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981A -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981A
KR20170000981A KR1020150090265A KR20150090265A KR20170000981A KR 20170000981 A KR20170000981 A KR 20170000981A KR 1020150090265 A KR1020150090265 A KR 1020150090265A KR 20150090265 A KR20150090265 A KR 20150090265A KR 20170000981 A KR20170000981 A KR 20170000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weight
unit
filter
rain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5128B1 (ko
Inventor
이주승
Original Assignee
이주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승 filed Critical 이주승
Priority to KR1020150090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12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0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01D35/1435Filter condition indicators with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Abstract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여과망(strainer)을 포함하는 여과부, 강수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여과부로 유입되는 우수량을 측정하는 강수 센서 및 상기 여과망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우수량 및 상기 여과망의 무게를 기초로 상기 여과망의 청소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여과망의 청소 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장치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FILTERING DEVICE FOR RAINFALL RUNOFF AND MONITORING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여과망의 청소 또는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은 배출지점이 뚜렷한 점오염원과 배출지점이 뚜렷하지 않은 비오염원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점오염원은 배출지점에서 별도의 정화장치나 폐수처리시설을 설치하므로 어느 정도 정화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다.
반면에, 비오염원물질은 배출지점이 불분명하고 광범위한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강우와 함께 하천, 강 등과 같은 수계로 유입되어 수질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
특히, 도로에 설치된 배수로에는 자동차의 주행에 의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미립자, 아스팔트 타이어의 마찰에 의한 먼지, 공장의 매연이나 분진 등이 강우와 함께 수계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질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비점오염물질이 초기 강우와 함께 하천, 강 등의 수계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여기서,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는 비점오염물질이 강우와 함께 수계로 유입되는 통로에 스크린을 설치하여 비점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자 한다.
다만, 비점오염물질에 의해 도로의 사면에 고정된 여과 시설에 설치된 스크린이 막히게 되어 강수가 배수로로 유입되는 통로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비점오염감시장치는 대부분 지하구조물 내부에 설치되어 여재의 폐색 여부를 확인하기 곤란하며 이로 인해 청소 및 교환의 시기를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도로의 사면으로 유입되는 토사류나 교통 사고 등의 잔재물 및 기타 우수 이외의 이물질들이 유입되어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에 손상을 주거나 여과기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가 비점오염물질을 여과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0718719호 (2007.05.09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5-0045187호 (2015.04.28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은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여과망의 청소 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여과부에 발생되는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는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로부터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의 청소 또는 여재 교체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아 알릴 수 있는 관제장치를 포함하는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는 여과망(strainer)을 포함하는 여과부, 강수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여과부로 유입되는 우수량을 측정하는 강수 센서 및 상기 여과망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우수량 및 상기 여과망의 무게를 기초로 상기 여과망의 청소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여과망의 청소 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장치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는 햇빛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 소자 및 상기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강우 센서에 의해 상기 강우가 종료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중량 센서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여과망의 무게 감소율을 주기적으로 산출하는 산출 모듈, 상기 무게 감소율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상기 여과망의 무게를 상기 여과망의 기준 무게값과 비교하는 비교 모듈 및 상기 여과망의 무게가 상기 기준 무게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여과망의 청소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여과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부를 제1 우수 통로 및 제2 우수 통로로 분리하는 분리벽, 상기 분리벽을 관통하는 우수 우회홀 및 상기 분리벽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 우회홀을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우수량이 기준 우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개폐부재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장치 통신부는 상기 이벤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술한 여러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상기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의 청소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아 알리는 관제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여과망의 청소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여과부에 발생되는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의 청소 또는 여재교체 필요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아 알릴 수 있는 관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가 도로의 사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의 구성들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판단부에 의해 여과망의 청소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에서 인출된 지지판, 여과부재 및 여과망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에서 개폐 부재가 회전하여 우수 우회홀을 개방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때,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구성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구성(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구성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구성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구성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가 도로의 사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가 도로의 사면(1)에 설치된 배수로(2)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배수로(2)는 도로의 사면(1)에 매입된 구조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는 배수로(2) 중간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는 배수로(2)의 깊이보다 2배 이상 높은 구조로 배수로(2)를 통해 유출되는 모든 강우유출수가 통과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이 섞인 강우유출수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를 통해 도랑(3)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강우유출수는 오염물질이 섞여 유출되는 빗물 또는 눈녹는 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강우유출수는 빗물에 오염물질이 섞여 유출되는 우수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는 도로의 사면(1)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우수가 유출될 수 있는 도랑 또는 배수공 하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의 구성들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는 여과부(110), 센서부(120), 판단부(130) 및 장치 통신부(140)을 포함한다. 또한,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는 전원 제공부(150) 및 카메라(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110)는 우수가 통과되어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여과부(110)는 여과망(111), 여과 부재(112), 지지판(113) 및 분리벽(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망(111)은 여과망 케이스(1111), 여과망 부재(1112) 및 여과망 개폐 부재(1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망 케이스(1111)는 여과부(111) 내에 고정되고, 여과망 부재(111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여과망 케이스(1111)의 일측은 우수가 유입되도록 개방되고, 유입구에 고정되는 타공망 스트레이너(strainer)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여과망 케이스(1111)를 통해 여과망 부재(1112)를 통과한 우수가 수계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여과망 케이스(1111)에 우수가 유입되면 스트레이너가 팽창하여 여과망 부재(1112)가 우수의 압력에 의해 팽창 또는 파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과망 케이스(1111)에는 센서부(120)의 중량센서(122)가 연결되어, 여과망 부재(1112)의 중량 계측시 함께 계측된다.
따라서, 중량센서(122)에 의해 측정된 중량은 여과망 케이스(1111) 및 여과망 부재(1112)의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과망(111)은 여과망 힌지(1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여과망 힌지(1113)는 여과망 케이스(1111)를 여과부(110)의 지지판(113)에 고정시켜 우수가 유입됨에 따라 여과망(11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과망 힌지(1113)는 스탭 부재를 이용하여 지지판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탭 부재의 높이는 중량 센서(122)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낮을 수 있다.
즉, 스탭 부재에 의하면 여과망(111)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중량 센서(122)의 배치에도 불구하고 여과망(111)이 안정적으로 지지판(113)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여과망 개폐 부재(1114)는 여과망(111)을 청소하거나 교체할 때 개방되어 여과망(111)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여과망 개폐 부재(1114)는 여과망 잠금 부재(1115) 및 여과망 열림 부재(1116)에 의해 여과망 케이스(1111)를 개폐할 수 있다.
다만, 여과망 개폐 부재(1114)를 이용하여 여과망 부재(1112)의 청소 또는 교체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살펴 보도록 한다.
여과망 부재(1112)는 여과망 케이스(1111)를 통과하는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여과망 부재(1112)는 오염물질의 양에 따라 여과망 케이스(1111) 형태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수량이 급격히 증가되더라도 여과망 부재(11112)에 수용된 오염물질이 포함된 우수가 월류되어 수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에는 하나의 여과망(111)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 개 이상의 여과망(111) 설치가 가능하다.
여과 부재(112)는 여과부(110)에 설치된 지지판(114)에 결합되고, 우수 유입구와 여과망(11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여과 부재(112)는 일정 크기의 여과 구멍을 가진 매쉬 플레이트 타입일 수 있다.
따라서, 여과 부재(112)는 여과부(110)에 유입된 우수로부터 여과 구멍 크기 이상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여과부재 스토퍼(1121)에 의해 지지판(113)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여과부재 스토퍼(1121)는 우수가 유입됨에 따라 여과 부재(112)가 회전하거나 여과부(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여과부재 스토퍼(1121)는 우수가 유입됨에 따라 여과 부재(112)가 우수 유출 방향으로 회전하여 우수가 직접 여과망(111)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부재 스토퍼(1121)는 고정식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일방향 힌지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일방향 힌지형 여과부재 스토퍼(1121)는 여과망(111) 반대 방향 (즉, 우수 유입 방향)으로 회전되어 여과망(111)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여과 부재(112)는 분리벽(114)에 포함된 여과 부재 서브 스토퍼(1146)에 의해서 여과 부재(112)가 여과망(111) 방향(즉, 우수 유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여과 부재(112)는 여과 부재 스토퍼(1121) 및 여과 부재 서브 스토퍼(1146)에 의해서 여과망(111) 반대 방향 (즉, 우수 유입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는 여과망(111)과 여과 부재(112)를 이용하여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이중으로 여과시킬 수 있다.
지지판(113)은 여과부(110)의 우수 유입구를 통해 여과부(1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113)은 여과망(111) 및 여과 부재(112)와 결합되어 여과망(111) 및 여과 부재(112)와 함께 여과부(1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판(113)은 지지판(113)을 도로 사면(1)으로 인출할 수 있는 인출 레일(1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출 레일(1131)의 일단은 지지판(113)에 결합되고, 인출 레일(1131)의 일단의 반대쪽에 위치한 타단은 여과부(110)의 외부에 고정된다.
다만, 인출 레일(1131)을 통해 지지판(113)이 외부로 인출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살펴 보도록 한다.
분리벽(114)은 여과부(110)에 설치되고, 우수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1 우수 통로(H1) 및 제2 우수 통로(H2)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분리벽(114)은 분리벽 개폐 부재(1141), 가드레일(1143) 및 중량추(1144)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벽 개폐 부재(1141)는 우수 우회홀(1143)을 개폐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분리벽 개폐 부재(1141)는 제1 우수 통로(H1)로 유입된 우수가 기준 우수량 이상일 경우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힌지(1142)에 의해 분리벽(114)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분리벽 개폐 부재(1141)의 회전으로 우수 우회홀(1145)이 개방되는 것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살펴 보도록 한다.
또한, 지지판(114)에는 가드레일(1143) 및 중량추(1144)가 설치될 수 있다.
가드레일(1143) 및 중량추(1144)는 분리벽 개폐부재(1141)가 개방되는 중량 한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가드레일(1143)에는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고, 중량추(1144)가 결합되는 구멍의 위치에 따라 분리벽 개폐부재(1141)가 개방될 수 있는 최소 중량이 달라질 수 있다.
즉, 중량추(1144)가 결합되는 가드레일(1143)의 구멍이 힌지(1142)로부터 멀어질수록 분리벽 개폐부재(1141)가 개방될 수 있는 한계 중량이 증가하고, 힌지(1142)로부터 가까워질수록 한계 중량이 감소할 수 있다.
일례로, 여름과 같이 강수량이 많은 계절에는 중량추(1144)가 결합되는 가드레일(1143)의 구멍을 힌지(1142)로부터 멀리 고정하여 분리벽 개폐부재(1141)가 개방될 수 있는 한계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드레일(1143)과 중량추(1144)를 이용하여 분리벽 개폐부재(114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결국, 가드레일(1143)과 중량추(1144)에 의해 우수 유입량의 변화에 따라 우수 유입 통로가 포화되어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센서부(120)는 강수 센서(121) 및 중량 센서(122)를 포함한다.
강수 센서(121)는 강수 여부 및 우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센서부(120)는 여과부(110)의 우수 유입구에 설치되어 강수 여부 및 유입구로 유입되는 우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강수 센서(121)는 외부 강우량을 측정하는 센서로서, 강우 초기의 빗물을 감지하거나 또는 강우가 종료되었을 경우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강수 센서(120)는 일정 시간 동안 유입구를 통과하는 우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
중량 센서(122)는 여과망(1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여과부(110)에 포함되는 여과망(111)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중량 센서(122)는 여과망(111)의 하부에 복수로 설치되어 여과망(111)에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120)를 이용하여 여과망(111)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판단부(130)는 센서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부(120)에 의해 측정된 정보로부터 여과망(111)의 청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판단부(130)는 센서부(120)에 의해 측정된 우수량 및 여과망(111)의 무게를 분석하여 여과망(111)의 청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130)는 강수 센서(121)에 의해 강수가 종료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중량 센서(122)에서 여과망(111)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여과망(111)의 무게가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미리 설정된 기준 무게 이상일 경우, 판단부(130)는 여과망(111)에 청소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판단부(130)의 구체적인 판단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살펴 보도록 한다.
또한, 판단부(130)는 강수 센서(121)에 의해 강수가 종료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중량 센서(122)와 전원 공급부(1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는 강수 중일 때는 중량 센서(122)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고, 강수가 종료되었을 때만 중량 센서(122)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는 강수가 종료된 경우에 중량 센서(112)를 통해 우수의 영향이 없는 여과망(111)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130)는 강수 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우수량을 기초로 분리벽 개폐 부재(1141)을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판단부(130)는 유입부(110)로 유입되는 우수량이 기준 우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분리벽 개폐 부재(1141)을 회전시켜 우수 우회홀(1145)을 개방시킬 수 있다.
즉, 판단부(130)는 우수 우회홀(1145)을 개방시켜 우수량이 급격히 증가한 경우에 우수가 제1 우수 통로(H1)를 빠져나가지 못하고 제1 우수 통로(H1)에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130)는 산출 모듈(131), 비교 모듈(132) 및 판단 모듈(133)을 포함할 수 있다.
산출 모듈(131)은 여과망(111)의 무게 감소율을 주기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산출 모듈(131)은 중량 센서(112)에 의해 일정 주기마다 측정되는 여과망(111)의 무게를 이용하여 주기당 감소율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여과망(111) 무게의 주기당 감소율은 강수가 종류된 후 오염물질에 우수가 건조됨에 따라 우수의 영향이 없는 (즉, 건조한 상태의) 오염물질의 무게를 알기 위함이다.
비교 모듈(132)은 중량 센서(122)에 의해 측정된 여과망(111)의 무게와 기설정된 기준 무게값을 비교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비교 모듈(132)은 여과망(111) 무게의 증감 기울기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을 경우의 여과망(111)의 무게와 기준 무게값을 비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모듈(132)에 의하면 여과망(111)에 흡수된 우수가 제거된 여과망(111)의 무게를 기준 무게값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무게값은 여과망(111)에 수용될 수 있는 건조한 상태의 오염물질의 중량을 기초로 기설정될 수 있다.
판단 모듈(133)은 측정된 여과망(111)의 무게를 기초로 여과망(111)의 청소 여부를 판단한다.
상세하게는, 판단 모듈(133)은 건조한 상태의 여과망(111)에 여과된 오염물질의 중량 정보를 기초로 여과망(111)의 청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장치 통신부(140)는 여과망(111)의 청소 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장치 통신부(140)는 판단부(130)에서 여과망(111)의 청소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청소 필요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 통신부(140)는 와이파이 방식, 3G, 4G 등 다양한 무선 인터넷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장치 통신부(140)로부터 전송된 정보는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네트워크 기능이 포함된 단말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전원 제공부(150)는 태양열 발전 소자(151) 및 축전지(152)를 포함한다.
태양열 발전 소자(151)는 햇빛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발전 소자(151)는 태양으로부터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는 무한정, 무공해의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므로써 별도의 연료비가 소비되지 않게될 수 있다.
또한, 축전지(152)는 태양광 발전 소자(151)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태양광 발전 소자(151)는 일사량에 의존적이며, 일사량의 변동에 따라 불안정한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축전지(152)를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 소자(151)에 의해 출력되는 불안정한 전력을 저장하고 센서부(120)에 균일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카메라(160)는 여과부(110)를 촬영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카메라(160)는 여과부(1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여과부(110)에서 발생되는 특정 이벤트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여과부(110)에 손상을 줄 수 있는 특정 상황로서, 예를 들어, 조대협잡물, 도로 포장면에 낙하된 토사류, 교통 사고등에 의한 잔재물 등의 유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130)는 여과부(110)를 촬영하는 카메라(160) 영상을 분석하여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60)는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은 영상을 배경 영상으로 하고, 촬영 영상 내에 움직이는 관심객체가 발생된 촬영 영상과 배경 영상을 비교한다. 여기서, 판단부(130)는 촬영 영상과 배경 영상 비교하여 변화된 픽셀의 수를 확인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다량의 토사류가 일시에 유입된 경우, 판단부(130)는 배경 영상에서 토사류가 차지하는 픽셀의 수를 계산하여 이벤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판단부(130)는 카메라(160) 영상을 분석하여 우수 이외에 여과부(110)를 손상시킬 수 있는 이벤트를 검출 할 수 있다.
또한, 장치 통신부(140)는 판단부(130)에 의해 검출된 이벤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 통신부(140)에 의해 외부로 전송된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여과부(110)의 손상 여부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160)를 이용하여 여과부(110)의 손상으로 인해 오염물질이 여과되지 않은 우수가 도랑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판단부에 의해 여과망의 청소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판단부(140)는 여과망(111)의 청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30)는 강수 센서(121)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강수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
여기서, 강수 센서(121)에 의해 강수가 진행 중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판단부(140)는 우수량이 기준 우수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
따라서, 우수량이 기준 우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판단부(130)는 분리벽 개폐 부재(1141)를 개방하여 우수의 유입 통로를 제1 및 제2 우수 통로(H1, H2)로 확장할 수 있다.
반면, 강수 센서(121)에 의해 강수가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판단부(140)는 중량 센서(122)를 동작시켜 여과망(111)의 무게 감소율을 산출할 수 있다(S40).
여기서, 여과망(111)의 무게 감소율은 강수가 종료된 시점부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우수의 증발 또는 우수의 유출로 인한 여과망(111)의 무게가 감소되는 비율을 의미한다. 이는 우수의 영향이 없는 오염물질의 무게를 측정하고자 함이다.
또한, 판단부(140)는 여과망(111)의 무게 감소율이 기준 범위 내인 경우 여과망(111)의 무게와 여과망(111)의 기준 무게값을 비교할 수 있다(S30).
여기서, 기준 범위는 여과망(111)으로부터 우수의 증발 또는 유출에 의해 여과망(111)에 건조된 상태의 오염물질만 남는 시점을 검출할 수 있는 비교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잔존 우수가 없는 여과망(111)의 무게를 측정하여 여과망(111)의 기준 무게값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무게값은 여과망(111)이 수용할 수 있는 오염물질의 무게값이다. 즉, 기준 무게값은 우수의 흐름에 제한을 주지 않는 여과망(111)에서 수용 가능한 오염물질의 무게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판단부(140)는 여과망(111)의 무게를 기초로 여과망(111)의 청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
즉, 여과망(111)의 무게가 기준 무게값을 초과하는 경우, 판단부(130)는 여과망(111)의 청소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여과망(111)의 무게가 기준 무게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판단부(130)는 여과망(111)의 청소가 필요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우수 여과 장치에서 인출된 지지판, 여과부재 및 여과망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판(113)에 설치된 여과망(111) 및 여과 부재(112)가 인출 레일(1131)을 통해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도로의 사면(1) 상부에 고정된 인출 레일(1131)을 잡아 당겨 여과망(111) 및 여과 부재(112)를 도로의 사면(1) 위로 끌어 올릴 수 있다.
이렇게 도로의 사면(1) 위로 올려진 여과망(111) 및 여과 부재(112)에 의해 걸러진 오염물질은 지지판으로부터 여과망(111) 및 여과 부재(112)를 분리하여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여과망(111)은 여과망 개폐 부재(1114)를 이용하여 여과망 부재(1112)를 교체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여과망(111)에 설치된 여과망 잠금 부재(1115)를 해체하고, 여과망 열림 부재(1116)에 의해 여과망 개폐 부재(1114)를 개방하여 여과망 부재(1112)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즉, 여과망 개폐 부재(1114)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때는 여과망 잠금 부재(1115)에 의해 폐쇄되고, 여과망 부재(1112)를 교체할 때는 여과망 열림 부재(1116)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로의 사면(1) 위로 지지판(113)을 인출하여 여과망(111) 및 여과 부재(112)의 오염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있고, 여과망 개폐 부재(1114)에 의해 여과망 부재(1112)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결국,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 는 지지판(113)의 인출 레일(1131) 및 여과망 개폐 부재(1114)에 의해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우수 여과 장치에서 개폐부재가 회전하여 우수 우회홀을 개방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벽(114)에 의해 여과부(110)의 내부가 분리된다.
즉, 지지벽(114)에 의하면 여과부(110)의 내부가 제1 우수 통로(H1) 및 제2 우수 통로(H2)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과부(110)로 유입되는 우수량이 기준 우수량 이상일 때, 지지벽(114)의 우수 우회홀(1145)이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우수량은 여과부(110)의 제1 우수 통로(H1)에서 수용할 수 있는 우수량을 기초로 기설정될 수 있다.
즉, 강수 센서(121)에 의해 측정된 우수량이 기준 우수량 이상일 때, 판단부(130)에 의해 분리벽 개폐 부재(1141)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여과부(110)로 유입되는 우수량이 기준 우수량 이상일 때, 제1 우수 통로(H1)의 우수는 우수 우회홀(1145)을 통해 제2 우수 통로(H2)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염물질이 제거되지 않은 우수가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를 월류하여 여과되지 않은 상태로 수계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우수 여과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 간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10)은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와 관제 장치(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는 여과망(111)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양을 모니터링하여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의 청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는 센서부(120), 판단부(130), 장치 통신부(140) 및 전원 공급부(15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20), 판단부(130), 장치 통신부(140) 및 전원 공급부(150)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6 부분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관제 장치(200)는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관제 장치(200)는 관제 통신부(210), 관제 제어부(220) 및 경고 발생부(230)를 포함한다.
관제 통신부(210)는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로부터 여과망(111)의 청소 여부 및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에 발생된 이벤트 등 각종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여기서, 관제 통신부(210)는 와이파이 방식, 3G, 4G 등 다양한 무선 인터넷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관제 통신부(210)는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의 통신 장치일 수 있다.
관제 제어부(220)는 관제 통신부(210)에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경고 발생부(23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관제 통신부(210)에 수신된 정보가 여과망(111)에 청소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정보인 경우, 관제 제어부(220)에 의해 경고 발생부(230)는 청소 필요 경보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관제 통신부(210)에 수신된 정보가 여과부(110)에 토사류가 유입된 이벤트 정보인 경우, 관제 제어부(220)에 의해 경고 발생부(230)는 여과부(110)의 수리 경보를 나타낼 수 있다.
결국, 관제 제어부(220)는 관제 통신부(210)와 경고 발생부(230)를 제어하여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를 관리할 수 있다.
경고 발생부(230)는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의 청소 여부 및 위험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경고 발생부(230)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는 모니터,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또는 경고를 빛으로 알려주는 발광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10)은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100)를 원격으로 관리하여 오염물질이 수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도로의 사면 2 : 배수로
3 : 도랑
10 :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100 :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110 : 여과부
111 : 여과망
1111 : 여과망 케이스 1112 : 여과망 부재
1113 : 여과망 힌지 1114 : 여과망 개폐 부재
1115 : 여과망 잠금 부재 1116 : 여과망 열림 부재
112 : 여과 부재 1121 : 여과 부재 스토퍼
113 : 지지판 1131 : 인출 레일
114 : 분리벽
1141 : 분리벽 개폐 부재 1142 : 힌지
1143 : 가드레일 1144 : 중량추
1145 : 우수 우회홀 1146 : 여과 부재 서브 스토퍼
120 : 센서부
121 : 강수 센서 122 : 중량 센서
130 : 판단부
131 : 산출 모듈 132 : 비교 모듈
133 : 판단 모듈
140 : 장치 통신부
150 : 전원 공급부
151 : 태양광 발전 소자 152 : 축전기
160 : 카메라
200 : 관제 장치
210 : 관제 통신부
220 : 관제 제어부
230 : 경고 발생부

Claims (9)

  1. 여과망(strainer)을 포함하는 여과부;
    강수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여과부로 유입되는 우수량을 측정하는 강수 센서 및 상기 여과망의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우수량 및 상기 여과망의 무게를 기초로 상기 여과망의 청소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여과망의 청소 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장치 통신부; 를 포함하는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햇빛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 소자 및 상기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강수 센서에 의해 상기 강수가 종료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중량 센서와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여과망의 무게 감소율을 주기적으로 산출하는 산출 모듈;
    상기 무게 감소율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상기 여과망의 무게를 상기 여과망의 기준 무게값과 비교하는 비교 모듈; 및
    상기 여과망의 무게가 상기 기준 무게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상기 여과망의 청소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모듈; 을 포함하는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여과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여과부를 제1 우수 통로 및 제2 우수 통로로 분리하는 분리벽;
    상기 분리벽을 관통하는 우수 우회홀; 및
    상기 분리벽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 우회홀을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 를 더 포함하는 강우유출수 여과시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우수량이 기준 우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개폐 부재를 개방시키는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장치 통신부는 상기 이벤트를 외부로 전송하는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상기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의 청소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아 알리는 관제 장치; 를 포함하는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50090265A 2015-06-25 2015-06-25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05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265A KR101705128B1 (ko) 2015-06-25 2015-06-25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265A KR101705128B1 (ko) 2015-06-25 2015-06-25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981A true KR20170000981A (ko) 2017-01-04
KR101705128B1 KR101705128B1 (ko) 2017-02-09

Family

ID=5783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265A KR101705128B1 (ko) 2015-06-25 2015-06-25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1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2587A1 (ko) * 2018-07-26 2020-01-30 (주)랜드로드 빗물 배수구 오염물질 여과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WO2020022586A1 (ko) * 2018-07-26 2020-01-30 (주)랜드로드 우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13323A (ko) * 2018-07-30 2020-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배수구 막힘 방지 방법
KR102199644B1 (ko) * 2020-07-13 2021-01-07 (주) 한국엔피기술 유동상 필터층에서의 압밀 및 이완 기술을 구성한 비점오염원처리시스템
WO2023217799A1 (de) * 2022-05-10 2023-11-16 Nivus Gmbh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behandlungsbauwerks für niederschlagswasser und behandlungsbauwerk für niederschlagswass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4482B (zh) * 2019-03-06 2021-07-23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便于清洁的吸油烟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719B1 (ko) 2006-03-10 2007-05-15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20090107245A (ko) * 2008-04-08 2009-10-13 (주)텔레콤랜드 비점오염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33859B1 (ko) * 2010-12-23 2011-05-16 (주)로커스솔루션 초기우수 분리형 저류조
KR101495675B1 (ko) * 2014-09-29 2015-03-02 주식회사 동인 비점오염 저감장치 및 비점오염 물질 저감방법
KR20150045187A (ko) 2013-10-18 2015-04-28 민은진 도로 배수 시설의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719B1 (ko) 2006-03-10 2007-05-15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초기 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20090107245A (ko) * 2008-04-08 2009-10-13 (주)텔레콤랜드 비점오염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33859B1 (ko) * 2010-12-23 2011-05-16 (주)로커스솔루션 초기우수 분리형 저류조
KR20150045187A (ko) 2013-10-18 2015-04-28 민은진 도로 배수 시설의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KR101495675B1 (ko) * 2014-09-29 2015-03-02 주식회사 동인 비점오염 저감장치 및 비점오염 물질 저감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2587A1 (ko) * 2018-07-26 2020-01-30 (주)랜드로드 빗물 배수구 오염물질 여과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WO2020022586A1 (ko) * 2018-07-26 2020-01-30 (주)랜드로드 우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CN110959056A (zh) * 2018-07-26 2020-04-03 兰德株式会社 雨水过滤装置及其监控系统
CN110959057A (zh) * 2018-07-26 2020-04-03 兰德株式会社 雨水排水口污染物质过滤装置及其的监控系统
EP3828353A4 (en) * 2018-07-26 2021-08-04 Landroad Inc RAINWATER FILTER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FOR IT
CN110959057B (zh) * 2018-07-26 2021-11-05 兰德株式会社 雨水排水口污染物质过滤装置及其的监控系统
CN110959056B (zh) * 2018-07-26 2022-01-04 兰德株式会社 雨水过滤装置及其监控系统
US11346094B2 (en) 2018-07-26 2022-05-31 Landroad Inc Storm drain filters
US11352280B2 (en) 2018-07-26 2022-06-07 Landroad Inc Rainwater filter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therefor
KR20200013323A (ko) * 2018-07-30 2020-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배수구 막힘 방지 방법
KR102199644B1 (ko) * 2020-07-13 2021-01-07 (주) 한국엔피기술 유동상 필터층에서의 압밀 및 이완 기술을 구성한 비점오염원처리시스템
WO2023217799A1 (de) * 2022-05-10 2023-11-16 Nivus Gmbh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behandlungsbauwerks für niederschlagswasser und behandlungsbauwerk für niederschlagswas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128B1 (ko)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128B1 (ko)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59509B1 (ko) 빗물 배수구 오염물질 여과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010391B1 (ko) 강우 감지를 이용한 우수 처리 및 사용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1243415B1 (ko) 빗물정화장치
KR101032421B1 (ko) 빗물 재이용 장치
KR101794124B1 (ko)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100775913B1 (ko)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을 이용한 통합 우수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959508B1 (ko) 우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KR200398164Y1 (ko) 초기 빗물처리장치
KR20110131868A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2315260B1 (ko) 물리적 이물질을 여과 후 자동 배출 하는 초기 우수 배출 장치
KR20130120052A (ko) 비점오염원 저감 기능을 갖는 도로 및 교량용 집수정 시스템
KR101041716B1 (ko) 초기강우 비점오염원 처리시스템 및 방법
KR101760856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20190050745A (ko) 빅데이터 기반의 우수 여과 장치의 IoT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
WO2007124297A1 (en) Stormwater treatment system with automated contaminant buildup detection
KR101257709B1 (ko) 초기우수 배수제어시스템
KR20040021732A (ko)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CN112987808B (zh) 一种管网管理方法及数字管网系统
KR200295999Y1 (ko)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JP4163092B2 (ja) 越流水除塵装置におけるドラムスクリーンの稼働検知システム
KR102010569B1 (ko) 원통형 스크린 기반의 우수처리 장치
KR101413734B1 (ko) 지능형 물관리 원격제어 자동화시스템
KR101740555B1 (ko) 빗물 저장 제어장치와 이를 구비한 물탱크
FR3066511B1 (fr) Impluvium modula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