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5168A - 오물수거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오물수거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5168A
KR20100125168A KR1020100005071A KR20100005071A KR20100125168A KR 20100125168 A KR20100125168 A KR 20100125168A KR 1020100005071 A KR1020100005071 A KR 1020100005071A KR 20100005071 A KR20100005071 A KR 20100005071A KR 20100125168 A KR20100125168 A KR 20100125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llection
collecting
water collecting
bridg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용
Original Assignee
이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용 filed Critical 이지용
Priority to KR1020100005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25168A/ko
Publication of KR20100125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5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시공방법은,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개방된 하부에 스티로폼 또는 고무판과 같은 커버부재를 밀착 삽입하는 단계(S1)와, 거푸집을 설치한 후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오물수거용 집수구를 매립 설치하는 단계(S2)와,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S3)와, 상기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개방된 하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커버부재를 제거하는 단계(S4)와, 상기 오물수거용 집수구와 배수관을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단계(S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티로폼 또는 고무판과 같은 커버부재를 이용하여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설치 및 배수관의 조립이 간편하게 되는데, 커버부재를 삽입·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바닥콘크리트 타설시 바닥콘크리트의 일부가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배수시설 연결부 등으로 유입되어 배수관의 조립작업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배수관과의 조립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오물수거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An apparatus for collecting water and removing sewage in a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오물수거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판에 설치된 집수구에 유입되는 오물을 효율적으로 이중으로 걸러내어 오물이 집수구와 연결된 교량의 배수시설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일단 걸러진 오물을 간편하게 분리 수거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한 오물수거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배수를 위해 집수구와 배수관을 설치하고 있다. 즉, 교량의 배수를 위한 배수시설은 집수구 및 집수구와 긴밀하게 연결되는 배수관으로 이루어지며, 집수구를 통해 집수된 물이 배수관으로 안내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교량의 집수구를 통해 유입된 물은 배수관으로 모이게 되는데, 이때 물 이외에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어 집수구 및 배수관을 막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교량의 배수가 원활하지 않게 되어 교량 상판에서 물이 넘치게 되고 차량의 통행에 불편을 주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집수구와 배수관에 모인 오물을 수거하기 위한 오물수거구가 우수(雨水)를 배출하기 위한 교량의 배수시설에 적용되고 있다. 오물수거구는 집수구 자체에 설치되거나, 배수관의 연결부위에 별도로 설치되어 각종 이물질을 포함한 오물을 분리 수거하여 외부로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판에는 복수개의 집수구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집수구가 설치된 교량의 상판 하부에는 우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이 경사지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오물을 분리 수거하기 위한 오물수거구가 집수구 자체에 설치될 수 있고, 배수관의 연결부위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교량의 배수시설에 있어서 배수관의 연결 부위에 제공되는 오물수거구로서, 시공이 간편하고 사용시 오물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오물수거구를 제시한 바 있다. 이 새로운 형태의 오물수거구는 집수구를 통해 유입된 오물이 인입되는 오물인입관의 선단에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밀폐캡을 구비하여 작업자가 간단히 밀폐갭을 열고 닫아 오물을 배수관에서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새로운 장치의 예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69831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럼에도 다른 우수한 기술과 마찬가지로 끊임없는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전술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8-0069831호에서는 집수구를 통해 배수관으로 인입된 오물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교량의 상판에 설치된 집수구 자체에서 사전에 오물을 제거하는 관점에서 개선될 필요성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오물수거용 집수구에 있어서는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집수구의 개방된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오물수거부(24)가 일자형의 개방부를 갖는 격자 모양을 취하고 있어 오물이 쉽게 집수구 내로 침투되고, 호퍼형의 집수부(22)와 안내구멍(25)을 통해 배수시설 연결부(26)로 침투된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오물수거부(24)를 개방한 후 손으로 직접 오물을 제거하거나 기다란 꼬챙이 등을 이용하여 오물을 빼내야 하는 등의 작업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다양한 오물 필터용 부품들이 집수구에 부가적으로 설치되고 있으나, 집수구가 설치된 교량에는 차량이 고속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오물 필터용 부품들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과 외부 노출로 인해 계절변화에 따른 온도변화, 강풍, 홍수 등으로 파손 또는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는 교량의 상판에 설치된 집수구에 유입되는 오물을 효율적으로 걸러내어 오물이 집수구와 연결된 교량의 배수시설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일단 걸러진 오물을 간편하게 분리 수거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한 새로운 형태의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에 설치된 집수구에 유입되는 오물을 효율적으로 이중으로 걸러내어 오물이 집수구와 연결된 교량의 배수시설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일단 걸러진 오물을 간편하게 분리 수거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한 오물수거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오물수거용 집수구는,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집수부와,
다수개의 구멍들이 형성된 상단 오물수거부, 다수개의 구멍들이 형성된 하단 오물수거부, 및 상기 상단 오물수거부와 상기 하단 오물수거부를 상하로 연결하는 오물수거부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수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집수부의 내부에 일체로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물수거부와,
상기 집수부의 하부에 연통가능하게 형성되는 배수시설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는 상부가 개방된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우수안내부와, 상기 유입부와 상기 우수안내부의 대략 경계면에서 집수부 내측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편과, 상기 우수안내부와 연결되고 집수부를 상기 배수시설 연결부와 연통시키는 안내구멍이 형성된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에 있어서,
상기 상단 오물수거부는 사각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상기 집수부의 유입부에 밀착되어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사각프레임의 선단부는 상기 집수부의 지지편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에 있어서,
상기 하단 오물수거부는 상기 상단 오물수거부 보다는 면적이 작은 판상 형태로서 상기 집수부의 바닥부 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시공방법은,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개방된 하부에 스티로폼 또는 고무판과 같은 커버부재를 밀착 삽입하는 단계(S1)와,
거푸집을 설치한 후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오물수거용 집수구를 매립 설치하는 단계(S2)와,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S3)와,
상기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개방된 하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커버부재를 제거하는 단계(S4)와,
상기 오물수거용 집수구와 배수관을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단계(S5)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에서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상기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개방된 상부도 커버부재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물수거용 집수구는 교량의 상판에 매립되는 집수부와, 다수개의 구멍들이 형성된 상단 오물수거부, 다수개의 구멍들이 형성된 하단 오물수거부, 및 상기 상단 오물수거부와 상기 하단 오물수거부를 상하로 연결하는 오물수거부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수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집수부의 내부에 일체로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물수거부와, 상기 집수부의 하부에 연통가능하게 형성되는 배수시설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는 상부가 개방된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우수안내부와, 상기 유입부와 상기 우수안내부의 대략 경계면에서 집수부 내측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편과, 상기 우수안내부와 연결되고 집수부를 상기 배수시설 연결부와 연통시키는 안내구멍이 형성된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단 오물수거부는 사각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상기 집수부의 유입부에 밀착되어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사각프레임의 선단부는 상기 집수부의 지지편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단 오물수거부는 상기 상단 오물수거부 보다는 면적이 작은 판상 형태로서 상기 집수부의 바닥부 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의 상판에 설치된 집수구에 유입되는 오물을 효율적으로 이중으로 걸러내어 오물이 집수구와 연결된 교량의 배수시설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물수거용 집수구는 오물수거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다양한 시공방법을 적용하여 교량의 상판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오물수거용 집수구는 스티로폼 또는 고무판과 같은 커버부재를 이용하여 거푸집 제거 후 바닥콘크리트에 매립 설치할 수 있고, 이로써 배수관과의 조립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스티로폼 또는 고무판과 같은 커버부재를 이용하여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설치 및 배수관의 조립이 간편하게 되는데, 커버부재를 삽입·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바닥콘크리트 타설시 바닥콘크리트의 일부가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배수시설 연결부 등으로 유입되어 배수관의 조립작업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배수관과의 조립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에서 오물수거부를 분리한 후 오물수거용 집수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오물수거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에 오물수거부가 조립 및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에 오물수거부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물수거용 집수구가 바닥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물수거용 집수구를 바닥콘크리트에 매립하여 시공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하고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에 인용된 참고문헌은 본 발명에 참고로서 통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에서 오물수거부(24)를 분리한 후 오물수거용 집수구(2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오물수거부(24)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20)에 오물수거부(24)가 조립 및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20)에 오물수거부(24)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물수거용 집수구가 바닥콘크리트에 매립되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물수거용 집수구를 바닥콘크리트에 매립하여 시공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20)는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집수부(22)와, 집수부(22)의 내부에 안착되는 오물수거부(24)와, 집수부(22)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시설 연결부(26)로 크게 구성된다.
우선, 집수부(22)는 상부가 개방된 유입부(221)와, 상기 유입부(221)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우수안내부(222)와, 상기 유입부(221)와 상기 우수안내부(222)의 대략 경계면에서 집수부(22) 내측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편(223)과, 상기 우수안내부(222)와 연결되고 집수부(22)를 배수시설 연결부(26)와 연통시키는 안내구멍(25)이 형성된 바닥부(224)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지지편(223)은 상기 유입부(221)와 상기 우수안내부(222)의 대략 경계면의 4개 모서리 부근에 설치되고 2개가 1조가 되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집수부(22)는 대략 사각 호퍼형 구조를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 유입부(221)의 각 면에는 3개의 배수홀(21)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물수거부(24)는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집수부(2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집수부(22)로 유입되는 돌이나 쓰레기 등과 같은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20)에 제공되는 오물수거부(24)는 상단 오물수거부(24a), 오물수거부 연결부(24b) 및 하단 오물수거부(24c)로 구성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부(24)에서 상단 오물수거부(24a)는 사각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전술한 집수부(22)의 유입부(221)에 밀착되어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사각프레임의 선단부는 집수부(22)의 4개의 지지편(223)에 의해 지지되어 상단 오물수거부(24a)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단 오물수거부(24a)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구멍(H)들이 벌집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교량에서 유입되는 오물을 효율적으로 1차로 걸러내게 된다. 구멍(H)의 개수는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크기나 용도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조정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단 오물수거부(24a) 사각 프레임의 각 면에는 집수부(22)의 배수홀(21)과 대응되는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단 오물수거부(24a) 사각 프레임의 하단 모서리에는 각각 체인형의 오물수거부 연결부(24b)가 연결되어 있다. 이 오물수거부 연결부(24b)는 또한 후술하는 하단 오물수거부(24c)의 상단 모서리에 연결되어 상단 오물수거부(24a)와 하단 오물수거부(24c)가 일체로서 집수부(22)로 착탈가능하게 한다. 상단 오물수거부(24a)와 하단 오물수거부(24c)는 오물수거부 연결부(24b)와 용접 등을 통해 연결되어 일체로 착탈될 수 있다.
한편, 하단 오물수거부(24c)는 상단 오물수거부(24a) 보다는 면적이 작은 판상 형태로서 전술한 집수부(22)의 바닥부(224) 상에 안착된다. 그리고 바닥부(224)에 형성된 안내구멍(25)을 차단하게 된다. 하단 오물수거부(24c)에는 다수개의 구멍(H)들이 벌집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안내구멍(25)을 통해 배수시설 연결부(26)로 유입되는 오물을 2차로 걸러내게 된다. 하단 오물수거부(24c)의 구멍(H)의 개수 역시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크기나 용도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조정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도 5에는 상단 오물수거부(24a), 하단 오물수거부(24c) 및 이들을 상하로 연결하는 오물수거부 연결부(24b)로 구성된 오물수거부(24)가 집수부(22)에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의 본 발명의 오물수거용 집수구(20)는 상단 오물수거부(24a)에서 1차로 교량으로부터의 오물을 걸러내고 하단 오물수거부(24c)에서 2차로 안내구멍(25)을 통해 배수시설 연결부(26)로 유입되는 오물을 걸러내어 오물이 배수시설로 유입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조립상태에서 상단 오물수거부(24a), 하단 오물수거부(24c) 및 이들을 상하로 연결하는 오물수거부 연결부(24b)로 구성된 오물수거부(24)를 일체로 집수부(22)로부터 분리하면 별도의 추가적인 오물제거작업없이 걸러진 오물을 간편하게 분리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즉, 하단 오물수거부(24c)에 걸러진 오물과 상단 오물수거부에 걸러진 오물(24a)은 오물수거부(24)를 한번에 집수부(22)로부터 꺼내면 동시적으로 오물들이 집수부(22)로부터 제거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고리와 같은 걸림수단을 상단 오물수거부(24a)의 구멍(H)에 걸고 걸림수단을 상방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상단 오물수거부(24a) 뿐만아니라 오물수거부 연결부(24b)를 통해 상단 오물수거부(24a)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하단 오물수거부(24c)도 집수부(2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배수시설 연결부(26)는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집수부(22)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배수시설 연결부(26)의 하부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배수시설 연결부(26)의 체결구멍(27)을 통해 배수관(32)이 연결조립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20)와 배수관(32)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식에 따라 폼 천공(교량 상판), 집수구 설치(교량 상판), 집수구 실링, 콘크리트 타설 그리고 배수관 직관 연결의 과정을 거쳐 연결조립될 수 있다. 배수관(32)과 조립된 오물수거용 집수구(20)는 상·하부가 개방되며, 비나 눈 등으로 인해 고이는 물을 집수하여 배수관(32)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배수관(32)은 집수구(20)를 통해 집수된 물을 교량 하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20)를 구성하는 집수부(22), 오물수거부(24) 및 배수시설 연결부(26)는 내구성 및 내부식성 등과 같은 물적 특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정의 강도와 내부식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20)는 바닥콘크리트(10) 매립 방식의 시공방법에 따라 교량에 설치되어 배수관(32)과 연결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예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의 일례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오물수거용 집수구(20)에는 배수시설 연결부(26)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캡부(28)가 추가로 제공된다. 캡부(28)는 배수관(32)과의 조립을 용이하게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주면이 배수시설 연결부(26)의 외주면과 이격 배치되어 일정 깊이를 갖는 링형의 배수관삽입홈(29)을 형성한다.
그리고, 캡부(28)의 절곡된 상단은 배수시설 연결부(26)의 외주면에 접합되며, 캡부(28)의 하단은 배수시설 연결부(26)의 하단 보다 약간 길게 형성하고 배수관(32)의 상단과 수직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위치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오물수거용 집수구(20)를 바닥콘크리트(10)에 매립하여 교량의 상판에 시공하는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① 제1단계(S1):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오물수거용 집수구(20)의 배수시설 연결부(26) 및 배수관삽입홈(29)에 스티로폼 또는 고무판과 같은 커버부재(40)를 밀착 삽입하는 단계.
이때, 스티로폼 또는 고무판과 같은 커버부재(40)는 디스크 형태로 배수시설 연결부(26) 및 배수관삽입홈(29)의 입구를 차단하며, 그 두께는 대략 1∼3㎝ 정도가 적당하다. 바람직하기로는 대략 2cm 정도가 좋다. 그리고 스티로폼 또는 고무판과 같은 커버부재(40)는 제거가 용이하도록 배수관삽입홈(29)의 끝단에 삽입된다.
한편, 커버부재로서 언급된 스티로폼 또는 고무판(40)은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스티로폼 또는 고무판(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재질을 커버부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S2 단계에서 바닥콘크리트(10)를 타설하기 전에 오물수거용 집수구(20)의 개방된 상부도 커버부재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② 제2단계(S2): 거푸집(50)을 설치한 후 바닥콘크리트(10)를 타설하여 오물수거용 집수구(20)를 매립 설치하는 단계.
③ 제3단계(S3): 거푸집(50)을 제거하는 단계.
이때, 오물수거용 집수구(20)의 상단 및 하단은 바닥콘크리트(10)의 상면 및 저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④ 제4단계(S4): 오물수거용 집수구(20)의 배수시설 연결부(26) 및 배수관삽입홈(29)에 삽입되어 있는 커버부재(40)를 제거하는 단계.
이때, 커버부재(40)의 제거에 의해 오물수거용 집수구(20)의 배수시설 연결부(26) 및 배수관삽입홈(29)의 입구가 개방된다.
⑤ 제5단계(S5): 오물수거용 집수구(20)의 배수관삽입홈(29)에 배수관(32)을 삽입한 상태에서 체결수단(34)을 이용하여 배수시설 연결부(26)에 배수관(32)을 연결 고정하는 단계.
이때, 볼트(34a)와 너트(34b)와 같은 체결수단(34)을 이용하여 배수시설 연결부(26)의 체결구멍(27)을 통해 배수관(32)이 연결조립된다(도 6 참조). 다른 방법으로서, 본 발명자가 고안한 특허출원 제10-2008-0108216호의 발명에 기술된 바와 같이, 배수관(32)의 외주면에 "┐"자형 결합편을 형성하고 앵커볼트를 이러한 결합편을 관통하여 바닥콘크리트(10)의 저면에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배수시설 연결부(26)와 배수관(32)을 연결조립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물수거용 집수구(20)와 배수관(32)의 연결 후, 집수부(22)의 상단은 바닥콘크리트(10)의 상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배수관(32)이 연결조립된 배수시설 연결부(26)의 하단은 바닥콘크리트(10)의 저면과 대략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총 5단계를 거쳐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시공과정이 완료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의 시공사례에서는 캡부(28)와 배수관삽입홈(29)을 이용한 바닥콘크리트(10) 매립 방식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나, 캡부와 배수관삽입홈 없이도 본 발명의 오물수거용 집수구(20)에 대한 바닥콘크리트(10) 매립 방식의 시공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커버부재(40)를 하부가 개방된 배수시설 연결부(26)에 삽입하고 바닥콘크리트(10) 타설 및 거푸집(50) 제거 후 배수시설 연결부(26)에 삽입된 커버부재(40)를 제거하여 개방된 배수시설 연결부(26)와 배수관(32)을 용접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바닥콘크리트 매립 방식의 시공과정 중 커버부재(40)를 삽입·제거하는 과정에 의해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설치 및 배수관의 조립이 간편하게 되는데, 커버부재(40)를 삽입·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바닥콘크리트(10) 타설시 바닥콘크리트(10)의 일부가 오물수거용 집수구(20)의 배수시설 연결부(26) 등으로 유입되어 배수관(32)의 조립작업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바닥콘크리트 20: 오물수거용 집수구
22: 집수부
221: 유입부 222: 우수안내부
223: 지지편 224: 바닥부
24: 오물수거부
24a: 상단 오물수거부 24b: 오물수거부 연결부
24c: 하단 오물수거부
25: 안내구멍
26: 배수시설 연결부 27: 체결구멍
28: 캡부 29: 배수관삽입홈
32: 배수관 34: 체결수단
40: 커버부재 50: 거푸집

Claims (4)

  1. 교량의 상판에 설치되는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개방된 하부에 커버부재를 밀착 삽입하는 단계와,
    거푸집을 설치한 후 바닥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오물수거용 집수구를 매립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개방된 하부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커버부재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오물수거용 집수구와 배수관을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수거용 집수구는,
    교량의 상판에 매립되는 집수부와,
    다수개의 구멍들이 형성된 상단 오물수거부, 다수개의 구멍들이 형성된 하단 오물수거부, 및 상기 상단 오물수거부와 상기 하단 오물수거부를 상하로 연결하는 오물수거부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수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집수부의 내부에 일체로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물수거부와,
    상기 집수부의 하부에 연통가능하게 형성되는 배수시설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는 상부가 개방된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우수안내부와, 상기 유입부와 상기 우수안내부의 경계면에서 집수부 내측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편과, 상기 우수안내부와 연결되고 집수부를 상기 배수시설 연결부와 연통시키는 안내구멍이 형성된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오물수거부는 상기 상단 오물수거부 보다는 면적이 작은 판상 형태로서 상기 집수부의 바닥부 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용 집수구의 시공방법.
KR1020100005071A 2010-01-20 2010-01-20 오물수거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KR20100125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071A KR20100125168A (ko) 2010-01-20 2010-01-20 오물수거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071A KR20100125168A (ko) 2010-01-20 2010-01-20 오물수거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168 Division 2009-05-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5168A true KR20100125168A (ko) 2010-11-30

Family

ID=43409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071A KR20100125168A (ko) 2010-01-20 2010-01-20 오물수거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251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293A (zh) * 2018-08-14 2018-12-18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防止箱梁泄水孔周边混凝土脱落的浇筑方法
CN109629411A (zh) * 2019-01-30 2019-04-16 宁波越兴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桥梁泄水装置
KR102610072B1 (ko) * 2023-05-11 2023-12-05 현빈개발 주식회사 교량 배수용 집수구의 시공 방법 및 교량 배수용 집수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4293A (zh) * 2018-08-14 2018-12-18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防止箱梁泄水孔周边混凝土脱落的浇筑方法
CN109629411A (zh) * 2019-01-30 2019-04-16 宁波越兴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桥梁泄水装置
KR102610072B1 (ko) * 2023-05-11 2023-12-05 현빈개발 주식회사 교량 배수용 집수구의 시공 방법 및 교량 배수용 집수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9852B2 (en) Sediment control drain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0846420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CN103382739B (zh) 一种雨水口截污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200336B1 (ko)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101102576B1 (ko)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KR102348396B1 (ko)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
KR20100125168A (ko) 오물수거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KR100918431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및 그 시공방법
KR20080105855A (ko) 쓰레기 걸름 장치
KR101175998B1 (ko)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KR101865202B1 (ko) 우수 배수시설의 전처리장치
KR200384437Y1 (ko) 성토부 가배수용 집수거 장치
KR100987807B1 (ko) 교량배수시설 공사용 파이프 오물수거구
KR102265280B1 (ko) 교량용 집수구
KR20090007408U (ko) 스틸그레이팅 용 배수캡
KR20220122061A (ko) 배수구 일체형 플로어 게이트
KR101562759B1 (ko) 우수토실용 벽체플레이트 조립체
KR100781715B1 (ko) 오물수거 버켓이 설치된 빗물받이 블럭
KR20110002528A (ko) 다리가 붙은 빗물받이 걸름 장치
KR20160121676A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49163A (ko) 교량용 매립형 집수구/배수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00125143A (ko) 굴곡형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KR200284862Y1 (ko) 배수용 그릴
KR200268468Y1 (ko)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배수전용 도로경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