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280B1 - 교량용 집수구 - Google Patents

교량용 집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280B1
KR102265280B1 KR1020200052764A KR20200052764A KR102265280B1 KR 102265280 B1 KR102265280 B1 KR 102265280B1 KR 1020200052764 A KR1020200052764 A KR 1020200052764A KR 20200052764 A KR20200052764 A KR 20200052764A KR 102265280 B1 KR102265280 B1 KR 102265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oreign material
road surface
hole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송
Original Assignee
태은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은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은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2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면수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분리해주도록 하여 이물질이 노면수에 섞여 배수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교량용 집수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의 일측에 노면수의 집수를 위해 매립되어 설치되고, 하부 일측에는 배수홀(11)과 연결되게 배수연결관(12)이 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된 집수구 몸체(10); 상기 집수구 몸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외벽면이 집수구 몸체(10)의 내벽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배수홀(11)이 형성된 부위와 대응되는 부위에 홀이 형성되어 지되 그 홀의 가장자리에 일정 높이로 월류배수관(25)이 형성되며, 상기 월류배수관(25)을 월류하여 배수되지 못한 노면수와 이물질이 적재되는 이물질통(20); 상기 집수구 몸체(10)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되고, 표면에 노면수의 집수를 위해 복수개의 집수홀(31)이 형성된 스틸그레이팅(30); 상기 이물질통(20)의 일측 상단에서 상기 월류배수관(25)에 이르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표면에는 상기 집수홀(31)보다 더 작은 크기로 이물질통과홀(41)이 형성되어 상기 집수홀(31)을 통과한 노면수 중 일부는 상기 월류배수관(25)으로 흐르도록 안내하고 나머지 노면수는 이물질통과홀(41)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과 함께 낙하되어 이물질통(20)으로 수용되도록 안내하는 분리스크린(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물질통과홀(41)을 통해 낙하되어 이물질통(20)으로 수용된 노면수는 밀도차에 의해 이물질과 고액분리되어 상기 월류배수관(25)을 월류하여 배수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교량용 집수구{A drain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면수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모래, 실트질 등)을 분리해주도록 하여 이물질이 노면수에 섞여 배수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교량용 집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상판에 설치되어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오물을 배수하게 되는 교량의 집수장치는 주로 콘크리트 슬래브와 아스콘포장으로 덮여진 교량 상판의 양쪽 가장자리에 설치되는데, 통상 교량 상판의 양쪽 가장자리에 일체구조로 이루어진 집수장치인 집수구를 매립시켜 교량 아래쪽으로 연결된 배수관을 통해 집수구로 유입되는 우수이 강이나 하천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집수구는 통상 개방 상측에 우수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그레이팅 덮개를 체결시킨 형태를 이루었다.
물론 집수구의 상측은 교량 상판의 경사진 아스콘포장 아래쪽의 콘크리트슬래브의 상측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하여 상기 아스콘포장을 따라 유입되는 우수가 그레이팅덮개의 우수유입공으로 통과되어 아래쪽의 집수구몸체로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는 구조였다. 아울러 집수구의 하측인 배수관연결부는 상대적으로 구경이 큰 배수관의 상측과 체결되고 통상 고무패킹으로 밀폐되어 고정볼트 등으로 결합 연결되었다.
종래 기술에 의한 교량용 집배수장치는, 모든 배수, 하수 계통과 마찬가지로 이물질의 유입에 의한 배수계통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물질 여과장치가 함께 갖추어진다.
상기 이물질 여과장치는 배수량이 적은 경우에는 배수를 크게 간섭하지 않고 이물질을 여과하므로 목적을 달성하지만, 폭우, 홍수 등으로 인하여 배수량이 급격히 많아지는 경우에는 배수를 막아 물이 교량의 노면으로 역류하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이물질 여과장치는 여과공을 통수면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 통수면적의 크기가 폭우로 인한 배수량을 감당할 수 없는 크기로 설계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폭우, 홍수 예보시 하수 등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각 가정 등에 배수구에 설치된 여과장치를 분리하도록 권유하고 있다.
주택가 등에서는 거주민을 통해 여과장치를 분리할 수 있지만, 교량은 관리자가 수시로 관리할 수 있는 지역에 시공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여과장치(그레이팅 등)를 분리하지 못하는 실정이며, 따라서, 노면수가 정상적으로 배수되지 못하고 교량의 노면으로 역류하고 교량의 노면에 정체될 수밖에 없으므로 노면수의 신속한 배수가 가능한 교량용 집배수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노면수의 집배수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373818호(와류에 의한 신속한 집배수가 가능한 교량용 교면수 집수장치),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6998호(교량 집수장치),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0-2010-0012913호(교량용 집수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특허기술들은 이물질수용공간(이물질통 등)이 형성되어 이물질이 포함된 노면수가 이물질수용공간을 거쳐 배수되도록 하여 집수구로 유입되는 노면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노면수와 함께 배수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 기술이다.
그러나 단순히 이물질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일 뿐 노면수와 함께 유입되는 흙이나 모래 및 실트질 등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배수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즉, 종래기술들은 집수구로 유입되는 노면수 전체가 바로 낙하되면서 이물질수용공간으로 수용됨에 따라 이물질수용공간에 이미 퇴적되어 있는 이물질을 비산시키게 됨으로써 결국 비산되는 이물질과 함께 노면수가 배수되는 문제가 여전이 존재하였으며, 이로 인해 배수관의 막힘현상을 방지하지는 못하였다.
더욱이, 종래에는 집수구와 교량 슬래브 간의 틈새를 침투되는 노면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지 못함으로서 교량 철근의 부식으로 인한 내구력 감소는 물론, 슬래브 하면으로 흘러내리면서 슬래브 하면을 침식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73818호(2014.03.04., 와류에 의한 신속한 집배수가 가능한 교량용 교면수 집수장치)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6998호(2017.01.18., 교량 집수장치)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0-2010-0012913호(2010.12.29., 교량용 집수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0374(2019.10.29., 교량용 집수구)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이물질통의 상부에 분리스크린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노면수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이물질통에 수용시켜 주어 이물질이 노면수에 섞여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분리스크린의 상부 일측에 집수유도판을 구비함으로써 이물질통으로 유입되는 노면수를 받쳐주어 이물질통으로 바로 낙하되지 않게 유도해주도록 한 교량용 집수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교량의 일측에 노면수의 집수를 위해 매립되어 설치되고, 하부 일측에는 배수홀(11)과 연결되게 배수연결관(12)이 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된 집수구 몸체(10); 상기 집수구 몸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외벽면이 집수구 몸체(10)의 내벽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배수홀(11)이 형성된 부위와 대응되는 부위에 홀이 형성되어 지되 그 홀의 가장자리에 일정 높이로 월류배수관(25)이 형성되며, 상기 월류배수관(25)을 월류하여 배수되지 못한 노면수와 이물질이 적재되는 이물질통(20); 상기 집수구 몸체(10)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되고, 표면에 노면수의 집수를 위해 복수개의 집수홀(31)이 형성된 스틸그레이팅(30); 상기 이물질통(20)의 일측 상단에서 상기 월류배수관(25)에 이르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표면에는 상기 집수홀(31)보다 더 작은 크기로 이물질통과홀(41)이 형성되어 상기 집수홀(31)을 통과한 노면수 중 일부는 상기 월류배수관(25)으로 흐르도록 안내하고 나머지 노면수는 이물질통과홀(41)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과 함께 낙하되어 이물질통(20)으로 수용되도록 안내하는 분리스크린(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물질통과홀(41)을 통해 낙하되어 이물질통(20)으로 수용된 노면수는 밀도차에 의해 이물질과 고액분리되어 상기 월류배수관(25)을 월류하여 배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월류배수관(25)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분리스크린(40)의 타측단부를 끼워 결속시켜 주기 위해 걸림편(26)이 설치되고, 상기 분리스크린(40)은 일측단부가 상기 이물질통(20)의 일측상단에 지지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걸림편(26)에 결속된 상태로 경사지게 구비되며, 분리스크린(40)의 일측단부 상면에 상기 스틸그레이팅(30)의 테두리부분이 안착되면서 유동되지 않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분리스크린(40)의 일측 상면에는 분리스크린(40)의 타측에 형성된 이물질통과홀(41)을 커버해주어 상기 스틸그레이팅(3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노면수가 이물질통(20)으로 바로 수직 낙하되지 않게 유도해주도록 구비되고, 표면에는 이물질통과홀(41)보다 작은 크기로 복수개의 타공홀(51)이 형성된 집수유도판(50)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연결관(12)의 둘레에는 집수구 몸체(10)와 교량 슬래브의 사이로 침투되는 노면수를 차단해주기 위해 지수판(60)이 설치되며, 상기 배수연결관(12)의 표면에는 상기 지수판(60)에 의해 차단된 노면수를 배수연결관(12)의 내측으로 유입시켜 주도록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유입홀(13)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교량용 집수구에 따르면, 노면수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분리해 줌으로써 이물질이 노면수에 섞여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수관 막힘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되며, 노면수가 집수유도판에 의해 이물질통으로 바로 낙하되지 않음으로써 이물질통의 일측공간으로 바로 낙하되는 노면수에 의해 수용된 이물질의 비산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어 이물질이 노면수와 함께 배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수판과 배수연결관을 보인 교량용 집수구의 저면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공판이 설치된 상태에서의 교량용 집수구의 절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수판의 절개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의 내부로 유입되는 노면수의 흐름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집수구는 교량의 일측에 노면수의 집수를 위해 매립되어 설치되는 집수구 몸체(10)와, 상기 집수구 몸체(10)의 내부에 노면수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이 분리되어 수용되도록 구비되고 바닥면 일측에 월류배수관(25)이 형성된 이물질통(20)과, 상기 집수구 몸체(10)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스틸그레이팅(30)과, 상기 이물질통(20)의 일측상단에서 상기 월류배수관(25)에 이르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분리스크린(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집수구 몸체(10)는 공지된 집수장치의 구조와 같이 통상 사각통체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 일측에는 배수홀(11)과 연결되게 배수연결관(1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통(20)은 노면수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을 분리시켜 수용시켜 주기 위한 구성으로, 외벽면이 상기 집수구 몸체의 내벽면에 밀착되어 그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구비된다.
상기 월류배수관(25)은 상기 배수홀(11)과 소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통(20)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물질통에 수용되어 이물질과 분리된 노면수가 월류되면서 배수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월류배수관(25)의 내경은 상기 배수홀(11)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즉, 스틸그레이팅(30)을 통해 유입된 노면수는 이물질통(20)으로 낙하되어 수용된 후 밀도차에 의해 고액분리되어 중량이 큰 모래 등의 이물질은 가라앉게 되고 노면수만이 월류배수관(25)을 월류하여 배수홀(11)로 배수되는 것이다.
스틸그레이팅(30)은 집수구 몸체(10)의 개구된 상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표면에는 복수개의 집수홀(31)이 형성되어 낙엽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갖는 이물질들을 걸러주도록 하면서 모래와 노면수가 유입되어 이물질통(20)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집수홀(31)이 형성되어 있다.
집수홀(31)의 형상은 스틸그레이팅(30)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분리스크린(40)의 표면에는 상기 집수홀(31)보다 더 작은 크기로 이물질통과홀(41)이 형성되어 있다. 첨부 도면에서는 스틸그레이팅의 집수홀과 동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이물질통과홀을 형성하였다.
스틸그레이팅(30)을 통과하여 유입된 노면수 중 일부는 분리스크린에 의해 월류배수관(25)으로 이동되어 지고, 이동과정에서 나머지 노면수는 노면수에 포함된 이물질과 함께 이물질통과홀(41)을 통해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이물질통(20)으로 수용된다.
상기 분리스크린(40)이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노면수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대부분의 노면수가 이물질통과홀을 통해 이물질통으로 수용된 후 월류배수관(25)을 월류하여 배수홀로 배수되는 것이고, 노면수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경사지게 설치된 분리스크린을 따라 노면수가 이동되면서 일부분의 노면수가 모래 등의 이물질과 함께 낙하되어 이물질통으로 수용되고 나머지의 노면수는 분리스크린을 따라 월류배수관(25)으로 이동되어 배수되는 것이다.
따라서, 노면수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모래 등의 이물질이 분리되어 짐으로써 이물질이 포함된 상태로 배수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배수관막힘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분리스크린(40)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월류배수관(25)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분리스크린(40)의 일측단부를 끼워 결속시켜 주기 위해 걸림편(26)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스크린(40)의 일측단부는 상기 이물질통(20)의 일측상단에 지지되게 구비되고 분리스크린의 타측단부가 상기 걸림편(26)에 결속되어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걸림편(26)은 상기 월류배수관(25)에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리스크린(40)은 상기 스틸그레이팅(30)의 테두리부분이 분리스크린의 일측단부 상면에 안착되면서 분리스크린(40)의 유동이 방지되어 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물질통(20)에 수용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분리스크린(40)이 분리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스틸그레이팅(30)을 분리한 후 분리스크린(40)을 결속해제시킨 다음 이물질통(20)을 집수구 몸체(10)에서 들어내어 그 내부에 수용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통(20)을 외부로 인출시켜 줄 수 있음으로써 수용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등 작업성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분리스크린(40)의 일측 상면에는 분리스크린(40)의 일측에 형성된 이물질통과홀(41)을 커버해주도록 집수유도판(50)이 설치된다.
상기 집수유도판(50)의 표면에는 이물질통과홀(41)보다 작은 크기로 복수개의 타공홀(51)이 형성된다.
상기 집수유도판(50)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틸그레이팅(3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노면수가 집수유도판에 의해 유도되어 이물질통(20)으로 바로 수직 낙하되지 않고 분리스크린을 따라 이동되면서 일부 노면수가 이물질과 함께 낙하되어 이물질통으로 수용되고, 나머지 노면수는 배수홀을 통해 배수되어 진다.
집수유도판(5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수직 낙하되는 노면수(특히, 노면수의 양이 적을 경우에는 분리스크린이 있더라도 유속은 물론 양이 적어도 바로 수직 낙하됨)가 이물질통(20)에 수용된 이물질을 비산시키게 됨으로써 오히려 수용되어 있는 이물질이 월류배수관으로 월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집수유도판(50)을 설치하여 노면수가 집수유도판(50)에 의해 유도되면서 이물질통(20)으로 바로 수직 낙하되지 않게 해줌으로써 이미 수용되어 있는 이물질의 비산을 방지해주기 위함이다.
상기 집수유도판(50)이 설치된 경우에는 노면수가 이미 수용되어 있는 이물질로 낙하되지 않아 1차적으로 이물질의 비산을 방지하게 되고, 노면수가 분리스크린을 통과하면서 이물질과 분리되어 배수되고, 이물질통에 수용된 일부 노면수는 월류배수관(25)을 월류하여 배수되어 짐으로써 배수관의 막힘현상 발생없이 원활한 배수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수연결관(12)의 둘레에는 집수구 몸체(10)와 교량 슬래브의 사이로 침투되는 노면수를 차단해주기 위해 지수판(60)이 설치되며, 상기 배수연결관(12)의 표면에는 상기 지수판(60)에 의해 차단된 노면수를 배수연결관(12)의 내측으로 유입시켜 주도록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유입홀(13)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수판(60)은 고무재 등의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어 배수연결관(12)에 밀착되게 구비된다.
상기 지수판(60)이 설치됨으로써 집수구 몸체(10)와 교량 슬래브 사이로 침투된 노면수가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된 교량 철근을 부식시켜 구조물의 내구력을 저하시키거나 슬래브 하면으로 흘러내려 침식시키는 것을 방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수판(60)의 구체적으로 실시예로서, 상기 배수연결관(12)에 끼워지도록 중앙부분에 끼움홀(61a)이 형성된 사각 또는 원형의 판체로 형성된 지수판 몸체(61)와, 상기 끼움홀(61a)의 테두리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연결관(12)의 외표면에 밀착되는 밀착부(63)와, 상기 지수판 몸체(61)의 표면에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의 물끊기홈(66)이 형성되도록 돌출된 리브(65)로 구성된다.
상기 밀착부(63)는 그 자체적으로도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배수연결관(12)의 외표면에 밀착되는 것이나, 배수연결관(12)의 외경차이에 따라 내측면이 외측으로 탄성이동되면서 해당 배수연결관(12)에 끼워져 밀착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되어 탄성이동공간(64)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이동공간(64)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탄성이동공간의 직경만큼 배수연결관의 외경에 차이가 있더라도 밀착부의 내측면이 탄성이동공간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배수연결관에 끼움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지수판(60)은 배수연결관의 외경에 차이가 있더라도 설정된 길이만큼은 호환됨으로써 배수연결관의 규격별로 지수판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물질과 함께 유입되는 노면수가 분리스크린을 거치면서 이물질이 일부 노면수와 함께 낙하되어 이물질통에 수용되고, 나머지 노면수는 분리스크린에 안내되어 배수홀을 통해 배수됨으로써 이물질이 섞여 배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수관 막힘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집수유도판이 설치된 경우에는 분리스크린의 일측 상면으로 유입되는 노면수가 바로 이물질통으로 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이물질통에 수용되어 있는 이물질의 비산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게 되어 비산으로 인해 이물질이 노면수와 함께 월류배수관을 월류하여 배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수판이 구비됨으로써 집수구 몸체와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틈새로 침투되는 노면수를 효과적으로 배수연결관으로 유도하여 배수시켜 줄 수 있어 노면수가 교량 철근을 부식시켜 구조물의 내구력을 저하시키거나 슬래브 하면을 침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집수구 몸체 11: 배수홀
12: 배수연결관 13: 유입홀
20: 이물질통 25: 월류배수관
26: 걸림편 30: 스틸그레이팅
31: 집수홀 40: 분리스크린
41: 이물질통과홀 50: 집수유도판
51: 타공홀 60: 지수판
61: 지수판 몸체 61a: 끼움홀
63: 밀착부 64: 탄성이동공간
65: 리브 66: 물끊기홈

Claims (5)

  1. 교량의 일측에 노면수의 집수를 위해 매립되어 설치되고, 하부 일측에는 배수홀(11)과 연결되게 배수연결관(12)이 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된 집수구 몸체(10);
    상기 집수구 몸체(10)의 내부 수용공간에 외벽면이 집수구 몸체(10)의 내벽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배수홀(11)이 형성된 부위와 대응되는 부위에 홀이 형성되어 지되 그 홀의 가장자리에 일정 높이로 월류배수관(25)이 형성되며, 상기 월류배수관(25)을 월류하여 배수되지 못한 노면수와 이물질이 적재되는 이물질통(20);
    상기 집수구 몸체(10)의 개구된 상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되고, 표면에 노면수의 집수를 위해 복수개의 집수홀(31)이 형성된 스틸그레이팅(30);
    상기 이물질통(20)의 일측 상단에서 상기 월류배수관(25)에 이르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표면에는 상기 집수홀(31)보다 더 작은 크기로 이물질통과홀(41)이 형성되어 상기 집수홀(31)을 통과한 노면수 중 일부는 상기 월류배수관(25)으로 흐르도록 안내하고 나머지 노면수는 이물질통과홀(41)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과 함께 낙하되어 이물질통(20)으로 수용되도록 안내하는 분리스크린(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물질통과홀(41)을 통해 낙하되어 이물질통(20)으로 수용된 노면수는 밀도차에 의해 이물질과 고액분리되어 상기 월류배수관(25)을 월류하여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집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배수관(25)의 상단부 일측에는 상기 분리스크린(40)의 타측단부를 끼워 결속시켜 주기 위해 걸림편(26)이 설치되고,
    상기 분리스크린(40)은 일측단부가 상기 이물질통(20)의 일측상단에 지지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걸림편(26)에 결속된 상태로 경사지게 구비되며, 분리스크린(40)의 일측단부 상면에 상기 스틸그레이팅(30)의 테두리부분이 안착되면서 유동되지 않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집수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스크린(40)의 일측 상면에는 분리스크린(40)의 일측에 형성된 이물질통과홀(41)을 커버해주어 상기 스틸그레이팅(3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노면수가 이물질통(20)으로 바로 수직 낙하되지 않게 유도해주도록 구비되고, 표면에는 이물질통과홀(41)보다 작은 크기로 복수개의 타공홀(51)이 형성된 집수유도판(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집수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연결관(12)의 둘레에는 집수구 몸체(10)와 교량 슬래브의 사이로 침투되는 노면수를 차단해주기 위해 지수판(60)이 설치되며,
    상기 배수연결관(12)의 표면에는 상기 지수판(60)에 의해 차단된 노면수를 배수연결관(12)의 내측으로 유입시켜 주도록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유입홀(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집수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판(60)은, 상기 배수연결관(12)에 끼워지도록 중앙부분에 끼움홀(61a)이 형성된 사각 또는 원형의 판체로 형성된 지수판 몸체(61)와, 상기 끼움홀(61a)의 테두리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연결관(12)의 외표면에 밀착되고 내부는 중공되어 배수연결관(12)의 외경에 따라 내측부가 탄성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주도록 탄성이동공간(64)이 형성된 밀착부(63)와, 상기 지수판 몸체(61)의 표면에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의 물끊기홈(66)이 형성되도록 돌출된 리브(6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집수구.
KR1020200052764A 2020-04-29 2020-04-29 교량용 집수구 KR102265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764A KR102265280B1 (ko) 2020-04-29 2020-04-29 교량용 집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764A KR102265280B1 (ko) 2020-04-29 2020-04-29 교량용 집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280B1 true KR102265280B1 (ko) 2021-06-15

Family

ID=76412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764A KR102265280B1 (ko) 2020-04-29 2020-04-29 교량용 집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2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883B1 (ko) 2023-03-31 2023-10-05 김민규 교량 집수구
KR20240094193A (ko) 2022-12-15 2024-06-25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막힘제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신속배수가 가능한 3분할 집수·배수 그레이팅 시스템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890U (ko) * 1994-06-23 1996-01-19 정영관 누수방지용 배수관 연결구
KR100721237B1 (ko) * 2006-06-26 2007-05-23 김원주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KR100878252B1 (ko) * 2008-06-03 2009-01-19 (주)에이치엠씨 집수구의 배수트랩
KR20100012913A (ko) 2008-07-30 2010-02-09 박묘순 관절염의 국부적인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10010631U (ko) * 2010-05-07 2011-11-15 (주)투케이엘 하수구용 이물질 거름 장치
KR101098900B1 (ko) * 2011-03-04 2011-12-26 (주)스템즈 건설 교량용 집수구
KR20120094789A (ko) * 2011-02-17 2012-08-27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교량의 배수 시스템
KR101373818B1 (ko) 2013-08-29 2014-03-11 주식회사 삼우기업 와류에 의한 신속한 집배수가 가능한 교량용 교면수 집수장치
KR101535669B1 (ko) * 2014-07-07 2015-07-13 다산기업 주식회사 누수방지형 gfrp 교량 집수구 및 이 시공 보수 방법
KR20160087099A (ko) * 2015-01-13 2016-07-21 한국마커스 주식회사 마제형 아치 형상을 갖는 교량용 배수장치
KR20170006998A (ko) 2015-07-10 2017-01-18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교량 집수장치
KR20190096770A (ko) * 2018-02-09 2019-08-20 고재용 모래받이형 집수구
KR200490374Y1 (ko) 2019-05-29 2019-11-04 진효순 교량용 집수구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890U (ko) * 1994-06-23 1996-01-19 정영관 누수방지용 배수관 연결구
KR100721237B1 (ko) * 2006-06-26 2007-05-23 김원주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KR100878252B1 (ko) * 2008-06-03 2009-01-19 (주)에이치엠씨 집수구의 배수트랩
KR20100012913A (ko) 2008-07-30 2010-02-09 박묘순 관절염의 국부적인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10010631U (ko) * 2010-05-07 2011-11-15 (주)투케이엘 하수구용 이물질 거름 장치
KR20120094789A (ko) * 2011-02-17 2012-08-27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교량의 배수 시스템
KR101098900B1 (ko) * 2011-03-04 2011-12-26 (주)스템즈 건설 교량용 집수구
KR101373818B1 (ko) 2013-08-29 2014-03-11 주식회사 삼우기업 와류에 의한 신속한 집배수가 가능한 교량용 교면수 집수장치
KR101535669B1 (ko) * 2014-07-07 2015-07-13 다산기업 주식회사 누수방지형 gfrp 교량 집수구 및 이 시공 보수 방법
KR20160087099A (ko) * 2015-01-13 2016-07-21 한국마커스 주식회사 마제형 아치 형상을 갖는 교량용 배수장치
KR20170006998A (ko) 2015-07-10 2017-01-18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교량 집수장치
KR20190096770A (ko) * 2018-02-09 2019-08-20 고재용 모래받이형 집수구
KR200490374Y1 (ko) 2019-05-29 2019-11-04 진효순 교량용 집수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94193A (ko) 2022-12-15 2024-06-25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막힘제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신속배수가 가능한 3분할 집수·배수 그레이팅 시스템
KR102584883B1 (ko) 2023-03-31 2023-10-05 김민규 교량 집수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2767A (en) Storm water receptor system
KR101157738B1 (ko)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FI115828B (fi) Laitteisto kiinteiden aineosien erottamiseksi virtaavista nesteistä
US5820751A (en) Water skimming apparatus for the control of sediment pollution
CA2285146C (en) Oil and debris separator
US8512555B1 (en)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100721237B1 (ko)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KR101707141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0683119B1 (ko) 오물수거가 가능한 집수구
KR102265280B1 (ko) 교량용 집수구
KR101582931B1 (ko)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101730150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1626502B1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0763119B1 (ko) 우수처리시스템
KR100529500B1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US20180245328A1 (en) Stormwater Runoff Separator and Collector for Curb Inlet Type Catch Basins
KR101730463B1 (ko) 교량 집수장치
KR100729127B1 (ko) 집수구
KR100516777B1 (ko) 투수공을 갖는 집수통
JP4686422B2 (ja) 流下水の一時貯水システム
KR102439694B1 (ko) 채수방지용 집수구
KR100499612B1 (ko) 스크린 수로를 이용한 고형물 분리와 여과수 확보방법 및장치
KR20210013515A (ko) 우수토실 무동력 자동 개폐 및 하수량 측정장치.
KR102638787B1 (ko) 비점 오염 빗물 분리 정화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