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260B1 - 물리적 이물질을 여과 후 자동 배출 하는 초기 우수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물리적 이물질을 여과 후 자동 배출 하는 초기 우수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260B1
KR102315260B1 KR1020190172895A KR20190172895A KR102315260B1 KR 102315260 B1 KR102315260 B1 KR 102315260B1 KR 1020190172895 A KR1020190172895 A KR 1020190172895A KR 20190172895 A KR20190172895 A KR 20190172895A KR 102315260 B1 KR102315260 B1 KR 102315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filter screen
outlet
water level
fil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1480A (ko
Inventor
엄도윤
신은재
Original Assignee
엄도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도윤 filed Critical 엄도윤
Priority to KR1020190172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260B1/ko
Publication of KR20210081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5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10Dividing the first rain flush out of the stormwater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우수 배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르면, 우수 배출 장치는, 측면 중 일부가 우수 저장 장치와 연결되는 여과수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가 우수 유입구와 연결되어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포함되며, 상기 우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질에서 이물질 또는 불순물이 여과될 수 있도록 타공망 또는 매시 필터(Mash Filter) 형태로 형성되는 필터 스크린;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필터 스크린을 통해 여과되지 않은 상태의 우수를 배출하는 통로로서 기능하는 우수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스크린은 일단이 상기 우수 유입구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우수 배출구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여과수 배출구는 상기 필터 스크린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 스크린을 통해 여과된 상태의 여과수를 배출하는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물리적 이물질을 여과 후 자동 배출 하는 초기 우수 배출 장치{INITIAL RAINWATER DISCHARGE DEVICE FOR AUTOMATIC DISCHARGING OF RAINWATER AFTER FILTERING PHYSICAL FOREIGN SUBSTAN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이물질 또는 불순물에 대한 별도의 처리 과정이 필요없도록 설계된 초기 우수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수처리 시스템은 다양한 목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상수도 시설이 부족하여 빗물을 활용하여야 하는 지역에도 주로 설치되고, 그렇지 않더라도 우수처리 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법적 또는 행정적으로 혜택을 볼 수 있는 상황에서 건물 옥상에 설치되는 경우도 다수 존재한다.
우수처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우수 집수 장치, 초기 우수 배제 스크린, 우수 저장조, 산화수 처리장치, 처리수 이송용 펌프(부스터) 등이 포함되어 설계된다.
이 중, 초기 우수 배제 스크린은 우수의 유입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우수에는 생활 쓰레기, 낙엽, 곤충 등 다양한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의 초기 우수 배제 스크린이 개발되어 왔다.
다만, 이와 같은 초기 우수 배제 스크린의 경우 우수를 여과하는 과정에서 필터 등에 이물질이 계속해서 누적되기 때문에 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막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부가기능이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있어야 하거나, 추가적인 장치 또는 인력의 도움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복잡한 형태의 추가적인 장치를 통해 우수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아닌, 보다 효율적인 형태로 이물질 처리가 가능한 초기 우수 배제 스크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32781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우수를 여과하여 여과된 상태의 우수를 별도의 우수 저장 장치로 이동시키는 우수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우수에 포함되는 이물질 또는 불순물이 별도의 처리 과정없이 편리하게 처리되는 구조의 우수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르면, 측면 중 일부가 우수 저장 장치와 연결되는 여과수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가 우수 유입구와 연결되어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포함되며, 상기 우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질에서 이물질 또는 불순물이 여과될 수 있도록 타공망 또는 매시 필터(Mash Filter) 형태로 형성되는 필터 스크린;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필터 스크린을 통해 여과되지 않은 상태의 우수를 배출하는 통로로서 기능하는 우수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스크린은 일단이 상기 우수 유입구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우수 배출구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여과수 배출구는 상기 필터 스크린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 스크린을 통해 여과된 상태의 여과수를 배출하는 통로로서 기능하는 것인, 우수 배출 장치가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우수 배출 장치는, 상기 우수 배출구와 연결되어 우수 배출 여부를 온오프 형식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우수 배출 밸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수 배출 장치는, 상기 본체부 내부의 상단부이자 상기 필터 스크린 외부에 배치되는 수위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위계가 특정 레벨 이상의 수위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우수 배출 밸브를 개방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우수 배출 장치는, 상기 우수 저장 장치에 구비되는 저장수 수위계가 특정 레벨 이상의 수위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우수 배출 밸브를 개방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우수 배출 장치는, 상기 우수 배출 밸브가 개방 상태로 제어되는 경우, 상기 우수 배출 밸브가 개방 상태로 제어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우수 배출 밸브를 폐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스크린은, 상기 우수 배출구와 연결되는 일단의 지름이, 상기 우수 유입구와 연결되는 다른 일단의 지름보다 넓은 원통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스크린은 상기 본체부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우수 배출 장치 내의 필터 스크린을 통해 여과된 우수가 별도의 우수 저장 장치로 이동하게 되는 간략한 구성의 우수 배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물질 또는 불순물이 내부에 축척되는 일 없이 간편하게 처리되는 우수 배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배출 장치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배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배출 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배출 밸브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기 우수 처리 시스템(10)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초기 우수 처리 시스템(10)은 우수 배출 장치(100), 우수 집수부(200) 및 우수 저장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천 상황에서, 비구름으로부터 낙하하는 우수는 우수 집수부(200)를 통해 집수되어 배관을 통해 우수 배출 장치(100)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수 저장 장치(300) 내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우수 집수부(200)를 통해 집수되는 우수가 우수 배출 장치(100)로 이동하는 대신 우수관로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우수 배출 장치(100)는 집수된 우수 내에 포함되는 이물질 또는 불순물을 여과시켜 여과된 상태의 우수를 우수 저장 장치(3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우수 저장 장치(300)는 우수 배출 장치(100)를 통해 일차적으로 여과된 우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강수량이 높을 경우에는 비상 방류 펌프를 통해 저장된 우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 이외에도 초기 우수 처리 시스템(10)은 산화수 처리 장치, 처리수 이송용 펌프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산화수 처리 장치는 우수 저장 장치(300)에 저장되어 있는 우수에 대한 화학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수질을 개선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처에 부합하는 수질 기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처리수 이송용 펌프는 우수 저장 장치(300)에 저장되어 있는 우수를 용도에 맞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우수 저장 장치(300)에 저장되는 우수는 화장실 재이용수, 조경용수, 살수용수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배출 장치(100)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우수 배출 장치(100)는 본체부(110), 우수 유입구(120), 필터 스크린(130), 여과수 배출구(140), 우수 배출구(150), 우수 배출 밸브(160) 및 수위계(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1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부(110)는 상부가 우수 유입구(1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하부는 우수 배출구(150)와 연결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110)의 측면 중 일부는 여과수 배출구(14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여과수 배출구(140)는 우수 저장 장치(30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과수 배출구(140)는 개방/폐쇄 기능을 별도로 포함하지 않고 항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본체부(110)의 내부에 우수가 일정 수위 이상 차오르는 경우, 우수의 적어도 일부가 여과수 배출구(140)를 통해 우수 저장 장치(300)로 이동될 수 있다.
본체부(110) 내부에는 우수 유입구(120)로부터 유입되는 우수에서 이물질 또는 불순물이 여과될 수 있도록 역할하는 필터 스크린(130)이 구비될 수 있다. 필터 스크린(130)은 매시 필터(Mash Filter)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타공망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스크린(130)은 매시 필터와 타공망의 형태가 결합되거나 혼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필터 스크린(130)을 구성하는 타공망 또는 매쉬 필터의 형태는 우수 배출 장치(100)가 여과하고자 하는 이물질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우수 유입구(120)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는 필터 스크린(130)을 통해 여과되는 과정에서 이물질 또는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으며, 걸러진 이물질 또는 불순물은 필터 스크린(130) 내부에 잔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스크린(130)은 원통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원통의 측면은 매시 필터 또는 타공망 형태로 구성되고 상부와 하부는 개방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필터 스크린(130)의 상부는 우수 유입구(12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하부는 우수 배출구(15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서와 같이 필터 스크린(130)은 우수 배출구(150)와 연결되는 일단의 지름이, 우수 유입구(120)와 연결되는 다른 일단의 지름보다 넓은 원통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스크린(130)은 본체부(11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 스크린(130)의 위치 배치에 따라, 본체부(110) 내부로 투입된 우수가 필터 스크린(130)에 접하는 면적이 높아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필터 스크린(130)의 여과 효과가 극대화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스크린(130)이 본체부(110) 내부에 위치하면서, 본체부(110)의 내부는 필터 스크린(130)의 내부 영역인 제1 영역과, 필터 스크린(130)의 외부 영역인 제2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10) 내에서 분리되는 영역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여과수 배출구(140)는 필터 스크린(130)의 외부인 제2 영역에 위치하여 필터 스크린(130)을 통해 여과된 상태의 여과수를 배출하는 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우수 배출구(150)는 본체부(110) 내부 중에서도 필터 스크린(130) 내부에 위치하는 우수와, 필터 스크린(130) 내부에 잔류하는 이물질 또는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우수 배출구(150)는 우수 배출 밸브(16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우수 배출 밸브(160)는 우수의 배출 여부를 온오프 형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수 배출 밸브(160)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본체부(110) 내부의 우수가 우수 배출구(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우수 배출 밸브(160)가 폐쇄되는 경우에는 본체부(110) 내부의 우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되어 우수 유입구(120)로부터의 우수 유입이 있는 경우 본체부(110) 내부의 수위가 상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수 배출 밸브(160)는 버터플라이 밸브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우수 배출 장치(100)의 제어부에 의해서 전달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온오프, 즉 개폐 동작이 제어될 수도 있다.
우수 배출 장치(100) 내부에는 수위계(1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수위계(170)는 본체부(110) 내부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필터 스크린(130)의 외부인 제2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우수 배출 장치(100)는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우수 배출 장치(100)는 추가적인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는 통신모듈, 저장부(예: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우수 배출 장치(100)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연산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는 본체부(110) 내부의 수위계(170)를 통해 본체부(110) 내부의 수위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우수 저장 장치(300)에 배치되는 저장수 수위계(미도시됨)를 통해 우수 저장 장치(300)의 수위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이와 같은 수위 정보를 토대로 우수 배출 밸브(160)를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배출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상황에서 우수 배출 밸브(160)가 동작함에 따라 우수 배출 장치(100)의 본체부(110) 내의 우수가 어떠한 통로를 통해 이동되는지에 대한 예시가 나타나 있다.
도 3의 (a)는 우수 배출 장치(100)와 연결되어 있는 우수 저장 장치(30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로 유지되는 경우 우수 배출 장치(100)의 동작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우수 저장 장치(300)의 수위 레벨은 우수 저장 장치(300) 내부에 위치하는 저장수 수위계를 통해 측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수 배출 밸브(160)가 폐쇄된 상태로 제어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우수 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가 본체부(110) 내부에 축척되는 상황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내부는 필터 스크린(130)의 내부인 영역인 제1 영역과 필터 스크린(130)의 외부 영역인 제2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는데, 우수 배출 밸브(160)가 폐쇄된 상태에서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 1차적으로 제1 영역에 우수가 축적될 수 있으며, 필터 스크린(130)을 통해 제1 영역의 우수가 여과되어 제2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영역으로 이동되는 우수가 본체부(110) 내에서 일정 수위 이상으로 차오르게되면, 제2 영역의 우수 중 일부가 여과수 배출구(140)를 통해 우수 배출 장치(100) 외부의 우수 저장 장치(300)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의 (b)는 우수 배출 장치(100)와 연결되어 있는 우수 저장 장치(30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유지되며 우수 유입구(120)로부터 추가적인 유수가 유입되는 경우 우수 배출 장치(100)의 동작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우수 배출 장치(100)의 제어부는 우수 저장 장치(300)의 수위가 특정 레벨 수준 이상인 경우에 더 이상 유입되는 우수를 여과하여 우수 저장 장치(300)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우수 배출 밸브(160)를 개방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우수 배출 밸브(160)가 개방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영역의 우수와, 제1 영역에서 잔류하고 있는 이물질 또는 불순물들이 우수 배출구(15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우수 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는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또는 불순물과 함께 바로 우수 배출구(150)로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수 배출 장치(100)의 우수 배출 밸브(160)가 개방 상태로 제어되는 상황은 우수 저장 장치(30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도 있지만, 필터 스크린(130)의 내부인 제1 영역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본체부(110) 내의 수위는 필터 스크린(130) 외부의 제2 영역 중 본체부(110) 상단에 위치하는 수위계(17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 또는 불순물에 의해 필터 스크린(130)의 여과 속도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영역의 수위와 제2 영역의 수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영역의 수위는 제2 영역의 수위보다 빠른 속도로 차오를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위계(170)에 의해 우수가 특정 레벨 이상의 수위까지 축적된 상황이 감지되면 도 3의 (b)와 같이 우수 배출 밸브(160)가 개방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수 배출 장치(100)의 우수 배출 밸브(160)가 개방 상태로 제어되는 경우, 우수 배출 장치(100)의 제어부는 우수 배출 밸브(160)가 개방 상태로 제어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우수 배출 밸브(160)가 폐쇄 상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의 (c)는 우수 배출 장치(100)와 연결되어 있는 우수 저장 장치(300)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유지되며 우수 유입구(120)로부터 추가적인 유수가 유입되지 않는 경우 우수 배출 장치(100)의 동작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우수 배출 밸브(160)가 개방되어 있어 필터 스크린(130) 내부의 제1 영역에 존재하는 우수와, 제1 영역에 잔류하는 이물질 및 불순물들이 우수 배출구(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우수의 유입이 존재하지 않아 추가적인 우수의 흐름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배출 장치(100)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필터 스크린(130)의 일단이 우수 배출구(150)와 연결되는 구조에서, 일정한 부피의 공간이 임시 우수 저장부(180)로서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임시 우수 저장부(180)는 필터 스크린(130)의 일단과 우수 배출구(150) 사이에서 우수를 다른 경로로 배출하지 않는 통로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다.
임시 우수 저장부(180)는 우수 배출 밸브(160)가 폐쇄 상태로 제어되는 상황에서, 배출되어야 하는 우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임시 우수 저장부(180)의 존재로 인하여, 필터 스크린(130)이 커버하여야 하는 영역이 감소되어 우수 배출 장치(100)의 단가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무게 또는 밀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이물질 또는 불순물이 우수 유입구(120)를 통해 유입되어 임시 우수 저장부(180)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필터 스크린(130)이 오염되는 상황 또는 이물질이나 불순물이 필터 스크린(130)의 여과 능력을 감소시키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 배출 밸브(160)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수 배출 장치(100) 내에서 여과되지 않은 우수의 배출 여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우수 배출 밸브(160)는 버터플라이 밸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우수 배출 장치(100) 내에 포함되는 우수 배출 밸브(16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버터플라이 밸브는 원판형 디스크가 축을 중심으로 90도 회전하여 관로를 개폐하는 구조의 회전 동작형 밸브로, 개폐에 필요한 회전력이 작으며 개폐 동작이 간단하여 자동화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또는 불순물이 필터 스크린을 통해 여과됨으로써 여과된 상태의 우수가 우수 저장 장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필터 스크린 내에 잔류하는 이물질 또는 불순물은 우수 배출 밸브가 개방됨에 따라 중력의 힘에 의해 외부로 방출되므로, 이물질 또는 불순물이 우수 배출 장치 내부에 남게 되는 경우가 거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우수 배출 장치에 별도의 이물질 제거 기능이 포함되지 않아도 되어 우수 배출 장치의 단가가 감소할 수 있으며 우수 배출 장치의 관리에 드는 인력이 감소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우수 배출 장치
110: 본체부
120: 우수 유입구
130: 필터 스크린
140: 여과수 배출구
150: 우수 배출구
160: 우수 배출 밸브
170: 수위계
180: 임시 우수 저장부
200: 우수 집수부
300: 우수 저장 장치

Claims (7)

  1. 우수 배출 장치에 있어서,
    측면 중 일부가 우수 저장 장치와 연결되는 여과수 배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가 우수 유입구와 연결되어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포함되며, 상기 우수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물질에서 이물질 또는 불순물이 여과될 수 있도록 타공망 또는 매시 필터(Mash Filter) 형태로 형성되는 필터 스크린;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필터 스크린을 통해 여과되지 않은 상태의 우수를 배출하는 통로로서 기능하는 우수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스크린은 일단이 상기 우수 유입구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우수 배출구와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여과수 배출구는 상기 필터 스크린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필터 스크린을 통해 여과된 상태의 여과수를 배출하는 통로로서 기능하고,
    상기 우수 배출구와 연결되어 우수 배출 여부를 온오프 형식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우수 배출 밸브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내부의 상단부이자 상기 필터 스크린 외부에 배치되는 수위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위계가 특정 레벨 이상의 수위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우수 배출 밸브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우수 저장 장치에 구비되는 저장수 수위계가 특정 레벨 이상의 수위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우수 배출 밸브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우수 배출 밸브가 개방 상태로 제어되는 경우, 상기 우수 배출 밸브가 개방 상태로 제어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우수 배출 밸브를 폐쇄 상태로 제어하고,
    상기 필터 스크린은,
    상기 우수 배출구와 연결되는 일단의 지름이, 상기 우수 유입구와 연결되는 다른 일단의 지름보다 넓은 원통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 스크린은 상기 본체부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상기 필터 스크린 및 우수 배출구의 사이에 위치하고 배출되어야 하는 우수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필터 스크린의 커버 영역을 감소시키고 상기 필터 스크린의 오염을 방지하는 임시 우수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배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72895A 2019-12-23 2019-12-23 물리적 이물질을 여과 후 자동 배출 하는 초기 우수 배출 장치 KR102315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895A KR102315260B1 (ko) 2019-12-23 2019-12-23 물리적 이물질을 여과 후 자동 배출 하는 초기 우수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895A KR102315260B1 (ko) 2019-12-23 2019-12-23 물리적 이물질을 여과 후 자동 배출 하는 초기 우수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480A KR20210081480A (ko) 2021-07-02
KR102315260B1 true KR102315260B1 (ko) 2021-10-20

Family

ID=76896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895A KR102315260B1 (ko) 2019-12-23 2019-12-23 물리적 이물질을 여과 후 자동 배출 하는 초기 우수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745B1 (ko) * 2022-05-03 2023-01-18 박진석 수직형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70529A (ko) 2021-06-23 2022-12-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고속 구동용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391B1 (ko) * 2010-09-15 2011-01-21 조선환 강우 감지를 이용한 우수 처리 및 사용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1413688B1 (ko) * 2014-03-06 2014-07-01 (주) 젠폴 낙하 우수 처리 장치
KR101436281B1 (ko) * 2014-03-12 2014-08-29 씨앤씨주식회사 우수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781B1 (ko) 2011-08-23 2013-11-25 씨앤씨주식회사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391B1 (ko) * 2010-09-15 2011-01-21 조선환 강우 감지를 이용한 우수 처리 및 사용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KR101413688B1 (ko) * 2014-03-06 2014-07-01 (주) 젠폴 낙하 우수 처리 장치
KR101436281B1 (ko) * 2014-03-12 2014-08-29 씨앤씨주식회사 우수 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745B1 (ko) * 2022-05-03 2023-01-18 박진석 수직형 무동력 빗물 여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480A (ko) 202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885B1 (ko) 초기 우수를 배제한 우수 포집장치
KR102315260B1 (ko) 물리적 이물질을 여과 후 자동 배출 하는 초기 우수 배출 장치
KR20100070325A (ko) 물로부터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KR101956452B1 (ko)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비점오염 여과기능을 갖는 집수정
WO2006057137A1 (ja) 流下雨水の濾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装置
KR101511219B1 (ko) 우수 처리 및 재활용 장치
KR20170000322A (ko) 친환경 여과 집수조 및 그것을 이용한 우수 재순환 시스템
KR101556157B1 (ko) 빗물의 여과 및 정화장치
KR20130022717A (ko) 제어기능을 갖는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872911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558239B1 (ko) 빗물 여과장치
KR20200133656A (ko) 초기 우수 배제 및 여과 장치
KR101562757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731949B1 (ko) 자연 유하식 역세 기능이 구비된 정수여과장치 및 역세방법
CN108298707A (zh) 一种用于海绵城市高架路面的雨水处理系统
KR20050003330A (ko) 초기 우수를 배제한 청정 우수 포집 장치
KR101323367B1 (ko) 비점오염원 저감 우수저류장치
KR100904287B1 (ko) 하수 월류수 처리장치
KR20160010952A (ko)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681933B1 (ko) 저류지에서의 수질 정화 증대 장치
KR101714397B1 (ko) 교량용 비점오염물 저감 장치
KR101869614B1 (ko) 빗물 저장장치
KR101511197B1 (ko) 무동력 우수 처리장치
KR101760856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CN110075609B (zh) 一种雨水收集层级净化处理系统以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