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998A - 교량 집수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집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998A
KR20170006998A KR1020150098549A KR20150098549A KR20170006998A KR 20170006998 A KR20170006998 A KR 20170006998A KR 1020150098549 A KR1020150098549 A KR 1020150098549A KR 20150098549 A KR20150098549 A KR 20150098549A KR 20170006998 A KR20170006998 A KR 20170006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lecting
bridge
water
road surf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0463B1 (ko
Inventor
김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세연이앤에스
Priority to KR1020150098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463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량 내부에 매설되어 유입된 노면수를 집수하여 상기 교량 외측으로 배수 처리하도록 마련되는 교량 집수장치에 있어서,상기 교량 집수장치의 일측에 마련되어, 개구된 상면에서는 내부 수용공간으로 노면수가 유입되고, 그 노면수와 함께 유입된 퇴적물은 저면부에 침전되며, 상기 퇴적물이 분리된 상태의 노면수는 상기 교량 집수장치의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집수부와, 상기 교량 집수장치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집수부에서 유입된 노면수와 개구된 상면으로 유입된 노면수가 하측에 형성된 배수홀로 배수되도록 형성되는 배수부 및, 상기 집수부와 배수부가 상호 인접하는 면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집수부의 노면수가 상기 배수부에 월류하여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월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 집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 집수장치{General collector of bridge}
본 발명은 교량 집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면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침전 및 퇴적되도록 한 상태에서, 일정 수위로 집수된 노면수가 교량 하부로 배수하는 집수구 측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집수장치 내로 유입되는 노면수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며, 침전 및 퇴적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교량 집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집수장치는 교통로 등으로 사용되는 교량의 가장자리에서 빗물 등의 노면수를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교량 집수장치는 도 1과 같이 노면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1)와, 유입부(11)의 하부에 연결되어 유입된 노면수가 집수되도록 상광하협(上廣下夾)의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사부(12)와, 경사부(12)의 하부에 연결되어 집수된 노면수를 배수하는 원통형의 집수관(13)을 포함하는 집수구(10)와, 집수관(13)의 하부에서 볼트 등의 결합부재(30)로 연결되어 노면수를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배수관(20)으로 구성되었다.
이때, 유입부(11)는 통상 사각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집수관(13)이나 배수관(20)을 폐쇄시킬 수 있는 돌이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격자형 또는 상호 이격된 직선형 등의 거름편(14)이 형성되며, 측면부에는 측면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배수하기 위해 다수개의 배수홀(15)이 천공된다.
또한, 집수구(10)는 교량의 골조를 이루는 철근 사이에 매설하고, 집수구(10)가 매설된 상태에서 거푸집을 설치하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의 바닥판이 시공된다.
그러나, 종래의 교량 집수장치는 거름편을 통해 크기가 큰 이물질을 여과한 상태로 집수 및 배수하는데 불과하였을 뿐, 노면수와 함께 유입되는 흙이나 모래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흙이나 모래 등을 걸러내기 위해 집수구 내부에 별도의 거름수단을 구비하는 경우, 이러한 거름수단의 상측으로 퇴적된 이물질에 의해 노면수가 배출되는 부분이 줄어들게 되면서 노면수의 원활한 배수가 어렵고, 노면수의 원활한 배수를 위해서는 퇴적된 이물질을 수시로 제거해야 하는 등 유지 및 보수를 위해 소요되는 작업 인력과 시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2440호 (2010.12.21., 교량용 빗물 배수장치의 집수구) 공개특허공보 제2006-0102831호 (2006.09.28, 교량용 집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공개특허 제2012-0091685호 (2012.08.20., 교량 집수구 및 그 시공 방법) 등록특허공보 제0926365호 (2009.11.10., 교량 집수관 및 배수관 연결 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량 내에 매립된 상태로 설치가 가능하고, 집수장치 내부로 노면수의 유입 및 집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노면수와 함께 유입된 흙, 모래, 자갈 등의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는 교량 집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노면수에서 분리된 흙, 모래, 자갈 등의 이물질이 어느 일측에 집중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노면수의 집수 및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교량 집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노면수에서 분리된 이물질의 침전 또는 퇴적 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하고, 이러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교량 집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설치,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교량 집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교량 내부에 매설되어 유입된 노면수를 집수하여 상기 교량 외측으로 배수 처리하도록 마련되는 교량 집수장치에 있어서,상기 교량 집수장치의 일측에 마련되어, 개구된 상면에서는 내부 수용공간으로 노면수가 유입되고, 그 노면수와 함께 유입된 퇴적물은 저면부에 침전되며, 상기 퇴적물이 분리된 상태의 노면수는 상기 교량 집수장치의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집수부와, 상기 교량 집수장치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집수부(100)에서 유입된 노면수와 개구된 상면으로 유입된 노면수가 하측에 형성된 배수홀(210)로 배수되도록 형성되는 배수부 및, 상기 집수부와 배수부가 상호 인접하는 면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집수부의 노면수가 상기 배수부에 월류하여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월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집수부는 상기 교량에 형성된 경사면에 대해 상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수부는 하류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월류부는 상기 집수부 및 배수부가 인접하는 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월류판과, 상기 집수부의 노면수가 월류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월류판의 상측 부분에 관통 형성된 월류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수부에는 내부 수용공간이 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교량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구획판이 마련되고, 상기 구획판의 하부에는 구획된 수개의 영역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수부와 배수부의 하부에는 상광하협의 경사진 형상을 갖도록 내측으로 절곡되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수부의 상측에는 격자 형상으로 구비된 지지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수부는 상기 교량 집수장치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부의 상측에는 내측면에 다수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레이팅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월류구는 격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레이팅부재는 상기 월류판과 인접한 일측면에 상기 월류구와 간섭되지 않는 형상으로 절개되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집수장치는 교량 내에 매립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노면수의 유입 및 집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노면수와 함께 유입된 흙, 모래, 자갈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배수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로 배수되도록 함에 따라, 배수시설의 막힘 및 역류 현상을 방지하여, 시설물 관리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보수 소요 감소에 따른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면수에서 분리된 흙, 모래, 자갈 등의 이물질이 어느 일측에 집중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노면수의 집수 및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면수에서 분리된 이물질의 침전 또는 퇴적 여부의 육안 식별이 용이하고, 침전 또는 퇴적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설치와 분리 및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 및 보수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제조 원가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교량 집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집수장치가 교량에 설치되어, 하측에는 배수시설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집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3에 대한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대한 A-A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집수장치 통해 노면수가 집수 및 배수되는 흐름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 집수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그레이팅부재를 발췌하여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집수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집수장치(1)는 교량 내부에 매설되어 유입된 노면수를 집수하여 상기 교량 외측으로 배수 처리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크게 집수부(100) 및 배수부(200) 및 월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집수부(100)는 교량 집수장치(1)의 일측에 마련되고, 개구된 상면에서는 내부 수용공간으로 노면수가 유입되어 그 노면수와 함께 유입된 퇴적물이 저면부에 침전되며, 퇴적물이 분리된 상태의 순수 노면수(H)는 후술할 월류부(300)를 거쳐 배수부(200)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배수부(200)는 교량 집수장치(1)의 타측에 마련되고, 일측면에는 집수부(100)에 연통되도록 절개되는 월류부(300)가 형성되며, 하측면에는 개구된 상면으로 유입된 노면수와 월류부(300)를 통해 유입된 노면수가 하부로 배수되는 배수홀(210)이 형성된다.
월류부(300)는 집수부(100)의 출측과 배수부(200)의 입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월류부(300)는 집수부(100) 및 배수부(200)가 인접하는 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월류판(310)과, 월류판(310)의 상측 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월류구(3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집수부(100) 내부의 순수 노면수(H)가 월류하여 월류구(320)를 거쳐 배수부(200) 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월류부(300)는 집수부(100)의 출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 중 하나가 집수부(100)로 유입된 노면수 중에서 퇴적물(S)을 제외한 순수 노면수(H)만을 배수부(200)로 이동시켜 배수되도록 하는 것인 만큼, 월류구(320)는 집수부(100) 내의 순수 노면수(H)가 배수부(200) 측으로 용이하게 월류하여 이동함과 동시에, 다량의 노면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도 이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부(100)는 교량에 형성된 경사면에 대해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배수부(200)는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집수부(100)는 저면부에 침전된 퇴적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교량 집수장치(1)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집수부(100) 및 배수부(200)의 하부는 상광하협(上廣下夾)의 경사진 형상을 갖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경사부(400)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집수부(100)에 형성된 경사부(400)를 집수경사부(410), 배수부(200)에 형성된 경사부(400)를 배수경사부(420)인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집수경사부(410)는 노면수와 함께 유입되는 퇴적물이 집수경사부(410)의 경사면을 따라 집수부(100)의 저면에 고르게 침전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기 위함이고, 배수경사부(420)는 강수량의 증가로 다량의 노면수가 유입되는 경우에 배수부(200)로 직접 유입된 노면수를 보다 용이하게 배수홀(210)로 배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집수부(100)에는 내부의 수용공간을 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판(1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고, 구획판(110)의 하부에는 구획판(110)에 의해 구획된 수개의 영역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부(111)가 형성된다.
여기서, 구획판(110)은 배수부(200)와 연하는 일측면에서 반대측면 즉, 노면수가 유입되는 교량의 상류측에서 상기 집수부(100)에 집수된 노면수가 배수부(200)로 이동하는 하류측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획판(110)은 집수부(100)에 유입된 퇴적물이 침전될 수 있는 영역을 분할함으로써, 유입된 노면수가 집수부(100) 내에서 유동하는 면적을 감소시켜 노면수의 저장 및 퇴적물의 침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집수부(100) 내의 노면수 및 퇴적물이 이동할 수 있는 연통부(111)를 통해 어느 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집수부(100)의 상측에는 격자 형상으로 구비된 지지프레임(120)이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프레임(120)은 구획판(110)의 상단면과 함께, 월류부(300), 배수홀(210), 기타 배수 기능을 하기 위해 설치되는 관들의 내부를 폐쇄시킬 수 있는 비닐이나 의류, 기타 쓰레기 등과 같이 부피가 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함과 동시에, 집수부(100)를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하기 위함이다.
첨부된 도면에서의 지지프레임(120)은 집수부(100)의 출측에 일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노면수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면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수부(100)의 저면부에 침전된 퇴적물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며, 지지프레임(120)의 설치 방향 역시도 구획판(110)에 수직한 방향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구획판(110)을 교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배수부(200)의 상측에는 월류판(310)과 밀착 지지되어 견고한 설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그레이팅부재(22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그레이팅부재(220)의 내측면에는 노면수의 원활한 유입과 더불어 상기한 지지프레임(120) 및 구획판(110)의 상단면과 같이 부피가 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삽입과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 기능을 하는 걸림부(221)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221)는 사각의 판이 다수개가 구비되어 일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격자무늬와 같이 상호 교차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만곡된 사각의 판이 그레이팅부재(220)의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소용돌이와 같은 형상 등, 그레이팅부재(220)를 설치하는 목적과 대응되는 기능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교량 집수장치에 대한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강수(降水) 등의 이유로 교량의 상면에 생성된 노면수는 교량의 구배(句配)에 따라 양측에 설치된 교량 집수장치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이동된 교량의 노면수는 상류측으로 설치된 집수부(100)에 먼저 유입된다.
이때, 집수부(100)에 유입된 노면수에는 흙이나 모래, 자갈, 타이어 조각 등 교량 상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이 유입되며, 이러한 이물질 중에는 수중에서 자중에 의해 침전 가능한 퇴적물(S)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노면수와 함께 집수부(100) 내부로 유입된 퇴적물(S)은 그 무게에 따라 시간의 차이는 있겠으나 어느 정도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집수부(100)의 저면부에 모두 침전되고, 침전된 퇴적물(S)의 상측에는 퇴적물(S)이 분리된 노면수 즉, 순수 노면수(H)만 남게 된다.
이후 지속적으로 노면수가 유입되면, 집수부(100) 내에는 퇴적물(S)과 그 상측에 위치하는 순수 노면수(H)로 분리되고, 이러한 순수 노면수(H)의 수위가 점차 상승하여 월류구(320)의 하단부에 이르게 되면, 이후의 순수 노면수(H)는 월류부(320)를 월류하여 교량의 하류측에 설치된 배수부(200)로 이동하게 되며, 배수부(200)로 이동된 노면수는 배수홀(210)을 통해 하부로 배수된다.
이처럼, 집수부(100)와 배수부(200)가 각각 교량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설치됨에 따라, 노면수에 포함된 퇴적물(S)은 집수부(100) 내에 침전되도록 하면서도, 순수 노면수(H)는 교량의 기울기에 의해 용이하게 월류부(300)를 월류하여 배수부(200)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강수량의 증가로 다량의 노면수가 일시에 유입되는 경우에는 집수부(100)와 함께 배수부(200)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서도 노면수가 유입됨에 따라, 노면수의 원활한 배수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집수부(100)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집수부(100)의 저면부에 퇴적물(S)이 침전된 양을 용이하게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고, 집수부(100)의 저면부에 침전된 퇴적물(S)이 일정 높이가 되면, 지지프레임(120)을 통해 용이하게 교량 집수장치(1)에서 탈거한 이후, 집수부(100)의 개구된 부분 즉, 월류부(300)와 개구된 상면을 통해 용이한 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집수부(100)의 설치와 분리 및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 및 보수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제조 원가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집수부(100)에서 침전된 퇴적물(S)을 제거하는 시기는 퇴적물(S)의 침전 높이가 월류부(300)의 하단부에 이르기 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는 월류부(300)를 넘는 높이로 침전된 퇴적물(S)이 배수부(200)로 유입되거나, 집수부(100)를 탈거하는 과정에서 집수부(100) 밖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교량 집수장치(1)를 통해 노면수의 유입 및 집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노면수와 함께 유입된 흙, 모래, 자갈 등의 퇴적물(S)과 같은 이물질을 순수 노면수(H)와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배수할 수 있다.
또한, 퇴적물(S)과 같은 이물질이 분리된 상태로 배수되도록 함에 따라, 교량 집수장치(1)에 연결된 배수시설의 막힘 및 역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시설물 관리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보수 소요 감소에 따른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경사부(400) 및 구획판(110)을 통해 노면수에서 분리된 퇴적물(S)이 어느 일측에 집중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순수 노면수(H)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교량 집수장치에 대한 제2실시예에 대해 도 8 및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실시예에 따른 교량 집수장치는 월류구(320)가 격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월류판(310)과 인접한 그레이팅부재(220)의 일측면에 월류구(320)와 간섭되지 않는 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222)가 형성되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를 갖는다.
이처럼, 월류구(320)가 격자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노면수와 함께 집수구(100) 내로 유입된 이물질이 순수 노면수(H)와 함께 배수부(20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그레이팅부재(220)에 절개부(222)가 형성됨에 따라, 집수부(100)에 다량의 노면수가 일시에 유입되더라도 효율적인 배수기능을 하면서도, 격자형상의 월류구(320)를 통해 효과적으로 이물질이 걸러지는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교량집수장치 100 : 집수부
110 : 구획판 111 : 연통부
120 : 지지프레임
200 : 배수부 210 : 배수홀
220 : 그레이팅부재 221 : 걸림부
222 : 절개부
300 : 월류부 310 : 월류판
320 : 월류구
400 : 경사부 410 : 집수경사부
420 : 배수경사부
S : 퇴적물 H : 순수 노면수

Claims (10)

  1. 교량 내부에 매설되어 유입된 노면수를 집수하여 상기 교량 외측으로 배수 처리하도록 마련되는 교량 집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량 집수장치의 일측에 마련되어, 개구된 상면에서는 내부 수용공간으로 노면수가 유입되고, 그 노면수와 함께 유입된 퇴적물은 저면부에 침전되며, 상기 퇴적물이 분리된 상태의 노면수가 월류부를 거쳐 상기 교량 집수장치의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집수부(100);
    상기 교량 집수장치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집수부(100)에서 유입된 노면수와 개구된 상면으로 유입된 노면수가 하측에 형성된 배수홀(210)로 배수되도록 형성되는 배수부(200);
    상기 집수부(100)의 출측과 상기 배수부(200)의 입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집수부(100)의 노면수가 월류하여 상기 배수부(200)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월류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집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100)는 상기 교량에 형성된 경사면에 대해 상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수부(200)는 하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집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부(300)는 상기 집수부(100) 및 배수부(200)가 인접하는 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월류판(310)과, 상기 집수부(100)의 노면수가 월류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월류판(310)의 상측 부분에 관통 형성된 월류구(3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집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100)는 상기 교량 집수장치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집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100)와 배수부(200)의 하부에는 상광하협(上廣下夾)의 경사진 형상을 갖도록 내측으로 절곡되는 경사부(4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집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100)에는 내부 수용공간이 수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도록 상기 교량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구획판(110)이 마련되고, 상기 구획판(110)의 하부에는 구획된 수개의 영역이 상호 연통되도록 하는 연통부(1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집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100)의 상측에는 격자 형상으로 구비된 지지프레임(12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집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200)의 상측에는 내측면에 다수의 걸림부(221)가 형성되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레이팅부재(22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집수장치.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구(320)는 격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집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팅부재(220)는 상기 월류판(310)과 인접한 일측면에 상기 월류구(320)와 간섭되지 않는 형상으로 절개되는 절개부(2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집수장치.
KR1020150098549A 2015-07-10 2015-07-10 교량 집수장치 KR101730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549A KR101730463B1 (ko) 2015-07-10 2015-07-10 교량 집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549A KR101730463B1 (ko) 2015-07-10 2015-07-10 교량 집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998A true KR20170006998A (ko) 2017-01-18
KR101730463B1 KR101730463B1 (ko) 2017-04-26

Family

ID=5799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549A KR101730463B1 (ko) 2015-07-10 2015-07-10 교량 집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4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8365A (zh) * 2017-10-13 2018-01-09 岑罗琼 一种新型的桥梁排水用防堵装置
KR102265280B1 (ko) 2020-04-29 2021-06-15 태은이엔지 주식회사 교량용 집수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831A (ko) 2005-03-25 2006-09-28 이창수 교량용 집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926365B1 (ko) 2009-05-14 2009-11-10 윤재경 교량 집수관 및 배수관 연결 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KR20120091685A (ko) 2011-02-09 2012-08-20 주식회사 세진기술개발 교량 집수구 및 그 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992Y1 (ko) * 2006-08-04 2006-10-17 권혁중 우수받이용 이물질 걸름장치
KR100994674B1 (ko) * 2010-08-05 2010-11-16 오환원 교량 신축이음부의 이물질 제거 및 배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831A (ko) 2005-03-25 2006-09-28 이창수 교량용 집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926365B1 (ko) 2009-05-14 2009-11-10 윤재경 교량 집수관 및 배수관 연결 장치와 이의 시공방법
KR20120091685A (ko) 2011-02-09 2012-08-20 주식회사 세진기술개발 교량 집수구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8365A (zh) * 2017-10-13 2018-01-09 岑罗琼 一种新型的桥梁排水用防堵装置
CN107558365B (zh) * 2017-10-13 2018-07-13 湖北正茂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的桥梁排水用防堵装置
KR102265280B1 (ko) 2020-04-29 2021-06-15 태은이엔지 주식회사 교량용 집수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463B1 (ko)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7266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KR100896015B1 (ko)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100721237B1 (ko) 초기 우수에 의한 오염 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GB2417437A (en) A separator
KR101582931B1 (ko)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101730463B1 (ko) 교량 집수장치
KR20160087099A (ko) 마제형 아치 형상을 갖는 교량용 배수장치
AU2005316557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particulates from a fluid stream
KR200436505Y1 (ko) 교량용 집수구
KR101155280B1 (ko)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0208312Y1 (ko) 여과조가 구비된 도로용 빗물 집수구
KR20060070948A (ko) 배수관로
JP2004314000A (ja) 油水分離槽
US20050125936A1 (en) Cleaning device
KR102217748B1 (ko) 맨홀 여과 장치
CN216689658U (zh) 一种具有集沙功能的化工厂区雨水明沟
CN217439061U (zh) 雨水净化调蓄系统
CN209989159U (zh) 一种雨水处理装置
KR20110138653A (ko) 맨홀용 정화장치
KR200265885Y1 (ko) 도로의 빗물 집수구용 집수박스
KR200338729Y1 (ko) 배수량의 저하를 방지하는 하수구용 구조물
KR20100005904U (ko) 교량용 집수구
JP2791626B2 (ja) 側溝用ブロック
KR20160149029A (ko) 경사 연결형 교량 배수 장치
KR200215826Y1 (ko) 도로용 빗물 집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