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786A - 도로상의 각종 오염물과 초기우수를 분리수집하여 하천오염을 예방하는 다기능빗물받이 - Google Patents

도로상의 각종 오염물과 초기우수를 분리수집하여 하천오염을 예방하는 다기능빗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7786A
KR20160027786A KR1020140116349A KR20140116349A KR20160027786A KR 20160027786 A KR20160027786 A KR 20160027786A KR 1020140116349 A KR1020140116349 A KR 1020140116349A KR 20140116349 A KR20140116349 A KR 20140116349A KR 20160027786 A KR20160027786 A KR 20160027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foreign matter
initial
rain gutters
collect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재
Original Assignee
최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재 filed Critical 최기재
Priority to KR1020140116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7786A/ko
Publication of KR20160027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1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into a body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빗물받이는, 도로 측구에 배치되어 물이 수집되는 빗물집수통과; 초기우수와 도로상의 각 종 이물질을 분리 수집하는 이물질 수집통이 일체화 되거나 연속하여 설치됨으로서, 빗물 유입 경로로부터 초기우수 및 도로 이물질 수집 경로를 분리함으로서 빗물받이 및 하수관거 내에 퇴적물이 쌓이지 않도록 하여 원활한 배수능력을 확보함으로서 도로 침수 사고를 예방하고 하수관거 준설비용을 절감시키며, 하천오염의 주원인인 비점오염원을 저감시킴으로서 환경오염을 예방하게 되며, 빗물저류조 등의 빗물재이용시설의 전처리시설로 도입할 경우 양호한 수질의 빗물수집이 가능해지고, 빗물저류조 내에 오염물 및 토사유입을 방지하여 빗물저류기능 확보 및 유지관리 항목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상의 각종 오염물과 초기우수를 분리수집하여 하천오염을 예방하는 다기능빗물받이 {Multifunction Rain Gutters to prevent river pollution separation to collect various contaminants on the road and the initial rainfall}
본 발명은 도로 노면의 측구 등에 설치되어 노면으로 떨어진 초기빗물과 함께 도로상의 각 종 오염물을 분리수집하여 오염수가 배수계통으로 유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다기능 빗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측구에는 도로 노면으로 떨어진 빗물을 배수하기 위해 도로 측구 빗물받이가 설치된다.
도로 측구 빗물받이는 쇠창살 구조로 이루어져서 뚜껑 기능을 하는 그레이팅과, 이 그레이팅의 하부에 설치되어 빗물을 집수하고 집수된 빗물을 배수관을 통해 공공 하수도로 배수하는 집수정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도로 측구 빗물받이는 그레이팅을 통해 일정 크기 이상의 쓰레기, 낙엽 등의 이물질은 걸러낼 수 있지만, 대부분의 도로상의 각 종 이물질은 빗물받이 내부로 유입되어 빗물받이 또는 하수관거 내부에 퇴적되거나 하천으로 유출되어 하천을 오염시키는 환경오염의 원인이 된다.
이 때문에 빗물 정화를 위해 그레이팅과 집수정 사이에 별도의 걸름망 또는 정화 구조물을 설치하여, 이물질을 정화한 후에 집수정으로 유입시키는 시스템도 개발되고 있으나, 걸름망 또는 정화 구조물이 자주 막히게 때문에 유지 관리에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게 되고, 특히 집중 호우시와 같이 갑자기 많은 비가 내리는 경우에는 걸름망 또는 정화 구조물이 이물질에 쉽게 막히기 때문에 배수 장애가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보행자 및 차량의 통행에 지장을 주거나, 심한 경우 통행이 불가하여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있으며, 인근 건물의 침수로 번져 막대한 재산 피해를 발생시키는 등 심각한 침수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빗물받이내로 유입되는 초기우수 및 도로 이물질을 빗물유입 경로로부터 분리하여 받을 수 있는 이물질 수집통을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빗물받이 및 하수관거 내에 퇴적물이 쌓이지 않도록 하여 배수계통 문제로 인한 도로 침수사고를 방지하고, 또한 비점오염원에 해당하는 각 종 도로내 이물질을 하천으로 유하시키지 않게 함으로서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다기능 빗물받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여, 청소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하수관거로 부터의 악취 등을 예방하여 전체적으로 도로 측구 빗물받이의 유지 관리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다기능 빗물받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빗물받이는, 도로 측구에 배치되어 빗물이 수집되는 빗물 집수통과; 상기 빗물 집수통에 일체화 되거나 연속되어 설치된 이물질 수집통과: 상기 빗물 집수통으로 각 종 도로 이물질 및 초기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막고 이를 이물질 수집통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빗물물집수통 상면보다 일정높이가 높은 이물질 분리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물질 수집통은, 수집통의 상부에 구비되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그레이팅과, 수집통 내부 한쪽 측면에 설치되어 유입된 초기우수로부터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걸름 세목매쉬와 세목메쉬를 통해 걸러진 초기우수를 빗물받이 하부 토양으로 전량 유입시키기 위한 토양침투홀이 구비되어 있으며 토양침투홀에는 수질정화가 가능한 여재가 충진된 여재통 등을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이물질 수집통은, 하수관거 시스템이 합류식일 경우에는 유입된 초기우수를 걸름 세목매쉬 및 여재통과 토양침투홀을 통해 토양침투시키나 분류식일 경우에는 이물질수집통에 추가로 초기우수 유출관로를 설치하여 초기우수가 전량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도록 오수관로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수집통의 초기우수 유출관로 토출부에는 초기우수만 유출시키기 위한 부력식 자동개패장치를 설치하여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는 이물질수집통 내부에 빗물이 차오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유출관로가 자동 패쇄됨으로서 초기우수를 제외한 양질의 지속강우가 오수관로로 유입되어 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집수통은 그 상부에 그레이팅과 함께 물이 고여서 일정 이상의 하중이 가해질 때 개방되는 개폐 구조물이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빗물집수통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빗물받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물질 분리턱과 이물질 수집통의 구성을 통해 일정량의 각 종 이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분리수집 할 수 있으므로 빗물받이 및 하수관거 내에 퇴적물이 쌓이지 않도록 하여 배수계통 문제로 인한 도로 침수사고를 방지함으로서 배수 시설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의 주원인인 도로상의 각종 오염물을 별도로 수집하여 모으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정기적으로 수집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비점오염원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키고 하천오염을 예방하는 등의 환경개선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시 내 하수관거에 이물질이 퇴적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서 정기적으로 시행되는 하수관거 준설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기우수가 걸러진 비교적 양호한 수질의 빗물을 얻을 수 있으므로 빗물저류조 등의 빗물저장시설의 빗물수집시설로 사용하면 저류조내 이물질 퇴적방지 및 준설비용 절감 등의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 수집통을 통해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도로 측구 빗물받이의 유지 관리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빗물수집통 상부에 설치된 밀패형 뚜껑을 통해 하수관거로 부터의 악취를 예방함으로서 도시환경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이 걸러진 빗물의 일부를 토양으로 바로 침투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경우에, 지하수 오염 및 지하수 고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기능 빗물받이가 적용된 도로 측구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다기능 빗물받이와 빗물 집수통의 절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이물질 수집통의 실시예별 절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된 분류식 이물질 수집통내 자동개패장치의 상세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유사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빗물받이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기능 빗물받이가 적용된 도로 측구 빗물받이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10은 다기능빗물받이 본체이고, 20은 빗물 집수통, 30은 이물질수집통, 40은 그레이팅커버, 50은 도로 경계블럭이고, 60은 우수연결관, 70은 우수관로, 80은 초기우수 연결관로, 90은 오수관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기능 빗물받이(10)는, 도로의 측구에 설치되는 빗물 집수통(20), 빗물 집수통(20)과 일체화 되거나 연속하여 설치되어 초기우수와 도로 상의 각 종 이물질을 수집하는 이물질 수집통(30), 빗물 집수통(20) 주변에 상부 보다 일정 높이가 높은 이물질 분리턱(22)등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제, 본 발명의 주요 구성 부분인 빗물 집수통(20), 이물질 수집통(3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빗물 집수통(20)은, 기존 빗물받이와 동일한 구조로 지속강우를 받아 하수관거로 빗물을 유하시키기 위한 우수연결관로(60)가 설치되어 있으며 입구부 주변에는 초기우수와 이물질 유입을 막기 위한 이물질 분리턱(22)이 구성되어 있고 빗물집수통 유입부는 평상시 이물질 유입을 막기 위한 자동개패뚜껑(21)과 그레이팅 커버(40)가 설치된다. 이장치는 기성제품이 많이 있으므로 용도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물질 수집통(30)은 빗물 집수통(20)과 일체화되거나 연속하여 설치되며 통 내부에는 걸름 세목메쉬(31)와 여과통(32) 그리고 토양침투홀(33)으로 구성되어 이물질 분리통(30)으로 유입된 초기우수를 걸름 세목메쉬(31)를 통해 이물질을 거른 후에 여과통(32)을 통과 한 후 토양침투홀(33)을 통해 하부 토양으로 침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물질 수집통(30)은 도시내의 하수관거 시스템이 합류식이냐 분류식이냐에 따라 달리 적용 될 수 있다. 즉 하수관거 시스템이 합류식일 경우에는 대부분의 우수가 하천으로 유입되므로 초기우수를 유출 시키지 않는 것이 타당하므로 걸름 세목메쉬(31)와 여과통(32)을 활용하여 전량 토양침투 되도록 하고, 분류식의 경우에는 우수와 오수가 별도의 관으로 분리되어 있어 오수는 하수처리장으로 유출되어 처리되므로 초기우수를 오수관로에 연결하여 처리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분류식의 경우에는 이물질 수집통(30)에서 일정량의 초기우수와 퇴적물이 빠져나간 이후에 양질의 물이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부력식 자동개패장치(10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부력식 자동개패장치(100)는 개패부(101), 개패조절 연결선(102), 부력통(103), 연결선 가이드(104)로 구성되어 평상시에는 개패부(101)가 수평상태로 개방되어 있어 강우초기에 초기우수를 오수연결관(80)을 통해 유출시키게 되며, 지속강우가 오게 되면 이물질 수집통(30)내 수위가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부력통(103)이 상승하게 됨으로서 개패부(101)가 닫히게 되는 원리로 작동된다.
이물질 분리턱(22)은 빗물 집수통(20)으로 초기우수와 이물질 유입을 막기 위한 장치로 빗물 집수통(20) 입구 주변을 상부 높이 보다 높은 일정 높이 이상의 턱으로 막아 초기우수와 도로 상의 각 종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이물질 분리턱(22) 중의 일부 구간은 물고임 방지구(23)를 설치하여 적은 강우 시에도 이물질 분리턱(22)으로 인해 다기능 빗물받이(10) 주변 도로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다기능 빗물받이 20 : 빗물 집수통
21 : 자동 개패뚜껑 22 : 이물질 분리턱
23 : 물고임 방지구 30 : 이물질 수집통
31 : 걸름 세목매쉬 32 : 여과통
33 : 토양침투홀 40 : 그레이팅 커버
50 : 도로 경계블럭 60: 우수연결관로
70 : 우수관로 80 : 초기우수 연결관로
90 : 오수관로 100: 자동개패장치
101 : 개패부 102 : 개패조절 연결선
103 : 부력통 104 : 연결선 가이드

Claims (3)

  1. 도로 노면 양측의 보도구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보도구간에 보행의 편의성 및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투수형 인조잔디블럭 또는 그와 상응한 재료의 부착식 기능성 블록을 구비하고, 그 하부에 상부블럭의 장착이 가능하고, 빗물을 저류하며, 지속적으로 토양침투시킬 수 있는 빗물저류형 보도기층블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수성 탈착식 인조잔디블럭과 결합된 빗물저류형 보도기층블럭 시스템.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분리통은, 내부의 한쪽측면에 유입된 초기우수로 부터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거름메쉬를 구비하고, 거름매쉬 하부 바닥에는 거름매쉬를 통과한 우수가 하부토양으로 유하되도록 하는 일정크기의 토양침투홀과 그 홀에 필요 시 초기우수 여과를 위한 여과통을 구비한 다기능 빗물받이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집통내부에는 분류식지역에서는 초기우수를 오수관로로 유하시키기위한 연결관로를 구비하며, 연결관로 유입부에는 초기우수만을 오수관로로 유하시키고 지속강우 유출을 막기 위한 부력식 자동개패장치를 구비한 다기능 빗물받이
KR1020140116349A 2014-09-02 2014-09-02 도로상의 각종 오염물과 초기우수를 분리수집하여 하천오염을 예방하는 다기능빗물받이 KR20160027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349A KR20160027786A (ko) 2014-09-02 2014-09-02 도로상의 각종 오염물과 초기우수를 분리수집하여 하천오염을 예방하는 다기능빗물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349A KR20160027786A (ko) 2014-09-02 2014-09-02 도로상의 각종 오염물과 초기우수를 분리수집하여 하천오염을 예방하는 다기능빗물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786A true KR20160027786A (ko) 2016-03-10

Family

ID=55539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349A KR20160027786A (ko) 2014-09-02 2014-09-02 도로상의 각종 오염물과 초기우수를 분리수집하여 하천오염을 예방하는 다기능빗물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77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6121A (zh) * 2019-04-24 2019-06-28 安徽理工大学 雨水等容分段水质分析自动取样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6121A (zh) * 2019-04-24 2019-06-28 安徽理工大学 雨水等容分段水质分析自动取样装置
CN109946121B (zh) * 2019-04-24 2023-09-15 安徽理工大学 雨水等容分段水质分析自动取样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161B1 (ko) 초기우수 처리시스템
KR100854314B1 (ko) 초기우수 처리시설
KR102067348B1 (ko)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협잡물 분리 저장기능을 갖는 점배수식 집수정
US20090101591A1 (en) Storm drain inlet protection device
KR100721237B1 (ko)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KR20160071050A (ko) 빗물받이에 장착되어 비점오염원 제거 및 악취 및 침수예방이 가능한 여과형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023537B1 (ko) 빗물 수질개선 처리 시스템
KR101794124B1 (ko)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20150114224A (ko)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KR101582931B1 (ko)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100958295B1 (ko) 우수활용이 가능한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101089756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US9328499B2 (en) Device for settlement of particles from a liquid
KR101714397B1 (ko) 교량용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20130120052A (ko) 비점오염원 저감 기능을 갖는 도로 및 교량용 집수정 시스템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0976853B1 (ko) 집수정
KR20150091603A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KR101649039B1 (ko) 친환경 빗물받이
KR101437956B1 (ko) 수질 개선을 위한 조립식 맨홀
US10060117B1 (en) Stormwater runoff separator and collector for curb inlet type catch basins
KR20160027786A (ko) 도로상의 각종 오염물과 초기우수를 분리수집하여 하천오염을 예방하는 다기능빗물받이
KR101027931B1 (ko) 집수구용 그레이팅
Pitt et al. An evaluation of storm drainage inlet devices for stormwater quality treatment
KR20160057682A (ko) 우수맨홀 하수관 파이프에 연결하는 쓰레기 분리 및 하수구 냄새 막는 거름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