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8719B1 -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8719B1
KR100718719B1 KR1020060022660A KR20060022660A KR100718719B1 KR 100718719 B1 KR100718719 B1 KR 100718719B1 KR 1020060022660 A KR1020060022660 A KR 1020060022660A KR 20060022660 A KR20060022660 A KR 20060022660A KR 100718719 B1 KR100718719 B1 KR 100718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tank
point
rainfall runoff
fil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8470A (ko
Inventor
전양근
이대근
노성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Priority to KR1020060022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719B1/ko
Publication of KR20060028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초기 강우와 함께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단 구부를 통해 최초 강우유출수와 함께 비점오염물질이 유입되도록 하면서 하부 일측에는 유입된 강우유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수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수관에는 비점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한 제1 필터부재가 설치된 침전조; 상기 침전조에 이웃하면서 매설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침전조로부터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도록 하면서 하부 일측에는 유입된 강우유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수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수관의 상측 공간에는 유입된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제2 필터부재가 설치된 여과조; 및 상기 이웃하는 침전조와 여과조를 구획하되, 상기 제2 필터부재가 설치되는 상측에는 침전조로부터 여과조로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되면서 그 상단은 침전조의 상단보다 높게 돌출되어 차/보도의 경계석을 이루도록 형성된 분리벽;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으로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초기 강우유출수와 함께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설치 장소와 공간의 효율적인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 OF NON-POINT SOURCES BY THE EARLY-STAGE STORM RUNOFF}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를 도시한 A-A선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침전조를 도시한 B-B선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여과조를 도시한 C-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경계석 20: 측구수로
30: 맨홀 40: 하수관
100: 침전조 110: 제1 배수관
120: 제1 필터부재 130: 측구연결구
140: 제1 저수조 150: 그레이트
160: 스틸플레이트 200: 여과조
210: 제2 배수관 220: 제2 필터부재
230: 단턱 240: 제2 저수조
250, 260: 스틸플레이트 300: 분리벽
320: 유입구
본 발명은 우천시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초기 강우유출수와 함께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설치 장소와 공간의 효율적인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오염물질과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벌채지, 폐기물처리장, 쓰레기매립장, 도로, 주차장, 광장, 정류장, 밀집 주거지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로 나눌 수 있다.
이에, 상기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가정이나 공장, 축산농가 등에 별도의 정화장치나 폐수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오염물질의 정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비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배출지역이 불분명하고 광범위한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우천시 빗물과 함께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되어 수질오염을 야기하는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비점오염물질이 초기 강우와 함께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 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는 설치하기 위한 장소와 공간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즉,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는 일정 범위 내의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비점오염물질과 함께 흘러내리는 초기 강우를 수용하고 정화할 수 있는 정도로 비교적 큰 규모가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설치함에 있어서 장소와 공간의 확보가 매우 어렵다.
특히, 종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도로, 주차장, 광장, 정류장, 밀집 주거지 등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 장소와 공간의 확보가 더욱 어렵기 때문에 상기 비점오염원에 대한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활발한 설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한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규모를 작게 할 수도 있겠으나, 이 경우 초기 강우유출수의 수용용량과 비점오염물질의 정화용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효율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설치 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유지관리가 불편하다.
따라서 앞서 설명된 여러 가지 문제점들에 의해 현재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활발한 설치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많은 량의 비점오염물질이 초기 우수와 함께 하천, 내만, 호소 등으로 유입되어 심각한 수질오염의 원인이 됨에 따라 이에 대한 시급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초기 강우유출수와 함께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설치 장소와 공간의 효율적인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설치 수를 줄이면서 도로, 주차장, 광장, 정류장, 밀집 주거지 등과 같은 광범위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초기 강우와 함께 흘러내리는 비점오염물질의 원활한 회수와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초기 강우와 함께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단 구부를 통해 최초 강우유출수와 함께 비점오염물질이 유입되도록 하면서 하부 일측에는 유입된 강우유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수관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1 배수관에는 비점오염물질을 정화하면서 정화된 우수를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제1 필터부재가 설치된 침전조; 상기 침전조에 이웃하면서 매설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침전조로부터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도록 하면서 하부 일측에는 유입된 강우유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수관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2 배수관의 상측 공간에는 유입된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면서 여과된 우수를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제2 필터부재가 설치된 여과조; 및 상기 이웃하는 침전조와 여과조를 구획하되, 상기 제2 필터부재가 설치되는 상측에는 침전조로부터 여과조로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되면서 그 상단은 침전조의 상단보다 높게 돌출되어 차/보도의 경계석을 이루도록 형성된 분리벽;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침전조의 제1 배수관이 형성된 타측 단부에는 도로, 주차장, 광장, 정류장 등의 보/차도 경계 부분에 설치된 측구수로와 연결되어 상기 측구수로를 통해 초기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측구연결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침전조와 여과조의 제1,2 배수관이 형성된 일측에는 제1,2 필터부재를 통해 정화된 우수를 1차 저장한 후 배출시키기 위한 제1,2 저수조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침전조와 여과조의 바닥은 제1,2 배수관이 형성된 일측 바닥이 타측 바닥보다 낮은 비탈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침전조 내부 공간으로 노출된 제1 배수관 상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필터부재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제1 배수관의 외면 을 커버하기 위한 제1 부직포와 상기 제1 부직포의 외측에 일정두께로 균일한 공극을 갖는 자갈층과 상기 자갈층의 외면을 커버하기 위한 제2 부직포와 상기 제2 부직포를 커버하기 위한 철망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 필터부재는 여과조 내부 공간의 단턱에 안착되어 제2 배수관 상에 횡방향으로 구획 설치되는 그레이트와 상기 그레이트 상측에 적층되는 필터메디아매트층과 상기 필터메이다매트층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오라이트여재층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침전조의 구부에는 초기 강우유출수의 원활한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그레이트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여과조 및 제1,2 저수조의 구부는 외부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틸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를 도시한 A-A선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침전조를 도시한 B-B선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의 여과조를 도시한 C-C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에 대하여 도로, 주차장, 광장, 정류장, 주거 지 등 보/차도의 경계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초기 강우와 함께 비점오염물질이 유입되도록 비점오염원측에 설치되는 침전조(100), 상기 침전조(100)에 이웃하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침전조로부터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여과조(200) 및 상기 침전조와 여과조를 구획하면서 비점오염원인 도로, 주차장, 광장, 정류장, 밀집 주거지 등의 경계석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분리벽(30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의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는 비점오염원에 있어서 도로, 주차장, 광장, 정류장, 주거지 등 보/차도의 경계지점에 설치되는바, 상기 분리벽(300)은 기존의 경계석(10)과 같은 선상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침전조(100)는 비점오염원측에 설치되고 여과조(200)는 비점오염원의 타측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침전조(100)의 일단부는 보/차도의 경계에 연하여 형성되는 측구수로(2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침전조(100)와 여과조(200)에 유입되어 정화된 우수는 맨홀(30)을 통해 하수관(40)으로 배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상기 침전조(100)는 상단 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강우유출수를 일정량 저장하면서 하수관(40)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되, 하수관(40)으로 배출시 초기 강우유출수와 함께 유입된 비점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즉, 침전조(100)의 일측 하부에는 유입된 강우유출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제1 배수관(110)이 형성되면서 침전조(100) 내부로 노출된 제1 배수관(110)의 단부에는 제1 필터부재(1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침전조(100) 내부로 노출된 제1 배수관(110)의 단부에는 다수개의 통공(112)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외면에 제1 필터부재(120)가 커버되는데, 상기 제1 필터부재(120)는 다수개의 통공(112)이 형성된 제1 배수관(110)의 외면을 커버하기 위한 제1 부직포(122)와 상기 제1 부직포(122)의 외측에 일정두께로 균일한 공극을 갖는 자갈층(124)과 상기 자갈층(124)의 외면을 커버하기 위한 제2 부직포(126)와 상기 제2 부직포(126)를 커버하기 위한 철망(128)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침전조(100)의 제1 배수관(110)이 형성된 타측 단부에는 도로, 주차장, 광장, 정류장, 밀집 주거지 등의 보/차도 경계 부분에 설치된 측구수로(20)와 연결되어 상기 측구수로(20)를 통해 초기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측구연결구(13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측구수로(20)는 기존의 보/차도 경계 부분에 형성되어 도로나 주차장 또는 광장 등의 넓은 공간에 내린 우수를 하수구(40)로 안내하기 위한 시설로서, 이를 통해 넓은 공간(비점오염원)에 내린 초기 강우유출수를 침전조(100)로 원활하게 유입시켜 비점오염물질에 대한 효율적인 수거와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된 침전조(100)의 타측 단부는 측구수로(20)와 연통되어 초기 강우유출수와 함께 비점오염물질이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절개된 측구연결구(1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침전조(100)의 제1 배수관(110)이 형성된 일측에는 제1 필터부재(120)를 통해 정화된 우수를 1차 저장한 후 하수구(40)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1 저수조(1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저수조(140)의 상단 높이는 상기 침전조(100)의 상단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침전조(100) 상단의 구부는 쓰레기와 같은 비교적 큰 폐기물은 거르면서 우수와 함께 비점오염물질의 원활한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그레이트(150)로 커버하되, 상기 제1 침전조(100)의 구 부는 이물질은 물론이고 초기 우수유출수와 함께 비점오염물질이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된 스틸플레이트(160)로 커버하여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침전조(100)의 바닥은 제1 배수관(110)이 형성된 일측 바닥이 타측 바닥보다 낮은 비탈경사면이 형성됨으로서, 유입된 초기 우수유출수가 제1 배수관(110)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여과조(200)는 침전조(100)에 이웃하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침전조(100)에 일정량 이상 유입된 강우유출수가 앞서 설명된 분리벽(300)의 유입공(320)을 통해 유입되어 하수관(40)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되, 하수관(40)으로 배출시 유입된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정화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여과조(200)의 하부 일측에는 유입된 강우유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수관(21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 배수관(210)의 상측 공간에는 유입된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제2 필터부재(2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여과조(200)의 내부에는 제2 배수관(210)의 상측에 제2 필터부재(220)를 횡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단턱(230)이 형성되는바, 상기 단턱(230)에 안착되는 제2 필터부재(220)는 여과조(200) 내부 공간의 단턱(230)에 안착되어 제2 배수관(210) 상에 횡방향으로 구획 설치되는 그레이트(222)와 상기 그레이트(222) 상측에 적층되는 필터메디아매트층(224)과 상기 필터메이다매트층(224)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오라이트여재층(226)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여과조(200)의 제2 배수관(210)이 형성된 일측에는 제2 필터부재(220)를 통해 정화된 우수를 1차 저장한 후 하수구(40)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2 저 수조(2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 저수조(240)의 상단 높이는 앞서 설명된 분리벽(300)의 상단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여과조(200)와 제2 저수조(240) 상단의 구부는 이물질은 물론이고 초기 우수유출수와 함께 비점오염물질이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된 스틸플레이트(250, 260)로 커버하여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여과조(200)의 바닥은 제2 배수관(210)이 형성된 일측 바닥이 타측 바닥보다 낮은 비탈경사면이 형성됨으로서, 유입된 우수유출수가 제2 배수관(210)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의 사용상태를 살펴본다.
먼저, 도로, 주차장, 광장, 정류장, 밀집 주거지 등에 설치되는 경우 보/차도의 경계석(10) 선상에 상기 분리벽(300)이 위치되도록 한 상태로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를 지반에 매설한다.
이때, 상기 침전조(100)는 우수유출수가 흘러 유입되도록 구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그레이트(150)가 안착되는 한편, 그 일측 제1 저수조(140)의 노출된 구부는 우수유출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스틸플레이트(160)로 밀폐 커버한다. 또한, 상기 침전조(100)의 제1 저수조(140)가 형성된 반대 측에는 기존의 측구수로(20)가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여과조(200)와 제2 저수조(240)의 구부는 초기 강우유출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스틸플레이트(250, 260)로 밀폐 커버하는 바, 이와 같은 여과조 (200)와 제2 저수조(240)는 보/차도에 의해 매설되도록 하거나 상기 보/차도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침수조(100)와 여과조(200) 및 제1,2 저수조(140, 240)의 구성이 기존에 설치된 보/차도 사이에 균등한 비율로서 설치되기 때문에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면서 측구수로(20) 등의 기존 배수시설을 통해 비점오염물질의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에 의하면 침전조와 여과조의 이중 정화구성을 통해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초기 강우유출수와 함께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정화함으로서 비점오염물질에 대한 정화 효율이 보다 향상될 뿐만 아니라, 보/차도의 경계에 설치 가능함으로서 설치 장소와 공간의 확보가 보다 용이하고 효율적인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나아가, 기존의 측구수로를 이용하여 도로, 주차장, 광장, 정류장, 밀집 주거지 등과 같은 광범위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초기 강우와 함께 흘러내리는 비점오염물질의 보다 원활한 회수와 효율적인 정화가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 휘된다.

Claims (6)

  1.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초기 강우와 함께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단 구부를 통해 최초 강우유출수와 함께 비점오염물질이 유입되도록 하면서 하부 일측에는 유입된 강우유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수관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1 배수관에는 비점오염물질을 정화하면서 정화된 우수를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제1 필터부재가 설치된 침전조;
    상기 침전조에 이웃하면서 매설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침전조로부터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도록 하면서 하부 일측에는 유입된 강우유출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수관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2 배수관의 상측 공간에는 유입된 강우유출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여과하면서 여과된 우수를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제2 필터부재가 설치된 여과조; 및
    상기 이웃하는 침전조와 여과조를 구획하되, 상기 제2 필터부재가 설치되는 상측에는 침전조로부터 여과조로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되면서 그 상단은 침전조의 상단보다 높게 돌출되어 차/보도의 경계석을 이루도록 형성된 분리벽;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침전조의 제1 배수관이 형성된 타측 단부에는 도로, 주차 장, 광장, 정류장 등의 보/차도 경계 부분에 설치된 측구수로와 연결되어 상기 측구수로를 통해 초기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측구연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제1 배수관이 형성된 일측에는 제1 필터부재를 통해 정화된 우수를 1차 저장한 후 배출시키기 위한 제1 저수조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조의 제2 배수관이 형성된 일측에는 제2 필터부재를 통해 정화된 우수를 1차 저장한 후 배출시키기 위한 제2 저수조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바닥은 상기 제1 배수관이 형성된 일측 바닥이 타측 바닥보다 낮은 비탈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조의 바닥은 제2 배수관이 형성된 일측 바닥이 타측 바닥보다 낮은 비탈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 내부 공간으로 노출된 제1 배수관 상에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필터부재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제1 배수관의 외면을 커버하기 위한 제1 부직포와 상기 제1 부직포의 외측에 일정두께로 균일한 공극을 갖는 자갈층과 상기 자갈층의 외면을 커버하기 위한 제2 부직포와 상기 제2 부직포를 커버하기 위한 철망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 필터부재는 여과조 내부 공간의 단턱에 안착되어 제2 배수관 상에 횡방향으로 구획 설치되는 그레이트와 상기 그레이트 상측에 적층되는 필터메디아매트층과 상기 필터메이다매 트층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오라이트여재층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구부에는 초기 강우유출수의 원활한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그레이트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여과조 및 제1,2 저수조의 구부는 외부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틸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20060022660A 2006-03-10 2006-03-10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718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660A KR100718719B1 (ko) 2006-03-10 2006-03-10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660A KR100718719B1 (ko) 2006-03-10 2006-03-10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470A KR20060028470A (ko) 2006-03-29
KR100718719B1 true KR100718719B1 (ko) 2007-05-15

Family

ID=3713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660A KR100718719B1 (ko) 2006-03-10 2006-03-10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8719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634B1 (ko) 2009-09-23 2010-02-12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949325B1 (ko) 2009-04-17 2010-03-23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951098B1 (ko) 2009-10-06 2010-04-07 (주)신우이앤씨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KR101011193B1 (ko) * 2008-10-28 2011-01-26 이호석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052546B1 (ko) 2011-06-09 2011-07-29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측구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065370B1 (ko) 2008-12-03 2011-09-16 신강하이텍(주) 도로 및 교량의 위치에너지를 활용한 수리 동력학적 강우유출수 처리설비
KR20170000981A (ko) 2015-06-25 2017-01-04 이주승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59508B1 (ko) 2018-07-26 2019-03-18 (주)랜드로드 우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59509B1 (ko) 2018-07-26 2019-03-18 (주)랜드로드 빗물 배수구 오염물질 여과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50745A (ko) 2019-04-23 2019-05-13 (주)랜드로드 빅데이터 기반의 우수 여과 장치의 IoT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47645A (ko) 2019-10-22 2021-04-30 (주)랜드로드 부력을 이용한 모노필라멘트 필터 인장방식 초기 우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591B1 (ko) * 2006-04-20 2007-03-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우수관거 기능의 선형침투시스템
KR100791965B1 (ko) * 2006-11-09 2008-01-04 주식회사 아썸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수 처리장치
KR100725161B1 (ko) * 2006-11-30 2007-06-07 우암종합건설(주) 비점오염물질 저감용 침전장치
KR100783048B1 (ko) * 2007-08-27 2007-12-07 제이에이건설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0901263B1 (ko) * 2009-01-30 2009-06-08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이온 교환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자연형 비점 오염원 저감장치
KR101311001B1 (ko) * 2012-02-09 2013-09-24 한국도로공사 모래여과조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및 그 저감 시설물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방법
KR101450430B1 (ko) * 2013-01-25 2014-10-13 한국도로공사 분리형 초생수로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및 그 저감시설물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867B1 (ko) 2003-07-26 2005-05-27 주식회사 포모나환경기술 초기우수유출수 비점오염물질 정화처리장치
KR100505161B1 (ko) 2005-05-06 2005-08-01 (주)대성그린테크 복합여재를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
KR20050080107A (ko) * 2005-07-12 2005-08-11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867B1 (ko) 2003-07-26 2005-05-27 주식회사 포모나환경기술 초기우수유출수 비점오염물질 정화처리장치
KR100505161B1 (ko) 2005-05-06 2005-08-01 (주)대성그린테크 복합여재를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
KR20050080107A (ko) * 2005-07-12 2005-08-11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193B1 (ko) * 2008-10-28 2011-01-26 이호석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065370B1 (ko) 2008-12-03 2011-09-16 신강하이텍(주) 도로 및 교량의 위치에너지를 활용한 수리 동력학적 강우유출수 처리설비
KR100949325B1 (ko) 2009-04-17 2010-03-23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941634B1 (ko) 2009-09-23 2010-02-12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교량에 설치되는 집수구용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951098B1 (ko) 2009-10-06 2010-04-07 (주)신우이앤씨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비점 오염원 여과처리장치
KR101052546B1 (ko) 2011-06-09 2011-07-29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측구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170000981A (ko) 2015-06-25 2017-01-04 이주승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59508B1 (ko) 2018-07-26 2019-03-18 (주)랜드로드 우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59509B1 (ko) 2018-07-26 2019-03-18 (주)랜드로드 빗물 배수구 오염물질 여과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WO2020022587A1 (ko) 2018-07-26 2020-01-30 (주)랜드로드 빗물 배수구 오염물질 여과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WO2020022586A1 (ko) 2018-07-26 2020-01-30 (주)랜드로드 우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50745A (ko) 2019-04-23 2019-05-13 (주)랜드로드 빅데이터 기반의 우수 여과 장치의 IoT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47645A (ko) 2019-10-22 2021-04-30 (주)랜드로드 부력을 이용한 모노필라멘트 필터 인장방식 초기 우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470A (ko)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719B1 (ko)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706269B1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1012749B1 (ko) 개방형 우수처리 장치
KR100949325B1 (ko)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854314B1 (ko) 초기우수 처리시설
US8512555B1 (en) Filt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100984676B1 (ko) 배수 처리용 초기우수 처리 장치
KR100904177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을 정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0959161B1 (ko) 초기우수 처리시스템
KR100681408B1 (ko) 커브길 도로에 설치되는 초기우수 정화 구조물
KR100491866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0904081B1 (ko) 바이패스 수로가 부설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0799251B1 (ko) 우수배수로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0814790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KR100437075B1 (ko) 저류지를 이용한 빗물 정화방법 및 장치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0429768B1 (ko)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그 방법
KR100980412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JP4618737B2 (ja) 路面排水処理槽
KR101532191B1 (ko)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역세척 기능이 가능한 여과블록 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JP2003286741A (ja) 雨水浄化構築物
KR100561092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200287647Y1 (ko) 저류지를 이용한 빗물 정화장치
KR101154026B1 (ko)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KR101155280B1 (ko)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