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468Y1 -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배수전용 도로경계블록 - Google Patents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배수전용 도로경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468Y1
KR200268468Y1 KR2020010039280U KR20010039280U KR200268468Y1 KR 200268468 Y1 KR200268468 Y1 KR 200268468Y1 KR 2020010039280 U KR2020010039280 U KR 2020010039280U KR 20010039280 U KR20010039280 U KR 20010039280U KR 200268468 Y1 KR200268468 Y1 KR 2002684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boundary block
shaped side
boundary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2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황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일컨설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일컨설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일컨설턴트
Priority to KR20200100392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4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4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468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배수전용 도로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L형 측구에 사용되는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배수전용의 도로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보도 경계석, 보차도 경계석, L형 측구 및 우수 집수맨홀을 포함하는 우수의 배수시설에 있어서, 상기의 L형 측구에는 상부에 다수개의 앵커 볼트가 2열로 매설되고 상기의 앵커 볼트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된 배수전용 경계블록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한편, 상기의 L형 측구에는 일측의 앵커 볼트에 격자 받침대가 너트로 고정되고,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은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된 전면 유입구 커버가 경첩에 의하여 개폐되며,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은 타측에 연결관 유입구가 형성되어 우수 집수맨홀과 연결되는 연결관과 연결되고,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은 "ㄷ"자형 몸체를 엎어논 형태의 일측에 연접하여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의 L형 측구에는 배수전용 경계블록의 일측 플랜지부가 앵커 볼트에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되고 타측 배수전용 경계블록의 전면 유입구 커버가 형성된 수직면에 체결 볼트가 체결되어 격자 받침대와 고정되어 L형 측구와 배수전용 경계블록이 결합되는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배수전용의 도로경계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배수전용 도로경계블록{BOUNDARY BLOCK OF ROAD USING STAINLESS STEEL}
본 고안은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배수전용 도로경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L형 측구에 사용되는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배수전용의 도로경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와 보도를 구분하는 경계 블록은, L형 측구의 상면에 안착되는 구조로서, 상기의 경계 블록은 화강석으로 제작되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도로의 L형 측구의 배수시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보도(10)와 도로(30)에는 그 사이에 보도 경계석(12)과 보차도 경계석(14)이 설치되는데, 상기의 보도 경계석(12)과 보차도 경계석(14)에는 사이에 보도(10)가 형성되고, 상기의 보도(10)에는 그 중앙부에 우수 집수맨홀(20)이 형성되며, 이때 상기의 도로(30)에서 발생되는 우수는 유입구(42)가 상부에 형성된 우수 받이(40)로 집수한 후 상기의 우수 받이(40)에 연결관(44)을 연결하여 우수 집수맨홀(20)로 우수를 집수하게 된다.
상기의 우수 집수맨홀(20)에는 측면에 흄관(22)이 결합되고 상부에 맨홀 커버(26)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의 우수 받이(40)는 L형 측구(18)의 일측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상술한 L형 측구의 배수시설은, 우수 받이에서 유입되는 도로의 빗물을 처리하고 있으나 우기시 대용량의 우수를 우수 받이에서 처리할 수 없어 경계석을 넘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도로에 물이 차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도로의 주변에 위치한 주택가나 차도가 물에 잠기는 현상이 발생하여 더욱 큰 피해가 나타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L형 측구에 우수 받이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우수 받이에 대한 청소 작업이 불필요하고, 우기시 대용량의 우수를 맨홀로 직접배수할 수 있어 도로에 물이 차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의 우수 받이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매우 경제적이고 공사기간도 단축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배수전용의 도로경계블록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보도 경계석, 보차도 경계석, L형 측구 및 우수 집수맨홀을 포함하는 우수의 배수시설에 있어서, 상기의 L형 측구에는 상부에 다수개의 앵커 볼트가 2열로 매설되고 상기의 앵커 볼트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된 배수전용 경계블록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한편, 상기의 L형 측구에는 일측의 앵커 볼트에 격자 받침대가 너트로 고정되고,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은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된 전면 유입구 커버가 경첩에 의하여 개폐되며,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은 타측에 연결관 유입구가 형성되어 우수 집수맨홀과 연결되는 연결관과 연결되고,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은 "ㄷ"자형 몸체를 엎어논 형태의 일측에 연접하여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의 L형측구에는 배수전용 경계블록의 일측 플랜지부가 앵커 볼트에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되고 타측 배수전용 경계블록의 전면 유입구 커버가 형성된 수직면에 체결 볼트가 체결되어 격자 받침대와 고정되어 L형 측구와 배수전용 경계블록이 결합되는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배수전용의 도로경계블록을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도로의 L형 측구의 배수시설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도로의 L형 측구의 배수시설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도로의 L형 측구 배수전용 경계블록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도로의 L형 측구 배수전용 경계블록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도로의 L형 측구 배수전용 경계블록의 설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50 : 도로 52 : L형 측구
60 : 배수전용 경계블록 62 : 전면 유입구 커버
64 : 유입구 66 : 경첩
68 : 연결관 유입구 70 : 플랜지부
72 : 내부보강 파이프 74 : 체결 볼트
76 : 격자 받침대 78 : 앵커 볼트
80 : 연결관 84 : 누수방지 고무 개스킷
86 : 너트 90 : 우수 집수맨홀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도로의 L형 측구의 배수시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로(50)의 L형 측구(52)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된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이 설치되는데,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60)에는 연결관(80)이 연결되어 우수 집수맨홀(90)과 결합된다.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60)에는 일측에 우수를 유입하는 유입구(64)가 형성되고 타측에 연결관(80)이 결합되므로 우수를 유입구(64)를 통하여 유입한 후 연결관(80)을 통하여 우수 집수맨홀(90)에 집수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도로의 L형 측구 배수전용 경계블록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도로의 L형 측구 배수전용 경계블록의 작동 상태도이다.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은, L형 측구(52)의 상부에 앵커 볼트(78)로 체결되는 구조로 형성되는데, 상기의 L형 측구(52)에는 일측 상부에 격자 받침대(76)가 앵커 볼트(78)에 의해 고정되고, 이때 상기의 격자 받침대(76)에는 하부에 누수방지 고무 개스킷(84)이 밀착된 상태에서 앵커 볼트(78)로 L형 측구(52)의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은 "ㄷ"자형 몸체가 업어지는 상태로 형성되어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은 일측에 경첩(66)으로 연결되는 전면 유입구 커버(62)이 형성되고 타측에 연결관 유입구(68)가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은 전면 유입구 커버(62)과 대향되는 반대편에 플랜지부(70)가 형성된다.
즉,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은, 일측이 격자 받침대(76)에 앵커 볼트(78)로 고정되고 타측 플랜지부(70)가 형성된 부분도 앵커 볼트(78)에 의해 L형 측구(52)의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의 전면 유입구 커버(62)에는 다수개의 유입구(64)가 형성되어 우수를 유입구(64)를 통하여 유입하게 되고, 상기의 전면 유입구 커버(62)은 경첩(66)으로 결합되는 관계로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의 내부에 대한 청소를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의 전면 유입구 커버(62)가 형성된 수직면에는 체결 볼트(74)가 체결되어 격자 받침대(76)에 고정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도로의 L형 측구 배수전용 경계블록의 설치 상태도로서, 상기의 L형 측구(52)에는 상부에 2열로 앵커 볼트(78)가 매설되고 상기의 앵커 볼트(78)에는 일측에 격자 받침대(76)가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86)로 고정되며, 한편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은 내측에 내부보강 파이프(72)가 사선으로 결합되고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의 플랜지부(70)에는 다른 앵커 볼트(78)가 삽입되어 너트(86)로 고정된다.
즉, 상기의 L형 측구(52)에는 상부에 앵커 볼트(78)가 매설된 상태에서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이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의 앵커 볼트(78)에 너트(86)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되며, 이때 상기의 격자 받침대(76)에는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형성된 체결 볼트(74)에 의해 격자 받침대(76)와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이 결합된다.
상술한 구성에 대한 설명과 같이,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되는 관계로 그 구조가 견고하고, 특히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60)에는 전방에 유입구(64)가 다수개 형성된 전면 유입구 커버(62)가 형성되어 우기시 도로(50)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물을 유입구(64)를 통하게 한후 연결관(80)과 결합된 우수 집수맨홀(90)로 집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은 L형 측구(52)의 상부에 결합시 누수방지 고무 개스킷(84)을 사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우수를 집수하는 관계로 우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일이 없이 다량의 우수가 우수 집수맨홀(90)로 집수되게 된다.
또한,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은 전방에 전면 유입구 커버(62)가 경첩(66)으로 결합되어 전면 유입구 커버(62)를 개폐(開閉)할 수 있는 관계로 우수를 집수한 후 간단하게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의 내측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배수전용 경계블록(60)에 대한 유지 및 관리가 원활하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배수전용의 도로경계블록은, 배수전용 경계블록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되는 관계로 그 구조가 견고하고,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에는 전방에 유입구가 다수개 형성된 전면 유입구 커버가 형성되어 우기시 도로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물을 유입구를 통하여 맨홀로 간단하게 집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은 종래의 도로에서 완전히 없앨 수 있고 그로인하여 도로에서 발생되는 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은 L형 측구의 상부에 결합시 누수방지 고무 개스킷을 사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우수를 집수하는 관계로 우수가 외부로 누출되는 일이 없이 다량의 우수가 맨홀로 집수되게 되며, 또한,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은 전방에 전면 유입구 커버가 경첩으로 결합되어 전면 유입구 커버를 개폐(開閉)할 수 있는 관계로 우수를 집수한 후 간단하게 배수전용 경계블록의 내측에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배수전용 경계블록에 대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보도 경계석, 보차도 경계석, L형 측구 및 우수 집수맨홀을 포함하는 우수의 배수시설에 있어서,
    상기의 L형 측구(52)에는 상부에 다수개의 앵커 볼트(78)가 2열로 매설되고 상기의 앵커 볼트(78)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된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한편,
    상기의 L형 측구(52)에는 일측의 앵커 볼트(78)에 격자 받침대(76)가 너트(86)로 고정되고,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은 일측에 유입구(64)가 형성된 전면 유입구 커버(62)가 경첩(66)에 의하여 개폐되며,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은 타측에 연결관 유입구(68)가 형성되어 우수 집수맨홀(90)과 연결되는 연결관(80)과 연결되고, 상기의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은 "ㄷ"자형 몸체를 엎어논 형태의 일측에 연접하여 플랜지부(70)가 형성되며,
    상기의 L형 측구(52)에는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의 일측 플랜지부(70)가 앵커 볼트(78)에 삽입되어 너트(86)로 고정되고 타측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의 전면 유입구 커버(62)가 형성된 수직면에 체결 볼트(74)가 체결되어 격자 받침대(76)와 고정되어 L형 측구(52)와 배수전용 경계블록(6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배수전용 도로경계블록.
KR2020010039280U 2001-12-19 2001-12-19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배수전용 도로경계블록 KR2002684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280U KR200268468Y1 (ko) 2001-12-19 2001-12-19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배수전용 도로경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280U KR200268468Y1 (ko) 2001-12-19 2001-12-19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배수전용 도로경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468Y1 true KR200268468Y1 (ko) 2002-03-18

Family

ID=73071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280U KR200268468Y1 (ko) 2001-12-19 2001-12-19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배수전용 도로경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4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536B1 (ko) * 2002-12-10 2005-01-31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연약지반 도로의 물고임 방지를 위한 엘형측구 배수시설
KR102144253B1 (ko) * 2020-03-24 2020-08-12 김은정 배수효율 극대화 및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교량 선배수 시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536B1 (ko) * 2002-12-10 2005-01-31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연약지반 도로의 물고임 방지를 위한 엘형측구 배수시설
KR102144253B1 (ko) * 2020-03-24 2020-08-12 김은정 배수효율 극대화 및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교량 선배수 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9852B2 (en) Sediment control drain and method of construction
CN208777112U (zh) 市政排水结构
KR101822899B1 (ko) 지하수 확보 기능이 향상된 측구 겸용 친환경 집수정 및 그것을 이용한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친환경 도로 구조물
CN205421504U (zh) 一种弃流式雨水口
KR20100033823A (ko) 악취차단기능이 있는 빗물받이
KR100918431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및 그 시공방법
KR200268468Y1 (ko)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배수전용 도로경계블록
CN211772814U (zh) 一种结合铺装层的钢砼边沟式桥面排水系统
JPH10102573A (ja) 貯留槽を兼ねる浸透桝
JP2002061105A (ja) 境界導水溝ブロック、および道路における排水処理構造
KR102184981B1 (ko) 노면 배수 특성이 향상된 친환경 측구 구조물
KR101865202B1 (ko) 우수 배수시설의 전처리장치
KR200384437Y1 (ko) 성토부 가배수용 집수거 장치
CN208472902U (zh) 一种预制型城市排水槽
JPH10114993A (ja) 集水用ブロックとこのブロックを用いた排水構造
KR20100125168A (ko) 오물수거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JPH0346070Y2 (ko)
CN218911681U (zh) 一种再生材料防渗疏水板排水沟
KR101178211B1 (ko) 경계석 측면 설치용 배수구
CN212129398U (zh) 一种辅助排水结构系统
CN218932862U (zh) 一种桥梁雨水收集井装置
CN218346217U (zh) 具有排水系统的边坡护坡结构
CN216405646U (zh) 一种城市道路快速排水结构
CN213805768U (zh) 一种建筑节点防水结构
CN219569052U (zh) 一种简易室外雨水收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