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262B1 - 대형 빗물 저장탱크 - Google Patents

대형 빗물 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262B1
KR100784262B1 KR1020060118332A KR20060118332A KR100784262B1 KR 100784262 B1 KR100784262 B1 KR 100784262B1 KR 1020060118332 A KR1020060118332 A KR 1020060118332A KR 20060118332 A KR20060118332 A KR 20060118332A KR 100784262 B1 KR100784262 B1 KR 100784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rainwater
water
ai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8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서흥산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서흥산업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서흥산업기계
Priority to KR1020060118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빗물 저장탱크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빗물의 수용량을 대단위(약 2,500톤~30,000톤)로 저장할 수 있는 대형 빗물 저장탱크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으며, 더 나가서 빗물의 수집 및 여과 수단을 마련하고 사수방지 수단을 마련하여 대단위 빗물 저장탱크로서의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하는 바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바닥(110)과 사방 측벽(120)과 지붕(130)을 구비하여 약 2,500톤 이상의 빗물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탱크(100)와, 상기 탱크(100)의 외부 사방 측벽(120) 상부에서 상기 지붕(130)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된 물 받침 홈통(210), 상기 물 받침 홈통(210)에서 모아 진 빗물을 대형 탱크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수직 배관(220), 상기 수직 배관으로부터 상기 대형 탱크의 내부 바닥으로 안내하는 유입 안내파이프(230), 상기 물 받침 홈통(210) 또는 수직 배관(220)에 마련된 여과기구(240)를 포함하는 다수의 집수수단(200)과, 상기 탱크(10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물의 사수를 방지하기 위한 사수 방지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빗물, 저장, 탱크

Description

대형 빗물 저장탱크{RAINWATER TANK}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빗물 유입 안내파이프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종 방향 이물질 여과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종 방향 이물질 여과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종 방향 이물질 여과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횡 방향 이물질 여과수단의 구성도
도 11은 도 10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대형 탱크 110: 바닥
120: 측벽 130: 지붕
200: 집수수단 210: 물 받침 홈통
220: 수직 배관 230: 유입 안내파이프
240: 여과기구 241: 가로 원통체
242: 수직 원통체 243: 여과망
244: 도어 245: 개방부
246: 경사 여과판 246a: 틈
246b: 플레이트 247: 여과케이스
248: T관체 248a: 수평부
248b: 지관부 248c: 원통관체
300: 사수방지수단 310: 공기 파이프
320: 노즐 330: 펌프
340: 필터
본 발명은 대형 빗물 저장탱크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대형으로 제작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빗물을 수거하여 탱크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수단과, 유입시 이물질 여과수단과, 유입된 물의 부패를 예방하기 위한 사수방지수단을 포함하는데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섬과 같이 지하수 자원이 없고 물이 부족한 지역 또는 토양이 현무암이나 사토 등과 같이 물 배수가 너무 빠른 지역에서는 빗물을 받아 생활용수 및 농업용수로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예컨대, 우리나라의 제주도와 같이 수자원이 귀한 섬에서는 빗물을 생활 용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우천시 내리는 빗물을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시 이용할 수 있는 저장탱크를 소 단위로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빗물 저장탱크는 그 저장탱크를 수용할 공간이 마련된 각각의 주택이나, 옥내 또는 옥상에 저장탱크를 구비할 수 있는 소형 건물 위주로 마련하는 실정이기 때문에 탱크의 규모가 작고, 작은 만큼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수용량이 충분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저장탱크를 구비할 공간이 마련되지 않는 건축물에서는 전혀 사용을 못할 뿐만 아니라 원거리에 저장탱크를 설치하고 멀리 파이프라인을 시설하여 이용하기에는 저장탱크의 규모가 따르지를 못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안출하는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빗물의 수용량을 대단위(약 2,500톤~30,000톤; 이는 탱크의 바닥 크기가 가로, 세로 수십미터에 달하는 크기임)로 저장할 수 있는 대형 빗물 저장탱크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으며, 더 나가서 빗물의 수집 및 여과 수단을 마련하고 사수방지 수단을 마련하여 대단위 빗물 저장탱크로서의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하는 바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바닥과 사방 측벽과 지붕을 구비하여 빗물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탱크와, 상기 탱크의 외부 사방 측벽 상부에서 상기 지붕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된 물 받침 홈통, 상기 물 받침 홈통에서 모아 진 빗물을 대형 탱크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수직 배관, 상기 수직 배관으로부터 상기 대형 탱크의 내부 바닥으로 안내하는 유입 안내파이프, 상기 물 받침 홈통 또는 수직 배관에 마련된 여과기구를 포함하는 다수의 집수수단과, 상기 탱크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물의 사수를 방지하기 위한 사수 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한 집수수단의 여과기구는 수직 원통체와, 상기 수직 원통체의 속에서 상기 원통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놓인 채 여과망을 포함하는 가로 원통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 상기한 집수수단의 여과기구는 수직 배관의 중단에 구비하되, 일측으로 도어를 가진 개방부를 갖고, 내부에 경사 여과판을 가진 여과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 상기한 여과케이스의 경사 여과판은 물이 흐르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좁은 틈들을 유지하는 다수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 한, 상기한 집수수단의 여과기구는 가로로 이어지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 부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지관부로 이루어지는 T관체와, 상기 관체의 속에 구비된 원통망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 상기한 사수방지수단은 외부의 공기를 내부의 물 속으로 강제 공급하기 위한 에어 펌프와, 상기 에어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대형 탱크의 바닥부분에서 폭 넓게 전달하기 위해 노즐을 가진 공기 파이프, 그리고, 내부의 물을 주기적으로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와, 이 펌프로부터 상기 대형 탱크의 천정으로 이어지며 분사 노즐들을 가진 순환 파이프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형 탱크(100)는 바닥(110)과 사방 측벽(120)과 지붕(130)을 구비하여 약 2,500톤 이상의 빗물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한다.
이는 미리 준비된 지면 위에 설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서는 높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지면 속으로 묻히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대형 탱크(100)는 다수의 집수수단(200)과, 사수방지수단(300)을 포함한다.
먼저, 다수의 집수수단(200)은 상기 탱크(100)의 외부 사방 측벽(120) 상부에서 상기 지붕(130)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된 물 받침 홈통(210), 상기 물 받침 홈 통(210)에서 모아 진 빗물을 대형 탱크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수직 배관(220), 상기 수직 배관으로부터 상기 대형 탱크의 내부 바닥으로 안내하는 유입 안내파이프(230), 상기 물 받침 홈통(210) 또는 수직 배관(220)에 마련된 여과기구(240)들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여과기구(240)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 원통체(242)와, 상기 수직 원통체(242)의 속에서 상기 원통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놓인 채 여과망(243)을 포함하는 가로 원통체(241)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은 여과기구(240)는 모아진 빗물 속에 포함된 낙엽 등의 이물질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래로 빠지고, 빗물만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여과기구(24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 배관(220)의 중단에 구비하되, 일측으로 도어(244)를 가진 개방부(245)를 갖고, 내부에 경사 여과판(246)을 가진 여과케이스(247)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빗물이 수직 배관(220)을 타고 내려오면, 빗물의 대부분은 경사 여과판(246) 아래로 낙하하여 수집되고, 낙엽 등 이물질은 경사 여과판(246)을 따라 개방부(245)로 배출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경사 여과판(246)은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플레이트(246b)들이 물이 흐르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성하면 빗물이 플레이트(246b)들 사이의 좁은 틈(246a)으로 빠지고, 낙엽은 플레이트(246b) 윗 면을 타고 개방부(245) 밖으로 이동하기에 용이하도록 되는 것이다.
또 한, 상기 여과기구(240)는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에도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가로로 이어지는 수평부(248a)와, 상기 수평부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지관부(248b)로 이루어지는 T관체(248)와, 상기 관체의 속에 구비된 원통망체(248c)로 구성하여 빗물의 대부분이 지관부(248b)로 낙하하여 수집되고, 나머지 빗물은 낙엽 등 이물질과 함께 더 진행하여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여과기구(240)를 통하여 수집된 물은 수직 배관(220)을 통해 대형 탱크(100)의 내부로 이어지고, 탱크의 내부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탱크의 바닥 가까이 까지 유도된 유입 안내파이프(230)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대형탱크의 내부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수 방지수단(300)이 마련된다.
이는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기 위한 에어 펌프(330)와, 상기 에어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대형 탱크(100)의 바닥부분에서 폭 넓게 전달하기 위한 공기 파이프(310)와, 이들 공기 파이프(310)의 중간 중간에 구비된 노즐(320)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한 에어 펌프(330)의 앞이나 뒤에는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에어 필터(34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또, 내부의 물을 주기적으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350)와, 이 펌프로부터 강제순환시키는 물을 대형 탱크(100)의 상부로 유도하여 분사하기 위해 노즐(361)들을 가진 순환 파이프(36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사수 방지수단(300)은 수집된 빗물이 장기간 보관하였을 때 물에 바닥에서부터 썩기 시작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적당한 시간 간격으로 가동할 수 있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140은 탱크 내부로 사람이 드나들기 위한 맨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대형 탱크(100)는 우리나라 제주도와 같은 큰 섬에서 비교적 인구가 많은 도시 근처의 지상에 설치하게 된다.
대형이기 때문에 지붕(130)의 면적 또한 넓은 상태이며, 빗물의 흐름을 사방 테두리 쪽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약간의 경사가 필요한 것은 물론이며, 지붕에 내리는 빗물은 당연히 사방 테두리를 따라 마련된 물 받침 홈통(210)을 따라 수직 배관(220)으로 유도되며, 수직 배관(220)의 일부가 탱크의 내부로 이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내부의 유입 안내 파이프(230)를 통해 바닥 가까이에서 쏟아진다.
본 발명의 대형 탱크(100)는 상기와 같이 지붕(130)에 내린 빗물을 수집하는데 있어서, 도 4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각각의 여과기구(240)를 사용하여 즉시 여과한 후 유입시키도록 시스템을 구비하고, 유입된 물의 사수 방지를 위 해 공기를 주입하고 내부의 물을 강제순환시키는 사수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완성하게 된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지하수 자원이 없고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 빗물의 수용량을 대단위(약 2,500톤~30,000톤)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형 탱크를 구비하되, 대형 탱크에 맞도록 넓은 지붕에서 수집되는 빗물을 여러 가지의 여과수단을 이용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지붕의 테두리에서 각종 낙엽 및 이물질을 즉시 수거하여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아울러 물속으로 공기를 투입하고 또, 물을 강제 순환시키는 등 사수 방지수단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대형 탱크에서 장기간 저장되는 빗물이라도 오염되는 일이 없이 수시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바닥(110)과 사방 측벽(120)과 지붕(130)을 구비하여 빗물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탱크(100)와,
    상기 탱크(100)의 외부 사방 측벽(120) 상부에서 상기 지붕(130)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된 물 받침 홈통(210), 상기 물 받침 홈통(210)에서 모아 진 빗물을 대형 탱크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수직 배관(220), 상기 수직 배관으로부터 상기 대형 탱크의 내부 바닥으로 안내하는 유입 안내파이프(230), 상기 수직 배관(220)에 마련된 여과기구(240)를 포함하는 다수의 집수수단(200)과,
    상기 탱크(10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물의 사수를 방지하기 위한 사수 방지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빗물 저장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집수수단(200)의 여과기구(240)는 수직 원통체(242)와, 상기 수직 원통체(242)의 속에서 상기 원통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놓인 채 여과망(243)을 포함하는 가로 원통체(24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빗물 저장탱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집수수단(200)의 여과기구(240)는 수직 배관(220)의 중단에 구비하되, 일측으로 도어(244)를 가진 개방부(245)를 갖고, 내부에 경사 여과판(246)을 가진 여과케이스(24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빗물 저장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여과케이스(247)의 경사 여과판(246)은 물이 흐르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좁은 틈(246a)들을 유지하는 다수의 플레이트(246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빗물 저장탱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사수방지수단(300)은 외부의 공기를 내부의 물속으로 강제 공급하기 위한 에어 펌프(330)와, 상기 에어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대형 탱크(100)의 바닥부분에서 폭 넓게 전달하기 위해 노즐(320)을 가진 공기 파이프(310),
    그리고, 내부의 물을 주기적으로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펌프(350)와, 이 펌프로부터 상기 대형 탱크(100)의 천정으로 이어지며 분사 노즐(361)들을 가진 순환 파이프(360)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빗물 저장탱크.
KR1020060118332A 2006-11-28 2006-11-28 대형 빗물 저장탱크 KR100784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332A KR100784262B1 (ko) 2006-11-28 2006-11-28 대형 빗물 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8332A KR100784262B1 (ko) 2006-11-28 2006-11-28 대형 빗물 저장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262B1 true KR100784262B1 (ko) 2007-12-11

Family

ID=3914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8332A KR100784262B1 (ko) 2006-11-28 2006-11-28 대형 빗물 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2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913B1 (ko) 2008-09-05 2009-08-26 이경자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
KR101269437B1 (ko) * 2013-01-21 2013-05-30 주식회사 성지기공 피디에프 물탱크
KR101740555B1 (ko) * 2015-04-08 2017-05-26 조선남 빗물 저장 제어장치와 이를 구비한 물탱크
KR101991423B1 (ko) * 2018-11-05 2019-06-2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데이터 센터 냉각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259A (ko) * 2000-07-28 2000-10-05 김혁 빗물저장탱크
KR200251286Y1 (ko) * 2001-08-01 2001-11-22 정형순 홈통을 이용한 빗물 집수 장치
KR20030021953A (ko) * 2001-09-10 2003-03-15 박부고 빗물 재활용 저수장치
KR20050094577A (ko) * 2004-03-23 2005-09-28 주식회사 장호 빗물 저장장치
KR20060116772A (ko) * 2006-09-29 2006-11-15 김재영 빗물 침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259A (ko) * 2000-07-28 2000-10-05 김혁 빗물저장탱크
KR200251286Y1 (ko) * 2001-08-01 2001-11-22 정형순 홈통을 이용한 빗물 집수 장치
KR20030021953A (ko) * 2001-09-10 2003-03-15 박부고 빗물 재활용 저수장치
KR20050094577A (ko) * 2004-03-23 2005-09-28 주식회사 장호 빗물 저장장치
KR20060116772A (ko) * 2006-09-29 2006-11-15 김재영 빗물 침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913B1 (ko) 2008-09-05 2009-08-26 이경자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
KR101269437B1 (ko) * 2013-01-21 2013-05-30 주식회사 성지기공 피디에프 물탱크
KR101740555B1 (ko) * 2015-04-08 2017-05-26 조선남 빗물 저장 제어장치와 이를 구비한 물탱크
KR101991423B1 (ko) * 2018-11-05 2019-06-2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데이터 센터 냉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650B1 (ko) 건축물 지붕을 이용한 빗물 집수 종합처리장치
KR100784262B1 (ko) 대형 빗물 저장탱크
US6719490B2 (en) Stormwater receiving assembly
KR101574644B1 (ko) 이물질이 함유된 초기빗물을 배제한 우수 집수장치
KR20140062658A (ko) 무동력 수질관리시설과 청소시설이 내장된 빗물저류탱크
KR100847826B1 (ko) 빗물 이용 및 저장장치
US6920984B2 (en) Rainwater tank cleaning system
US20080124175A1 (en) Water extraction panels system
KR101838899B1 (ko) 빗물 재활용 처리 시스템 및 빗물받이의 필터설치구조
CN211703188U (zh) 一种园林雨水回收灌溉系统
CN209482442U (zh) 地下集水坑排水、排气系统
AU2005202156B1 (en) Filtration System
CN217232046U (zh) 一种园林雨水收集处理装置
CN110407350A (zh) 物联型海绵城市调蓄净化系统及其工作方法
CN210342083U (zh) 一种雨水收集利用装置
WO2011142556A2 (ko) 온실내의 다단수경재배 용수공급 시스템
KR102046131B1 (ko) 초기우수 수질 처리 시스템
CN208266978U (zh) 房屋雨水收集处理系统
KR101993818B1 (ko) 돈사 시스템 및 그의 운영 방법
CN208748794U (zh) 一种雨水清污分流系统
KR100617844B1 (ko) 우수용 집수장치
CN214329094U (zh) 基于bim的雨水收集系统
CN219638061U (zh) 室内雨水管断接系统
KR101069826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CN210032383U (zh) 一种雨水回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