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655B1 -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과 그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과 그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655B1
KR102104655B1 KR1020190122970A KR20190122970A KR102104655B1 KR 102104655 B1 KR102104655 B1 KR 102104655B1 KR 1020190122970 A KR1020190122970 A KR 1020190122970A KR 20190122970 A KR20190122970 A KR 20190122970A KR 102104655 B1 KR102104655 B1 KR 102104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torage tank
switching valve
water
rain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2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기
김용섭
Original Assignee
이동기
김용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기, 김용섭 filed Critical 이동기
Priority to KR1020190122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2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supply for industri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방재 기술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과 그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은 산불발생 시 소방력이 먼 곳 또는 소방 통로 확보가 어려운 지역에 설치하여 산불이 마을에 옮겨 붙지 않게 미연에 사고를 방지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가뭄 및 갈수기 시에 농업용수 등에 활용하여 자연피해로 인한 향후 재배할 농산물에 대한 회손이 최대한 없도록 신속히 대처 및 방비하여 농촌 소득향상에 도움을 준다.

Description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과 그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Fire hydrant installa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system, and installa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소방방재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산불발생 시 소방력이 먼 곳 또는 소방 통로 확보가 어려운 지역에 설치하여 산불이 마을에 옮겨 붙지 않게 미연에 사고를 방지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가뭄 및 갈수기 시에 농업용수 등에 활용하여 자연피해로 인한 향후 재배할 농산물에 대한 회손이 최대한 없도록 신속히 대처 및 방비하여 농촌 소득향상에 도움을 주는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과 그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저장탱크는 사각형, 원통형, 웨이브형, 다중격벽형 등과 같이 형상적으로 구분되어 물을 저장하기 위한 기본적인 저장수단으로서, 그의 시공 방 법에 따라 패널 조립식, 조적식, 유니트 적층식, 사용 재료에 따라 콘크리트, 수지 재질,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런 물 저장탱크는 통상적으로 상수도용으로 사용될 때 미리 상하수도 정추처리시설, 정수장 등을 통해서 정수된 물을 깨끗하고 안전하게 보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일반적인 상하수도 정수처리시설은 일명 정수장(filtration plant)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착수정, 약품투입시설, 혼화지, 응집지, 침전지, 여과지, 고도정수처리시설, 정수지(clear wall), 송수펌프시설, 배수지로 이루어져 있고, 대량의 정수된 물을 물이 필요한 곳까지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생활용수로서 음용 가능한 물은 시설이 완비된 도시 등지에 공급하여야 함은 물론, 촌락, 산간, 벽지, 섬, 수해를 당한 지역 등의 사람들에게 공급하기 부족한 상태이다.
즉, 산간, 오지, 벽지, 섬, 수해 지역에서는 상하수도 정수처리시설이 잘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기존의 시설이 파괴된 관계로 인하여 식수 사용에 매우 큰 불편함이 있으며,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단순히 물을 집수하여 재활용하지만 건강, 위생상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물을 음용 한다는 것 자체가 생명에 위협을 받는 일이 될 수 있다.
또한, 대지의 정화작용에 의한 샘물, 우물물 등을 사용하더라도, 가뭄이나 재해 발생 후 물이 오염될 우려가 있으며, 그 사용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의 불편함은 이루 말로 표현하기 힘든 실정이다.
이렇게 상수도 시설 공급이 어려운 산간, 오지, 소규모 읍, 면, 부락과 섬지방 등에서 주민의 안전한 식수 공급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아직도 열악한 시스템에서 생산된 물을 부적절한 저수조에 저장하여 상수로 사용하고 있는 지역이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 저수조로 사용되고 있는 FRP 탱크, 콘크리트 저수조, SMC 물탱크 등의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시켜 줄 수 있는 새로운 소재의 탱크가 필요한 실정이며 저수조 뿐만 아니라 상수도 생산 능력을 겸비한 기능성 물탱크의 개발은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화재가 난 곳에는 대개 뜨거운 화염과 연소가스 때문에 큰 피해를 입게 되는데, 특히 고온의 화염이 발생하고 폭발 위험이 있는 경우 등에는 소방관이 화재 현장에 투입되어도 효과적으로 화재 현장을 제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화염이 심한 경우에는 화재 현장에 접근을 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특히 좁은 공간으로 이루어져 사람이 출입할 수 없는 곳에서는 사람이나 소방기구가 접근할 수 없어서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산불 발생시에는 헬기를 이용하거나 진화하거나 인력(주민 및 군인 등)을 동원하여 소극적으로 진화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종래의 소화기는 개인이 휴대하고 산불을 진화할 수 있는 장비로, 산불 발생지점 또는 진화필요 지점에 따라 접근성의 한계가 따르고, 진화 면적 또한 제한적이어서 상품성 및 효용성 부족의 문제 등으로 아직 상품화되어 활용되고 있지 못하다.
2005년 낙산사 화재의 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산에 둘러싸인 사찰이나 가옥은 특히 산불에 취약하여 귀중한 문화재 소실은 물론 인명사고까지 발생할 수 있음에 비하여 아직 이에 대처할 수 있는 효율적인 소방 장비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실용 등록번호 : 20-0343474-0000 한국실용 등록번호 : 20-0107502-0000 한국특허 등록번호 : 10-1400770-0000 한국특허 등록번호 : 10-1875899-0000
본 발명의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과 그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은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산불발생 시 소방력이 먼 곳 또는 소방 통로 확보가 어려운 지역에 설치하여 산불이 마을에 옮겨 붙지 않게 미연에 사고를 방지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가뭄 및 갈수기 시에 농업용수 등에 활용하여 자연피해로 인한 향후 재배할 농산물에 대한 회손이 최대한 없도록 신속히 대처 및 방비하여 농촌 소득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혐지 중 하나인 산간지역 화재 발생시, 누구나 신속하게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최소의 비용으로 소방 환경을 조성하여 화재취약 지역의 보호 및 자체적인 화재 대응력 향상을 통해 물적, 인적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소방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빗물 저장 탱크에 미리 저장해 둔 빗물을 활용한 소방 설비 시스템을 구축하여 물절약 및 환경 보전에 충분히 기여할 수 있도록 하면서 누구나 손쉽고 빠르게 화재 진압할 수 있도록 농촌 고령자 위주에 조작절차를 단순한 소방방재 서비스를 혐지 지역에 대폭적으로 제공 및 지원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은, 고정식 소화전 또는 이동식 소화전을 포함하는 소화전 수납함; 혐지 지역 내 상수도관이 존재시엔 상기 상수도관과 고정식 소화전을 연결하거나, 상기 상수도관이 미존재시엔 상기 이동식 소화전을 마련하여 상기 혐지 지역 내 존재하는 빗물 저장 탱크에 연결하는 중개 파이프 라인; 상기 상수도관 혹은 빗물 저장 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상수도관으로부터 나온 상수도 물이 상기 중개 파이프 라인을 거쳐 상기 고정식 소화전에 이르도록 상기 중개 파이프 라인에 제 1 수압을 가하거나, 상기 빗물 저장 탱크로부터 나온 빗물이 상기 중개 파이프 라인을 거쳐 상기 이동식 소화전에 이르도록 상기 중개 파이프 라인에 제 2 수압을 가하는 가압펌프; 상기 빗물 저장 탱크 내 저장된 빗물의 양을 감지하여 상기 빗물의 양이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상수도관의 스위칭 밸브가 오프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빗물의 양이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스위칭 밸브가 오프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는 유량 감지센서; 및 상기 유량 감지센서로부터 스위칭 밸브 온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시, 상기 스위칭 밸브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시켜 상기 상수도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상수도 물이 상기 빗물 저장 탱크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유량 감지센서로부터 스위칭 밸브 오프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시엔 상기 스위칭 밸브의 오프 상태를 그대로 유지케 하거나 상기 스위칭 밸브의 온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변경해 상기 상수도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상수도 물의 공급을 일시 정지시키는 스위칭 밸브 원격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의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은, 고정식 소화전 또는 이동식 소화전을 포함하는 소화전 수납함을 구비하는 당해 시스템의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으로, 중개 파이프 라인이 혐지 지역 내 상수도관이 존재시엔 상기 상수도관과 고정식 소화전을 연결하거나, 상기 상수도관이 미존재시엔 상기 이동식 소화전을 마련하여 상기 혐지 지역 내 존재하는 빗물 저장 탱크에 연결하는 단계; 가압펌프가 상기 상수도관 혹은 빗물 저장 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상수도관으로부터 나온 상수도 물이 상기 중개 파이프 라인을 거쳐 상기 고정식 소화전에 이르도록 상기 중개 파이프 라인에 제 1 수압을 가하는 단계; 상기 가압펌프가 상기 빗물 저장 탱크로부터 나온 빗물이 상기 중개 파이프 라인을 거쳐 상기 이동식 소화전에 이르도록 상기 중개 파이프 라인에 제 2 수압을 가하는 단계; 유량 감지센서가 상기 빗물 저장 탱크 내 저장된 빗물의 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유량 감지센서가 상기 빗물의 양이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상수도관의 스위칭 밸브가 오프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상기 빗물의 양이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스위칭 밸브가 오프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되게 하는 단계; 스위칭 밸브 원격제어 모듈이 상기 유량 감지센서로부터 스위칭 밸브 온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시, 상기 스위칭 밸브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시켜 상기 상수도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상수도 물이 상기 빗물 저장 탱크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칭 밸브 원격제어 모듈이 상기 유량 감지센서로부터 스위칭 밸브 오프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시엔 상기 스위칭 밸브의 오프 상태를 그대로 유지케 하거나 상기 스위칭 밸브의 온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변경해 상기 상수도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상수도 물의 공급을 일시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과 그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은 산불발생 시 소방력이 먼 곳 또는 소방 통로 확보가 어려운 지역에 설치하여 산불이 마을에 옮겨 붙지 않게 미연에 사고를 방지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제 1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가뭄 및 갈수기 시에 농업용수 등에 활용하여 자연피해로 인한 향후 재배할 농산물에 대한 회손이 최대한 없도록 신속히 대처 및 방비하여 농촌 소득향상에 도움을 주는 제 2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혐지 중 하나인 산간지역 화재 발생시, 누구나 신속하게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최소의 비용으로 소방 환경을 조성하여 화재취약 지역의 보호 및 자체적인 화재 대응력 향상을 통해 물적, 인적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소방시스템을 구현하는 제 3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빗물 저장 탱크에 미리 저장해 둔 빗물을 활용한 소방 설비 시스템을 구축하여 물절약 및 환경 보전에 충분히 기여할 수 있도록 하면서 누구나 손쉽고 빠르게 화재 진압할 수 있도록 농촌 고령자 위주에 조작절차를 단순한 소방방재 서비스를 혐지 지역에 대폭적으로 제공 및 지원하는 제 4 효과를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을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을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의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1000)은 산불발생 시 소방력이 먼 곳 또는 소방 통로 확보가 어려운 지역에 설치하여 산불이 마을에 옮겨 붙지 않게 미연에 사고를 방지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가뭄 및 갈수기 시에 농업용수 등에 활용하여 자연피해로 인한 향후 재배할 농산물에 대한 회손이 최대한 없도록 신속히 대처 및 방비하여 농촌 소득향상에 도움을 주는 시스템으로, 소화전 수납함(100), 중개 파이프 라인(200), 가압펌프(300), 유량 감지센서(400) 및 스위칭 밸브 원격제어 모듈(500), 상수도관(600), 빗물 저장 탱크(700)을 포함한다.
먼저, 소화전 수납함(100)은 고정식 소화전 또는 이동식 소화전을 포함한다.
소화전 수납함(100)은 긴급을 요하는 화재발생 시 또는 가뭄이나 기타 환경오염 등으로 물 공급이 긴급이 요하는 때에, 누구라도 혼자서 손쉽게 소방호스를 인출하여 신속하게 소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고정식 소화전 또는 이동식 소화전을 마련해 둔 장치물이다.
고정식 소화전 또는 이동식 소화전은 인공수리(人工水利) 중에서 도시 방화수리(防火水利)로서 특히 중요한 시설로 소화전에 대한 설치기준이나 규격 등에 대해서는 소방법에 규정되어 있으며 크게 옥내소화전과 옥외소화전으로 구별되며, 옥외소화전은 다시 지상식과 지하식으로 구별된다.
고정식 소화전은 중개 파이프 라인(200)과 고정형으로 연결되어 있어, 상수도관(600) 혹은 빗물 저장탱크(700)로부터 전달되는 상수도 물이나 빗물을 중개 파이프 라인(200)을 통해 직접적으로 급수받는다.
이동식 소화전은 이동형으로 중개 파이프 라인(200)과 비(非)고정형으로 연결되며, 휴대가 가능해 필요시 내부에 미리 저장해 둔 상수도 물이나 빗물을 적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소화전 수납함(100)의 상부면 또는 빗물 저장 탱크(700)의 상부면에는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ex: OLED, LED, PDP, LCD, 형광등, 백열등 등)(785)이 외부에 탑재되고 적어도 하나의 GPS 통신모듈(790)이 내부에 탑재됨에 따라, 화재 혹은 가뭄으로 인한 긴급상황 발생시, 소화전 수납함(100) 또는 빗물 저장 탱크(700)가 존재하는 설치 위치가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785)의 발광을 통해 유관상으로 파악될 수 있게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GPS 통신모듈(790)로부터 전달된 좌표값이 범용 통신 단말기 내 프로그램 설치된 GPS 지도 웹(앱)을 통해 표시되게 한다.
중개 파이프 라인(200)은 혐지(난) 지역 내 상수도관(600)이 존재시엔 상수도관(600)과 고정식 소화전을 연결하거나, 상수도관(600)이 미존재시엔 이동식 소화전을 마련하여 혐지 지역 내 존재하는 빗물 저장 탱크(700)에 연결한다.
중개 파이프 라인(200)은 종류에 따라 하자의 발생 빈도가 현저하게 차이가 난다. 또 종류별로 취급시 주의사항도 유념해야 한다.
즉, 중개 파이프 라인(200) 중 PB 파이프는 폴리 부틸렌 관이라고 하며, PB 관 혹은 에이콘(ACORN PIPE)이라고 흔히 호칭된다. 시공이 간단한 편이고, 내구성이나 질도 아주 뛰어나다. 다만 시공을 확실하게 해주지 않으면 하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체결 시에 링이나 와셔 등의 부속을 하나라도 누락한다면 누수될 확률이 매우 높다. PB 파이프는 부속과 연결될 때 기본적으로 2번 들어가게 된다.
중개 파이프 라인(200) 중 XL 파이프는 흔히 엑셀이라고도 부른다. 엑셀은 보통 가정집에서 난방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XL 파이프의 장점은 시공이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한 편이다. 하지만, 연결부위에서 가끔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도 하고, 강도면에서 관 자체가 조금 약하다.
중개 파이프 라인(200) 중 PPC 파이프는 다른 파이프 라인보다 가장 많은 불량이 발생하는 편에 속한다. 그 이유는 값이 싸고 온수관으로 사용시 고온에 약하며, 겨울에 얼었을 시 크랙이 가는 경우가 많아 요즘엔 선호하지 않는 편이다.
중개 파이프 라인(200) 중 주름관은 주름형태로 되어 있어서 곡선으로 연결할 때 유용한 관이다. 주로 보일러 등에 연결시 사용된다. 주의하실 점은 주름관은 땅에 매립하면 안된다. 왜냐하면, 녹스는 하자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또한 다른 관에 비해 마찰로 인해 유속에 느리다. 그리고, 끝 부분이 날카로움으로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중개 파이프 라인(200) 중 동관은 가격이 비싼 고급 파이프 라인으로, 금속이라 열전도율이 빠르나, 실상은 부식이 잘되고 누수도 잘된다. 또한, 시공이 어려워 일반인이 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다. 지금은 PB 파이프 등이 워낙 잘 나오기 때문에 굳이 사용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관이다.
중개 파이프 라인(200) 중 메타폴은 플라스틱과 금속을 접착시켜서 만든 관이다. 주로 파랑색은 냉수, 빨간색은 온수에 사용을 한다. 주로 온수쪽에서 문제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가압펌프(300)는 상수도관(600) 혹은 빗물 저장 탱크((700)에 설치되어 상수도관(600)으로부터 나온 상수도 물이 중개 파이프 라인(200)을 거쳐 고정식 소화전에 이르도록 중개 파이프 라인(200)에 제 1 수압을 가하거나, 빗물 저장 탱크(700)로부터 나온 빗물이 중개 파이프 라인(200)을 거쳐 이동식 소화전에 이르도록 중개 파이프 라인(200)에 제 2 수압을 가한다.
가압펌프(300)는 고지대 특히 험난한 지역에 물을 보낼 때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송수관로에 압력을 높이기 위해 설치하는 펌프로, 목표로 한 압력에 도달한 순간에 작동이 정지되는 순간 가압펌프와 가능한 한 장시간 연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연구된 연속 가압펌프가 있다.
연속 가압펌프일 경우 필요한 압력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작동이 멈추고, 압력이 저하되면 다시 자동적으로 작동하도록 된다.
유량 감지센서(400)는 빗물 저장 탱크(700) 내 저장된 빗물의 양을 감지하여 빗물의 양이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수도관(600)의 스위칭 밸브(550)가 오프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빗물의 양이 기준치보다 작으면 스위칭 밸브(550)가 오프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되도록 한다.
스위칭 밸브 원격제어 모듈(500)은 유량 감지센서(400)로부터 스위칭 밸브 온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시, 스위칭 밸브(550)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시켜 상수도관(600)으로부터 유출되는 상수도 물이 빗물 저장 탱크(700)에 저장되도록 하고, 유량 감지센서(400)로부터 스위칭 밸브 오프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시엔 스위칭 밸브(550)의 오프 상태를 그대로 유지케 하거나 스위칭 밸브(550)의 온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변경해 상수도관(600)으로부터 유출되는 상수도 물의 공급을 일시 정지시킨다.
스위칭 밸브 원격제어 모듈(500)은 빗물 저장 탱크(700) 내 저장된 빗물의 양과 무관하게 원격 수동제어를 통해 강제적으로 빗물 저장 탱크(700) 내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으며, 유량 감지센서(400)를 통해 강제 유출된 빗물의 양을 확인해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관리 서버(800)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스위칭 밸브 원격제어 모듈(500)은 스위칭 밸브(550)를 강제 온시켜 상수도 물의 관리 감독 및 보급하는 권한을 갖는 관리 서버(800)의 승인하에 유입되는 상수도 물을 빗물 저장 탱크(700)에서 수렴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1000)은 추가구성으로, 도 2,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온도 감지센서(710), 녹조 감지센서(720), 오염도 측정센서(730), 용량 표시판(740), 전원 공급기(750), 빅데이터 처리부(760), 관리 서버(800)를 더 포함한다.
즉, 온도 감지센서(710)는 빗물 저장 탱크(700) 내 이미 저장된 빗물의 수온을 체크한다.
녹조 감지센서(720)는 빗물 저장 탱크(700) 내 이미 저장된 빗물로부터 확인되는 녹조발생 여부를 체크한다.
오염도 측정센서(730)는 빗물 저장 탱크(700) 내 이미 저장된 빗물로부터 확인되는 오염도를 PH(수소이온)농도로 측정한다.
용량 표시판(740)은 태양광 패널을 통해 전달받은 태양열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발전됨에 따라 빗물 저장 탱크(700) 내 이미 저장된 빗물의 용량을 체크해 외부 디스플레이해 준다.
또한, 전원 공급기(750)는 전기 에너지를 온도 감지센서(710), 녹조 감지센서(720), 오염도 측정센서(730)에 공급해 체크 동작 및 측정 동작에 의해 시행되는 일련의 신호 처리가 지속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이어갈 수 있도록 서포팅한다.
빅데이터 처리부(760)는 온도 감지센서(710), 녹조 감지센서(720), 오염도 측정센서(730)로부터 수집되는 빅데이터를 취합해 임시 저장 및,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관리 서버(800)에 전달한다.
관리 서버(800)는 빅데이터를 정밀 분석해 보고서 파일을 작성하고 보고서 파일을 상수도관(600)을 관리하는 제 1 지자체 통신 단말기(900) 또는 빗물 저장 탱크(700)를 관리하는 제 2 지자체 통신 단말기(910)로 전달해 제 1, 2 지자체 통신 단말기(900, 910)로 하여금 빗물 저장 탱크(700) 내 저장된 빗물의 수질 개선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1000)은 구성요소 외에도 도 4 처럼, 빗물 여과필터(770), 기포발생용 물 순환기(775), 백신 투입기(780)를 더 포함한다.
빗물 여과필터(770)는 빗물 저장 탱크(700) 내 상부, 중부,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 부산물 또는 미생물을 걸러낸다.
기포발생용 물 순환기(775)는 빗물 저장 탱크(700) 내 하부에 고정 설치된 모터를 구동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면서 기포를 활용해 빗물을 순환시킨다.
백신 투입기(780)는 이물질, 부산물, 또는 미생물로 인해 생성된 세균 및 바이러스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세균 및 바이러스 세균의 박멸 및 바이러스의 확산을 억제하는 맞춤형 인체무해성 백신 물질을 설정주기에 맞춰 빗물 저장 탱크(700) 내에 투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1000)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일부 조합해 구성할 수도 있고, 당업자의 현장사정 및 현장여건에 따라 구성요소들 모두를 조합해 시스템을 완비할 수도 있음으로 구성요소들의 선택적 취합 및 이에 따른 구동은 제한적이지 않다 할 것이며, 나열된 구성요소들 범주 내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된 메커니즘적인 장치적 구성 및 동적적 구성 역시도 이에 국한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의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은 산불발생 시 소방력이 먼 곳 또는 소방 통로 확보가 어려운 지역에 설치하여 산불이 마을에 옮겨 붙지 않게 미연에 사고를 방지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가뭄 및 갈수기 시에 농업용수 등에 활용하여 자연피해로 인한 향후 재배할 농산물에 대한 회손이 최대한 없도록 신속히 대처 및 방비하여 농촌 소득향상에 도움을 주는 당해 시스템의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이다.
즉, 고정식 소화전 또는 이동식 소화전을 포함하는 소화전 수납함을 구비하는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의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은 중개 파이프 라인이 혐지 지역 내 상수도관이 존재시엔 상수도관과 고정식 소화전을 연결하거나, 상수도관이 미존재시엔 이동식 소화전을 마련하여 혐지 지역 내 존재하는 빗물 저장 탱크에 연결한다(S110).
가압펌프는 상수도관 혹은 빗물 저장 탱크에 설치되어 상수도관으로부터 나온 상수도 물이 중개 파이프 라인을 거쳐 고정식 소화전에 이르도록 중개 파이프 라인에 제 1 수압을 가한다(S120).
가압펌프는 빗물 저장 탱크로부터 나온 빗물이 중개 파이프 라인을 거쳐 이동식 소화전에 이르도록 중개 파이프 라인에 제 2 수압을 가한다(S130).
유량 감지센서는 빗물 저장 탱크 내 저장된 빗물의 양을 감지한다(S140).
유량 감지센서는 빗물의 양이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수도관의 스위칭 밸브가 오프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빗물의 양이 기준치보다 작으면 스위칭 밸브는 오프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되게 한다(S150).
스위칭 밸브 원격제어 모듈은 유량 감지센서로부터 스위칭 밸브 온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시, 스위칭 밸브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시켜 상수도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상수도 물이 빗물 저장 탱크에 저장되도록 한다(S160).
스위칭 밸브 원격제어 모듈은 유량 감지센서로부터 스위칭 밸브 오프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시엔 스위칭 밸브의 오프 상태를 그대로 유지케 하거나 스위칭 밸브의 온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변경해 상수도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상수도 물의 공급을 일시 정지시킨다(S17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
100 : 소화전 수납함 200 : 중개 파이프 라인
300 : 가압펌프 400 : 유량 감지센서
500 : 스위칭 밸브 원격제어 모듈 600 : 상수도관
700 : 빗물 저장 탱크

Claims (8)

  1. 고정식 소화전 또는 이동식 소화전을 포함하는 소화전 수납함;
    혐지 지역 내 상수도관이 존재시엔 상기 상수도관과 고정식 소화전을 연결하거나, 상기 상수도관이 미존재시엔 상기 이동식 소화전을 마련하여 상기 혐지 지역 내 존재하는 빗물 저장 탱크에 연결하는 중개 파이프 라인;
    상기 상수도관 혹은 빗물 저장 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상수도관으로부터 나온 상수도 물이 상기 중개 파이프 라인을 거쳐 상기 고정식 소화전에 이르도록 상기 중개 파이프 라인에 제 1 수압을 가하거나, 상기 빗물 저장 탱크로부터 나온 빗물이 상기 중개 파이프 라인을 거쳐 상기 이동식 소화전에 이르도록 상기 중개 파이프 라인에 제 2 수압을 가하는 가압펌프;
    상기 빗물 저장 탱크 내 저장된 빗물의 양을 감지하여 상기 빗물의 양이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상수도관의 스위칭 밸브가 오프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빗물의 양이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스위칭 밸브가 오프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는 유량 감지센서; 및
    상기 유량 감지센서로부터 스위칭 밸브 온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시, 상기 스위칭 밸브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시켜 상기 상수도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상수도 물이 상기 빗물 저장 탱크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유량 감지센서로부터 스위칭 밸브 오프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시엔 상기 스위칭 밸브의 오프 상태를 그대로 유지케 하거나 상기 스위칭 밸브의 온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변경해 상기 상수도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상수도 물의 공급을 일시 정지시키는 스위칭 밸브 원격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전 수납함의 상부면 또는 상기 빗물 저장 탱크의 상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이 외부에 탑재되고 적어도 하나의 GPS 통신모듈이 내부에 탑재됨에 따라, 화재 혹은 가뭄으로 인한 긴급상황 발생시, 상기 소화전 수납함 또는 빗물 저장 탱크가 존재하는 설치 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의 발광을 통해 유관상으로 파악될 수 있게 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GPS 통신모듈로부터 전달된 좌표값은 범용 통신 단말기 내 프로그램 설치된 GPS 지도 웹(앱)을 통해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위칭 밸브 원격제어 모듈은,
    상기 빗물 저장 탱크 내 저장된 빗물의 양과 무관하게 원격 수동제어를 통해 강제적으로 상기 빗물 저장 탱크 내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으며, 상기 유량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강제 유출된 빗물의 양을 확인해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관리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스위칭 밸브를 강제 온시켜 상기 상수도 물의 관리 감독 및 보급하는 권한을 갖는 관리 서버의 승인하에 유입되는 상기 상수도 물을 상기 빗물 저장 탱크에서 수렴케 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장 탱크 내 이미 저장된 상기 빗물의 수온을 체크하는 온도 감지센서;
    상기 빗물 저장 탱크 내 이미 저장된 상기 빗물로부터 확인되는 녹조발생 여부를 체크하는 녹조 감지센서;
    상기 빗물 저장 탱크 내 이미 저장된 상기 빗물로부터 확인되는 오염도를 PH(수소이온)농도로 측정하는 오염도 측정센서; 및
    태양광 패널을 통해 전달받은 태양열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발전됨에 따라 상기 빗물 저장 탱크 내 이미 저장된 상기 빗물의 용량을 체크해 외부 디스플레이해 주는 용량 표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에너지를 상기 온도 감지센서, 녹조 감지센서, 오염도 측정센서에 공급해 상기 체크 동작 및 측정 동작에 의해 시행되는 일련의 신호 처리가 지속적이면서 연속적으로 이어갈 수 있도록 서포팅하는 전원 공급기; 및
    상기 온도 감지센서, 녹조 감지센서, 오염도 측정센서로부터 수집되는 빅데이터를 취합해 임시 저장 및,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관리 서버에 전달하는 빅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빅데이터를 정밀 분석해 보고서 파일을 작성하고 상기 보고서 파일을 상기 상수도관을 관리하는 제 1 지자체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빗물 저장 탱크를 관리하는 제 2 지자체 통신 단말기로 전달해 상기 제 1, 2 지자체 통신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빗물 저장 탱크 내 저장된 빗물의 수질 개선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저장 탱크 내 상부, 중부,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 부산물 또는 미생물을 걸러내는 빗물 여과필터;
    상기 빗물 저장 탱크 내 하부에 고정 설치된 모터를 구동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면서 상기 기포를 활용해 상기 빗물을 순환시키는 기포발생용 물 순환기 및
    상기 이물질, 부산물, 또는 미생물로 인해 생성된 세균 및 바이러스를 주기적으로 체크하고, 상기 세균 및 바이러스 세균의 박멸 및 상기 바이러스의 확산을 억제하는 맞춤형 인체무해성 백신 물질을 설정주기에 맞춰 상기 빗물 저장 탱크 내에 투입하는 백신 투입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고정식 소화전 또는 이동식 소화전을 포함하는 소화전 수납함을 구비하는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의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으로,
    중개 파이프 라인이 혐지 지역 내 상수도관이 존재시엔 상기 상수도관과 고정식 소화전을 연결하거나, 상기 상수도관이 미존재시엔 상기 이동식 소화전을 마련하여 상기 혐지 지역 내 존재하는 빗물 저장 탱크에 연결하는 단계;
    가압펌프가 상기 상수도관 혹은 빗물 저장 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상수도관으로부터 나온 상수도 물이 상기 중개 파이프 라인을 거쳐 상기 고정식 소화전에 이르도록 상기 중개 파이프 라인에 제 1 수압을 가하는 단계;
    상기 가압펌프가 상기 빗물 저장 탱크로부터 나온 빗물이 상기 중개 파이프 라인을 거쳐 상기 이동식 소화전에 이르도록 상기 중개 파이프 라인에 제 2 수압을 가하는 단계;
    유량 감지센서가 상기 빗물 저장 탱크 내 저장된 빗물의 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유량 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빗물의 양이 기준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상수도관의 스위칭 밸브가 오프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상기 빗물의 양이 기준치보다 작으면 상기 스위칭 밸브가 오프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되게 하는 단계;
    스위칭 밸브 원격제어 모듈이 상기 유량 감지센서로부터 스위칭 밸브 온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시, 상기 스위칭 밸브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변경시켜 상기 상수도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상수도 물이 상기 빗물 저장 탱크에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칭 밸브 원격제어 모듈이 상기 유량 감지센서로부터 스위칭 밸브 오프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시엔 상기 스위칭 밸브의 오프 상태를 그대로 유지케 하거나 상기 스위칭 밸브의 온 상태를 오프 상태로 변경해 상기 상수도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상수도 물의 공급을 일시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화전 수납함의 상부면 또는 상기 빗물 저장 탱크의 상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이 외부에 탑재되고 적어도 하나의 GPS 통신모듈이 내부에 탑재됨에 따라, 화재 혹은 가뭄으로 인한 긴급상황 발생시, 상기 소화전 수납함 또는 빗물 저장 탱크가 존재하는 설치 위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의 발광을 통해 유관상으로 파악될 수 있게 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GPS 통신모듈로부터 전달된 좌표값이 범용 통신 단말기 내 프로그램 설치된 GPS 지도 웹(앱)을 통해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위칭 밸브 원격제어 모듈은,
    상기 빗물 저장 탱크 내 저장된 빗물의 양과 무관하게 원격 수동제어를 통해 강제적으로 상기 빗물 저장 탱크 내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으며, 상기 유량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강제 유출된 빗물의 양을 확인해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관리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스위칭 밸브를 강제 온시켜 상기 상수도 물의 관리 감독 및 보급하는 권한을 갖는 관리 서버의 승인하에 유입되는 상기 상수도 물을 상기 빗물 저장 탱크에서 수렴케 하는 것을 더 특징으로 하는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의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
KR1020190122970A 2019-10-04 2019-10-04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과 그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 KR102104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970A KR102104655B1 (ko) 2019-10-04 2019-10-04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과 그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2970A KR102104655B1 (ko) 2019-10-04 2019-10-04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과 그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4655B1 true KR102104655B1 (ko) 2020-04-27

Family

ID=7046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2970A KR102104655B1 (ko) 2019-10-04 2019-10-04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과 그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6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657B1 (ko) * 2021-09-15 2022-06-08 대한민국 소화성능평가 시스템
KR102679150B1 (ko) * 2023-10-24 2024-06-26 배경호 산사태 및 화재 예방을 위한 다목적 임도 시공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999Y1 (ko) * 2002-08-29 2002-11-29 한무영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KR200343474Y1 (ko) 2003-12-08 2004-03-02 강동열 상수도 정수처리 시스템을 구비한 기능성 물탱크
KR20080095992A (ko) * 2007-04-26 2008-10-30 (주)모노시스 알에프아이디(rfid)/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usn)를 이용한 지중선 관리시스템
KR20120109194A (ko) * 2011-03-28 2012-10-08 강영모 상수도(생활용수, 공업용수)를 보조소방수로 사용하는 가압식 소방수 공급장치
KR101400770B1 (ko) 2013-04-30 2014-05-29 디알비파텍 (주) 전복주행기능 및 화재진압기능을 가지는 소방로봇
KR101875899B1 (ko) 2011-10-27 2018-07-09 (주)케어스워터 산불 진화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999Y1 (ko) * 2002-08-29 2002-11-29 한무영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KR200343474Y1 (ko) 2003-12-08 2004-03-02 강동열 상수도 정수처리 시스템을 구비한 기능성 물탱크
KR20080095992A (ko) * 2007-04-26 2008-10-30 (주)모노시스 알에프아이디(rfid)/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usn)를 이용한 지중선 관리시스템
KR20120109194A (ko) * 2011-03-28 2012-10-08 강영모 상수도(생활용수, 공업용수)를 보조소방수로 사용하는 가압식 소방수 공급장치
KR101875899B1 (ko) 2011-10-27 2018-07-09 (주)케어스워터 산불 진화 장치
KR101400770B1 (ko) 2013-04-30 2014-05-29 디알비파텍 (주) 전복주행기능 및 화재진압기능을 가지는 소방로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6657B1 (ko) * 2021-09-15 2022-06-08 대한민국 소화성능평가 시스템
KR102679150B1 (ko) * 2023-10-24 2024-06-26 배경호 산사태 및 화재 예방을 위한 다목적 임도 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17103A9 (en) Automated wildfire prevention and protection system for dwellings, buildings, structures and property
KR102104655B1 (ko) 험난지역 소화전 설치관리 및 운영 시스템과 그 설치관리 및 운영방법
US20180063529A1 (en) Automated wildfire prevention and protection system for dwellings, buildings, structures and property
CN201043685Y (zh) 管道安全运行实时监控系统
US20150321033A1 (en) Automated wildfire prevention and protection system for dwellings, buildings, structures and property
KR20090115096A (ko) 무재해 소방방재 대책용품의 관노즐이동형 소방센서펌프
CN107899163A (zh) 一种社区智能灭火救援无人巡逻车
WO2017019566A1 (en) Automated wildfire prevention and protection system for dwellings, buildings, structures and property
CN109235545A (zh) 一种可用于应急抢险供水的户外型移动式智慧泵房
CN205759343U (zh) 一种便于检查的消防栓
CN208243947U (zh) 一种火电厂脱硫塔检修消防系统
CN113811369A (zh) 针对住所、建筑物、建筑和财产的自动山火预防和保护系统
CN202099838U (zh) 一种带储水箱的安全供水装置
CN106621156A (zh) 基于无线通信的消防栓水压监控系统
CN206207018U (zh) 一种具有监视功能的报警控制器
Xu et al. Research on safety cut-off technology of gas leakage based on gas leak alarm
KR20230040188A (ko) 고지대 간이 상수도 통합관리 시스템
CN212032323U (zh) 一种森林火灾区域空气检测装置
CN209293102U (zh) 一种可用于应急抢险供水的户外型移动式智慧泵房
CN204364742U (zh) 住宅楼或小单元消防灭火系统
CN206608740U (zh) 竖井蓄压式气液存储装置
CN213746171U (zh) 一种天然气防泄漏安全系统
CN220120789U (zh) 一种氨区智能巡检报警装置
Steinberg et al. Hazardous materials releases during the August 17, 1999 earthquake in Turkey
CN204023691U (zh) 一种采用新型消防泵组的地埋式泵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