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280B1 -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280B1
KR101155280B1 KR1020100010702A KR20100010702A KR101155280B1 KR 101155280 B1 KR101155280 B1 KR 101155280B1 KR 1020100010702 A KR1020100010702 A KR 1020100010702A KR 20100010702 A KR20100010702 A KR 20100010702A KR 101155280 B1 KR101155280 B1 KR 101155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pipe
outer body
initial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3020A (ko
Inventor
고재용
Original Assignee
고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용 filed Critical 고재용
Priority to KR1020100010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280B1/ko
Publication of KR20100023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3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3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sediment trap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8Mobile apparatus and plants, e.g. mounted on a vehicle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또는 교량의 상판에 발생한 초기우수에 혼입된 중금속, 오일류, 타이어분진 및 각종 협잡물( 이하 "비점오염원"이라 함)이 우수와 함께 하천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시키는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수관을 따라 이동한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유입관이 몸통 측면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통의 상부에 단턱을 매개로 확관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확관부에는 내체의 격판에 의해 생성되는 저류부로 유입된 초기우수내의 비점오염물을 필터링하는 필터가 장착되어지는 비점오염원필터링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비점오염물이 분리된 처리우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깔대형상을 이루는 바닥면의 중앙에 처리우수배수관이 형성되어 있는 외체와; 상기 외체의 우수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우수가 선회 이동이 가능하도록하는 작은 직경의 선회유도몸통이 외체의 몸통 내부로 위치하여지고, 상기 선회유도몸통의 상부에는 외체의 상부 단턱에 걸쳐 짐과 동시에 우수유입관으로 유입된 초기우수가 부유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우수부유구가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격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판의 윗쪽에는 선회유도몸통과 대응하는 원통형의 한계수위격벽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한계수위격벽에 의해 상기 외체의 확관부 내로 초기우수로부터 비점오염원의 안정된 분리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초기우수의 이동속도를 저감시키는 저류부가 생성되어지게 되는 내체와; 상기 외체의 상부로 씌워지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First rain disposal plant of road or bridge}
본 발명은 도로 또는 교량의 상판에 발생한 초기우수에 혼입된 중금속, 오일류, 타이어분진 및 각종 협잡물( 이하 "비점오염원"이라 함)이 우수와 함께 하천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차단시키는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구조 단순화로 시장경쟁력 확보와 함께 안정적으로 비점오염처리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나, 교량 또는 고가도로의 노면은 차량으로부터 발생하는 중금속, 오일류, 타이어분진 및 각종 협잡물(이하"비점오염원"이라 함)에 의해 오염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도로나, 교량 또는 고가도로의 노면에 발생 된 비점오염원은 우천시 빗물에 쓸려 초기우수에 혼입되어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흘러 들어가게 되어 수질오염을 야기시킴은 물론, 도로 주변의 농경지로 유입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 오염은 물 부족현상을 초래하게 되고, 비점오염원에 의한 농경지 오염은 재배되는 농작물의 오염까지도 초래하여 건강한 먹거리를 수확할 수 없게 한다.
비점오염원이 상기와 같은 폐해를 야기시킴에도 불구하고, 교통체증 해소와 물류의 원활한 운송 및 전국 일일 생활권을 모토로하여 수 많은 도로와 교량이 거미줄 처럼 건설되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수 많은 도로 및 교량이 건설되어 짐으로써,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오염과 농경지의 오염이 광범위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도로나 교량에서 발생한 비점오염원 처리에 적합하도록 특성화된 초기우수 처리장치가 제공되고 있지 아니하여 도로나 교량에서 발생한 비점오염원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더불어 비점오염원에 의한 폐해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어 비점오염물 처리장치의 설치에 적극적이지 않다.
도로 및 교량에서 발생한 비점오염원을 처리하는 처리장치의 시공에 적극적이지 않은 이유는 기존 비점오염원 처리장치의 구조에서 기인한다.
기존의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는 불특정 다수 지역에 발생한 비점오염원의 처리에 적합하도록 제작되어 있기 때문이다.
불특정 다수의 장소에서 발생한 비점오염원은 도로나 교량에서 발생한 비점오염원 보다 다양한 수의 비점오염원을 포함하고 있게 되어 다양한 처리기능이 필요로 하게 되고, 기능의 다양화는 구조가 복잡해 질 수 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부피가 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부피가 큰 기존의 비점오염원은 시공에 필요한 설치장소의 공간확보가 충분하게 확보되어져야 함으로 설치공간 확보에 따른 어려움 있고, 구조의 복잡함은 생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여 비싼 가격이 도로 또는 교량용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로 활용하는데 크나 큰 장애요소가 되고 있으며, 다양한 처리기능을 발휘하도록 된 기존의 비점오염원 처리장치는 구조가 복잡할 수 밖에 없어 유지보수에따른 관리에 어려움이 동반 됨은 물론, 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구조를 도로 또는 교량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에 적합한 구조로의 개량과 더불어 구조 단순화에 따른 로 제작원가를 현저하게 절감하고, 동시에 콤팩트한 크기로 개량함으로써, 최소의 설치공간 확보로도 시공 설치가 가능하였으며, 구조의 단순화는 유지관리에 따른 관리비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어 시장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 또는 고가도로의 상판 양쪽으로 형성되어진 수로(水路)상에 설치되어 상판의 교면에 발생한 빗물이 집수되어 배수관을 따라 배수된 초기우수에 혼입된 비점오염원을 정화 처리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배수관을 따라 이동한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유입관이 몸통 측면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통의 상부에 단턱을 매개로 확관부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확관부에는 내체의 격판에 의해 생성되는 저류부로 유입된 초기우수내의 비점오염물을 필터링하는 필터가 장착되어지는 비점오염원필터링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비점오염물이 분리된 처리우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깔대형상을 이루는 바닥면의 중앙에 처리우수배수관이 형성되어 있는 외체와;
상기 외체의 우수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우수가 선회 이동이 가능하도록하는 작은 직경의 선회유도몸통이 외체의 몸통 내부로 위치하여지고, 상기 선회유도몸통의 상부에는 외체의 상부 단턱에 걸쳐 짐과 동시에 우수유입관으로 유입된 초기우수가 부유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우수부유구가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격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판의 윗쪽에는 선회유도몸통과 대응하는 원통형의 한계수위격벽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한계수위격벽에 의해 상기 외체의 확관부 내로 초기우수로부터 비점오염원의 안정된 분리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초기우수의 이동속도를 저감시키는 저류부가 생성되어지게 되는 내체와;
상기 외체의 상부로 씌워지는 뚜껑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체의 몸통은 우수의 부상속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상광하협(上廣上狹)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체의 몸통에 형성되는 우수유입관과 확관부에 형성되는 비점오염원필터링관은 유입되는 초기우수의 선회 흐름이 가능하도록 몸통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체의 바닥면에는 침전물제거가 가능하도록 침전물제거배관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구조를 도로 또는 교량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 처리에 적합하도록 우수유입관(11)이 몸통(12)에 형성되어 있고, 몸통(12) 상부의 확관부(13)에 필터(100)가 장착되는 비점오염원필터링관(14)을 포함하는 외체(10)에 한계수위격벽(24)을 구비한 내체(20)의 장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써, 구조 단순화에 따른 제작원가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기를 콤팩트하게 하여 최소의 설치공간 확보로도 시공 설치가 가능하였으며, 구조의 단순화는 유지관리에 따른 관리비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어 시장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내부가 드러나게 일 부분을 단면한 부분 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적용한 일 실시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적용한 다른 실시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외체(10)와, 상기 외체(10)의 내부로 위치하는 내체(20) 및 상기 외체(10)의 상부에 씌워지는 뚜껑(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외체(10)는, 배수관(1)을 따라 이동한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유입관(11)이 몸통(12) 측면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우수유입관(11)이 형성된 몸통(12)의 상부에는 외향을 향하는 단턱(17)이 경사를 이루면 형성되어 있고, 단턱(17)의 상부쪽으로는 확관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관부(13)에는 비점오염물을 필터링하는 필터(100)가 장착되는 비점오염원필터링관(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비점오염원필터링관(14)으로는 내체(20)상부로 형성된 한계수위격벽(24)에 의해 확관부(13)의 내측으로 생성되는 저류부(30)로 유입된 비점오염원이 배출되면서 필터(100)에 의해 필터링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외체(10)의 바닥면(15)은 비점오염물이 분리된 처리우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깔대형상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 처리우수배수관(1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우수유입관(11)과 비점오염원필터링관(14)은 몸통(12)과 확관부(13) 각각의 원주 선상과 나란하도록 형성되어져 있고,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초기우수가 선회어되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외체(10)의 내부로 형성되는 내체(20)는, 외체(10)의 우수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된 우수가 선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외체(10)의 몸통(12)에 대하여 선회로가 형성되어 질 수 있는 작은 직경의 선회유도몸통(21)이 외체(10)의 몸통(12)과 나란하도록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회유도몸통(21)의 상부에는 외체(10)의 상부 단턱(17)에 걸쳐짐과 동시에 우수유입관(11)으로 유입된 초기우수가 부유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우수부유구(23)가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격판(22)을 포함한다.
상기 격판(22)의 윗쪽에는 비점오염의 원활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계수위격벽(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계수위격벽(24)은 외체(10)의 확관부(13) 내측으로 저류부(30)가 형성되어질 수 있도록 작은 직경을 갖고 형성된 것이다.
상기 한계수위격벽(24)의 높이는 선회하여 비점오염원이 가장자리로 몰려 부상하는 초기우수로부터 비점오염원의 제거가 선행되어 질 수 있도록 외체(10)의 확관부(13)로 형성되어 있는 비점오염원필터링관(14)의 내경 중심부에 나란하는 높이를 갖고 형성되어 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는 외체(10)의 몸통(12)은 우수의 부상속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상광하협(上廣上狹)을 이룰 수도 있다.
삭제
상기 외체(10)의 상부 즉, 확관부(13)에 씌워지는 뚜껑(40)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외체(10)의 바닥면(15)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내체(20)의 선회유도몸통(21)과 외체(10)의 몸통(12) 사이에 위치하여지는 부위에 모래 등의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는 침전물제거배관(5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침전물제거배관(50)의 단부에는 개폐밸브(51)를 포함하고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신설 또는 기존 교량 또는 도로의 수로에 설치되어진 집수구로 모아져 배수관을 통해 배수된 우수의 정화 처리가 가능한 위치에 매설 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초기우수 처리장치를 시공할 때에는 외체(10)가 앉혀지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되도록 굴작 작업을 하게 된다.
이후 외체(10)를 안치시킨 상태에서 외체(10)가 안정적으로 매설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보조 보형물(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들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 외체(10)를 가 시공한 상태에서 외체(10)의 몸통(12) 아래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우수유입관(11)에 배수관(1)을 연결한다.
상기 우수유입관(11)과 배수관(1)의 연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비점오염원필터링관(14)에 필터(100)를 장착하게 된다.
상기 외체(10)의 처리수배수관(16)에는 비점오염원이 제거된 처리우수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천등로 배관되는 배출배수관(2)을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외체(10)의 바닥면(15) 가장자리인 몸통(12)과 이웃하고 내체(20)의 선회유도몸통(21) 외측으로 위치하는 쪽의 바닥면에 존재하게 되는 침전물을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는 침전물제거배관(50)을 설치한다.
외체(10)의 가시공이 완료되어지면, 상기 외체(10) 내부에 내체(20)를 장착한다.
상기 내체(20)를 외체(10)에 설치할 때에는 몸통(12) 내부 중앙으로 선회유도몸통(21)이 위치하도록 한 후, 고정수단(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외체(10) 내부로 내체(20)가 장착되어 짐으로써, 상기 외체(10)의 확관부(13) 내측에는 내체(20)의 한계수위격벽(24)에 의해 저류부(30)가 형성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초기우수처리장치의 가 시공 완료되어지면, 굴삭되어진 부위를 매립하여 초기우수처리장치의 설치를 안정화 시킨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진 초기우수처리장치는 도로 또는 교량에 우수가 발생하여 집수구의 배수관(1)을 따라 배수되어지면, 상기 배수관(1)과 연결된 우수유입관(11)을 통해 외체(10)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된 초기우수는 내체(20)의 선회유도몸통(21)에 의해 선회 되어지면서 부유하게 된다.
상기 초기우수가 선회 될 수 있는 것은 우수유입관(11)이 몸통(12)의 원주 선상에 대하여 나란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선회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선회되어지면서 부상하는 초기우수는 내체(20)의 격판(22)에 형성되어 있는 우수부유구(23)를 통해 부유하게 되고, 우수부유구(23)를 통과한 초기우수는 한계수위격벽(24)에 부딛치면서 부유 속도가 저감 됨과 동시에 체적이 넓은 저류부(30)에서 저류하게 된다.
상기 저류부(30)에서 느린속도로 선회 이동하는 초기우수내의 비점오염원은 원심력에 의해 확관부(13)의 가장자리를 따라 선회 이동되어지게 되고, 그 과정에서 비점오염원필터링관(14)으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비점오염원이 상기 비점오염원필터링관(14)으로 배출될 때, 상기 비점오염원필터링관(14)에 장착된 필터(100)에 비점오염원이 필터링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비중이 낮은 비점오염원(오일류)이 분리 제거되어진 초기우수의 처리수는 한계수위격벽(24)을 넘어 외체(10)의 바닥면(15)으로 형성되어진 처리수배수관(16)을 통해 상기 처리수배수관(16)과 연결된 배출배수관(2)을 따라 배수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교량 또는 도로에 발생한 초기우수내의 비점오염원 처리한 초기우수처리장치는 다음 우천시를 대비하여 관리해야 하는데, 먼저 비점오염원필터링관(14)에 장착된 필터(100)를 교환하게 되고, 침전물제거배관(50)의 개폐밸브(51)를 개방하여 쌓인 침전물을 배출시켜 처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초기우수처리장치를 관리해 둠으로써, 도로와 교량에 발생하는 초기우수내의 비점오염원 지속적으로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시도로써, 외체(10)의 몸통(12)이 상부에서 아래로 가면서 좁아지는 상광하협(上廣上狹)형으로 우수유입관(11)을 따라 유입된 초기우수가 선회 부상 이동할 때 체적 변화에 따라 우수의 흐름속도가 점차적으로 느려져 초기우수로부터 비점오염원의 처리 효율을 더욱 높인 것이다.
10 : 외체 11 : 우수유입관
12 : 몸통 13 : 확관부
14 : 비점오염원필터링관 15 : 바닥면
16 : 처리수배수관 17 : 단턱
20 : 내체 21 : 선회유도몸통
22 : 격판 23 : 우수부유구
24 : 한계수위격벽 30 : 저류부
40 : 뚜껑 50 : 침전물제거배관
51 : 개폐밸브 100 : 필터

Claims (6)

  1. 교량 또는 고가도로의 상판 양쪽으로 형성되어진 수로(水路)상에 설치되어 상판의 교면에 발생한 빗물이 집수되어 배수관을 따라 배수된 초기우수에 혼입된 비점오염원을 정화 처리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배수관(1)을 따라 이동한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유입관(11)이 몸통(12) 측면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통(12)의 상부에 단턱(17)을 매개로 확관부(13)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확관부(13)에는 내체(20)의 격판(22)에 의해 생성되는 저류부(30)로 유입된 초기우수내의 비점오염물을 필터링하는 필터(100)가 장착되어지는 비점오염원필터링관(14)이 형성되어 있으며, 비점오염물이 분리된 처리우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깔대형상을 이루는 바닥면(15)의 중앙에 처리우수배수관(16)이 형성되어 있는 외체(10)와;
    상기 외체(10)의 우수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된 우수가 선회 이동이 가능하도록하는 작은 직경의 선회유도몸통(21)이 외체(10)의 몸통(12) 내부로 위치하여지고, 상기 선회유도몸통(21)의 상부에는 외체(10)의 상부 단턱(17)에 걸쳐 짐과 동시에 우수유입관(11)으로 유입된 초기우수가 부유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우수부유구(23)가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격판(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판(22)의 윗쪽에는 선회유도몸통(21)과 대응하는 원통형의 한계수위격벽(24)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한계수위격벽(24)에 의해 상기 외체(10)의 확관부(13) 내로 초기우수로부터 비점오염원의 안정된 분리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초기우수의 이동속도를 저감시키는 저류부(30)가 생성되어지게 되는 내체(20)와;
    상기 외체(10)의 상부로 씌워지는 뚜껑(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외체(10)의 몸통(12)은 우수의 부상속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상광하협(上廣上狹)형인 것을 특징을 하는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체(10)의 몸통(12)에 형성되는 우수유입관(11)과 확관부(13)에 형성되는 비점오염원필터링관(14)은 유입되는 초기우수의 선회 흐름이 가능하도록 몸통(12)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체(10)의 바닥면(15)에는 침전물제거가 가능하도록 침전물제거배관(50)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20100010702A 2010-02-05 2010-02-05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155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702A KR101155280B1 (ko) 2010-02-05 2010-02-05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702A KR101155280B1 (ko) 2010-02-05 2010-02-05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020A KR20100023020A (ko) 2010-03-03
KR101155280B1 true KR101155280B1 (ko) 2012-06-18

Family

ID=42175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702A KR101155280B1 (ko) 2010-02-05 2010-02-05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980B1 (ko) * 2010-04-23 2011-03-02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용 침투정
CN109229291A (zh) * 2018-11-08 2019-01-18 张家港鑫龙泰环保机械有限公司 一种净化式水面清洁船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526B1 (ko) * 2006-06-02 2006-10-27 동남이엔씨(주) 교량용 초기우수 정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526B1 (ko) * 2006-06-02 2006-10-27 동남이엔씨(주) 교량용 초기우수 정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3020A (ko)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719B1 (ko)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949325B1 (ko)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WO2007011864A2 (en) Storm water runoff treatment system
CN103408156A (zh) 立交桥雨水净化与收集利用综合方法与系统
KR10091331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167963B1 (ko)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일과 슬러지를 중력에 의해 부상, 침전 및 여과시켜 처리하는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20160056467A (ko)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
JP2006316529A (ja) 非点汚染源除去装置
KR20120126398A (ko) 교량용 배수장치
KR100922895B1 (ko)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우수 유입구에 적용가능한 우수여과장치
KR101582931B1 (ko)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20050112624A (ko) 우수처리장치
KR101155280B1 (ko)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1339455B1 (ko) 다단분리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
KR101714397B1 (ko) 교량용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100988864B1 (ko) 수처리 시스템
JP4618737B2 (ja) 路面排水処理槽
JP4320758B2 (ja) 排水処理設備
KR20100059750A (ko)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1154026B1 (ko)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KR101035493B1 (ko) 여과식 비점오염 정화 장치
KR102217748B1 (ko) 맨홀 여과 장치
KR100978238B1 (ko)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1737730B1 (ko) Lid형 도로의 비점 오염물질 저감 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