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999Y1 -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999Y1
KR200295999Y1 KR2020020025774U KR20020025774U KR200295999Y1 KR 200295999 Y1 KR200295999 Y1 KR 200295999Y1 KR 2020020025774 U KR2020020025774 U KR 2020020025774U KR 20020025774 U KR20020025774 U KR 20020025774U KR 200295999 Y1 KR200295999 Y1 KR 200295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inwater
storage tank
pip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무영
Original Assignee
한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무영 filed Critical 한무영
Priority to KR2020020025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9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999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빗물 이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을 집수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그럼에도 남아있을 수 있는 이물질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화장실용수, 조경용수 또는 청소용수로써 편리하게 빗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빗물 이용장치는 크게, 건물의 꼭대기 등에 설치되어 빗물을 모으는 집수면과, 집수면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집수면으로부터 유출된 빗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집수면과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설치되어 유로를 통과하는 빗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장치와, 저장탱크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저장탱크로부터 유출된 빗물을 저장하고 이를 각종 용수로 공급하는 급수탱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Apparatus for storing and using as well as cleaning rainwater}
본 고안은 빗물 이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을 집수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그럼에도 남아있을 수 있는 이물질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화장실용수나 조경용수로써 빗물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강우 특성상 여름에 많은 비가 내리는 만큼 이 빗물을 모아서 겨울과 봄의 가뭄 시에 사용하기 위해 댐을 건설하고 있다. 이러한 댐의 건설은 불가피하기는 하나 여기에는 돈과 시간, 환경문제, 침수지역의 발생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학교, 공공시설 및 가정 등에서 빗물탱크를 만들어 빗물을 모아 빗물탱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화장실 용수나 조경용수 등으로 활용함으로써 물 부족을 일부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서 댐의 필요용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위와 같은 가옥별 빗물 저장 및 이용 장치로는 종래의 단순히 빗물을 모으는 집수면과 빗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만으로 이루어진 장치가 사용된 예가 있으나,집수 과정에서 빗물에 섞이는 이물질이 많고, 이로 인해 빗물의 사용이 적합하지 못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빗물을 저장탱크에 저장할 때 필터에 의하여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제거하고, 저장탱크 바닥에 쌓이는 침전물이 빗물의 유입에 의하여 교란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깨끗한 상태의 빗물을 각종 용수로 공급할 수 있으며, 유지 및 관리도 용이한 빗물 이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강우량이 많은 경우에는 저장탱크를 넘친 빗물을 하수관으로 흘러 나가게 하고, 강우량이 적은 경우에는 상수도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각종 용수로 공급함으로써, 강우량의 변동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각종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빗물 이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빗물 이용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빗물 이용장치의 필터장치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빗물 이용장치의 급수탱크 역류방지수단의 일 실시예인 에어갭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집수면 20: 빗물홈통관
30: 필터장치 31: 유입관
32: 유출관 33: 배수관
34: 다공성 콘크리트 침투구 40: 저장탱크
41: 저장탱크 바닥면 42: 월류관
50: 송수관 60: 수중펌프
70: 급수탱크 80: 급수펌프
90: 상수도 유입관 91: 역류방지수단의 상류관
92: 역류방지수단의 하류관 93: 에어갭
94: 용접봉 100: 펌프정
110: 수질측정센서 120: 연결관
130: 상수도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빗물을 모으는 집수면, 상기 집수면의 하류 측에 설치되며, 상기 집수면으로부터 유출된 빗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집수면과 상기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설치되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장치, 및 상기 저장탱크의 하류 측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유출된 빗물을 저장하고 이를 일정한 수압의 각종 용수로 공급하는 급수탱크를 포함하는 빗물 이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장탱크의 용량은 상기 집수면의 면적(㎡)에 0.05 내지 0.1m를 곱한 값으로 계산되는 톤(㎥)수로 결정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면은 빗물이 유입되는 상류 측으로부터 상기 빗물이 배출되는 하류 측을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필터장치는, 상기 집수면으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빗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에 의하여 정화된 빗물이 상기 저장탱크를 향하여 유출되는 유출관 및 상기 스크린에 의하여 걸러진 이물질이 포함된 빗물이 배출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관은 하류에 다공성의 콘크리트 침투구가 설치되어 빗물이 지하로 서서히 스며드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출관은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까지 연장되며, 그 끝단은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면으로부터 수면을 향하도록 상향 절곡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급수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에서 빗물의 흐름을 중개하는 펌프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펌프정의 내부에는 빗물을 펌핑하여 상기 급수탱크로 이송하는 수중펌프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펌프정에 설치되어 빗물의 수소이온농도, 전기전도도 또는 탁도 중 하나 이상의 수질항목을 측정하는 수질측정센서와, 상기 수질측정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수질항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급수탱크에는 저장된 빗물의 양이 일정 수위 이하일 경우 상수도로부터 수돗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수도 유입관이 연결되며, 상기 상수도 유입관에는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빗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수도 유입관은, 상기 상수도와 연결된 상류관과, 상기 상류관의 끝단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급수탱크에 연결된 하류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상기 상류관과 상기 하류관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형성된 에어갭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급수탱크에는 상기 급수탱크 내에 저장된 빗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로 낮아진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상수도로부터 수돗물이 유입되도록 수돗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빗물 이용장치는 빗물을 모으는 집수면(10)과, 상기 집수면(10)의 하류 측에 설치되며 상기 집수면(10)으로부터 유출된 빗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40)와, 상기 집수면(10)과 상기 저장탱크(40)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설치되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장치(30)와, 상기 저장탱크(40)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40)로부터 유출된 빗물을 저장하고 이를 일정한 수압의 각종 용수로 공급하는 급수탱크(70)를 포함한다.
상기 집수면(10)은 하늘에서 내리는 빗물을 모으는 수단으로, 건물 지붕면이곧 집수면(10)이 될 수 있다. 집수면(10)의 상태에 따라 빗물 중의 이물질의 양이 크게 좌우되는 만큼 집수면(10)의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집수면(10)에 모아진 빗물은 빗물홈통관(20)을 통하여 저장탱크로 운반된다. 저장탱크까지 연결되는 상기 빗물홈통관(20)에는 청소와 점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다수의 T형 관을 일정간격(예를 들어 40m 내지 60m)으로 둘 수 있다. 상기 T형 관은 양측에 파이프가 연결되고 연결부의 상부에 뚜껑이 구비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빗물홈통관(20)에 다수의 T형 관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뚜껑을 통하여 빗물홈통관(20)을 통과하는 빗물의 흐름상태를 육안으로 관찰 할 수 있으며, 빗물홈통관(2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으므로,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수면(10)으로부터 유출된 빗물은 상기 빗물홈통관(20)을 통하여 저장탱크(40)에 유입되기 전에, 필터장치(30)를 통과하면서 그 안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이 제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장치(30)는, 상기 빗물홈통관(20)과 연결되어 상기 집수면(10)으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관(31)과, 상기 유입관(31)으로 유입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빗물에서 그 안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35)과, 상기 스크린(35)에 의하여 정화된 빗물이 상기 저장탱크(40)를 향하여 유출되는 유출관(32)과, 상기 스크린(35)에 의하여 걸러진 이물질이 포함된 빗물이 배출되는 배수관(33)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장치(30)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은 필터장치 내부도 유입될 때 편향되게 유입됨으로써 스크린(35) 주위를 휘감아 도는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스크린(35)은 이러한 와류를 형성하며 흐르는 빗물로부터 이물질을 걸러낸다. 상기 배수관(33)으로 내보내지는 빗물은 상기 배수관(33)의 하류에 설치된 다공성의 콘크리트 침투구(34)(도 1 참조)로 보내져 지하로 서서히 스며들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필터장치(30)의 유입관(31)과 상기 배수관(33)이 동일한 직경을 같도록 하여 청소 시 또는 유출관이 막혔을 때에 빗물을 배수관(33)으로 바이패스(by-pass)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빗물홈통관(20)의 파이프라인을 두 개로 나누어 각 파이프라인 상에 상기 필터장치(30)를 각각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각각의 필터장치(30)의 유입관 앞에 밸브(미도시)를 각각 설치하여 하나의 필터장치(30)를 사용할 수도 있고, 강우강도가 큰 경우와 같이 필요한 경우 두 개의 밸브를 모두 열어 두 개의 필터장치(30)를 사용할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출관(32)은 상기 저장탱크(40)의 내부까지 연장되며, 그 끝단은 상기 저장탱크(40)의 바닥면(41)으로부터 수면을 향하도록 상향 절곡된 U자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입수로 인한 저장탱크(40) 내부의 교란을 방지하여 저장탱크(40) 바닥에 침전된 이물질의 교란을 막고 유입 에너지를 분산시켜서 조용히 빗물을 유입시키게 된다.
상기 저장탱크(40)의 바닥면(41)은 빗물이 유입되는 상류 측, 즉 유출관(32)의 끝단이 위치하는 지점으로부터 빗물이 배출되는 하류 측, 즉 후술할 펌프정(100)과 연통되는 지점을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저장탱크(40)로부터 빗물이 유출되는 곳의 바닥에는 잔여 침전물이 쌓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저장탱크(40)의 상부에는 저장탱크(40)가 가득 차는 것을 막기 위해 빗물이 월류(over-flow)할 수 있도록 월류관(42)이 설치된다. 상기 월류관(42)은 급수탱크(70)와 가까운 위치에 있는 하수관(미도시)과 연결되어, 넘치는 빗물은 월류관(42)을 통하여 하수관으로 버려진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저장탱크(40)에는 저장된 빗물의 현재 수위 및 총 빗물저장량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측정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40)의 재질로는, 콘크리트, FRP(섬유강화플라스틱) 또는 강재 등 여러 가지가 사용될 수 있다.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방식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식 모두 사용 가능하다. 또한, 저장탱크(40)의 형태는 원형, 장방형, 실린더형 모두 가능하다. 저장탱크의 용량은 집수면적(㎡)에 0.05 내지 0.1m를 곱한 값으로 계산되는 톤(㎥)수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집수면적이 100㎡인 경우, 5 내지 10톤(㎥)의 저장 탱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저장탱크(40)와 급수탱크(70)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빗물의 흐름을 중개하는 펌프정(10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탱크(40)와 펌프정(100)은 연결관(120)을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펌프정(100)의 하부에는 빗물을 펌핑하여 상기 급수탱크(70)로 이송하는 수중펌프(60)가 설치된다. 또한, 수중펌프(60)를 두 대를 설치함으로써 한 대의 수중펌프(60)가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 다른 한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펌프정(100)의 바닥면은 중력 방향으로 상기 저장탱크(40)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저장탱크(40)로부터 상기 펌프정(100)으로의 빗물의 이동에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지 않게 되면서, 동시에 상기 연결관(120)이 있는 부분까지의 모든 빗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펌프정(100)에는 저장된 빗물의 수소이온농도(pH), 탁도(turbidity) 및 전기전도도(EC) 등의 수질현황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질측정센서(110)가 설치된다. 수질측정센서(110)에 의하여 측정된 이러한 측정값들은 후술할 표시부로 보내져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펌프정(100)에 저장된 빗물이 화장실용수나 조경용수에 사용될 수 있도록 송수관(50)을 통하여 수중펌프(60)에 의해 급수탱크(70)로 운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탱크(70)에는 급수 펌프(8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급수탱크(70)에는 펌프정(100)으로부터 운송된 빗물의 일정량이 저장되며, 급수 펌프(80)에 의해 화장실용수, 청소용수 또는 조경용수로 쓰일 수 있도록 공급된다.
저장탱크(40) 또는 펌프정(100)으로부터 화장실용수와 조경용수를 직접 공급하지 않고 그 사이에 급수탱크(70)를 두고 급수탱크(70)에 별도의 소용량의 급수 펌프(80)를 설치하는 것은, 화장실용수 또는 조경용수로의 빗물 사용을 위해 수중펌프(60)를 빈번하게 가동 및 정지시키는 것에 따른 수중펌프(60)의 고장 및 마모를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급수탱크(70)에는 저장된 빗물의 양이 일정 수위 이하일 경우상수도(130)로부터 수돗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수도 유입관(90)이 연결되며, 상기 상수도 유입관(90)에는 상기 급수탱크(70)로부터 빗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수도 유입관(90)은, 상기 상수도(130)와 연결된 상류관(91)과, 상기 상류관(91)의 끝단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급수탱크(70)에 연결된 하류관(9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상기 상류관(91)과 상기 하류관(92)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형성된 에어갭(93)일 수 있다. 상기 에어갭(93)은 상수도 유입관(90)의 내부직경의 2배 이상 또는 3c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류관(91)의 끝단과 대향하는 상기 하류관(92)의 일단은 상기 상류관(91)보다 큰 직경을 갖는 관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류관(91)과 하류관(92) 사이에는 그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용접봉(94)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역류방지수단의 일 실시예로써 에어갭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빗물 이용장치의 역류방지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은 전기식 역류방지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급수탱크(70)에는 그 내부에 저장된 빗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미도시)가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빗물 이용장치에는, 상기 급수탱크(70)의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수위가 일정 값 이하로 낮아진 것이 감지되는 경우 수중펌프(60)를 작동시켜 펌프정(100)으로부터 빗물을 공급하도록 하거나 수돗물의 공급여부를 결정하고, 펌프(80)를 작동시켜 빗물을 화장실용수 또는 조경용수로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제어부에서 결정되는 펌프(60 및 80)의 작동 여부에 관한 정보는 후술할 표시부로 보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빗물 이용장치에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장치 유지 및 보수의 편의를 위해 표시부가 구비된다. 상기 표시부에는 각종 측정센서들에서 측정되어 보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빗물 이용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한다. 즉, 저장된 빗물의 저장탱크의 현재 수위와 총 빗물저장량, 펌프정에서의 수질현황(수소이온농도(pH), 탁도(turbidity) 및 전기전도도(EC) 등) 및 펌프(60 및 80)의 작동 여부가 자동으로 표시된다.
상기 표시부로는, 본 고안의 개략도와 같이 도식화된 보드의 형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를 상기 제어부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를 보드의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보드 상에 표시된 개략도에서 각 센서들이 위치하는 곳에 각각의 해당하는 센서들의 측정값을 일목요연하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유지 및 관리에 있어 편의를 도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빗물을 단순히 모아두었다가 사용하는 방식에 비하여, 필터장치를 사용하여 빗물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고, 저장된 빗물에서의 침전된 이물질이 교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가 많은 장마철에도 넘치는 빗물은 월류관을 통해 내보내고 역류방지수단에 의해 상수도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빗물 이용장치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표시부등의 여러 가지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저장된 빗물의 유지 및 관리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기존의 상수도와 연계하여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수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0)

  1. 빗물을 모으는 집수면;
    상기 집수면의 하류 측에 설치되며, 상기 집수면으로부터 유출된 빗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집수면과 상기 저장탱크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설치되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장치; 및
    상기 저장탱크의 하류 측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유출된 빗물을 저장하고 이를 일정한 수압의 각종 용수로 공급하는 급수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의 용량은 상기 집수면의 면적(㎡)에 0.05 내지 0.1m를 곱한 값으로 계산되는 톤(㎥)수로 결정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면은 빗물이 유입되는 상류 측으로부터 상기 빗물이 배출되는 하류 측을 향하여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치는,
    상기 집수면으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되어 와류를 형성하는 빗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에 의하여 정화된 빗물이 상기 저장탱크를 향하여 유출되는 유출관; 및
    상기 스크린에 의하여 걸러진 이물질이 포함된 빗물이 배출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하류에 다공성의 콘크리트 침투구가 설치되어 빗물이 지하로 서서히 스며드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은 상기 저장탱크의 내부까지 연장되며, 그 끝단은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면으로부터 수면을 향하도록 상향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급수탱크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 사이에서 빗물의 흐름을 중개하는 펌프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펌프정의 내부에는 빗물을 펌핑하여 상기 급수탱크로 이송하는 수중펌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정에 설치되어 빗물의 수소이온농도, 전기전도도 또는 탁도 중 하나 이상의 수질항목을 측정하는 수질측정센서와,
    상기 수질측정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수질항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에는 저장된 빗물의 양이 일정 수위 이하일 경우 상수도로부터 수돗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수도 유입관이 연결되며,
    상기 상수도 유입관에는 상기 급수탱크로부터 빗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역류방지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 유입관은, 상기 상수도와 연결된 상류관과, 상기 상류관의 끝단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급수탱크에 연결된 하류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상기 상류관과 상기 하류관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형성된 에어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탱크에는 상기 급수탱크 내에 저장된 빗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수위가 일정 수위 이하로 낮아진 것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상수도로부터 수돗물이 유입되도록 수돗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이용장치.
KR2020020025774U 2002-08-29 2002-08-29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KR200295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774U KR200295999Y1 (ko) 2002-08-29 2002-08-29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774U KR200295999Y1 (ko) 2002-08-29 2002-08-29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337A Division KR20040021732A (ko) 2002-08-29 2002-08-29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999Y1 true KR200295999Y1 (ko) 2002-11-29

Family

ID=73078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774U KR200295999Y1 (ko) 2002-08-29 2002-08-29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999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290B1 (ko) * 2003-05-30 2006-01-11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우수통제시설물
KR100756294B1 (ko) * 2006-06-12 2007-09-06 주식회사 케이씨앤지 빗물 재활용 우수 집수시설물
KR101179715B1 (ko) * 2012-02-06 2012-09-04 주식회사 가나 빗물 재활용 시스템
KR101352770B1 (ko) 2013-10-15 2014-01-16 (주)에이치엔피테크 이물질배출장치
KR101433076B1 (ko) * 2013-12-06 2014-08-25 롯데건설 주식회사 강우 유출수 및 지하수 관리 시스템
KR101566948B1 (ko) * 2015-01-08 2015-11-09 롯데건설 주식회사 지하수 및 우수 관리장치
KR102104655B1 (ko) * 2019-10-04 2020-04-27 이동기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과 그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1290B1 (ko) * 2003-05-30 2006-01-11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우수통제시설물
KR100756294B1 (ko) * 2006-06-12 2007-09-06 주식회사 케이씨앤지 빗물 재활용 우수 집수시설물
KR101179715B1 (ko) * 2012-02-06 2012-09-04 주식회사 가나 빗물 재활용 시스템
KR101352770B1 (ko) 2013-10-15 2014-01-16 (주)에이치엔피테크 이물질배출장치
KR101433076B1 (ko) * 2013-12-06 2014-08-25 롯데건설 주식회사 강우 유출수 및 지하수 관리 시스템
KR101566948B1 (ko) * 2015-01-08 2015-11-09 롯데건설 주식회사 지하수 및 우수 관리장치
KR102104655B1 (ko) * 2019-10-04 2020-04-27 이동기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과 그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391B1 (ko) 강우 감지를 이용한 우수 처리 및 사용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Weiss et al. Infiltration and inflow in combined sewer systems: long-term analysis
KR101741957B1 (ko) 빗물 저류조를 활용한 연못 순환 시스템
KR101382006B1 (ko)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및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033859B1 (ko) 초기우수 분리형 저류조
KR101226173B1 (ko) 순환형 빗물저장시스템
KR101096768B1 (ko) 빗물이용장치
KR100990483B1 (ko)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US6832635B2 (en) Rainwater collection and bottling system
WO2008102084A2 (fr) Station hydraulique de récupération, de gestion et de distribution des eaux pluviales
KR101574644B1 (ko) 이물질이 함유된 초기빗물을 배제한 우수 집수장치
JP2017145680A (ja) 初期雨水除去装置とこれを備えた雨水タンク装置、雨水タンク装置の通信ネットワーク、初期雨水除去方法
CN208748793U (zh) 变电站屋顶雨水回收再利用系统
KR200295999Y1 (ko)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KR20040021732A (ko)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KR100511208B1 (ko) 재활용 및 홍수방지용 빗물저수조 시스템
KR100959373B1 (ko) 상수도관의 이물질 배출장치
KR101744938B1 (ko) 비점 오염 초기 우수 처리시스템
KR101555447B1 (ko) 빗물 처리 및 이용장치
JP2009108537A (ja) 雨水貯留設備
KR200398164Y1 (ko) 초기 빗물처리장치
KR101932145B1 (ko) 단위면적당 강수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이용한 초기빗물 배제장치
KR100846029B1 (ko) 건물 홈통 연결용 빗물처리시스템
WO2010142950A1 (en) Rainwater harvesting system
CN110029721A (zh) 一种具有排污及初雨调蓄功能的管涵结合截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