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6768B1 - 빗물이용장치 - Google Patents

빗물이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768B1
KR101096768B1 KR1020110013088A KR20110013088A KR101096768B1 KR 101096768 B1 KR101096768 B1 KR 101096768B1 KR 1020110013088 A KR1020110013088 A KR 1020110013088A KR 20110013088 A KR20110013088 A KR 20110013088A KR 101096768 B1 KR101096768 B1 KR 101096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reservoir
tank
foreign mat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희
Original Assignee
(주) 삼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진정밀 filed Critical (주) 삼진정밀
Priority to KR1020110013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 G01L19/12Alarms or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이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이나 대지 등에 설치되어 유입된 빗물의 정화수단으로 형성된 초기빗물저장장치와, 침전조와, 제 1 저수조와, 제 2 저수조에 의해 부유물, 침전물, 기타 중금속을 제거하여 재활용함으로써, 하수오염 및 각종 수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빗물이 자연 정화되어 일정 수준의 수질을 갖는 빗물을 사용처에 공급할 수 있어 경제성이 뛰어나며, 집중 호우나 평상시 및 저수량의 수위에 맞추어 저수 유량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저수된 빗물을 음용수설비, 오염물질처리장치 및 생활용수, 조경용수, 공업용수, 소방용수 등의 재활용설비 등의 다목적의 재활용 용수로 공급할 수 있어 경제효율에 뛰어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빗물이용장치{Rainwater utility system}
본 발명은 빗물이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이나 대지 등에 설치되어 유입된 빗물의 정화수단으로 형성된 초기빗물저장장치와, 침전조와, 제 1 저수조와, 제 2 저수조에 의해 부유물, 침전물, 기타 중금속을 제거하여 재활용함으로써, 하수오염 및 각종 수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빗물이 자연 정화되어 일정 수준의 수질을 갖는 빗물을 사용처에 공급할 수 있어 경제성이 뛰어나며, 집중 호우나 평상시 및 저수량의 수위에 맞추어 저수 유량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저수된 빗물을 음용수설비, 오염물질처리장치 및 생활용수, 조경용수, 공업용수, 소방용수 등의 재활용설비 등의 다목적의 재활용 용수로 공급할 수 있어 경제효율에 뛰어난 빗물이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볼 때 물부족 국가에 속해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인 수자원의 확보 및 활용방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향후 물부족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생활 용수의 절약, 다목적 댐의 건설 등 수자원 관리뿐만 아니라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방류되는 빗물의 사용 방안에 대한 검토 및 개발이 강구되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는 우기(雨期)와 비가 거의 내리지 않는 건기(乾期)가 뚜렷이 구분되는 기후 조건이 있어 댐 건설만으로는 수자원 관리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우기에 빗물을 저장해 두었다가 건기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댐을 대규모로 건설해야 하고, 그에 따라 댐 건설 비용의 과다한 상승과 수몰면적의 확대에 의한 환경 파괴의 문제점이 있는바, 빗물의 효율적인 저장과 활용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현재 도시지역에서는 지표면을 통한 빗물의 침투가 어려운 아스팔트, 콘크리트, 블록 등으로 덮여 있다.
그래서 강우시 빗물의 대부분은 지표면 아래의 토양으로 침투되지 못하고 우수관이나 하수관(이하 배수시설이라 칭함)를 통하여 하천으로 또는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폭우, 집중호우로 인하여 배수시설을 통해 처리할 빗물의 양이 초과할 경우에는 빗물의 역류, 표면침하 등은 물론 상기 빗물이 일시에 하천으로 유입되면 하천의 범람 등과 같은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빗물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수시설을 확충하거나 하천을 개량하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어 곤란하다.
이 때문에 각 건물을 신축할 때 건물 옥상이나 대지 등으로 유입된 빗물을 별도의 저장조에 저장하여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빗물이 일시에 배수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현재 생활용수에서 빗물의 활용이 필요함에 따라 수도법 개정(2010.5.25)에서 종합운동장, 실내체육관, 공공청사 등 지붕 면적이 넓은 시설물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으로 증축, 개축하는 경우 빗물 이용 시설을 설치 운영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붕면적 2400 이상이고 관람석 1400석 이상인 경우 저수조 용량은 지붕 면적× 0.05m이상으로 갖추도록 규정하고 있다.
또한, 국가와 지방자치 단체는 빗물 이용 시설을 설치한 시설물의 소유자에게 그 빗물 이용 시설의 설치비용을 지원할 수 있고 지방자치 단체는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라 수도 요금을 경감할 수 있다.(수도법 제16조)
그러나 상기의 경우에 건물의 옥상이나 대지 등으로 유입된 초기 빗물에는 대기중의 각종 오염원이나 이물질을 특히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 빗물의 경우에 종래와 같이 자연 배수처리하고, 초기 빗물이 지난 후부터 별도의 저장조로 저장하여 처리하게 된다.
또한, 이런 상기 저장조는 단일의 탱크로 구성됨에 따라서,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는 우기에는 빗물의 저장 능력에 한계가 있어 빗물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하지 못하고 그대로 방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의 옥상이나 대지 등에 설치되어 유입된 빗물의 정화수단으로 형성된 초기빗물저장장치와, 침전조와, 제 1 저수조와, 제 2 저수조에 의해 부유물, 침전물, 기타 중금속을 제거하여 재활용함으로써, 하수오염 및 각종 수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빗물이 자연 정화되어 일정 수준의 수질을 갖는 빗물을 사용처에 공급할 수 있어 경제성이 뛰어나며, 집중 호우나 평상시 및 저수량의 수위에 맞추어 저수 유량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는 빗물이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저수된 빗물을 음용수설비, 오염물질처리장치 및 생활용수, 조경용수, 공업용수, 소방용수 등의 재활용설비 등의 다목적의 재활용 용수로 공급할 수 있어 경제효율에 뛰어난 빗물이용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이나 대지 등에 설치되어 유입된 빗물을 저장, 정화, 재활용하는 빗물이용장치에 있어서,
빗물을 수집하여 초기 빗물 속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1차 제거한 뒤, 내부에 빗물의 양이 설정된 양만큼 채워지면 침전조에 전달되는 초기빗물저장장치와;
상기 초기빗물저장장치에서 전달되는 빗물을 임시 저장하여 빗물 속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2차 제거하고, 하단면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침전된 이물질을 일측으로 모으며, 경사면 끝단부 외부면에 청소구가 설치되어 일측으로 모아진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에서 전달된 빗물이 내부에 임시 저장되어 빗물 속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3차 제거하고, 하단면이 중앙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침전된 이물질을 중앙으로 모으며, 경사면 중앙부 외부면에 청소구가 설치되어 중앙으로 모아진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 1 저수조와;
상기 제 1저수조에서 전달된 빗물이 내부에 임시 저장되고, 내부에 설치된 수중펌프에 의해 빗물을 이송하며, 내부에 수위 감지 전극봉이 설치되어 빗물의 수위가 수위 감지 전극봉보다 낮을 시, 경보를 발령하는 동시에 수중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 2 저수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이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빗물이용장치는 건물의 옥상이나 대지 등에 설치되어 유입된 빗물의 정화수단으로 형성된 초기빗물저장장치와, 침전조와, 제 1 저수조와, 제 2 저수조에 의해 부유물, 침전물, 기타 중금속을 제거하여 재활용함으로써, 하수오염 및 각종 수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빗물이 자연 정화되어 일정 수준의 수질을 갖는 빗물을 사용처에 공급할 수 있어 경제성이 뛰어나며, 집중 호우나 평상시 및 저수량의 수위에 맞추어 저수 유량을 최적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수된 빗물을 음용수설비, 오염물질처리장치 및 생활용수, 조경용수, 공업용수, 소방용수 등의 재활용설비 등의 다목적의 재활용 용수로 공급할 수 있어 경제효율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빗물이용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이나 대지 등에 설치되어 유입된 빗물을 저장, 정화, 재활용하는 빗물이용장치에 있어서,
빗물을 수집하여 초기 빗물 속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1차 제거한 뒤, 내부에 빗물의 양이 설정된 양만큼 채워지면 침전조에 전달되는 초기빗물저장장치와;
상기 초기빗물저장장치에서 전달되는 빗물을 임시 저장하여 빗물 속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2차 제거하고, 하단면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침전된 이물질을 일측으로 모으며, 경사면 끝단부 외부면에 청소구가 설치되어 일측으로 모아진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에서 전달된 빗물이 내부에 임시 저장되어 빗물 속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3차 제거하고, 하단면이 중앙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침전된 이물질을 중앙으로 모으며, 경사면 중앙부 외부면에 청소구가 설치되어 중앙으로 모아진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 1 저수조와;
상기 제 1저수조에서 전달된 빗물이 내부에 임시 저장되고, 내부에 설치된 수중펌프에 의해 빗물을 이송하며, 내부에 수위 감지 전극봉이 설치되어 빗물의 수위가 수위 감지 전극봉보다 낮을 시, 경보를 발령하는 동시에 수중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 2 저수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빗물이용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빗물이용장치(100)는 건물의 옥상이나 대지 등에 설치되어 유입된 빗물을 저장, 정화, 재활용하는 장치로써, 초기빗물저장장치(10)와, 침전조(20)와, 제 1 저수조(30)와, 제 2 저수조(40)와, 압력탱크(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침전조(20)와, 제 1 저수조(30)와, 제 2 저수조(40)는 하나의 대형 케이스(60)로 이루어져 내부에 제 1 격벽(70)과, 제 2 격벽(80)에 의해 침전조(20)와, 제 1 저수조(30)와, 제 2 저수조(40)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초기빗물저장장치(10)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빗물을 수집하여 초기 빗물 속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1차 제거한 뒤, 내부에 빗물의 양이 설정된 양만큼 채워지면 침전조에 전달되도록 우수관(11)과, 저장탱크(12)와, 이송관(13)과, 증발방지판(1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우수관(11)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많은 빗물이 모여서 유입되도록 상측부가 확관된 상태이거나, 빗물받이(미도시) 등의 빗물을 이송시키는 관과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빗물이 유입되는 입구 측에는 빗물에 낙엽, 쓰레기 등의 부유물(이물질)이 우수관(11)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망(17)이 더 설치된다. 이때, 상기 우수관(11)은 끝단부가 저장탱크(12)와 연통되어 빗물을 저장탱크(12) 내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12)는 침전조(20)의 상부면에 구비되면서 우수관(11)과 연결되고, 상기 우수관(11)을 통해 이송된 빗물을 임시저장하며, 임시저장하면서 빗물 내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1차 제거한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12)에는 침전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거나 내부에 오랫동안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드레인관(15)이 하단부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관(15)에는 내부를 개폐하는 드레인밸브(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관(13)은 우수관(11)의 일단부에 분기되어 침전조(20)의 내부까지 연결되고, 상기 이송관(13)을 통해 저장탱크(12) 내에서 이물질이 1차 제거된 빗물이 침전조(20)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저장탱크(12) 내의 빗물이 이송관(13)을 통해 이송되는 과정은 저장탱크(12) 내에 저장된 빗물의 유입량이 저장한계(저장탱크(12)의 용량)를 넘어서면 빗물이 우수관(11)을 따라 차올라 이송관(13)을 통해 침전조(20)에 이송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증발방지판(14)은 도 2를 참고하여, 상기 침전조(20)의 내부에 구비된 이송관(13)의 끝단부에 형성되는데, 상기 이송관(13)을 통해 이송된 빗물의 힘에 의해 개폐되도록 판이 힌지에 의해 이송관(13)에 연결되고, 상기 침전조(20) 내의 빗물이 이송관(13)을 통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평상시에는 닫혀져 있다.
상기 침전조(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대형 케이스(60) 내에서 제 1 격벽(70)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초기빗물저장장치(10)에 연결된 우수관(11)을 통해 전달되는 빗물을 임시 저장하여 빗물 속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2차 제거한 뒤, 상기 제 1 격벽(70)을 관통하여 제 1 저수조(30)에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침전조(20)의 하단면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침전된 이물질을 일측으로 모으며, 경사면 끝단부 외부면에는 일측으로 모아진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청소구(9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침전조(20)의 상단부에는 빗물 사용량보다 초기빗물저장장치(10)를 통해 유입되는 양(침전조(20)의 저장용량)이 많아지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월류관(2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월류관(21)은 일측이 침전조(20)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에서 끝단부가 지중에 구비되어 침전조(20)에서 배출되는 빗물이 지하로 침투되며, 상기 지중에 구비된 월류관(21)의 끝단부는 빗물이 지하에 고루 침투할 수 있도록 유공관(22)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침전조(20)의 상부면(케이스(60)의 상부면)에는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점검구(61)가 형성되고, 상기 점검구(61)는 덮개(62)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 1 격벽(70)은 침전조(20)와 제 1 저수조(30) 사이를 구획하는데, 상기 침전조(20)에서 소정 양의 빗물이 저장된 뒤에 제 1 저수조(30)로 빗물이 전달되도록 제 1 관통홀(7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홀(71)은 제 1 격벽(70)의 상측부에 형성되는데, 침전조(20)에 어느 정도의 빗물이 채워지고 그 채워지는 동안 빗물의 이물질이 침전되는 시간을 벌어준다.
여기서, 상기 제 1 관통홀(71)이 형성된 제 1 격벽(70)의 양측면에는 침전조(20)에서 제 1 저수조(30)로 전달되는 빗물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부유물 제거 스크린(72)과, 여과 필터(73)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저수조(3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대형 케이스(60) 내에서 제 1 격벽(70)과 제 2 격벽(80) 사이에 구획되고, 상기 침전조(20)에서 전달된 빗물이 내부에 임시 저장되어 빗물 속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3차 제거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저수조(30)의 하단면은 중앙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침전된 이물질을 중앙으로 모으며, 경사면 중앙부 외부면에 중앙으로 모아진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청소구(9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수조(30)의 상부면(케이스(60)의 상부면)에는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점검구(61)가 형성되고, 상기 점검구(61)는 덮개(62)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제 2 격벽(80)은 제 1 저수조(30)와 제 2 저수조(40) 사이를 구획하는데, 상기 제 2 격벽(80)에도 제 1 저수조(30)에 저장된 빗물이 제 2 저수조(40)에 전달되도록 제 2 관통홀(81)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관통홀(81)은 제 2 격벽(80)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제 1 저수조(30)에 어느 정도의 빗물이 채워지고 그 채워지는 동안 빗물의 이물질이 침전되는 시간을 벌어준다.
상기 제 2 저수조(4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대형 케이스(60) 내에서 제 2 격벽(80)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제 1 저수조(30)에서 전달된 빗물이 내부에 임시 저장되며, 상기 제 2 저수조(40)의 내부에는 수중펌프(41)가 설치되어 상기 수중펌프(41)에 의해 빗물을 압력탱크(50)에 이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저수조(40)의 내부에는 수위 감지 전극봉(42)이 설치되어 빗물의 수위가 수위 감지 전극봉(42)보다 낮을 시, 경보를 발령하여 수중펌프(41)의 작동을 사용자가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저수조(40)의 측면(케이스(60)의 측면)에는 청소 또는 동절기 동파 방지를 위한 드레인관(45)이 하단면에 관통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관(45)에는 내부를 개폐하도록 드레인밸브(46)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 2 저수조(40) 내의 빗물에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투명관으로 형성된 수면계(43)가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저수조(40)의 상부면(케이스(60)의 상부면)에는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점검구(61)가 형성되고, 상기 점검구(61)는 덮개(62)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압력탱크(5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중펌프(41)의 전달관(44)에 연결되어 제 2 저수조(40) 내의 빗물이 이송되고, 상기 압력탱크(50)는 빗물을 사용처에 전달하기 전에 압력탱크(50) 내에서 빗물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압력탱크(50)에는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51)와, 상기 압력계(51)를 통해 측정된 압력에 따라 수중펌프(41)를 ON/OFF하는 스위치(52)와, 상기 압력탱크(50) 내의 빗물에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전극봉(5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압력탱크(50)의 외부면에는 탱크의 청소나 동파 방지 시 빗물을 배출시키는 드레인관(55)이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관(55)에는 내부를 개폐하도록 드레인밸브(56)가 더 설치되며, 상기 압력탱크(50)의 하단부에는 내부에 채워진 빗물을 사용처에 전달하도록 빗물 유출구(54)가 형성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빗물이용장치는 수도법에서 요구하는 요건에 충족된다.
- 물의 증발, 이물질 혼입 방지구조는 망 설치, 초기 빗물 제거장치(10), 부유물 제거 스크린(72), 여과필터(73) 및 증발 방지판(14)으로 해결됨.
- 내부 청소가 가능한 구조는 청소구(90) 2개소, 점검구(61) 3개소 및 다수개의 드레인관(15,45,55), 드레인 밸브(16,46,56)로 해결됨.
- 송, 배수 시설은 빗물 유입관(미도시), 수중펌프(41) 및 압력탱크(50)로 해결됨.
- 음용수와 배관의 색을 달리할 것은 시공 시 사용 개소의 여건에 맞게 조치함.
- 연 2회의 주기적 점검은 지붕의 낙엽과 조류배설물 청소, 망 점검홈통의 낙엽치우기, 누수 유무 침전조(20)의 침전물 점검 및 청소와, 스크린(72) 및 필터(73)는 점검 및 청소와, 침전조(20)는 침전물 점검과 청소와, 펌프(41) 및 공급 장치는 작동 및 누수 점검으로 연 2회 이상 실시함.
10 : 초기빗물저장장치 20 : 침전조
30 : 제 1 저수조 40 : 제 2 저수조
50 : 압력탱크 60 : 케이스
70 : 제 1 격벽 80 : 제 2 격벽
90 : 청소구 100 : 빗물이용장치

Claims (5)

  1. 건물의 옥상이나 대지 등에 설치되어 유입된 빗물을 저장, 정화, 재활용하는 빗물이용장치(100)에 있어서,
    빗물을 수집하여 초기 빗물 속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1차 제거한 뒤, 내부에 빗물의 양이 설정된 양만큼 채워지면 침전조(20)에 전달되는 초기빗물저장장치(10)와;
    상기 초기빗물저장장치(10)에서 전달되는 빗물을 임시 저장하여 빗물 속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2차 제거하고, 하단면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침전된 이물질을 일측으로 모으며, 경사면 끝단부 외부면에 청소구(90)가 설치되어 일측으로 모아진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침전조(20)와;
    상기 침전조(20)에서 전달된 빗물이 내부에 임시 저장되어 빗물 속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3차 제거하고, 하단면이 중앙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침전된 이물질을 중앙으로 모으며, 경사면 중앙부 외부면에 청소구(90)가 설치되어 중앙으로 모아진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 1 저수조(30)와;
    상기 제 1 저수조(30)에서 전달된 빗물이 내부에 임시 저장되고, 내부에 설치된 수중펌프(41)에 의해 빗물을 이송하며, 내부에 수위 감지 전극봉(42)이 설치되어 빗물의 수위가 수위 감지 전극봉(42)보다 낮을 시, 경보를 발령하여 수중펌프(4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 2 저수조(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침전조(20)의 상단부에는 빗물 사용량보다 초기빗물저장장치(10)를 통해 유입되는 양이 많아지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월류관(21)이 더 형성되고, 상기 월류관(21)은 끝단부가 지중에 위치하여 침전조(20)에서 배출되는 빗물이 지하로 침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이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펌프(41)는 전달관(44)으로 연결되어 제 2 저수조(40) 내의 빗물을 압력탱크(50)에 이송하고, 상기 압력탱크(50)에는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51)와, 상기 압력계(51)를 통해 측정된 압력에 따라 수중펌프(41)를 ON/OFF하는 스위치(52)와, 상기 압력탱크(50) 내에 저장된 빗물을 사용처에 공급하는 빗물 유출구(54)와, 상기 압력탱크(50) 내의 빗물에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전극봉(5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이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20)와, 제 1 저수조(30)와, 제 2 저수조(40)는 하나의 케이스(60)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 1 격벽(70)과, 제 2 격벽(80)에 의해 침전조(20)와, 제 1 저수조(30)와, 제 2 저수조(40)로 구획되고,
    상기 침전조(20)와 제 1 저수조(30) 사이를 구획하는 제 1 격벽(70)에는 침전조(20)에서 소정 양의 빗물이 저장된 뒤에 제 1 저수조(30)로 빗물이 전달되도록 제 1 관통홀(71)이 상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저수조(30)와 제 2 저수조(40) 사이를 구획하는 제 2 격벽(80)에도 제 1 저수조(30)에 저장된 빗물이 제 2 저수조(40)에 전달되도록 제 2 관통홀(81)이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홀(71)이 형성된 제 1 격벽(70)의 양측면에는 침전조(20)에서 제 1 저수조(30)로 전달되는 빗물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부유물 제거 스크린(72)과, 여과 필터(7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이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빗물저장장치(10)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빗물이 유입되는 상측부에 망(17)이 설치되고, 상기 망(17)에서 이물질이 걸러진 빗물을 저장탱크(12) 내에 이송하는 우수관(11)과;
    상기 침전조(20)의 상부면에 구비되면서 우수관(11)과 연결되고, 상기 우수관(11)을 통해 이송된 빗물을 임시저장하여 빗물 내의 이물질을 침전시켜 1차 제거하는 저장탱크(12)와;
    상기 우수관(11)의 일단부에 분기되어 침전조(20)의 내부까지 연결되고, 상기 저장탱크(12) 내에 저장된 빗물의 유입량이 저장한계를 넘어선 빗물이 침전조(20)에 이송되는 이송관(13)과;
    상기 침전조(20)의 내부에 구비된 이송관(13)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관(13)을 통해 이송된 빗물의 힘에 의해 개폐되고, 상기 침전조(20) 내의 빗물이 이송관(13)을 통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증발방지판(14);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이용장치.
  5. 삭제
KR1020110013088A 2011-02-15 2011-02-15 빗물이용장치 KR101096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088A KR101096768B1 (ko) 2011-02-15 2011-02-15 빗물이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088A KR101096768B1 (ko) 2011-02-15 2011-02-15 빗물이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6768B1 true KR101096768B1 (ko) 2011-12-21

Family

ID=45506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088A KR101096768B1 (ko) 2011-02-15 2011-02-15 빗물이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676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227B1 (ko) * 2013-04-01 2013-11-11 주식회사 한배엔지니어링 빗물여과시스템
KR101499172B1 (ko) * 2012-12-20 2015-03-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빗물 이용 장치
KR101555447B1 (ko) * 2014-12-12 2015-09-23 신민용 빗물 처리 및 이용장치
KR20160081383A (ko) * 2014-12-31 2016-07-08 에코엔텍(주) 수처리 장치
KR101927400B1 (ko) 2012-09-07 2018-12-10 주식회사 에코렉스코퍼레이션 빗물 저류조
KR20190031973A (ko) * 2017-09-19 2019-03-27 주식회사 청렴 초기 빗물이 배출 가능한 빗물 정화장치
KR102369291B1 (ko) * 2021-04-23 2022-03-03 주식회사 엘아이디연구소 우수 관리 시설 및 그 동작 방법
CN114319509A (zh) * 2021-12-28 2022-04-12 江苏冉冉生态建设有限公司 一种直饮水废水及雨水收集循环回用零排放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4027A (ja) * 2001-06-12 2002-12-18 Yoshihiro Okuyama 初期雨水分離装置付き濾過沈殿装置及び連結型貯水槽
JP2004150056A (ja) * 2002-10-29 2004-05-27 Tanita Housingware:Kk 雨水利用システム
KR100760467B1 (ko) 2006-12-08 2007-09-20 이원선 건물의 빗물 재활용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4027A (ja) * 2001-06-12 2002-12-18 Yoshihiro Okuyama 初期雨水分離装置付き濾過沈殿装置及び連結型貯水槽
JP2004150056A (ja) * 2002-10-29 2004-05-27 Tanita Housingware:Kk 雨水利用システム
KR100760467B1 (ko) 2006-12-08 2007-09-20 이원선 건물의 빗물 재활용 처리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400B1 (ko) 2012-09-07 2018-12-10 주식회사 에코렉스코퍼레이션 빗물 저류조
KR101499172B1 (ko) * 2012-12-20 2015-03-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빗물 이용 장치
KR101326227B1 (ko) * 2013-04-01 2013-11-11 주식회사 한배엔지니어링 빗물여과시스템
KR101555447B1 (ko) * 2014-12-12 2015-09-23 신민용 빗물 처리 및 이용장치
KR20160081383A (ko) * 2014-12-31 2016-07-08 에코엔텍(주) 수처리 장치
KR101699031B1 (ko) * 2014-12-31 2017-01-23 에코엔텍(주) 수처리 장치
KR20190031973A (ko) * 2017-09-19 2019-03-27 주식회사 청렴 초기 빗물이 배출 가능한 빗물 정화장치
KR102046562B1 (ko) * 2017-09-19 2019-11-19 양창수 초기 빗물이 배출 가능한 빗물 정화장치
KR102369291B1 (ko) * 2021-04-23 2022-03-03 주식회사 엘아이디연구소 우수 관리 시설 및 그 동작 방법
CN114319509A (zh) * 2021-12-28 2022-04-12 江苏冉冉生态建设有限公司 一种直饮水废水及雨水收集循环回用零排放系统及方法
CN114319509B (zh) * 2021-12-28 2024-04-12 江苏冉冉生态建设有限公司 一种直饮水废水及雨水收集循环回用零排放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768B1 (ko) 빗물이용장치
CN102182242B (zh) 一种雨水处理系统及其雨水处理方法
KR101382006B1 (ko)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및 초기 우수 처리장치
CN107587580B (zh) 一种带液动下开式堰门和泵排的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CN106835971B (zh) 一种立交桥雨水回收系统及其安装方法
KR100990483B1 (ko)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CN117051934A (zh) 一种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KR101146226B1 (ko) 장치형 초기우수 비점오염 처리 시스템
CN110984351A (zh) 一种初期雨水自动分流装置
KR100958295B1 (ko) 우수활용이 가능한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KR101089756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처리 시스템
US10865547B1 (en) Distributed 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
CN108661152A (zh) 一种雨污分流型雨水口结构
KR101304128B1 (ko) 무동력 빗물 처리장치
KR20080112531A (ko) 빗물 저장 탱크
KR200398164Y1 (ko) 초기 빗물처리장치
KR101339455B1 (ko) 다단분리를 이용한 빗물 저류 장치
KR101267377B1 (ko)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KR20210013817A (ko) 우수 부유물 제거장치
KR100846029B1 (ko) 건물 홈통 연결용 빗물처리시스템
CN110029721A (zh) 一种具有排污及初雨调蓄功能的管涵结合截污结构
KR101750413B1 (ko) 우수맨홀을 이용한 초기빗물처리 시스템
KR100952117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자연형 비점오염 처리 시스템
KR20110088167A (ko) 천변형 저류조를 이용한 저류 장치
KR100980412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