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555B1 - 빗물 저장 제어장치와 이를 구비한 물탱크 - Google Patents

빗물 저장 제어장치와 이를 구비한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555B1
KR101740555B1 KR1020150049474A KR20150049474A KR101740555B1 KR 101740555 B1 KR101740555 B1 KR 101740555B1 KR 1020150049474 A KR1020150049474 A KR 1020150049474A KR 20150049474 A KR20150049474 A KR 20150049474A KR 101740555 B1 KR101740555 B1 KR 101740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unit
water
roof plat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0460A (ko
Inventor
조선남
Original Assignee
조선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남 filed Critical 조선남
Priority to KR1020150049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555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30Relating to industrial water supply, e.g. used for cooling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 저장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물저장부가 마련되는 물탱크 또는 저수조의 상부면에 구성되는 지붕판; 상기 지붕판의 테두리를 따라 상면이 개구된 'ㄷ'자 형상의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집수부; 상기 배수구로 유입되는 빗물의 유입방향을 하수관 또는 상기 물저장부 중 선택하여 전환하는 밸브부;를 포함하여 버러지는 빗물을 재활용하여 부족한 수자원을 확보함과 아울러 수질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빗물 저장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빗물 저장 제어장치와 이를 구비한 물탱크{RAINWATER REUSE APPARATUS AND WATER TANK HAVING SAME}
본 발명은 빗물 저장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탱크, 저수조 등 수자원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물 저장 시설의 지붕판에 내리는 빗물을 수집하여 초기 우수는 하수관으로 배출하고 오염도가 낮은 우수에 대해 물탱크 내부로 유입시켜 재활용하도록 구성되는 빗물 저장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세계 평균의 1.4배지만 UN이 지목한 물 부족 국가이기도 하다. UN 산하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의 보고서에 의하면 2000년에 국민 1인당 사용 가능한 물은 1488㎥로 우리나라를 물 부족 국가로 분류했고, 2025년에는 1199~1327㎥로 더 줄어든다고 한다. 이는 우리나라 국토 대부분이 계곡이 짧은 급경사 산으로 이루어져 저류가 어렵고,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비가 내리기 때문이다.
여기에 인구의 50%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어, 물 부족 현상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급격한 도시화로 빗물을 저장할 산지가 많이 파괴되었고, 수자원 확보를 위한 댐과 제방, 도로 포장, 환경오염 물질배출 등에 의한 수질 악화와 물 부족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물부족 현상에 대한 대책으로, 한 번 사용한 물을 재사용하는 중수도시스템이나 빗물저류시설 등 여러가지 방법이나 정책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중수도시스템이나 빗물저류시설은 기본적으로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특히 빗물저류시설은 그 규모가 매우 크므로, 이를테면 택지개발지구나 신도시 조성 지역에나 설치 가능하지,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도심지나 주거지역에는 설치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중수도시스템도 기존의 건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건물을 개조하여야 하므로, 신축건물 정도에나 적용되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빗물의 경제적 가치를 나름대로 극대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규모 빗물 재활용시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시설에는 가령 지붕에 떨어지는 빗물을 집수조에 모아 필요시 청소용수나 조경수 또는 소방용수로 활용하는 것들도 포함된다.
그런데 종래의 빗물 재활용시설은, 초기빗물에 섞여 있는 미세 오염물질에 관한 문제가 고려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초기빗물에는 대기중의 미세먼지나 각종 공해물질이 섞여 있고, 또한 가령 지붕이나 유리창 등에 떨어질 때, 지붕이나 유리창에 쌓여있던 먼지나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과 접할 수 밖에 없으므로, 초기빗물에는 다양한 오염물질이 섞여 있어 오염처리를 한 후에나 사용해야 한다.
상기한 초기빗물이라 함은, 강우가 시작된 직후부터 30분 간 내린 빗물이거나, 또는 강우 시작 후 5mm의 강우량을 채운 빗물이다.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빗물재활용 시스템의 하나로서 출원번호:10-2008-0044583호(건축물의 우수 재활용 시스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빗물 재활용 시스템은, 지붕으로부터 흘러내려온 빗물 중 비교적 오염도가 높은 초기우수가 제외되지 않아 정수처리 하는데 있어서 그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한 우수 재활용 시스템을 포함하는 종래의 빗물 재활용 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매우 많은 프로세스를 필요로 함은 물론 장치가 복잡하고 펌프 등을 사용하기 위해 전력 등 에너지가 과도하게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 제10-2008-0044583호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빗물을 재활용함에 있어 초기우수를 제거하고 이후, 오염도가 낮은 빗물을 집수하여 재활용하는 일련의 공정들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빗물 저장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장 제어장치는 내부에 물저장부가 마련되는 물탱크 또는 저수조의 상부면에 구성되는 지붕판; 상기 지붕판의 테두리를 따라 상면이 개구된 'ㄷ'자 형상의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집수부; 상기 배수구로 유입되는 빗물의 유입방향을 하수관 또는 상기 물저장부 중 선택하여 전환하는 밸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밸브부는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와 연통하는 하수관과 연결되는 배출구 및 상기 물저장부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 상기 공간부 상에서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며 전진시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대신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며, 후진시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대신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에 맞물려 상기 모터의 정회전시 전진하고 역회전시 후진하는 스크류봉; 상기 스크류봉의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부재와 스크류봉을 연결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구동수단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수부의 바닥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상측에 설치되는 제 1감지부와 연결되어 제 1감지부로부터 생성된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일례로써, 상기 제 1감지부는 수위센서, 빗물감지센서, 탁도센서, 타이머 중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다른 예로써, 상기 물저장부의 일측면에는 제 2감지부를 구성하여 수위가 제 2감지부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에 도달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집수부는 전체적으로 기울기가 형성되되, 상기 배수구는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집수부는 나선 구조로 마련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장 제어장치는 물탱크 지붕판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배수구가 마련되는 집수부와 배수구를 통해 빗물이 유입되며 유입된 빗물에 대해 초기우수는 하수관으로 방류하고 이후 오염도가 낮은 빗물을 저장하도록 오수의 진로를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버려지는 빗물을 재활용하여 부족한 수자원을 확보함과 아울러 수질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재활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재활용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밸브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재활용 장치에 제어부 및 감지부가 추가로 구성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집수부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재활용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재활용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밸브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 재활용 장치에 제어부 및 감지부가 추가로 구성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집수부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장 제어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빗물 저장 제어장치는 물탱크, 저수조 등 수자원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물 저장 시설에 모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하 본 명세서 전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든 물 저장 시설들의 대표 개념으로써 즉, 상기 물 저장시설들의 포괄적인 의미로써 '물탱크(1)'라 표현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장 제어장치는 비점오염원인 초기우수를 하수관(414여과부(80))으로 배출시키고,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의 빗물은 물탱크(1)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버려지는 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국가 정책 중 하나인 빗물자원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장 제어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판(10), 집수부(20) 및 밸브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지붕판(10)은 상기 물탱크(1)의 상부면에 밀폐구조로 설치되는 것으로 그 하부에는 물탱크(1)의 내부 공간으로서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부가 마련된다.
상기 집수부(20)는 상기 지붕판(1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수용홈(22)과 수용홈(22)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수구(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홈(22)은 그 단면 형상을 상면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마련하여 우천시 상기 지붕판(10) 상에 낙하하는 빗물이 수용홈(22) 내부로 흐르게 하여 수용홈(22) 상에 빗물이 임시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실시 예에서와 같이 지붕판(10) 상에 낙하하는 빗물이 수용홈(22) 내부로 원활히 흘러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지붕판(10)의 구조가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22)으로부터 지붕판(10)의 중심부를 향해 상향구배가 형성되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구(24)는 상기 수용홈(22)의 바닥면 중 어느 일 지점에 마련되는 것으로 수용홈(22)에 저장된 우수는 상기 배수구(24)를 통해 이하의 밸브부(40)에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밸브부(40)는 상기 배수구(24)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 중 오염도가 높은 초기 우수의 경우 외부의 하수처리시설 등과 연결된 하수관(414a))으로 흘려보내게 되고, 이후 오염도가 낮아진 빗물의 경우 유입관(416a)을 통해 물탱크(1) 내부 공간인 물저장부(2)로 유입시키는 것으로서 우수의 유입방향을 하수관(414a) 또는 유입관(416a) 중 선택하여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수관(414a)에는 여과부(80)를 구성하여 하수관(414a)을 통해 배출되는 초기 우수에 대해 1차로 정화시킨 후에 하수처리장 등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수질오염을 개선하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밸브부(40)의 작동에 기해 비가 오지 않을시 먼지, 낙엽 등의 이물질이 밸브부(40)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밸브부(40)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부(40)는 밸브하우징(410), 개폐부재(420) 및 구동수단(4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하우징(410)은 케이싱 구조로써, 그 내측에는 공간부(411)가 형성되며 상부면 중심에는 상기 배수구(24)와 연통하여 배수구(24)로부터 우수가 공간부(411)로 유입되도록 투입구(412)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하우징(410)의 하부면 일측에는 하수관(414a)과 연결되는 배출구(414)가 형성되고, 밸브하우징(410)의 하부면 타측에는 물탱크(1)의 물저장부(2)로 연결되는 유입관(416a)과 연결되는 유입구(416)가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재(420)는 상기 공간부(411) 상에서 전,후진 왕복운동 하게되는데, 이는 도 4a에서와 같이 개폐부재(420)의 전진시에는 상기 배출구(414)를 차단하는 대신 상기 유입구(416)를 개방하게 되고, 도 4b에서와 같이 개폐부재(420)의 후진시에는 상기 배출구(414)를 개방하는 대신 상기 유입구(416)를 차단하도록 마련하여 상기 투입구(412)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경로를 배출구(414) 또는 유입구(416) 중 선택하여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비우천시에는 개폐부재(420)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414)와 유입구(416)의 사이인 공간부(411)의 중심에 위치시켜 상기 투입구(412)를 차단시킴으로써 밸브하우징(410) 내부인 공간부(411)에 낙엽,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수단(430)은 상기 개폐부재(420)에 동력을 전달하여 개폐부재(420)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전술하였던 실시 예서와 같이 배출구(414)와 유입구(416)의 차단 및 개방을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동수단(430)은 일례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432), 웜기어(434), 스크류봉(436) 및 베어링(43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432)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웜기어(434)는 상기 모터(432)의 회전축(도면부호 미도시)에 구성되어 상기 모터(43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된다.
상기 스크류봉(436)은 상기 웜기어(434)에 치합되도록 그 외주연에 스크류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432)의 회전축에 직교하여 배치된다.
이때,상기 스크류봉(436)은 상기 모터(43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진 및 후진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432)의 정회전시 상기 스크류봉(436)은 전진하게 되고 역회전시 상기 스크류봉(436)은 후진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모터(432)의 회전방향에 기인한 스크류봉(436)의 유동관계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터(432)의 회전방향에 기인한 스크류봉(436)의 유동관계는 그 역순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바이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420)과 스크류봉(436)과의 결합부위에는 베어링(438)이 개재되도록 하여 스크류봉(436)이 회전하면서 유동하더라도 개폐부재(420)에 그 회전은 영향 안받고 왕복운동만 전달되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4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가 더 구성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장 제어장치에 제어부(50)와 감지부가 각각 추가로 구성되는 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구동수단(430)과 연결되어 구동수단(43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우천시 이를 감지하고 초기우수는 배출구(414)로 배출시키고 이후의 빗물에 대해 물탱크(1) 내부의 물저장부(2)로 유입되는 일련의 작업들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제 1감지부(60)와 연결된다.
상기 제 1감지부(60)는 우수 여부와 빗물의 오염도 등을 감지하여 그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50)로 전달함으로써 본 발명의 빗물 저장 제어장치가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구현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제 1감지부(60)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이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 1감지부(60)가 도면에서는 상기 집수부(20)의 수용홈(22) 상에 배치되도록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 1감지부(60)의 위치가 집수부(20) 외에도 지붕판(10) 또는 배수구(24) 등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제 1감지부(60)로는 빗물감지센서, 습도센서, 수위센서, 탁도센서 및 타이머 중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감지부(60)로써 빗물감지센서, 습도센서 중 하나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집수부(20)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빗물감지센서 또는 습도센서가 적용됨으로써 빗물이 내리기 시작되는 것을 감지하여 이때 생성된 감지신호는 제어부(50)로 전달되고 제어부(50)는 구동수단(430)을 작동함으로써 밸브부(40)가 배출구(414)를 개방하여 초기우수에 대해 일정시간 동안 배출구(414)를 통해 하수관(414a)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제 1센서로써 탁도센서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의 하부면 또는 배수구(24) 내측 등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탁도센서에 의해 빗물의 탁도를 지속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일정량의 초기우수를 하수관(414a)으로 배출시킨 이후 수용홈(22) 상 우수의 탁도가 기준치 이하로 낮아질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50)로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50)의 밸브부(40) 제어를 통해 배출구(414)는 차단하고 유입관(416a)을 개방하여 이후부터는 오수가 유입관(416a)을 통해 물저장부(2)로 유입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감지부(60)로써 타이머가 적용되는 예는 상기 탁도센서의 경우와 유사한 목적을 갖는 것으로, 그 위치는 장치의 내측에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빗물감지센서 또는 습도센서를 통해 우천 여부를 파악하여 비가 내리기 시작된 시점에 상기 타이머가 개시되어 초기우수에 대해 일정 시간 동안만 하수관(414a)으로 배출시키고 이후 우수의 오염도가 기준치 이하가 되는 기 세팅된 종료 시점에 제어부(50)로 신호를 보내 우수의 방향을 유입관(416a)으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1감지부(60)로 수위센서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빗물감지센서 또는 습도센서가 갖는 목적과 유사한 목적으로 이때 제 1감지부(60)는 상기 집수부(2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상측에 설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우천시 집수부(20)의 수용홈(22) 상에 빗물이 고이기 시작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 하여 상기 수위센서의 위치까지 수위가 다다르면 투입구(412)를 차단하였던 개폐부재(420)를 유동시켜 초기우수에 대해 하수관(414a)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이는, 상기 집수부(20)에는 빗물이 일정 수위만큼 저장된 상태에서 배출구(414)로 토출되어 큰 토출압을 기대할 수 있게 되므로 초기우수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오염도가 높은 초기우수가 완전히 제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물저장부(2)에는 제 2감지부(70)가 더 구성될 수 있는바, 이러한 제 2감지부(70)는 물저장부(2)의 한계수용량 또는 적정수용량에 해당하는 수위(높이)에 설치하여 물저장부(2)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의 수위가 상기 제 2감지부(70)에 도달하게 되면 이때 발생되는 도달신호를 제어부(50)에 전달하고 제어부(50)는 밸브부(40)를 제어하여 도 4b에서와 같이 개폐부재(420)의 위치를 유동시켜 이후에 내리는 빗물은 하수관(414a)으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도 4c에서와 같이 투입구(412)를 차단함으로써 빗물이 수용부의 외벽을 넘어 월류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강수량이 증가할 경우 빗물이 일시에 하수관(414a)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저장 제어장치는 상기 실시 예들을 통해 우천시 자동으로 초기우수는 하수관(414a)으로 배출하고 이후 오염도가 낮은 우수에 대해 물탱크(1) 내부로 저장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수부(20)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집수부(20)는 단면의 형상이 상면이 개구된 'ㄷ'자 형상의 테두리 구조인 것으로 도 6a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정면도 기준으로 일단과 타단에 경사각(θ)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배수구(24)를 기준으로 나머지 수용홈(22)의 구간이 상향 구배를 갖도록, 즉 상기 배수구(24)를 가장 낮게 배치하여 집수부(20) 상의 빗물이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배수구(24)로 유입되도록 하여 특히, 초기 우수에 대해 잔존하지 않게 하여 재활용되는 우수의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ㄷ'자 형상의 테두리 구조로 된 상기 집수부(20)가 나선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가장 낮은 위치에 배수구(24)를 형성하여 배수구(24)로의 토출압 증가 및 잔존 초기우수의 제거 효율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상기 지붕판(10)에는 태양광 집열판을 구성하여 전력을 생산하거나 또는, 물탱크의 제일 높은 위치인 지붕판(10)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집수부와 그 하측의 하수관 사이에 수력발전 수단을 마련하여 집수부로부터 하수관으로 흐르는 우수의 낙차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토록 구성하고, 이렇게 생산된 전력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인 제 1 및 제 2감지부(70), 구동수단(430) 등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자체적인 전력수급을 통해 에너지 면에서 경제성을 도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물탱크 2 : 물저장부
10 : 지붕판 20 : 집수부
40 : 밸브부 50 : 제어부
60 : 제 1감지부 70 : 제 2감지부

Claims (9)

  1. 내부에 물저장부가 마련되는 저수조의 상부면에 구성되며 그 중심부가 높고 테두리가 낮은 구배가 형성되는 지붕판; 상기 지붕판의 테두리를 따라 상면이 개구된 'ㄷ'자 형상의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집수부; 상기 배수구로 유입되는 빗물의 유입방향을 하수관 또는 상기 물저장부 중 선택하여 전환하는 밸브부;를 포함하는 빗물 저장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는 상기 지붕판의 테두리를 따라 원형의 띠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지붕판에 낙하하는 빗물이 지붕판 테두리로 흘러 집수부에 수집되되, 상기 집수부는 일단 및 타단 간 높이 차가 형성되도록 나선형태를 취하고, 나선형태의 최하부에 상기 배수구를 형성시켜 배수구로 유입되는 빗물의 토출압이 상승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장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와 연통하는 하수관과 연결되는 배출구 및 상기 물저장부와 연결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밸브하우징;
    상기 공간부 상에서 전,후진 왕복운동을 하며 전진시 상기 배출구를 차단하는 대신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며, 후진시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대신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장 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에 맞물려 상기 모터의 정회전시 전진하고 역회전시 후진하는 스크류봉;
    상기 스크류봉의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부재와 스크류봉을 연결하는 베어링;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장 제어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수부의 바닥면 또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상측에 설치되는 제 1감지부와 연결되어 제 1감지부로부터 생성된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장 제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감지부는 수위센서, 빗물감지센서, 탁도센서, 타이머 중 하나 이상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장 제어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부의 일측면에는 제 2감지부를 구성하여 수위가 제 2감지부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에 도달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장 제어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빗물 저장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물탱크.









KR1020150049474A 2015-04-08 2015-04-08 빗물 저장 제어장치와 이를 구비한 물탱크 KR101740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474A KR101740555B1 (ko) 2015-04-08 2015-04-08 빗물 저장 제어장치와 이를 구비한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474A KR101740555B1 (ko) 2015-04-08 2015-04-08 빗물 저장 제어장치와 이를 구비한 물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460A KR20160120460A (ko) 2016-10-18
KR101740555B1 true KR101740555B1 (ko) 2017-05-26

Family

ID=57244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474A KR101740555B1 (ko) 2015-04-08 2015-04-08 빗물 저장 제어장치와 이를 구비한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5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029B1 (ko) * 2019-07-04 2019-12-03 주식회사 현진기업 수온조절과 바이러스살균이 가능한 양어시설공급용 물 공급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0782B1 (ko) * 2020-12-21 2023-01-20 조명우 작물 재배용 양액 혼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물 재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6162A (ja) * 2001-03-23 2002-10-03 Megatorr Corp 広帯域可変コンダクタンスバルブ
JP2003184136A (ja) * 2001-12-18 2003-07-03 Kimiharu Imazato 雨水流路切換装置
KR100784262B1 (ko) * 2006-11-28 2007-12-11 주식회사서흥산업기계 대형 빗물 저장탱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243B1 (ko) 2006-11-17 2013-04-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6162A (ja) * 2001-03-23 2002-10-03 Megatorr Corp 広帯域可変コンダクタンスバルブ
JP2003184136A (ja) * 2001-12-18 2003-07-03 Kimiharu Imazato 雨水流路切換装置
KR100784262B1 (ko) * 2006-11-28 2007-12-11 주식회사서흥산업기계 대형 빗물 저장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029B1 (ko) * 2019-07-04 2019-12-03 주식회사 현진기업 수온조절과 바이러스살균이 가능한 양어시설공급용 물 공급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460A (ko) 201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46632B (zh) 一种市政雨水调蓄系统
KR101511219B1 (ko) 우수 처리 및 재활용 장치
KR101096768B1 (ko) 빗물이용장치
CN206308779U (zh) 一种带助排功能的城市排水系统
KR100511208B1 (ko) 재활용 및 홍수방지용 빗물저수조 시스템
CN105735449A (zh) 一种城市道路雨水收集处理系统
CN205421504U (zh) 一种弃流式雨水口
KR100928686B1 (ko) 초기우수 배제시스템
KR20140046093A (ko) 우수 홈통을 이용한 빗물 집수장치
KR101074449B1 (ko) 우수유출저감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740555B1 (ko) 빗물 저장 제어장치와 이를 구비한 물탱크
CN110158403B (zh) 一种应用于海绵城市的城市雨水系统
KR101304128B1 (ko) 무동력 빗물 처리장치
KR200398164Y1 (ko) 초기 빗물처리장치
CN205224228U (zh) 一种初期雨水及消防废水的收集和利用装置
KR20130011103A (ko) 빗물관리시설장치
CN108661152B (zh) 一种雨污分流型雨水口结构
CN105863038B (zh) 一种初期雨水弃流装置
CN105064452A (zh) 雨水弃流收集存储与溢流、防倒流一体控制装置
CN206052492U (zh) 一种用于道路两侧排水的分流式吸水装置
KR101313936B1 (ko) 초기우수 분리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빗물 저류탱크
KR100699326B1 (ko) 우수정수장치 및 그 정수방법
CN209163002U (zh) 安全环保雨水井
KR100927459B1 (ko) 빗물처리장치
CN209494027U (zh) 一种雨污分离构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