유입되는 우수는 배수로(140)로 유입되게 되고, 다시 배수로(140)를 따라 집수정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수구(150)를 일체로 형성하기 때문에 별도의 그레이팅을 구성할 필요가 없으며, 그레이팅 구성에 따른 그레이팅의 파손이나 유실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수구(150)가 좁지만 길게 연속적으로 배수로(140)를 향하도록 구성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경계석안착홈(160)은 배수구(150)를 중심으로 일측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경계석안착홈(160)은 상부에 인도와 차도를 분리하여 주는 경계석(16)이 안착되는 곳으로서, 홈을 형성하여 경계석(16)의 배치가 용이하고,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경계석(16)을 배수로 일체형 측구(1)와 일체로 구성하지 않고 따로 경계석안착홈(160)을 형성하여 경계석(16)을 구성하는 것은 경계석(16)은 특성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일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교체시 측구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별도로 형성하는 것이다.
경사면(170)은 배수구(150)를 중심으로 타측 상부면에 배수구(15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경사면(170)이 배수구(150)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은 도로에서 유입되는 물을 배수구(150)측으로 유도하는 역할과, 경사면(170)의 배수구(150) 반대측의 단부는 도로의 경계면과 동일하거나 잔은 위치에 구성되어 수가 배수로 일체형 측구(1)의 상부면에서 벗어나 도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전선배관브라켓(180)은 경계석안착홈(160)이 구성되 측의 측면의 지지부(131)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전선배관브라켓(180)은 가로등주에서 쓰이는 전선(41) 및 각종 케이블을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의 경계석(16)이 구성되는 측면 즉 인도가 형성되는 측면의 지중에 구성함으로써, 케이블 및 전선 등의 설치 및 정리가 용이하고, 추후 관리시에도 정확한 위치 파악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또한, 배수구(150)는 주변을 일정깊이로 낮게 구성하여 배수유도홈(152)를 형성하고, 상부의 인입구(i)가 좁고 인출구(o)가 넓은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에 강우되는 우수는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의 경사면(170)을 따라 배수구(150)에 흘러들어가지만 도로가 경사지거나 굴곡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경사면(170)을 벗어나 다시 도로에 유입되어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배수유도홈(152)은 배수구(150)의 주변을 일정깊이로 낮게 형성하여, 우수가 배수구(150)의 상부로 따라 흐르도록 유도하여 지속적으로 우수가 배수유도홈(152)에 머물면서 배수구(150)로 유입되도록 한다.
배수유도홈(152)은 경계석안착홈(160)과 경사면(17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배수유도홈(152)이 구성되며, 배수유도홈(152)의 중앙부에 역시 길이방향으로 배수구(150)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배수구(150)는 상부의 인입구(i)가 좁고 인출구(o)가 넓은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인입구(i)로 외부로 부터 유입되는 낙엽, 쓰레기 등의 각종 이물질이 배수로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함과 동시에, 인출구(o)를 넓게 형성하여 인입구(i)에서 유입되는 유량이 지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배수구(150) 측의 상부면이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의 인입구(i)가 좁고 인출구(o)가 넓은 형상으로 구성한다면, 배수구(150)의 상부에 그레이팅이 구성되지 않아도 배수로(140)로의 이물질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경계석안착홈(160)이 형성된 쪽의 측면에는 앵커볼트(210)가 구성된 방호책지주기초(200)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호책지주기초(200)는 일반적으로 앵커볼트(210)가 구성되도록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에 매입하게 되는데, 이렇게 추후 타설 및 시공의 경우에는 규격화하기 어렵고 시공시 일정한 간격으로 정확한 위치에 시공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방호책지주기초(200)를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와 일체로 형성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경계석안착홈(160)이 형성된 쪽의 측면에는 구성되며, 전선배관(430)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전선보관케이스(420)가 인입되어 구성되며, 앵커볼트(410)가 구성된 가로등주기초(400)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로등주기초(400)는 일반적으로 앵커볼트(410)가 구성되도록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에 매입하게 되는데, 이렇게 추후 타설 및 시공의 경우에는 규격화하기 어렵고 시공시 일정한 간격으로 정확한 위치에 시공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가로등주기초(400)를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와 일체로 형성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사전제작시에 미리 전선보관케이스(420)와 전선배관(430)을 미리 구성토록하여, 가로등주의 전선(41) 및 케이블을 전선보관케이스(420)와 전선배관(430)을 통하여 전선배관브라켓(180)에 거치되도록 한다.
전선보관케이스(420)는 가로등주기초(400)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전선(41)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하거나 박스를 구성하도록 하며, 전선배관(430)은 상기 전선보관케이스(420)를 관통하여 측면으로 통공하여 전선배관브라켓(180)에 전선(41) 및 케이블이 거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a)는 양단면에는 각각 돌출되어 결합공(111a)이 통공되어 형성된 결합돌기(110a)와 결합공(121a)이 형성되어 구성된 결합홈(120a)과, 양측면은 상부를 일정부분 남겨두고 일정간격으로 지지부(131a)가 형성되도록 블록아웃하여 형성되는 포켓홈(130a)과,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수로(140a)와, 상부면은 배수로(140a) 방향으로 배수로(140a)의 상부면보다 좁게 형성되며, 그레이팅안착홈(151a)을 형성하고, 그레이팅안착홈(151a)에 그레이팅(153a)이 구성되는 배수구(150a)와, 배수구(150a)를 중심으로 일측면은 길이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경계석안착홈(160a)과, 타측면은 배수구(150a)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170a)과, 상기 지지부(131a)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전선배관브라켓(18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a)는 긴 박스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배수로 일체형 측구(1a)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배수로와 측구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일정한 길이의 단위부재로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시공하도록 한다.
결합돌기(110a)는 결합공(111a)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일측단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결합홈(120a)은 결합공(121a)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타측단부에서 홈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공(111a)(121a)은 포켓홈(130a)측으로 통공되어 포켓홈(130a)에서 결합수단으로 결합하게 된다.
결합돌기(110a)와 결합홈(120a)은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a)의 양단면에는 구성되어,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a) 끼리의 결합시에 결합돌기(110a)가 결합홈(120a)에 끼워지도록 하고, 볼트 등의 결합수단으로 배수로 일체형 측구(1a) 끼리 체결한다.
포켓홈(130a)은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a)의 양측면에 상부를 일정부분 남겨두고 일정간격으로 지지부(131a)가 형성되도록 블록아웃하여 형성된다.
포켓홈(130a)은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a)의 중량감소 및 상기 결합공(111a)(121a)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이때 배수로 일체형 측구(1a)의 상부는 배수구(150a), 경계석안착홈(160a), 경사면(170a)이 구성되기 때문에 남겨두고 하측면에 하중을 받지 않는 부분에 포켓홈(130a)을 구성한다.
배수로(140a)는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배수구(150a)로 유입되는 우수를 배수로(140a)를 따라 흘러 집수정으로 유도한다. 배수로(140a)는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a)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현장에서 배수로 일체형 측구(1a)를 이어서 시공시에는 배수로(140a)가 연결되게 된다.
배수구(150a)는 배수로(140a) 방향으로 배수로(140a)의 상부면보다 좁게 형성되며, 그레이팅안착홈(151a)을 형성하고, 그레이팅안착홈(151a)에 그레이팅(153a)이 구성된다.
배수로(140a)가 배수구(150a) 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은,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a)는 배수로(140a)가 집수정으로 연속되어 설치되어 있어 배수구(150a)를넓게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배수구(150a)를넓게 형성할 경우에는 종래의 U자형 측구와 마찬가지로, 배수구를 덮고 있는 그레이팅의 손상 및 유실 등이 쉽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배수구(150a)는 배수로(140a)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고, 배수로(140a)와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구성한다.
배수구(150a)는 그레이팅안착홈(151a)을 형성하고, 그레이팅안착홈(151a)에 그레이팅(153a)이 구성된다.
상기 그레이팅(153a)은 배수구(150a)의 상부에 그레이팅안착홈(151a)을 형성하고 그레이팅안착홈(151a)에 그레이팅(153a)을 안착하여 구성한다.
그레이팅(153a)은 배수구(150a)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레이팅(153a)은 사용되는 장소 및 환경에 따라 다양한 규격과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경계석안착홈(160a)은 배수구(150a)를 중심으로 일측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경계석안착홈(160a)은 상부에 인도와 차도를 분리하여 주는 경계석(16)이 안착되는 곳으로서, 홈을 형성하여 경계석(16)의 배치가 용이하고,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경계석(16)을 배수로 일체형 측구(1)와 일체로 구성하지 않고 따로 경계석안착홈(160a)을 형성하여 경계석(16)을 구성하는 것은 경계석(16)은 특성상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일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교체시 측구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별도로 형성하는 것이다.
경사면(170a)은 배수구(150a)를 중심으로 타측 상부면에 배수구(150a)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경사면(170a)이 배수구(150a)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은 도로에서 유입되는 물을 배수구(150a)측으로 유도하는 역할과, 경사면(170a)의 배수구(150a) 반대측의 단부는 도로의 경계면과 동일하거나 잔은 위치에 구성되어 수가 배수로 일체형 측구(1a)의 상부면에서 벗어나 도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전선배관브라켓(180a)은 경계석안착홈(160a)이 구성되 측의 측면의 지지부(131a)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전선배관브라켓(180a)은 가로등주에서 쓰이는 전선(41) 및 각종 케이블을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a)의 경계석(16)이 구성되는 측면 즉 인도가 형성되는 측면의 지중에 구성함으로써, 케이블 및 전선 등의 설치 및 정리가 용이하고, 추후 관리시에도 정확한 위치 파악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또한, 경계석안착홈(160a)이 형성된 쪽의 측면에는 앵커볼트(210a)가 구성된 방호책지주기초(200a)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호책지주기초(200a)는 일반적으로 앵커볼트(210a)가 구성되도록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에 매입하게 되는데, 이렇게 추후 타설 및 시공의 경우에는 규격화하기 어렵고 시공시 일정한 간격으로 정확한 위치에 시공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방호책지주기초(200a)를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a)와 일체로 형성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경계석안착홈(160a)이 형성된 쪽의 측면에는 구성되며, 전선배관(430a)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전선보관케이스(420a)가 인입되어 구성되며, 앵커볼트(410a)가 구성된 가로등주기초(400a)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로등주기초(400a)는 일반적으로 앵커볼트(410a)가 구성되도록 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에 매입하게 되는데, 이렇게 추후 타설 및 시공의 경우에는 규격화하기 어렵고 시공시 일정한 간격으로 정확한 위치에 시공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가로등주기초(400a)를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a)와 일체로 형성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사전제작시에 미리 전선보관케이스(420a)와 전선배관(430a)을 미리 구성토록하여, 가로등주의 전선(41) 및 케이블을 전선보관케이스(420a)와 전선배관(430a)을 통하여 전선배관브라켓(180a)에 거치되도록 한다.
전선보관케이스(420a)는 가로등주기초(400a)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전선(41)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하거나 박스를 구성하도록 하며, 전선배관(430a)은 상기 전선보관케이스(420a)를 관통하여 측면으로 통공하여 전선배관브라켓(180a)에 전선(41) 및 케이블이 거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방호책지주기초(200)(200a)와 가로등주기초(400)(400a)는 인도측에 구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배수로 일체형 측구(1)(1a)의 인도측의 측면의 지지부(131)(131a)에 구성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1a : 배수로 일체형 측구
110, 110a : 결합돌기 111, 111a : 결합공
120, 120a : 결합홈 121, 121a : 결합공
130, 130a : 포켓홈 131, 131a : 지지부
140, 140a : 배수로 150, 150a : 배수구
151a : 그레이팅안착홈 152, 152a : 배수유도홈
153a : 그레이팅 160, 160a : 경계석안착홈
170, 170a : 경사면 180, 180a : 전선배관브라켓
200, 200a : 방호책지주기초 210, 210a : 앵커볼트
400, 400a : 가로등주기초 410, 410a : 앵커볼트
420, 420a : 전선보관케이스

Claims (7)

  1. 긴 박스형의 형상으로,
    양단면에는 각각 돌출되어 결합공(111)이 통공되어 형성된 결합돌기(110)와 결합공(121)이 형성되어 구성된 결합홈(120)과,
    양측면은 상부를 일정부분 남겨두고 일정간격으로 지지부(131)가 형성되도록 블록아웃하여 형성되는 포켓홈(130)과,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수로(140)와,
    상부면은 배수로(140)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통공되어 형성되는 배수구(150)와,
    배수구(150)를 중심으로 일측면은 길이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경계석안착홈(160)과,
    타측면은 배수구(15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170)과,
    상기 지지부(131)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전선배관브라켓(180)으로 이루어지고,
    배수구(150)는 주변을 일정깊이로 낮게 구성하여 배수유도홈(152)를 형성하고, 상부의 인입구(i)가 좁고 인출구(o)가 넓은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일체형 측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경계석안착홈(160)이 형성된 쪽의 측면에는 앵커볼트(210)가 구성된 방호책지주기초(200)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일체형 측구.
  4. 제 1항에 있어서,
    경계석안착홈(160)이 형성된 쪽의 측면에는 전선배관(430)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전선보관케이스(420)가 인입되어 구성되며, 앵커볼트(410)가 구성된 가로등주기초(400)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일체형 측구.
  5. 긴 박스형의 형상으로,
    양단면에는 각각 돌출되어 결합공(111a)이 통공되어 형성된 결합돌기(110a)와 결합공(121a)이 형성되어 구성된 결합홈(120a)과,
    양측면은 상부를 일정부분 남겨두고 일정간격으로 지지부(131a)가 형성되도록 블록아웃하여 형성되는 포켓홈(130a)과,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수로(140a)와,
    상부면은 배수로(140a) 방향으로 배수로(140a)의 상부면보다 좁게 형성되며, 그레이팅안착홈(151a)을 형성하고, 그레이팅안착홈(151a)에 그레이팅(153a)이 구성되는 배수구(150a)와,
    배수구(150a)를 중심으로 일측면은 길이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경계석안착홈(160a)과,
    타측면은 배수구(150a)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면(170a)과,
    상기 지지부(131a)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전선배관브라켓(180a)으로 이루어지고,
    경계석안착홈(160a)이 형성된 쪽의 측면에는 앵커볼트(210a)가 구성된 방호책지주기초(200a)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일체형 측구.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경계석안착홈(160a)이 형성된 쪽의 측면에는 전선배관(430a)이 통공되어 형성되고, 전선보관케이스(420a)가 인입되어 구성되며, 앵커볼트(410a)가 구성된 가로등주기초(400a)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 일체형 측구.
KR1020110067901A 2011-07-08 2011-07-08 배수로 일체형 측구 KR101141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901A KR101141000B1 (ko) 2011-07-08 2011-07-08 배수로 일체형 측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901A KR101141000B1 (ko) 2011-07-08 2011-07-08 배수로 일체형 측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000B1 true KR101141000B1 (ko) 2012-05-02

Family

ID=46271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901A KR101141000B1 (ko) 2011-07-08 2011-07-08 배수로 일체형 측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0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73714U1 (ru) * 2017-06-16 2017-09-07 Олег Романович Дутко Лоток водоотводный
RU2721524C2 (ru) * 2018-06-19 2020-05-19 Франко Максим Олегович Система для сбора и удаления воды и влаги с проезжей части мостов и водоприемный водоотводящий лоток для неё
CN111350263A (zh) * 2020-04-17 2020-06-30 嘉兴汇利通新材料有限公司 一体式发光排水渠
NO20210222A1 (no) * 2020-06-25 2021-12-27 Skjæveland Cementstoeperi As Dreneringselement, system som omfatter dreneringselementet samt en framgangsmåte for å tilveiebringe systeme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3540A (ja) 2003-06-30 2005-01-27 Sanken Steel:Kk 鋼製縁石兼排水溝ユニット
JP2005320767A (ja) 2004-05-10 2005-11-17 Ishida Tekko Kk 排水溝水路
KR20090044451A (ko) * 2007-10-31 2009-05-07 주식회사 두산콘크리트 배수로용 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3540A (ja) 2003-06-30 2005-01-27 Sanken Steel:Kk 鋼製縁石兼排水溝ユニット
JP2005320767A (ja) 2004-05-10 2005-11-17 Ishida Tekko Kk 排水溝水路
KR20090044451A (ko) * 2007-10-31 2009-05-07 주식회사 두산콘크리트 배수로용 블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73714U1 (ru) * 2017-06-16 2017-09-07 Олег Романович Дутко Лоток водоотводный
RU2721524C2 (ru) * 2018-06-19 2020-05-19 Франко Максим Олегович Система для сбора и удаления воды и влаги с проезжей части мостов и водоприемный водоотводящий лоток для неё
CN111350263A (zh) * 2020-04-17 2020-06-30 嘉兴汇利通新材料有限公司 一体式发光排水渠
NO20210222A1 (no) * 2020-06-25 2021-12-27 Skjæveland Cementstoeperi As Dreneringselement, system som omfatter dreneringselementet samt en framgangsmåte for å tilveiebringe system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000B1 (ko) 배수로 일체형 측구
EP3786376B1 (en) Road gutter having dust collection function
KR101353515B1 (ko) 낙상 방지장치를 가지고 있는 맨홀틀
KR101221526B1 (ko) 상하부 분리 가능한 도로경계석
KR101429147B1 (ko) 연속배수시설이 구비된 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80038555A (ko) 볼트 잠금식 상수도·하수도·전기·통신용 맨홀뚜껑
JP2009155928A (ja) 雨水排水機能を有する歩車道境界部構造物
KR100715823B1 (ko) 노견 측구 겸용 완화곡선 난형 프리캐스트 배수구조물 및이의 시공방법
KR101535668B1 (ko)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및 이 시공 방법
CN203213161U (zh) 带防护网式安全窨井盖
KR101973983B1 (ko)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
KR20130074721A (ko) 우수관 일체형 경계석
KR200422723Y1 (ko) 수퍼 그레이팅.
CN114837077A (zh) 集成附属功能的天桥主梁构造
KR101895753B1 (ko) 배수가 용이한 케이블 수용 경계석
JP3152392U (ja) 法面保護ブロック
CN207512544U (zh) 一种马路侧石
JP5535793B2 (ja) 蓋装置
KR200417100Y1 (ko) 유입수방지구조를 갖춘 맨홀
KR101850909B1 (ko) 도로변 멀티 구조물
KR100755997B1 (ko) 유입수방지구조를 갖춘 맨홀
CN211256527U (zh) 一种道路排水砖及道路排水系统
KR101178211B1 (ko) 경계석 측면 설치용 배수구
KR200476485Y1 (ko) 배수장치
KR100464500B1 (ko) 도로의 보도부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