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7400B1 - 빗물 저류조 - Google Patents

빗물 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400B1
KR101927400B1 KR1020120099224A KR20120099224A KR101927400B1 KR 101927400 B1 KR101927400 B1 KR 101927400B1 KR 1020120099224 A KR1020120099224 A KR 1020120099224A KR 20120099224 A KR20120099224 A KR 20120099224A KR 101927400 B1 KR101927400 B1 KR 101927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storage tank
rainwate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2662A (ko
Inventor
나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렉스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렉스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렉스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20099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400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비점오염물질이 현저히 저감된 상태로 저장되고, 지속적으로 저장된 우수 내에 공기를 공급하여 장기간 저장하며 사용할 때에도 항상 양질의 우수를 공급받을 수 있음은 물론 고도정수처리된 정화수를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하여 상도수로 사용할 수 있고, 비상 시에는 저장된 정화수를 음용수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빗물 저류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상기 우수저장탱크의 내부중공 천정부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 및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와; 상기 우수저장탱크의 내부중공 천정부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를 거쳐 우수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우수를 펌핑하여 고도정수시키고, 고도정수된 정화수를 별도저장하여 상도수 및 음용수로 공급하는 고도정수장치와; 배관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우수저장탱크 내의 우수 중에 잠기도록 설치되고, 타단부는 끝단에 고압분사노즐을 갖고 상기 우수저장탱크의 내부중공 상부에 설치되고, 중간부는 상기 우수저장탱크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 상에 장착되어 우수저장탱크 내의 우수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급수관의 노출부위 상에 장착되어 상기 급수관 내로 펌핑되는 우수내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유닛으로 구성된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빗물 저류조{An undercurrent tank for rainwater }
본 발명은 빗물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택단지 및 상업/산업지구의 건물의 지하, 지상 또는 옥상에 설치하여 도로 또는 건물의 옥상으로 쏟아지는 우수를 수집 및 저장함은 물론 장기간 저장시에도 저장된 우수가 변질됨이 없이 깨끗함을 유지함으로 고품질의 중도수로 제공함은 물론 비상 시에는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우예보 시에는 우수저장공간을 비워 폭우 시 도로 및 옥상으로 쏟아지는 우수를 일시저장시킴으로써, 폭우로 인한 침수피해를 에방 또는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빗물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류조는 우천 시 우수를 저장하여 중도수 등으로 활용함으로서,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고, 폭우 시 도로 및 옥상으로 쏟아지는 우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폭우로 인한 피해를 예방 및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에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폭우로 인한 피해예방을 위해 널리 보급 및 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빗물 저류조는 그 구성이 우수내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는 걸음망을 갖는 유입구 및 개폐밸브가 장착된 유출구가 있는 우수저장탱크와, 우수저장탱크내에 저장된 우수를 중도수로 사용하기 위한 급수라인를 구비한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폭우 시 우수를 일시저장하여 침수피해를 예방하고, 우수를 저장하여 중도수로 사용함으로써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종래의 빗물 저류조는 우수저장탱크 내에 저장되는 우수가 별도의 정수공정 없이 단순히 협잡물만이 걸러진 상태로 저장됨으로 비점오염물질에 의한 오염도가 심각하고, 이렇게 오염된 우수를 장기간 저장할 경우 우수가 변질되어 심한 악취는 물론 여름철에는 모기의 유충들의 서식지로 활용되어 해충들의 원상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고도정수장치 및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우수저장탱크 내로 유입된 우수는 협잡물이 제거됨은 물론 비점오염물질이 현저히 저감된 상태로 저장되고, 지속적으로 저장된 우수 내에 공기를 공급하여 장기간 저장하며 사용할 때에도 항상 양질의 우수를 공급받을 수 있음은 물론 고도정수처리된 정화수를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하여 상도수로 사용할 수 있고, 비상 시에는 저장된 정화수를 음용수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빗물 저류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우수저장탱크와, 일단부는 상기 우수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우수중에 잠기고, 타단부는 중수도와 연통되게 연결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상에 장착되어 상기 우수저장탱크 내의 우수가 상기 급수관을 통해 중수도로 공급되도록 펌핑하는 펌프로 구성된 빗물 저류조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는 상기 우수저장탱크의 내부중공 천정부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 및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와; 상기 우수저장탱크의 내부중공 천정부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를 거쳐 우수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우수를 펌핑하여 고도정수시키고, 고도정수된 정화수를 별도저장하여 상도수 및 음용수로 공급하는 고도정수장치와; 배관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우수저장탱크 내의 우수 중에 잠기도록 설치되고, 타단부는 끝단에 고압분사노즐을 갖고 상기 우수저장탱크의 내부중공 상부에 설치되고, 중간부는 상기 우수저장탱크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 상에 장착되어 우수저장탱크 내의 우수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급수관의 노출부위 상에 장착되어 상기 급수관 내로 펌핑되는 우수내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유닛으로 구성된 공기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조는 폭우 시 침수피해를 예방 또는 최소화시키고,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고도정수장치 및 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우수저장탱크 내로 유입된 우수는 협잡물이 제거됨은 물론 비점오염물질이 현저히 저감된 상태로 저장되고, 지속적으로 저장된 우수 내에 공기를 공급하여 장기간 저장하며 사용할 때에도 항상 양질의 우수를 공급받을 수 있음은 물론 고도정수처리된 정화수를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하여 상도수로 사용할 수 있고, 비상 시에는 저장된 정화수를 음용수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조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조에 적용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구성 및 작용동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에 장전되는 필터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단면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의 전력공급 구조를 예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조(20)는 우수저장탱크(21)와, 급수관(23)과, 펌프(23a)와, 비점오염원 저감장치(10)와, 고도정수장치(24)와, 공기공급장치(22)와, 기포분사관(25)과, 기포발생기(26)로 구성된다.
상기 우수저장탱크(21)는 상부 일단부에 내부중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유입구(21a)와, 일측 하단부에 내부중공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개폐밸브(21c)를 구비한 유출구(21b)를 갖는다.
상기 급수관(23)은 배관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우수저장탱크(21) 내에 저장된 우수중에 잠기고, 타단부는 중수도(도시되지 않음)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펌프(23a)는 상기 급수관(23) 상에 장착되어 상기 우수저장탱크(21) 내의 우수가 상기 급수관(23)을 통해 중수도로 공급되도록 펌핑한다.
상기 고도정수장치(24)는 상기 우수저장탱크(21)의 내부중공 천정부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점오염원 저감장치(10)을 거쳐 우수저장탱크(21) 내에 저장된 우수를 펌핑하여 고도정수시키고, 고도정수된 정화수를 별도저장하여 상도수 및 음용수로 공급하는데 그 구성은 본체(24a)와, 고도정수활성탄(24c)과, 급수관(24f)과, 수중펌프(24g)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4a)는 내부중공을 갖는 탱크로써, 하단부측이 메쉬망으로 형성된 격벽(24h)에 의해 여과조(24d)와 정화수저장조(24b)로 수직으로 구획형성되고, 상기 여과조(24d)의 상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유입구(24e)와, 상기 정화수저장조(24b)의 하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개폐밸브를 구비한 유출구(24k)를 갖는다.
상기 고도정수활성탄(24c)은 상기 여과조(24d)에 충전되어 상기 유입구(24e)를 통해 여과조(24d) 내로 유입되는 저장수를 고도정수처리한다.
상기 급수관(24f)은 배관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본체(24a)의 유입구(24e)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저류조(20)의 본체(21) 내에 저장된 저장수 중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상기 수중펌프(24g)는 상기 급수관(24f)의 잠겨진 하단부상에 장착되어 저장수를 상기 본체(24a)의 여과조(24d)내로 펌핑한다.
상기 공기공급장치(22)는 급수관(22d)과, 펌프(22b)와, 공기주입유닛(22c)으로 구성된다.
상기 급수관(22d)은 배관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우수저장탱크(21) 내의 우수 중에 잠기도록 설치되고, 타단부는 끝단에 고압분사노즐(22a)을 갖고 상기 우수저장탱크(21)의 내부중공 상부에 설치되고, 중간부는 상기 우수저장탱크(21)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펌프(22b)는 상기 급수관(22d) 상에 장착되어 우수저장탱크(21) 내의 우수를 펌핑한다.
상기 공기주입유닛(22c)은 밸로우즈 효과를 이용한 알방향 관으로써, 상기 급수관(22d)의 노출부위 상에 장착되어 급수관(22d)을 따라 고속으로 흐르는 우수로 인해 진공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급수관(22d)의 외부공기가 그 진공을 채우기 위해 공기주입유닛(22c)의 공기공급관을 통해 급수관(22d)내를 흐르는 우수로 공급되는 외부공기를 주입한다.
상기 기포분사관(25)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기포분사노즐을 갖는 배관으로서, 상기 본체(11)의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본체(11)내에 저장된 우수에 기포를 분사한다.
상기 기포발생기(26)는 상기 본체(11)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기포분사관(25)의 일단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기포분사관(25) 내에 공기를 공급하고,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18)과 연결된 인버터(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비점오염원 저감장치(10)는 상기 우수저장탱크(21)의 내부중공 천정부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 및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며, 그 구성은 본체(11)와, 협잡물수거함(12)과, 기포분사관(13)과, 다수개의 필터카트리지(14)와, EM액저장통(15)과, 기포발생기(16)와, 히터(17)(17')와, 태양광 모듈(18)과, 인버터(19)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통상으로써, 일단면 상단부에 내부중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유입구(11a)와, 타단면 상단부에 내부중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유출구(11b)와, 내부중공의 일단부측이 상부 일정높이 이상이 메쉬망으로 형성된 격벽(11e)에 의해 수직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침전조(11c) 및 여과조(11d)와, 'ㄴ'자 종단형상을 갖는 판재로써, 상부측 및 하면이 메쉬망으로 형성된 격벽(11n)에 의해, 상기 여과조(11d)의 저면과 일정높이의 공간을 유지되도록 구획형성되는 필터장전부(11f)를 갖는다.
상기 협잡물수거함(12)은 메쉬망으로 제작된 거름망으로써, 상기 본체(11)의 유입구(11a)의 내측단에 설치되어 유입구(11a)를 통해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협잡물을 수거한다.
상기 기포분사관(13)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공기분사노즐을 갖고, 상기 여과조의 저면에 설치되어 여과조(11d)내의 우수내에 기포를 분사한다.
상기 다수개의 필터카트리지(14)는 상기 필터장전부(11f)의 상부에 월류수배출공간(11h)이 형성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상기 필터장전부(11f)에 장전된다.
상기 EM액저장통(15)은 상기 침전조(11c) 내에 내장되어 침전조(11c) 내의 우수에 EM액을 공급한다.
상기 기포발생기(16)는 상기 기포분사관(13)과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침전조(11c) 내에 내장되어 상기 기포분사관(13)에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히터(17)(17')는 상기 침전조(11c) 및 여과조(11d) 내에 내장되어 내부중공내의 우수를 가열한다.
상기 태양광 모듈(18)은 상기 본체(11)의 외부에 설치되고, 태양광을 받아 전력을 발전한다.
상기 인버터(19)는 상기 기포발생기(16) 및 히터(17)(17')와 태양광 패널(18)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태양광 패널(18)로 부터 발생되는 전력을 상기 기포발생기(16) 및 히터(17)(17')로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류조(20)는 폭우 여보시에는 상기 본체(21)의 개폐밸브(21c)를 개방하여 본체(21) 내에 저장된 우수를 미리 배출하여 우수저장용량을 최대로 유지시켜 폭우 시 우수를 본체(21)의 내부중공에 최대한 일시저장시켜 침수피해를 예방 또는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통상의 우수저장시에는 본체(21) 내로 유입되는 우수 내의 협잡물을 왼전 제거함은 물론 비점오염물질을 최대한 저감시켜 저장하는 동시에 공기공급장치(22)를 지속적으로 가동시켜 저장된 우수에 충분한 공기를 공급하여 우수 내에 용존산소량을 적절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장기간 저장 시에도 저장된 우수를 중도수로 적합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고도정수장치(24)에 의해 저장된 우수를 고도정수처리하여 상도수 및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우로 인한 침해 예방은 물론 단수 등의 비상시에도 생활 및 생존에 불편함이 없이 충분한 상도수 및 중도수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10: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20: 빗물 저류조
22: 공기공급장치 24: 고도정수장치

Claims (4)

  1.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갖는 우수저장탱크와, 일단부는 상기 우수저장탱크 내에 저장된 우수중에 잠기고, 타단부는 중수도와 연통되게 연결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상에 장착되어 상기 우수저장탱크 내의 우수가 상기 급수관을 통해 중수도로 공급되도록 펌핑하는 펌프로 구성된 빗물 저류조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20)는,
    상기 우수저장탱크(21)의 내부중공 천정부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 및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비점오염원 저감장치(10)와;
    상기 우수저장탱크(21)의 내부중공 천정부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비점오염원 저감장치(10)을 거쳐 우수저장탱크(21) 내에 저장된 우수를 펌핑하여 고도정수시키고, 고도정수된 정화수를 별도저장하여 상도수 및 음용수로 공급하는 고도정수장치(24)와;
    배관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우수저장탱크(21) 내의 우수 중에 잠기도록 설치되고, 타단부는 끝단에 고압분사노즐(22a)을 갖고 상기 우수저장탱크(21)의 내부중공 상부에 설치되고, 중간부는 상기 우수저장탱크(21)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급수관(22d)과, 상기 급수관(22d) 상에 장착되어 우수저장탱크(21) 내의 우수를 펌핑하는 펌프(22b)와, 상기 급수관(22d)의 노출부위 상에 장착되어 상기 급수관(22d) 내로 펌핑되는 우수내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유닛(22c)으로 구성된 공기공급장치(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점오염원 저감장치(10)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통상으로써, 일단면 상단부에 내부중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유입구(11a)와, 타단면 상단부에 내부중공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유출구(11b)와, 내부중공의 일단부측이 상부 일정높이 이상이 메쉬망으로 형성된 격벽(11e)에 의해 수직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침전조(11c) 및 여과조(11d)와, 'ㄴ'자 종단형상을 갖는 판재로써, 상부측 및 하면이 메쉬망으로 형성된 격벽(11n)에 의해, 상기 여과조(11d)의 저면과 일정높이의 공간을 유지되도록 구획형성되는 필터장전부(11f)를 갖는 본체(11)와;
    메쉬망으로 제작된 거름망으로써, 상기 본체(11)의 유입구(11a)의 내측단에 설치되어 유입구(11a)를 통해 우수와 함께 유입되는 협잡물을 수거하는 협잡물수거함(12)과;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공기분사노즐을 갖고, 상기 여과조의 저면에 설치되어 여과조(11d)내의 우수내에 기포를 분사하는 기포분사관(13)과;
    상기 필터장전부(11f)의 상부에 월류수배출공간(11h)이 형성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상기 필터장전부(11f)에 장전되는 다수개의 필터카트리지(14)와;
    상기 침전조(11c) 내에 내장되어 침전조(11c) 내의 우수에 EM액을 공급하는 EM액저장통(15)과;
    상기 기포분사관(13)과 연통되게 연결되도록 상기 침전조(11c) 내에 내장되어 상기 기포분사관(13)에 공기를 공급하는 기포발생기(16)와;
    상기 침전조(11c) 및 여과조(11d) 내에 내장되어 내부중공내의 우수를 가열하는 히터(17)(17')와;
    상기 본체(11)의 외부에 설치되고, 태양광을 받아 전력을 발전하는 태양광 모듈(18)과;
    상기 기포발생기(16) 및 히터(17)(17')와 태양광 패널(18)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태양광 패널(18)로 부터 발생되는 전력을 상기 기포발생기(16) 및 히터(17)(17')로 공급하는 인버터(1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도정수장치(24)는,
    내부중공을 갖는 탱크로써, 하단부측이 메쉬망으로 형성된 격벽(24h)에 의해 여과조(24d)와 정화수저장조(24b)로 수직으로 구획형성되고, 상기 여과조(24d)의 상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유입구(24e)와, 상기 정화수저장조(24b)의 하부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개폐밸브를 구비한 유출구(24k)를 갖는 본체(24a)와;
    상기 여과조(24d)에 충전되어 상기 유입구(24e)를 통해 여과조(24d) 내로 유입되는 저장수를 고도정수처리하는 고도정수활성탄(24c)과;
    배관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본체(24a)의 유입구(24e)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저류조(20)의 본체(21) 내에 저장된 저장수 중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급수관(24f)와,
    상기 급수관(24f)의 잠겨진 하단부상에 장착되어 저장수를 상기 본체(24a)의 여과조(24d)내로 펌핑하는 수중펌프(24g)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20)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기포분사노즐을 갖는 배관으로서, 본체(11)의 저면에 고정설치되어 본체(11)내에 저장된 우수에 기포를 분사하는 기포분사관(25)과;
    상기 본체(11)의 상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기포분사관(25)의 일단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기포분사관(25) 내에 공기를 공급하고, 인버터(1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기포발생기(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조.
KR1020120099224A 2012-09-07 2012-09-07 빗물 저류조 KR101927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224A KR101927400B1 (ko) 2012-09-07 2012-09-07 빗물 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224A KR101927400B1 (ko) 2012-09-07 2012-09-07 빗물 저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662A KR20140032662A (ko) 2014-03-17
KR101927400B1 true KR101927400B1 (ko) 2018-12-10

Family

ID=5064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224A KR101927400B1 (ko) 2012-09-07 2012-09-07 빗물 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4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268B1 (ko) * 2020-01-21 2020-05-25 농업회사법인(주)산정 농업 용수용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2874A (zh) * 2021-07-01 2021-10-15 广西建工集团控股有限公司 建筑用非传统废水回收循环喷淋降尘施工工法
CN115059143A (zh) * 2022-07-06 2022-09-16 河南理工大学 一种海绵城市建设用的道路雨水回收装置及使用方法
KR102643737B1 (ko) * 2022-11-30 2024-03-05 이대현 자가 취수 기능을 구비한 도로 살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864B1 (ko) 2010-09-01 2011-03-09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도심지역의 침전 유도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096768B1 (ko) 2011-02-15 2011-12-21 (주) 삼진정밀 빗물이용장치
KR101136385B1 (ko) 2011-07-18 2012-04-13 민은진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864B1 (ko) 2010-09-01 2011-03-09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도심지역의 침전 유도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096768B1 (ko) 2011-02-15 2011-12-21 (주) 삼진정밀 빗물이용장치
KR101136385B1 (ko) 2011-07-18 2012-04-13 민은진 초기 우수 처리장치 및 초기 우수 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268B1 (ko) * 2020-01-21 2020-05-25 농업회사법인(주)산정 농업 용수용 마이크로 버블 생성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662A (ko)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395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018475B1 (ko) 발전기능을 갖는 물탱크
KR101927400B1 (ko) 빗물 저류조
CN103408095B (zh) 一种漂浮自走式太阳能水体净化器
KR101209988B1 (ko) 동결방지 및 내부 오염 방지 기능의 교량용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0763750B1 (ko) 자가 발전형 수질 정화장치
CN107344802A (zh) 除臭式生活废水高效净化装置
CN210656600U (zh) 景观水体生态修复系统
JP2008290627A (ja) 給水車
CN208763456U (zh) 一种园林用自动净水亭
CN214273728U (zh) 一种用于煤矿井下排水装置
CN212743604U (zh) 一种新型多功能道桥施工围挡
CN210457858U (zh) 一种排污口多功能预处理系统
CN209778477U (zh) 一种新型小型调蓄净化设备
CN111732212A (zh) 一种用于海绵城市屋顶绿色生态系统
CN107746123B (zh) 一种畜牧业用高效污水处理装置
CN215939282U (zh) 一种用于火箭发射的水循环复用系统
CN213013767U (zh) 一种应用于海绵城市生态地面系统的透水连接装置
CN113136762A (zh) 一种海绵城市建设用道路雨水回收处理系统
CN214158653U (zh) 一种不锈钢箱型组合式气水反冲洗滤板
CN214829764U (zh) 一种基于生态透水混凝土的水体净化装置
CN217232193U (zh) 一种用于水利工程的防渗蓄水池
CN210462495U (zh) 一种管输天然气集输积液清除装置
CN212612884U (zh) 一种城市窨井净化渗水装置
CN220301456U (zh) 一种地下消防水池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