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187A - 도로 배수 시설의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배수 시설의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187A
KR20150045187A KR20130124556A KR20130124556A KR20150045187A KR 20150045187 A KR20150045187 A KR 20150045187A KR 20130124556 A KR20130124556 A KR 20130124556A KR 20130124556 A KR20130124556 A KR 20130124556A KR 20150045187 A KR20150045187 A KR 20150045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ling
tank
hole
wa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4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은진
민병영
Original Assignee
민은진
민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은진, 민병영 filed Critical 민은진
Priority to KR20130124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5187A/ko
Publication of KR20150045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03F5/16Devices for separating oil, water or grease from sewage in drains leading to the main sew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배수 시설의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변에서 유입되는 우수의 오염물질을 1차침전조(10)에서 친전시키고, 상기 1차침전조(10)와 제1격벽(40)으로 분리되는 2차침전조(20)에서는 1차침전조(10)에서 월류된 우수가 2차침전 및 여과되어 저장수 배출공(303)으로 배출되고, 상부의 제1배수안내 플레이트(204)는 급속히 증가하는 우수를 협잡물과 함께 배수공(302)으로 배출시켜서 하천의 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우수를 중수도용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도로 배수 시설의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APPARATUS FOR PROCESSING NON-POINT SOURCE CONTAMINANT DRAINAGE OF ROAD DRAIN FACILITIES}
본 발명은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점오염물을 집수하여 정화 처리함으로써 비점오염원을 저감시켜서 강우로 인한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로 집수정의 배수구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도로 배수 시설의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비점오염물이 혼합된 우수(雨水)를 집수하여 각종 오염물질을 적절하게 처리하여 배출함으로써 수질 및 토양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에 있어서, 구조와 설치가 간단하게 도로의 집수정에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협잡물과 부유물질 및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됨으로써 비점오염원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도로 집수정의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수질의 오염원으로는 점오염원(點汚染源, Point pollution source)과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 Non-point pollution source)이 있다.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공장을 예로 들면, 관거를 통해 수집되어 수질오염방지시설을 통해 처리되는 공장폐수를 배출하는 공정시설은 점오염원이고, 처리를 하지 않고 하천으로 유입되는 강우유출수와 야적장 등과 같은 공장부지에서 배출되는 것은 비점오염원이다. 비점오염에는 농작물에 흡수되지 않고 농경지에 남아있는 비료와 농약, 초지에 방목된 가축의 배설물, 가축 사육 농가에서 배출되는 미처리 축산 폐수, 빗물에 섞인 대기오염물질, 도로 노면의 퇴적물, 합류식 하수관거에서 강우시 설계량을 초과하여 하천으로 흘러들어가는 오수와 하수, 빗물의 혼합수 등이 있다.
공장, 가정하수, 분뇨 처리장, 축산 농가 등에서 인위적으로 배출되는 점오염원(點汚染源)은 배출지점과 유출경로가 명확하게 특정되어 관거를 통해서 처리장으로 집중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자연적 요인의 영향을 적게 받아서 연중 배출량의 차이가 일정하고, 계절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만큼 연중 발생량 예측이 가능하여 수집이 쉽고 처리효율이 높아서 관거 및 처리장 등 처리시설의 설계와 유지 관리가 용이한 반면에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과 같은 불특정 장소에서 수질오염물질이 불특정하게 배출되는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은 오염물질의 유출 및 배출 경로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아 수집이 어렵다. 또한 강수량 등 기상조건에 따라 발생량과 배출량이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처리시설의 설계 및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비점오염원의 종류에는 토사, 영양물질,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기름, 금속, 유기물질, 살충제를 비롯하여 각종 협잡물 등이 있다.
토사는 강우유출수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오염원으로서 영양물질, 금속, 탄화수소 등을 비롯한 다른 오염원이 여과 흡착되어 같이 이동하며, 수생생물의 광합성, 호흡, 성장, 생식에 장애를 일으켜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
영양물질은 비료로 사용되는 질소, 인과 같은 영양물질로서 주택 및 골프장의 잔디밭이나 농경지, 도시 노면 및 하수도에서 유출되어 하천으로 유입되어 조류의 성장을 촉진함으로써 하천과 호소의 수질을 악화시킨다.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는 동물의 배설물이 유입된 하수도에서 월류된 배출수에서 많이 검출되며, 강우 유출수에 포함된 고농도의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로 인하여 하천과 호소가 오염되어 폐쇄의 원인이 된 사례도 있다.
기름은 적은 양으로도 수생 생물에 치명적일 수 있으며, 누출이나 차량전복 등 사고, 차량 세척, 폐기름의 무단 투기 과정에서 오염이 발생하고 있다.
금속은 납, 아연, 카드뮴, 구리, 니켈 등과 같이 중금속이 도시 지역 강우 유출수에서 흔히 검출되고 있으며, 하천으로 유입되는 총 금속 물질량 중 50% 이상이 토사를 매개체로 하여 배출되고 있다. 이러한 금속물질은 수생태계에 치명적이며 생물농축이 일어나고 음용수 오염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특별한 관리가 요구된다.
유기물질은 밭, 논, 산림, 주거지역 등 광범위한 장소에서 유출되며, 특히 합류식 관거에서는 평소 하수관거를 약한 유속으로 흐르는 오수하수에 포함되어 있던 유기물질이 관거 바닥에 침전되어 있다가 강우시 일시에 배출되기도 하며, 공업지역에서는 접착제, 세척제, 용제(溶劑) 등의 인공적인 유기 화합물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부적절하게 저장되며 폐기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제초제, 농약, 항곰팡이제와 같은 살충제는 플랑크톤과 같은 수생물에 축적되어 먹이그물을 통해 생물농축을 일으켜 어류와 조류에게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협잡물은 건축공사장 및 사업장 등에서 발생하는 쓰레기, 잔재물, 부유물 등으로 중금속, 살충제, 박테리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낙엽이나 잔디를 깎은 잔재물, 동물의 배설물, 투기된 쓰레기 등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을 하천이나 호소로 운반하는 매개체가 되며 용존산소를 감소시켜 어류가 폐사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비점오염원은 강우시에만 유출되고 치수우선의 빗물관리 정책으로 인하여 그동안 오염원으로 인식되지 않았으나, 최근들어 비점오염원에 의한 오염도가 확인되면서 비점오염의 제어가 중요한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비점오염의 영향을 살펴보면 도시화와 산업화의 진전으로 토지개발이 가속화되고 대지, 도로, 주차장 등 불투수층의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비점오염원에 의한 하천과 호소의 수질영향도 커져서 강우와 더불어 유출되는 토사 등 부유물질, 질소, 인 등과 같은 영양염류, 그리고 고농도의 중금속 등과 같은 오염원은 수집과 처리가 어려워서 특별한 처리 없이 바로 하천으로 유입됨으로써 수질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물고기가 집단 폐사하거나 저서생물(底棲生物)의 서식처가 파괴되어 수생태계가 교란되며, 아울러 토지개발로 인해 불투수층이 증가하면 강우시 토양으로 흡수되거나 증발되지 않고 하천으로 배출되는 빗물의 양이 증가함으로써 홍수의 위험이 높아지고 지하수의 수량이 줄어들어 평시에 하천의 건천화(乾川化)를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상수 원수 보호와 내수면 생태계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폐수처리시설, 하수종말처리시설 등과 같이 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위한 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동시에 토지개발 계획수립 단계에서부터 비점오염원 저감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비점오염물의 정화는 상기한 수질오염을 해결하고자 하는 차원 이외에도 수자원의 재활용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인류의 일상생활과 아울러 대부분의 산업활동은 수자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서 인구증가율에 대하여 물 사용량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상황은 장차 인류의 생명을 위협하고, 생태계 악화와 생물의 다양성이 손실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국가와 지역 간에 물 확보 분쟁으로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이렇듯 환경오염과 대량의 산업용수를 필요로 하는 현대 산업사회의 특성상 수자원의 확보는 장차 국가경쟁력과 민생을 좌우하게 될 시급한 문제이다. 따라서 수자원의 부족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수자원 정책으로 효율적인 물의 관리와 확보 및 활용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부족한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폐기되거나 방류되는 수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하수처리 방류수를 재활용하는 방법, 해수를 활용하는 방법, 우수를 활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하폐수 처리 방류수를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기술로 처리한 다음 재활용하는 방법은 필터링 기법과 고급 산화기술, 효율적 소독기술 등과 같은 고도의 기술이 적용되는 것으로 화장실 세척수 등과 같은 잡용수로 이용하기 위한 중수도용 시스템에 적용하기에는 비경제적이다.
해수를 이용하여 담수화 시키는 방법은 지구상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해수로부터 염분을 제거하여 담수를 얻는 기술로서, 댐 개발과 같은 전통적인 수자원 개발에 따르는 환경파괴 등과 같은 부담이 없이 다량의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서 수자원이 부족한 국가에서 현실적인 대안이 되고 있으나, 전처리 설비를 구축하기 위한 많은 장소를 필요로 하고, 설비기술과 유지관리에 따르는 경제적 어려움이 있다.
비점오염물로서 우수를 활용하는 방법은 처리비용이 저렴하여 여과 처리에 따르는 비용 부담이 적어서 적은 비용부담으로 고순수의 정화처리수를 얻을 수 있고, 중수도용으로 바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수자원을 재활용하는 방안에 있어서 매우 효율적이다.
따라서 수자원의 부족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효율적인 물의 관리와 확보 및 활용 방안으로 우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법들이 다각적으로 검토 및 개발되고 있다.
비점오염원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저류형, 침투형, 장치형 등과 같은 시설물을 설치하는 방법과 식생을 조성하는 방법 등 다양한 공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도시 지역의 경우 부지 소용 면적과 주민이 수용 여부 등을 고려할 때 소규모로 지하화할 수 있는 장치형 시설을 대부분 적용하고 있다.
종전의 우수를 이용한 집수 시스템은 집수와 여과 과정을 포함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비용은 물론이고, 많은 유지 관리 비용이 요구되는 시스템이어서 비경제적이고 효율성도 낮다.
오염된 우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비용이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빗물이 오염 물질을 씻어 내린 후에 연속되면서 비교적 깨끗한 우수를 집수할 수 있는 장치와 가격의 현실성이 고려된 우수의 집수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10-570957 대한민국 특허 10-984676 대한민국 특허 10-897258
강우에 의하여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이 되는 우수는 돌발적인 폭우에 의하여 도심에서 일시적인 침수현상을 나타내거나 노상에 존재하는 각종 협잡물을 동반하여 하천으로 유입되어 오염 상태를 가중시키게 되므로 강우로 인한 비점오염원을 신속하게 수집하여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우수를 활용함에 있어서 대체적으로 강우 초기의 우수에는 대기 중에 분포되어 있는 먼지를 다량 포함하고 있고, 산업시설물이나 건물의 옥상 및 지상에 산재되어 있는 종이, 나뭇잎, 나무조각, 합성수지류 등과 같은 각종 오염물질과 협잡물을 동반하게 되는데, 이러한 초기의 우수가 배제된 빗물은 그 수질이 비교적 양호하여 음용수외의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에는 도로의 표면에 형성되는 배수공 하부에 형성되는 집수정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가 설치되어, 상기 집수정과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가 별도의 송수관으로 연결되어 집수정에 저장된 우수를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에 송수하게 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송수관을 통하여 우수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유체의 저항이 발생하게 되고, 게릴라성 폭우가 발생할 경우에 효과적인 배수 여과처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 내부에서 우수의 흐름은 본체 내부의 수위가 점차 상승하게 됨에 따라 상승하는 우수가 필터를 통과하게 됨에 따라 우수의 신속한 배출이 곤란하여 게릴라성 폭우가 발생할 경우에 초기에 대량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이 협잡물과 함께 월류되는 현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비점오염원을 집수하여 여과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자원의 오염을 방지하고, 부족한 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를 형성함에 있어서, 우수가 도로변에 설치되는 집수정으로부터 비점 오염원 저감 장치로 직접 유입되게 함으로써 우수가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고, 여과 처리된 우수와 여과처리가 되지 아니한 우수를 분리하여 배출함으로써 여과처리된 우수를 중수도용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하는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는 장치의 설치 및 시공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과 유지 보수가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본체 내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에 포함된 협잡물과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배출시키는 도로 집수정의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에 있어서,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 집수정의 배수공으로부터 우수가 유입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제1격벽에 의하여 우수가 집수되는 공간이 구획되어 유입된 비점오염물에 포함된 협잡물을 침전시키는 1차침전조; 상기 1차침전조와 제1격벽으로 분리되어 1차침전조에서 일정 이상의 수위에 도달하여 월류된 우수에 2차 침전이 이루어지면서, 상부에는 제1배수안내 플레이트의 선단에 경사진 침전유도판이 설치되어 월류되는 우수와 동반된 미세 협잡물의 유입을 차단하고, 상기 침전유도판과 제1배수안내 플레이트의 하부로 형성되는 하향 유로에 여과망이 설치되어 용존되어 있는 미세오염물질을 제거하는 2차침전 여과조; 상기 2차침전여과조의 제1배수안내 플레이트 상부로 우수가 월류되는 제2월류공과, 여과망을 통과한 우수가 배출되는 여과수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2격벽; 상기 제2격벽으로 상기 2차침전여과조와 공간이 구획되면서 입구측에 경사면을 가지고 제2월류공으로 유입되는 우수를 배출시키는 배수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플레이트와 분리되는 하부 공간은 여과수 배출공으로 배출된 우수가 저장되는 저장조; 그리고, 상기 1차침전조와 2차침전 여과조 및 저장조의 내부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망목 구조의 공간이 형성되는 체킹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도로의 집수정에 설치되거나 배수공에 장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로변에 설치되는 배수공으로부터 우수가 직접 유입되어 도로, 교량 등의 집수정 역할을 할 수 있고, 초기 우수 처리 시설로서 설치가 간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1차침전조와 2차침전조를 통하여 우수의 오염물질을 침전시키고, 침전이 되지 않고 우수의 수면 위로 부상하는 협잡물들은 1차침전조의 수면 위에 부상하고 있다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제1월류공을 통하여 2차침전 여과조로 유입된다.
2차침전 여과조에서는 1차침전조에서 침전되지 아니한 미세한 오염물질이 침전되고, 여기서 침전되지 아니한 미세한 오염물질은 수위가 서서히 상승하면 여과망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다음 여과수 배출공을 통해서 저장조로 유입된다.
한편 초기 우수가 과도하게 유입되어 여과망에 유입되지 않는 우수는 제1배출안내 플레이트에 안내되어 제2월류공을 통하여 저장조에 마련된 배수 플레이트에 안내되어 배출된다. 이때, 제1배출안내 플레이트 선단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침전 유도판은 우수에 부상되어 있는 협잡물이 여과망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여과망을 통과한 우수는 제1배출안내 플레이트를 통하여 배출되는 우수와 분리됨으로써 우수를 수집하여 중수도용과 같은 재활용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는 집수정의 역할을 할 수 있고, 우수의 유입이 순조롭게 진행되어 게릴라성 폭우와 같이 예기치 못한 폭우로 인하여 비점오염원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노면 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침전시키고, 부유하는 협잡물은 침전 유도판에 의하여 분리되어 오염물질 및 협잡물이 배제된 다량의 비점오염원을 수집 처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부의 체킹 플레이트를 열면 내부가 개방되기 때문에 협잡물의 제거와 필터를 교환하는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협잡물, 부유물질, 용존성 오염물질의 제거가 효과적이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시공이 용이하여 기존의 도로변에 쉽게 설치하고 유지 관리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는 본체(1) 내에서 일정한 공간으로 구획되는 1차침전조(10), 2차침전 여과조(20) 및 저장조(30)로 구성된다.
본체(1)는 대략 직사각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도로에 형성되는 배수공으로부터 공동을 형성하는 집수정의 배출구에 연속하여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배수공의 직하방에 설치됨으로써 배수공으로 유입되는 우수가 별도의 송수관이 없이 직접 유입되는 집수정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는 도로의 배수공으로부터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공(101)으로부터 1차침전조(10)와 2차침전 여과조(20) 그리고 저장조(30)가 제1격벽(40)과 제2격벽(50)으로 구획되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망목상으로 형성되는 체킹 플레이트(2)가 설치되어 1차침전조(10)와 2차침전 여과조(20) 및 저장조(3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1차침전조(10)는 2차침전 여과조(20)와 제1격벽(40)으로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되어 입구측의 유입공(101)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가 저장되어 우수 중의 오염물질을 1차로 침전시킨다.
제1격벽(40)은 제1월류공(400)이 형성되는데, 이 월류공(400)은 유입공(101)이 형성되는 높이(h1)보다 낮은 높이(h2)로 형성되어 1차침전조(10)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부의 우수가 2차침전 여과조(20)로 배출된다.
2차침전 여과조(20)는 1차침전조(10)와 제1격벽(40)으로 구획되면서, 저장조(30)와 제2격벽(50)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러한 2차침전 여과조(20)는 2차침전조(200)와 여과조(201)로 구성되는데, 2차침전조(200)는 제1월류공(400)쪽에서 제1격벽(40)과 여과조(201)에 의하여 형성되고, 여과조(201)는 제2격벽(50)이 부착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2차침전조(200)는 1차침전조(10)에서 침전되지 않고 제1월류공(400)을 통하여 유입된 우수에 용존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다시 침전시켜서 여과조(201)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여과조(201)는 2차침전조(200)를 형성하는 지지대(202)의 중간 부위에 여과망(203)이 형성되어 우수가 하향 이동방식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되면서, 상부에는 제1배출안내 플레이트(204)가 설치되어 있다.
제1배출안내 플레이트(204)는 제1월류공(4500)보다 낮은 위치에서 여과조(201)의 상부면을 덮으면서 2차침전조(200)를 향하는 선단부에는 부유물이 여과조(20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망목상의 침전유도판(205)이 형성되고, 후단부는 제2격벽(50)에 밀착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제2격벽(50)은 상부에 제2월류공(500)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여과수 배출공(501)이 형성되어있다.
제2월류공(500)은 제1월류공(400)보다 낮은 높이(h3)로 형성되면서 제1배출안내 플레이트(204)와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제1배출안내 플레이트(204) 상부를 넘치는 우수를 배출시킨다.
여과수 배출공(501)은 2차침전 여과조(20)와 저장조(340)의 유로를 형성하여 여과망(203)을 통과한 우수가 저장조(30)로 유입되게 한다.
저장조(30)는 2차침전 여과조(20)외 제2격벽(50)으로 구획되면서 상부와 하부가 배수 플레이트(300)로 분리되어 여과수 배출공(501)으로 유입된 우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배수 플레이트(300)는 제2격벽(50)의 제2월류공(500)으로부터 연속되는 배수로를 형성하면서, 제2월류공(500)으로 배출되는 우수의 유속을 감속시키면서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하여 제2월류공(500)으로부터 연속되는 선단부에 경사면(301)이 형성되고, 후단부는 본체(1)의 배출측 외벽까지 연장되어 2차침전 여과조(20)에서 침전 및 여과되지 않고 배출되는 우수가 배출되는 배수공(302)과, 저장조(30)에 저장되는 우수가 배출되는 저장수 배출공(302)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도로에서 유입되는 우수가 유입공(101)을 통하여 1차침전조(10)에 유입되어 1차적으로 침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계속하여 유입되는 우수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제1월류공(400)을 통해서 2차침전 여과조(20)로 유입된다.
2차침전 여과조(20)에 유입된 우수는 1차침전조(10)에서 침전되지 않고 우수와 함께 월류된 오염물질이 2차침전조(200)에서 2차적으로 침전된다.
2차 침전조(20)의 일정 이상의 수위가 되는 우수는 제1배출안내 플레이트(204)의 하부를 통해서 여과조(201)로 유입되어 여과망(203)을 통과하면서 2차침전조(200)에서 침전되지 아니한 오염물질이 제거된 다음 여과수 배출공(501)을 통하여 저장조(30)로 배출되고, 저장조(30)의 수위가 일정 이상이 되면 저장수 배출공(303)으로 배출된다.
이때 제1월류공(400)으로부터 2차침전 여과조(20)에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들은 여과조(201) 상부에 형성되어있는 침전유도판(205)에 의하여 여과조(201) 내부에 유입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로에서 우수가 과도하게 유입되면 2차침전 여과조(20)에서 수위가 제1배출안내 플레이트(204)의 윗쪽으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러한 우수는 수면위에 부상하는 협잡물과 함께 제1배출안내 플레이트(204)에 안내되어 제2월류공(500)으로 배출된 다음 배수 플레이트(300)를 통해서 배수공(302)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침전 및 여과 처리된 우수는 저장수 배출공(303)으로 배출되고, 과도하게 유입되어 침전 및 여과 처리되지 않고 부유되는 협잡물과 함께 동반되는 우수는 배수공(302)으로 분리 배출됨으로써, 여과 처리되어 저장수 배출공(303)으로 배출되는 우수를 중수도용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되면서 하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 : 본체 2 : 체킹 플레이트
10 : 1차침전조 20 : 2차침전 여과조
30 : 저장조 40 : 제1격벽
50 : 제2격벽 101 : 유입공
200 : 2차침전조 201 : 여과조
202 : 지지대 203 : 여과망
204 : 제1배출안내 플레이트 205 : 침전유도판
300 : 배수플레이트 301 : 경사면
301 : 배수공 303 : 저장수 배출공
400 : 제1월류공 500 : 제2월류공
501 : 여과수 배출공

Claims (1)

  1. 본체 내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에 포함된 협잡물과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배출시키는 도로 집수정의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에 있어서,
    도로변에 설치되는 도로 집수정의 배수공으로부터 우수가 유입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제1격벽에 의하여 우수가 집수되는 공간이 구획되어 유입된 비점오염물에 포함된 협잡물을 침전시키는 1차침전조;
    상기 1차침전조와 제1격벽으로 분리되어 1차침전조에서 일정 이상의 수위에 도달하여 월류된 우수에 2차 침전이 이루어지면서, 상부에는 제1배수안내 플레이트의 선단에 경사진 침전유도판이 설치되어 월류되는 우수와 동반된 미세 협잡물의 유입을 차단하고, 상기 침전유도판과 제1배수안내 플레이트의 하부로 형성되는 하향 유로에 여과망이 설치되어 용존되어 있는 미세오염물질을 제거하는 2차침전 여과조;
    상기 2차침전여과조의 제1배수안내 플레이트 상부로 우수가 월류되는 제2월류공과, 여과망을 통과한 우수가 배출되는 여과수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2격벽;
    상기 제2격벽으로 상기 2차침전여과조와 공간이 구획되면서 입구측에 경사면을 가지고 제2월류공으로 유입되는 우수를 배출시키는 배수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플레이트와 분리되는 하부 공간은 여과수 배출공으로 배출된 우수가 저장되어 일정 이상의 수위에 도달하면 배출시키는 저장조;
    상기 1차침전조와 2차침전 여과조 및 저장조의 내부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망목 구조의 공간이 형성되는 체킹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배수 시설의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KR20130124556A 2013-10-18 2013-10-18 도로 배수 시설의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KR20150045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4556A KR20150045187A (ko) 2013-10-18 2013-10-18 도로 배수 시설의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4556A KR20150045187A (ko) 2013-10-18 2013-10-18 도로 배수 시설의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187A true KR20150045187A (ko) 2015-04-28

Family

ID=53037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4556A KR20150045187A (ko) 2013-10-18 2013-10-18 도로 배수 시설의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518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981A (ko) 2015-06-25 2017-01-04 이주승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CN107500482A (zh) * 2017-09-30 2017-12-22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基于低冲击雨水设施的市政道路化学品泄漏应急处置系统
KR101959508B1 (ko) 2018-07-26 2019-03-18 (주)랜드로드 우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59509B1 (ko) 2018-07-26 2019-03-18 (주)랜드로드 빗물 배수구 오염물질 여과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50745A (ko) 2019-04-23 2019-05-13 (주)랜드로드 빅데이터 기반의 우수 여과 장치의 IoT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47645A (ko) 2019-10-22 2021-04-30 (주)랜드로드 부력을 이용한 모노필라멘트 필터 인장방식 초기 우수처리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981A (ko) 2015-06-25 2017-01-04 이주승 강우유출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CN107500482A (zh) * 2017-09-30 2017-12-22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基于低冲击雨水设施的市政道路化学品泄漏应急处置系统
CN107500482B (zh) * 2017-09-30 2023-10-13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基于低冲击雨水设施的市政道路化学品泄漏应急处置系统
KR101959508B1 (ko) 2018-07-26 2019-03-18 (주)랜드로드 우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59509B1 (ko) 2018-07-26 2019-03-18 (주)랜드로드 빗물 배수구 오염물질 여과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WO2020022586A1 (ko) 2018-07-26 2020-01-30 (주)랜드로드 우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WO2020022587A1 (ko) 2018-07-26 2020-01-30 (주)랜드로드 빗물 배수구 오염물질 여과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US11352280B2 (en) 2018-07-26 2022-06-07 Landroad Inc Rainwater filter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therefor
KR20190050745A (ko) 2019-04-23 2019-05-13 (주)랜드로드 빅데이터 기반의 우수 여과 장치의 IoT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47645A (ko) 2019-10-22 2021-04-30 (주)랜드로드 부력을 이용한 모노필라멘트 필터 인장방식 초기 우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258B1 (ko)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Wong et al. Water sensitive road design: design options for improving stormwater quality of road runoff
KR20150045187A (ko) 도로 배수 시설의 비점오염물질 처리 장치
KR101249741B1 (ko) 미생물 처리조를 포함한 통합 장치형 우수 처리 장치 및 우수 처리 방법
KR100750461B1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KR20130091900A (ko) 침투도랑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및 그 저감 시설물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방법
KR200413946Y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
KR101484891B1 (ko) 초기 비점 오염 우수 처리 시스템
KR100491866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1493478B1 (ko) 스크린 배열을 이용한 비점 오염물질 저감장치
US11459255B2 (en) Two-sided horizontal flow bioretention stormwater system
KR101684697B1 (ko)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과 우수 처리 방법
KR101760902B1 (ko) 블록식 결합형태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CN209226779U (zh) 一种处理炼油废水的复合人工湿地结构
Marsalek Challenges in urban drainage: environmental impacts, impact mitigation, methods of analysis and institutional issues
KR101826790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218044B1 (ko) 자연형 비점 오염 처리시설
KR101635966B1 (ko)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생태수로
KR101092245B1 (ko)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1311001B1 (ko) 모래여과조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및 그 저감 시설물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방법
KR101219791B1 (ko) 정화유닛을 이용한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Mangangka Understanding water sensitive urban design (WSUD) concept
KR100453194B1 (ko)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Tondera et al. Treatment techniques for variable flows
KR102611173B1 (ko) 우수 맨홀 전처리부의 부유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