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668B1 -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및 이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및 이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5668B1 KR101535668B1 KR1020140101309A KR20140101309A KR101535668B1 KR 101535668 B1 KR101535668 B1 KR 101535668B1 KR 1020140101309 A KR1020140101309 A KR 1020140101309A KR 20140101309 A KR20140101309 A KR 20140101309A KR 101535668 B1 KR101535668 B1 KR 1015356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ain
- sand
- pipe
- drain pipe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2 fibre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51 synthetic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1 synthetic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37 unsaturated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3 welding typ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및 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집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드레인관으로 신속하게 유도 배수하여 모래받이 수납부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여 악취 발생을 극소화하고, 아울러, 물의 결빙과 모래받이의 고착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는, 교량의 슬래브에 매설되는 집수구(10)와 연결되는 한편 드레인관(20)과 연결되어 노면수의 드레인을 유도하는 배수파이프 본체(110)와;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의 내부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 내부에 유입된 모래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모래받이(120)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는, 상기 집수구와 연결되는 집수부(111), 상기 드레인관과 연결되는 메인 드레인부(113), 상기 집수부와 상기 메인 드레인부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모래받이가 수납되는 모래받이 수납부(112)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드레인부는 일측이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기 모래받이의 상측 입구보다 높은 곳에서 상기 집수부와 연결되거나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의 바닥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드레인관을 향해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드레인관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집수부에 유입되는 물을 상기 드레인관으로 유도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는, 교량의 슬래브에 매설되는 집수구(10)와 연결되는 한편 드레인관(20)과 연결되어 노면수의 드레인을 유도하는 배수파이프 본체(110)와;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의 내부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 내부에 유입된 모래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모래받이(120)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는, 상기 집수구와 연결되는 집수부(111), 상기 드레인관과 연결되는 메인 드레인부(113), 상기 집수부와 상기 메인 드레인부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모래받이가 수납되는 모래받이 수납부(112),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와 상기 드레인관을 연결하는 바닥측 드레인부(116)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드레인부는 일측이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기 모래받이의 상측 입구보다 높은 곳에서 상기 집수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드레인관과 연결되어 상기 집수부에 유입되는 물을 상기 드레인관으로 유도 배수하고, 상기 바닥측 드레인부는 양측이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의 바닥부와 상기 메인 드레인부에 연결되어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 내부의 노면수를 상기 메인 드레인부로 유도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는, 교량의 슬래브에 매설되는 집수구(10)와 연결되는 한편 드레인관(20)과 연결되어 노면수의 드레인을 유도하는 배수파이프 본체(110)와;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의 내부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 내부에 유입된 모래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모래받이(120)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는, 상기 집수구와 연결되는 집수부(111), 상기 드레인관과 연결되는 메인 드레인부(113), 상기 집수부와 상기 메인 드레인부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모래받이가 수납되는 모래받이 수납부(112)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드레인부는 일측이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기 모래받이의 상측 입구보다 높은 곳에서 상기 집수부와 연결되거나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의 바닥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드레인관을 향해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드레인관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집수부에 유입되는 물을 상기 드레인관으로 유도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는, 교량의 슬래브에 매설되는 집수구(10)와 연결되는 한편 드레인관(20)과 연결되어 노면수의 드레인을 유도하는 배수파이프 본체(110)와;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의 내부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 내부에 유입된 모래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모래받이(120)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는, 상기 집수구와 연결되는 집수부(111), 상기 드레인관과 연결되는 메인 드레인부(113), 상기 집수부와 상기 메인 드레인부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모래받이가 수납되는 모래받이 수납부(112),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와 상기 드레인관을 연결하는 바닥측 드레인부(116)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드레인부는 일측이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기 모래받이의 상측 입구보다 높은 곳에서 상기 집수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드레인관과 연결되어 상기 집수부에 유입되는 물을 상기 드레인관으로 유도 배수하고, 상기 바닥측 드레인부는 양측이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의 바닥부와 상기 메인 드레인부에 연결되어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 내부의 노면수를 상기 메인 드레인부로 유도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비점오염원(노면수 등)을 신속하게 처리하고 배수파이프 내부를 청결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절기 결빙에 의한 배수파이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및 이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교각(橋脚), 상판 하부에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강철로 형성되는 강교(鋼橋), 상기 교각과 강교를 연결하는 슈우(shoe), 상기 강교위에 설치되어 노면을 형성하는 상판(上板)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교량의 슬래브에는 노면에서 발생되는 빗물 및 노면 청소용 물, 각종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비점오염원인 우수를 교량하부로 배수하는 배수시설이 갖추어진다.
상기 배수시설은 교량 슬래브의 노면으로부터 노면수를 집수하는 다수의 집수구, 상기 집수구와 각각 연결되는 배수파이프, 상기 배수파이프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노면수에 포함된 모래(모래와 이물질을 의미함)를 수거하는 모래받이, 상기 배수파이프들과 연결되어 상기 배수파이프를 통해 배수되는 노면수를 집수하여 유도배수하는 드레인관으로 구성된다.
종래 배수파이프는 십자형으로 구성되어 상부의 집수부는 상기 집수구와 연결되고 저부로 돌출된 포켓부의 내부에는 상기 모래받이가 수납되며 좌우 양측의 드레인부는 상기 드레인관과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배수파이프는 모래받이가 수납되어 모래를 여과한 후 순수한 물을 유도 배수하는 것이며, 모래받이가 수납되는 포켓부가 양측(또는 시점부의 경우 일측)의 드레인부와 연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류쪽에서 흐르는 물이 포켓부에 유입되는 구조와 기능상 모래받이가 수납되는 포켓부에 물이 고이게 되어 썩기 때문에 심한 악취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잦은 청소작업을 필요로 한다.
또한, 동절기에 포켓부 내부에 고인 물이 결빙되어 배수파이프가 팽창하면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아울러 모래받이가 배수파이프 내부에 결빙에 의해 고착되어 외부로 인출되지 못하게 되므로 청소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집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드레인관으로 신속하게 유도 배수하여 모래받이 수납부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여 악취 발생을 극소화하고, 아울러, 물의 결빙과 모래받이의 고착을 방지할 수 있는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및 이 시공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는, 교량의 슬래브에 매설되는 집수구와 연결되는 한편 드레인관과 연결되어 노면수의 드레인을 유도하는 배수파이프 본체와;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의 내부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 내부에 유입된 모래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모래받이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는, 상기 집수구와 연결되는 집수부, 상기 드레인관과 연결되는 메인 드레인부, 상기 집수부와 상기 메인 드레인부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모래받이가 수납되는 모래받이 수납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드레인부는 일측이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기 모래받이의 상측 입구보다 높은 곳에서 상기 집수부와 연결되거나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의 바닥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드레인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는, 교량의 슬래브에 매설되는 집수구와 연결되는 한편 드레인관과 연결되어 노면수의 드레인을 유도하는 배수파이프 본체와;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의 내부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 내부에 유입된 모래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모래받이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는, 상기 집수구와 연결되는 집수부, 상기 드레인관과 연결되는 메인 드레인부, 상기 집수부와 상기 메인 드레인부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모래받이가 수납되는 모래받이 수납부,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와 상기 드레인관을 연결하는 바닥측 드레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드레인부는 일측이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기 모래받이의 상측 입구보다 높은 곳에서 상기 집수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드레인관과 연결되고, 상기 바닥측 드레인부는 양측이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의 바닥부와 상기 메인 드레인부에 연결되어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 내부의 노면수를 상기 메인 드레인부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및 이 시공 방법에 의하면, 배수파이프가 상류측의 드레인관과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집수구를 통과하는 노면수가 메인 드레인부를 통해 드레인관에 신속하게 유도 배수되기 때문에 모래받이와 모래받이 수납부에 물이 고이지 않으므로 물의 부패로 인한 악취 발생을 극소화하며 또한 실시예 2의 경우 모래받이 수납부에 침투하는 물도 유도 배수하여 배수파이프에 유입되는 모든 물을 유도 배수함으로써 악취 저감 효과를 더욱 향상할 수 있고, 아울러, 물이 고이지 않아 동절기에 물의 결빙이 없으며 따라서 물의 결빙으로 인한 배수파이프의 파손(균열 포함)을 방지하고 물의 결빙으로 인한 모래받이의 고착이 방지되어 동절기에도 모래받이에 수거된 모래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래받이가 집수구의 그레이팅에 연결되어 그레이팅을 분리한 후 연결와이어를 감아 올리는 작업에 의해 모래받이를 교량 슬래브의 지상으로 인출할 수 있으므로 모래수거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의 시공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의 분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에 적용된 메인 드레인부의 다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에 월류관이 적용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에 모래 차단턱이 적용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의 시공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에 월류관이 적용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에 적용된 메인 드레인부가 엘보우 형태인 예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에 적용되는 집수구의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의 분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에 적용된 메인 드레인부의 다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에 월류관이 적용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에 모래 차단턱이 적용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의 시공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에 월류관이 적용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에 적용된 메인 드레인부가 엘보우 형태인 예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에 적용되는 집수구의 일 예시도.
<실시예 1>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100)는, 교량의 슬래브(1)에 매설되는 집수구(10)와 연결되는 한편 드레인관(20)과 연결되어 노면수의 드레인을 유도하는 배수파이프 본체(110)와; 배수관(110)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노면수에 포함된 모래를 포함하는 이물질(이하 '모래'라 칭함)을 수거하는 모래받이(120)로 구성되며 이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배수파이프 본체(110)는 SUS 등을 재질로 하며 전체적으로 내부가 빈 관형으로서 상부를 향해 개방되어 집수구(10)와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집수부(111), 집수부(111)의 바람직하게 직하부에 바닥이 막힌 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 모래받이(120)가 수납되는 모래받이 수납부(112), 일측은 집수부(111)와 모래받이 수납부(112)의 사이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타측은 드레인관(20)과 연결되는 메인 드레인부(113)로 구성된다.
집수부(111)는 집수구(10)를 통해 유입되는 노면수의 누출을 일으키지 않도록 관이음된다.
모래받이 수납부(112)는 모래받이(120)가 수납 및 집수구(10)의 그레이팅의 분리시 집수구(10) 내부를 통해 슬래브(1)의 노면으로 인출되도록 하며 집수부(111)와 동일한 직경으로 구성되는 일체형이 바람직하다.
메인 드레인부(113)는 집수부(111)를 통해 유입된 노면수가 자연스럽게 드레인관(20)으로 유도되도록 일측이 모래받이(10)의 상측 입구보다 높은 곳에서 집수부(111)와 연결되고 예를 들어 드레인관(20)을 향해 하향 경사지면서 모래받이 수납부(120)의 아래쪽에서 드레인관(20)과 연결된다.
메인 드레인부(113)는 집수부(111)에 연결되는 집수부 연결부, 드레인관(20)에 연결되는 드레인관 연결부로 구분된다.
상기 집수부 연결부는 집수부(111)에 용접의 고정식, 관이음 등의 분리식 모두가 가능하고 경사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레인관 연결부는 경사부인 집수부 연결부에서 집수부(111)와 평행하게 하향 연장되어 드레인관(20)에 수직으로 연결되거나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엘보우 형태로 절곡되어 드레인관(20)에 수평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지금까지 메인 드레인부(113)가 모래받이(120)의 상측에 연결되는 것으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모래받이 수납부(112)의 둘레부나 바닥부에 연결되는 것도 포함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배수파이프 본체(110)는 집수부(111)의 둘레부에 종래처럼 드레인관이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메인 드레인부(113)만 연결되고 드레인관(20)은 메인 드레인부(113)가 연결되는 곳보다 아래쪽에서 연결되기 때문에 상류에서 흐르는 물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직상부에 있는 집수구(10)에서 유입되는 물만을 유도 배수 처리함으로써 목적 달성이 가능한 것이다.
모래받이(120)는 상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모래받이 본체(121), 모래받이 본체(121)의 상측 개방부에 형성되는 걸이바(122), 일측은 걸이바(122)에 타측은 집수구(10)에 장착되는 그레이팅(11)에 연결되어 그레이팅(11)의 분리시 모래받이 수납부(112)에서 인양되도록 하는 연결 와이어(123)로 구성된다.
모래받이 본체(121)는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통(원형) 구조로서 모래받이 수납부(11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수납과 인출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상측의 개방부에는 상부를 향해 직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나팔관 형태의 확경립(lip)(124)이 일체로 형성된다.
확경립(124)은 둘레부가 모래받이 수납부(112)의 내주면에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어 노면수와 모래를 모래받이 본체(121) 내부로 유도한다.
모래받이 본체(121) 또는 확경립(124)의 내주면에는 걸이바(122)를 설치하기 위한 걸이바 체결홈이 형성된다.
걸이바(122)는 모래받이(120)의 상기 걸이바 체결홈에 삽입되는 림(rim), 상기 림의 내부에 바람직하게 십자형으로 일체 형성된다.
연결와이어(123)는 하부가 걸이바(122)에 매듭 등으로 고정되고 상부가 그레이팅(11)에 매듭 등으로 연결되어 그레이팅(11)을 집수구(10)에서 들어 올릴 때 모래받이(120)가 배수파이프(100)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모든 재질과 구조가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본 실시예는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월류관(114)이 적용될 수 있다.
월류관(114)은 일측이 메인 드레인부(113), 바람직하게 집수부 연결부인 경사부 아래쪽 즉 드레인관 연결부의 수직부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은 하천 등을 향해 개방 형성되어 메인 드레인부(113)를 통과하는 노면수 중 배수계통의 용량을 초과한 노면수를 하천 등으로 방류시킨다.
한편, 집수부(111)에 유입되는 모래가 메인 드레인부(113)로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메인 드레인부(113)의 입구쪽에는 모래 차단벽(115)이 구성될 수 있다. 모래 차단벽(115)은 메인 드레인관(113)의 입구쪽 천정부에서 하부를 향해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낙하하는 모래가 메인 드레인부(115)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수직이거나 메인 드레인부(113)의 반대쪽 즉 모래받이 수납부(112)쪽으로 경사질 수 있다. 모래 차단벽(115)은 구멍이 없는 구조, 모래의 유입을 막는 크기의 구멍이 있는 구조 등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모래 차단벽은 메인 드레인부(113)의 입구쪽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집수구(10)의 그레이팅(11)을 통과한 초기 우수와 모래 등의 노면수는 집수부(111)를 경유한 후 드레인관(20)을 통해 드레인되며, 이 과정에서 모래는 모래받이(120)의 내부에 수거되고 물은 드레인부(113)로 넘어간 후 드레인관(20)에 유입되어 드레인된다.
즉, 모래가 제거된 노면수는 메인 드레인부(113)를 통해 드레인관(20)으로 유도되어 소량의 물만 모래받이(120) 내부에 남게 되므로 배수계통에 결빙이 발생되지 않으며 고인 물의 부패로 인한 악취를 극소화한다.
한편, 모래받이(120)에 수거된 모래를 수거하는 경우 그레이팅(11)을 반드시 열어야 하며, 이와 같이 그레이팅(11)을 집수구(10)에서 분리하는 경우 연결와이어(123)를 통해 모래받이(120)가 본 발명의 배수파이프(100)과 집수구(10)에서 분리되어 지상으로 인출된다. 슬래브(1)의 지상에서 모래받이(120) 내부에 수거된 모래를 제거한 후 모래받이(120)를 집수구(10) 내부에 넣어 모래받이(120)가 모래받이 수납부(112) 내부에 안착되도록 하고 아울러 그레이팅(11)을 집수구(10)에 장착한다.
월류관(114)이 적용된 경우 메인 드레인부(113)를 통과하는 노면수의 용량 이상의 물이 배수파이프(100)에 유입된 경우 메인 드레인부(113)를 통과하지 못하는 용량 이상의 물은 월류관(114)을 통해 월류된다.
<실시예 2>
도 6과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10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집수부(111), 모래받이 수납부(112), 메인 드레인부(113)가 구성되고 여기에 모래받이 수납부(112)에 고인 물도 드레인하기 위한 바닥측 드레인부(116)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모래 차단턱 등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바닥측 드레인부(116)는 일측이 모래받이 수납부(112)의 바닥측에 연결되는 한편 타측이 메인 드레인부(113)에 연결된다.
즉 실시예 1에 의한 드레인 작용과 함께 본 실시예는 모래받이(120)의 둘레부와 모래받이 수납부(112)의 내벽 사이를 통과하여 모래받이 수납부(112)의 내부에 고이는 물을 바닥측 드레인부(116)를 통해 메인 드레인부(113)로 유도함으로써 배수파이프(100)의 내부의 어디에서도 물이 고이는 것을 막아 동절기 물의 결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악취 발생도 극소화한다.
바닥측 드레인부(116)는 원활한 드레인을 위하여 드레인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도 메인 드레인부(113)는 수직부를 통해 드레인관(20)과 연결될 수 있고 도 9에서처럼 엘보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엘보우 형태는 드레인 시설의 시점부에 적용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조건하에서 바닥측 드레인부(116)는 도면에 도시된 연결 관계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모래받이 수납부(112)의 모든 곳에 1개소 이상으로 연결된다.
또한 바닥측 드레인부(116)는 메인 드레인관(113)에 연결되지 않고 드레인관(20)에 직접 연결되거나 이들 구성(113,20)에 연결되지 않고 하천을 향해 개방되어 월류관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또는 바닥측 드레인부(116)는 메인 드레인부(113)에 연결되면서 드레인관(20)에도 함께 연결될 수 있고, 다르게는 메인 드레인부(113)에 연결되면서 하천을 향해 개방되어 월류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메인 드레인부(113)에 별도의 월류관(114)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래받이(120)는 실시예 1의 모래받이(120)와 동일한 구조이면서 내부에 유입된 물이 고이지 않고 배수되도록 하나 이상의 배수공(125)이 포함됨으로써, 바닥측 드레인부(116)의 효용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한다.
배수공(125)은 모래는 배출되지 않는 크기가 바람직하고 모래받이(120)의 바닥부, 둘레부 등 다양한 곳에 적용 가능하다.
배수공(125)을 통해 모래가 배출되지 않으면서 물은 배수되도록 배수공(125)을 여유 있는 크기로 형성하면서 모래받이(120)의 바닥부 또는 저부 또는 배수공(125)의 내부에 투수망(126)을 부가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에 따르면, 집수구(10)를 통해 유입된 노면수는 직하부를 향해 낙하하고 노면수 포함된 모래는 모래받이(120)의 내부에 수거되고 물은 메인 드레인부(113)를 통해 드레인관(20)으로 드레인된다.
한편, 모래받이(120)의 둘레부를 통해 모래받이 수납부(112)에 유입된 물과 모래받이(120)의 배수공(125)을 통해 모래받이 수납부(112)에 배수된 물은 바닥측 드레인부(116)를 통해 드레인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모래받이 수납부(112) 내부에도 물이 고이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동절기에 물의 결빙에 의한 배수파이프(100)의 파괴를 방지하고 모래받이(120)를 배수파이프(100)에서 외부로 수거할 수 있으므로 동절기에도 간단하게 모래를 처리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악취 발생을 극소화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 1,2에 적용되는 집수구(10)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물론 이에 도시된 집수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집수구(10)는 교량의 슬래브(1)에 매설되며 본 실시예의 집수부(111)에 직접 또는 연결관(12)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집수구 본체(13), 집수구 본체(13)의 둘레부를 따라 침투하는 노면수를 집수구 본체(13)로 유도 및 노면수가 슬래브의 아래쪽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지수 및 유도배수판(14), 집수구 본체(13)의 상측 개방부에 장착되는 그레이팅(11)으로 구성된다.
연결관(12)은 상부에 상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커지는 확관부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확관부는 집수구 본체(13)와 결합을 위한 구성이며 물론,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집수구 본체(13)는 상부를 향해 개방된 예컨대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인 박스형의 집수박스, 상기 집수박스의 저부에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된 테이퍼부, 상기 테이퍼부에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유입홀(15), 상기 테이퍼부의 저부에 형성되며 연결관(12)에 관이음되는 배수관 연결부로 구성된다.
유입홀(15)은 상기 집수박스의 둘레부[집수박스와 포장층 사이의 틈]를 통해 침투하는 노면수를 집수구 본체(13) 내부로 유도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테이퍼부의 둘레를 따라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수량은 1개 이상으로 그리고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유입홀(15)은 상기 집수박스에도 적용 가능하며 단 지수 및 유도배수판(14)의 상단부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왜냐하면 지수 및 유도배수판(14)의 상단부보다 높은 곳에 형성되면 상기 집수박스 안에 유입된 노면수가 유입홀(15)을 통해 슬래브에 침투하기 때문이다.
상기 배수관 연결부는 상기 테이퍼부의 저부에 관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결관(12)에 관이음됨으로써 상기 집수박스와 상기 테이퍼부를 경유한 노면수를 연결관(12)으로 유도 배수한다.
상기 배수관 연결부와 연결관(12)의 이음부를 수밀하고 견고하게 이음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관 연결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배수관 연결부의 내주면과 간극을 두고 형성되며 자체 탄성력에 의해 연결관(12)의 외주면을 가압 지지하는 가압편(16)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편(16)은 예컨대 다수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아울러 가압편(16)의 상부에는 연결관(12)의 확관부를 저부에서 받쳐 지지하는 경사형 지지턱이 형성될 수 있고, 탄성 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집수구 본체(13)는 슬래브와 접촉하는 외부면을 거칠기 처리하고, 수지층을 코팅한 후 이 수지층에 의 거친 표면에 수지층(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코팅하고, 그 코팅된 수지층에 규사(모래)를 살포하여 집수구 본체(13)와 슬래브 간의 결합력을 강하게 한다.
집수구 본체(13)는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을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론 다른 재질도 가능하다.
지수 및 유도배수판(14)은 집수구 본체(13)의 둘레부에 집수구 본체(13)와 일정 거리를 두고 결합되는 판형으로 이루어져 포장층과 슬래브 내부에 침투한 노면수가 저부로 흐르지 못하고 집수구 본체(13) 내부로 유도하는 것이며, 중앙에 집수구 본체(13)가 삽입되는 통공이 구비되며 둘레부로 가면서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노면수를 유입홀(15)로 유도하는 유도부로 구성되어 유입홀(15) 아래쪽에 결합된다.
지수 및 유도배수판(14)은 집수구 본체(2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도 포함된다.
지수 및 유도배수판(14)은 GFRP, 스틸, 알루미늄, 합성수지, 고무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 가능하다.
지수 및 유도배수판(14)은 유도 배수와 함께 슬래브 안에 집수구 본체(13)보다 큰 면적으로 매설됨으로써 집수구 본체(13)가 노면쪽으로 이탈되는 것도 막아준다.
부가적으로 집수구 본체(13)의 집수박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그레이팅(11)이 장착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높이조절 소켓이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시공 방법은 신규 시공과 보수 시공으로 구분된다.
먼저 신규 시공 방법은 교량의 시공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100)와 집수구(10) 및 드레인관(20)들을 함께 시공하는 것이며, 슬래브의 시공을 위한 거푸집 설치 - 집수구(10)를 상기 거푸집에 설치 -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100)를 집수구(10)에 연결 - 드레인관(20)을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100)에 연결 - 슬래브 타설 - 포장 시공의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슬래브 타설과 포장 공정은 전술한 순서에 시공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의 보수 방법은 기존 배수파이프의 철거 - 본 발명의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100)를 슬래브(1)에 매설되어 있는 집수구(10)에 설치 및 드레인관(20)에 연결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시공 공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100)의 배수파이프 본체(110)의 집수부(111)를 집수구(10)에 관이음하여 조립하고, 메인 드레인부(113)를 드레인관(20)에 연결한다.
연결와이어(123)를 집수구(10)의 그레이팅(11)에 연결하고, 모래받이(120)를 모래받이 수납부(112) 내부에 수납하면서 그레이팅(11)을 집수구(10)에 설치한다.
100 :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110 : 배수파이프 본체, 111 : 집수부
112 : 모래받이 수납부, 113 : 메인 드레인부
114 : 월류관, 115 : 모래 차단턱
116 : 바닥측 드레인부, 120 : 모래받이
121 : 모래받이 본체, 122 : 걸이바
123 : 연결와이어, 124 : 확경립
110 : 배수파이프 본체, 111 : 집수부
112 : 모래받이 수납부, 113 : 메인 드레인부
114 : 월류관, 115 : 모래 차단턱
116 : 바닥측 드레인부, 120 : 모래받이
121 : 모래받이 본체, 122 : 걸이바
123 : 연결와이어, 124 : 확경립
Claims (11)
- 삭제
- 교량의 슬래브에 매설되는 집수구(10)와 연결되는 한편 상기 집수구의 하부에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드레인관(20)과 연결되어 노면수의 드레인을 유도하는 배수파이프 본체(110)와;
내부에 유입된 노면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하나 이상의 배수공(125)이 구비된통구조이며,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의 내부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 내부에 유입된 모래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모래받이(120)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파이프 본체는, 상기 집수구와 연결되는 집수부(111), 상기 드레인관과 연결되는 메인 드레인부(113), 상기 집수부와 상기 메인 드레인부의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모래받이가 수납되는 모래받이 수납부(112),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와 상기 드레인관을 연결하는 바닥측 드레인부(116)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드레인부는 일측이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기 모래받이의 상측 입구보다 높은 곳에서 상기 집수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는 상기 드레인관을 향해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드레인관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집수부에 유입되는 물을 상기 모래받이의 상측 입구보다 위쪽에서 유입받은 후 상기 모래받이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상기 드레인관을 통해 하향 유도하여 유도 배수하고,
상기 바닥측 드레인부는 일측이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의 바닥부에 연결되는 한편 타측이 하향 경사지면서 상기 메인 드레인부에 연결되어,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 내부의 노면수를 상기 메인 드레인부로 유도하여 상기 메인 드레인부에 유입된 노면수와 함께 합류된 후 상기 드레인관을 통해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 삭제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에 적용되어 모래의 배출을 차단하면서 물의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투수망(1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 드레인부는 상기 집수부와 연결되며 상기 집수부에서부터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단부에서 상기 집수부와 평행하게 하향 연장되어 상기 드레인관에 수직으로 연결되거나 엘보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드레인관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드레인관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래받이는 상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모래받이 본체, 상기 모래받이 본체의 상측 개방부에 형성되는 걸이바, 일측은 상기 걸이바에 타측은 상기 집수구에 장착되는 그레이팅에 연결되어 상기 그레이팅의 분리시 상기 모래받이 수납부에서 인양되도록 하는 연결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 드레인부에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메인 드레인부를 통과하는 노면수 중 배수계통의 용량을 초과한 노면수를 하천으로 방류시키는 월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와 상기 메인 드레인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집수부를 통해 낙하하는 모래가 상기 메인 드레인부에 유입되는 것을 막는 모래 차단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는, 상기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의 배수파이프 본체(110)의 상부에 관이음되면서 상기 슬래브에 매설되며 노면으로부터 노면수를 집수하여 상기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의 배수파이프 본체 내부로 유도하는 집수구 본체(13)와;
상기 집수구 본체의 둘레부에 형성되며 상기 집수구 본체와 상기 슬래브 사이에 침투하는 노면수를 상기 집수구 본체 내부로 유도하는 지수 및 유도배수판(14)과;
상기 집수구 본체의 상단 개구부에 장착되는 그레이팅(11)을 포함하고,
상기 집수구 본체는 상부를 향해 개방된 박스형의 집수박스, 상기 집수박스의 저부에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는 테이퍼부, 상기 테이퍼부와 집수부 중 하나 이상의 둘레부에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집수박스와 테이퍼부 주변에 침투한 노면수를 상기 테이퍼부 또는 집수박스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유입홀(15), 상기 테이퍼부의 저부에 형성되며 상기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의 배수파이프 본체에 직접 또는 연결관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배수관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수 및 유도배수판은 상기 집수구 본체의 유입홀보다 아래쪽에 결합되면서 둘레부가 상기 집수부와 테이퍼부로부터 이격되어 노면수를 상기 유입홀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 청구항 2에 의한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100)의 배수파이프 본체(110)의 집수부(111)를, 교량의 슬래브에 매설되며 그레이팅(11)이 장착되는 집수구(10)의 저부에 관이음하여 상기 집수구에 유입되는 노면수를 집수하도록 하는 제1단계와;
상기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의 배수파이프 본체의 메인 드레인부(113)를, 상기 교량의 슬래브를 따라 설치되어 노면수를 배수 처리하는 드레인관(20)에 관이음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시공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 이후 상기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의 모래받이 수납부에 수납되는 모래받이(120)와 상기 집수구의 그레이팅(11)를 연결와이어(113)로 연결한 후, 상기 모래받이를 상기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의 배수파이프 본체의 모래받이 수납부(112)에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1309A KR101535668B1 (ko) | 2014-08-06 | 2014-08-06 |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및 이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01309A KR101535668B1 (ko) | 2014-08-06 | 2014-08-06 |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및 이 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35668B1 true KR101535668B1 (ko) | 2015-07-13 |
Family
ID=53793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01309A KR101535668B1 (ko) | 2014-08-06 | 2014-08-06 |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및 이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5668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4980B1 (ko) * | 2018-05-10 | 2019-02-01 | 다산기업 주식회사 | 선형의 배수유도부재를 이용하여 노면 침투수의 배수 능력을 향상한 선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
WO2019059490A1 (ko) * | 2017-09-22 | 2019-03-28 | 다산기업 주식회사 | 모래 역류방지형 모래받이 일체 배수 파이프 및 이의 시공 공법 |
KR102584399B1 (ko) | 2023-03-31 | 2023-10-05 | 김성걸 | 초기우수처리 및 모래받이 기능을 포함한 교량 배수파이프 |
KR102701457B1 (ko) | 2023-10-06 | 2024-09-02 | 세현산업 주식회사 | 내부 청소가 용이한 비점오염물질 포집 배수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배수관 유지·관리 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9944B1 (ko) * | 2009-05-11 | 2010-05-26 | 김원주 | 초기우수 정화기능을 갖는 필터장착 교량용 배수장치 |
KR101226110B1 (ko) * | 2012-03-30 | 2013-01-24 | 다산기업 주식회사 | 교량 배수장치의 모래받이용 모래 수거함 |
KR101376446B1 (ko) * | 2013-03-21 | 2014-04-01 | 한국도로공사 |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및 저감방법 |
-
2014
- 2014-08-06 KR KR1020140101309A patent/KR1015356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9944B1 (ko) * | 2009-05-11 | 2010-05-26 | 김원주 | 초기우수 정화기능을 갖는 필터장착 교량용 배수장치 |
KR101226110B1 (ko) * | 2012-03-30 | 2013-01-24 | 다산기업 주식회사 | 교량 배수장치의 모래받이용 모래 수거함 |
KR101376446B1 (ko) * | 2013-03-21 | 2014-04-01 | 한국도로공사 |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및 저감방법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59490A1 (ko) * | 2017-09-22 | 2019-03-28 | 다산기업 주식회사 | 모래 역류방지형 모래받이 일체 배수 파이프 및 이의 시공 공법 |
KR20190034001A (ko) | 2017-09-22 | 2019-04-01 | 다산기업 주식회사 | 모래 역류방지형 모래받이 일체 배수 파이프 및 이의 시공 공법 |
KR102093866B1 (ko) * | 2017-09-22 | 2020-03-26 | 다산기업 주식회사 | 모래 역류방지형 모래받이 일체 배수 파이프 및 이의 시공 공법 |
KR101944980B1 (ko) * | 2018-05-10 | 2019-02-01 | 다산기업 주식회사 | 선형의 배수유도부재를 이용하여 노면 침투수의 배수 능력을 향상한 선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
KR102584399B1 (ko) | 2023-03-31 | 2023-10-05 | 김성걸 | 초기우수처리 및 모래받이 기능을 포함한 교량 배수파이프 |
KR102701457B1 (ko) | 2023-10-06 | 2024-09-02 | 세현산업 주식회사 | 내부 청소가 용이한 비점오염물질 포집 배수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배수관 유지·관리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5668B1 (ko) |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및 이 시공 방법 | |
KR20170010040A (ko) | 친환경 여과 집수조 및 그것을 이용한 우수 재순환 시스템 | |
KR101023537B1 (ko) |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 |
KR101535669B1 (ko) | 누수방지형 gfrp 교량 집수구 및 이 시공 보수 방법 | |
KR100961152B1 (ko) | 악취방지 빗물받이 | |
KR101429147B1 (ko) | 연속배수시설이 구비된 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531692B1 (ko) |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111302B1 (ko) | 배수관의 배수 유도장치 | |
KR100755626B1 (ko) | 교량의 유수 분리 배수장치 | |
KR101626502B1 (ko) |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 |
KR101865202B1 (ko) | 우수 배수시설의 전처리장치 | |
KR102184981B1 (ko) | 노면 배수 특성이 향상된 친환경 측구 구조물 | |
KR101111185B1 (ko) | 경계겸용 초기 강우 정화 블록 | |
KR101944980B1 (ko) | 선형의 배수유도부재를 이용하여 노면 침투수의 배수 능력을 향상한 선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2093866B1 (ko) | 모래 역류방지형 모래받이 일체 배수 파이프 및 이의 시공 공법 | |
KR101593907B1 (ko) |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75998B1 (ko) |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 |
KR101319819B1 (ko) | 교량의 배수 시스템 | |
KR100650930B1 (ko) | 배수관클리너 | |
JP2004314000A (ja) | 油水分離槽 | |
KR20160121676A (ko) | 교량용 선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KR20090007408U (ko) | 스틸그레이팅 용 배수캡 | |
KR20110088263A (ko) | 착탈식 투수 우수받이 | |
KR101155280B1 (ko) |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 |
KR20100125168A (ko) | 오물수거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