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826B1 -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826B1
KR101069826B1 KR1020110036417A KR20110036417A KR101069826B1 KR 101069826 B1 KR101069826 B1 KR 101069826B1 KR 1020110036417 A KR1020110036417 A KR 1020110036417A KR 20110036417 A KR20110036417 A KR 20110036417A KR 101069826 B1 KR101069826 B1 KR 101069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pipe
drip
hol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헤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헤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헤럴드
Priority to KR1020110036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8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맨홀 뚜껑을 통해 유입되어 낙하하는 낙수가 공동구에 집수되지 않도록 처리하고, 맨홀을 통해 공동구에 출입할 때 맨홀 뚜껑을 열고 닫는 작업만으로 낙수의 집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는, 지중에 매설되는 공동구(3)의 상부에 형성되어 맨홀(2)을 개폐하는 맨홀 뚜껑(1)의 저부에 다수의 볼트로 결합되는 낙수받이 하우징(20)과; 상기 낙수받이 하우징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맨홀 뚜껑의 배수홀(1a)을 통해 떨어지는 낙수를 집수 및 유도 배수하는 낙수받이(10)와; 상기 맨홀과 공동구의 외부에 수직으로 배열되면서 상단부의 유입관(32)이 상기 낙수받이와 대응되어 상기 낙수받이에 의해 집수된 낙수를 유도 배수하는 유도배수관(30)과; 내부에 저장부가 형성되면서 일측 상부에는 상기 유도배수관의 배출단이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 상부에는 낙수처리홀(41)이 구비된 집수박스(40)를 포함하며, 상기 낙수받이 하우징은, 상기 맨홀 뚜껑의 배수홀과 연통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낙수받이가 일측에서 수납 및 인출되도록 일측을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배수홀을 통해 유입되는 낙수가 상기 낙수받이에 집수되도록 하는 낙수받이 수납부(21), 상기 낙수받이 수납부의 일측에 월류부를 사이에 두고 수직으로 배열되면서 저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어 상기 유도배수관의 유입관에 삽입되는 배수관(22) 및 상기 낙수받이 수납부와 배수관 사이의 월류부에 설치되는 여과망(23)을 포함하고, 상기 낙수받이는, 상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며 상기 낙수받이 하우징의 배수관측에서부터 바닥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11) 및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수집홈(12)이 구비된 통 구조이며 상기 배수홀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바닥에서부터 저장하면서 낙수를 상기 월류부를 통해 배수관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도배수관은 유입관의 상단부에 단면적이 커지는 확경부(33)가 구비되어 상기 낙수받이 하우징의 배수관이 내부로 유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낙수처리홀의 앞에 형성되며 상기 유도배수관의 배출단측과 낙수처리홀을 연결하는 유입부를 갖는 배플(44)을 포함하되, 상기 배플의 유입부는 상기 낙수처리홀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유도배수관의 배출단을 통해 상기 집수박스에 저장된 낙수를 상기 낙수처리홀로 유도한다.

Description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DROPP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OF UNDERGROUND COMMON DUCT ENABLING MAINTENANCE}
본 발명은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맨홀 뚜껑을 통해 유입되어 낙하하는 낙수가 공동구에 집수되지 않도록 처리하고, 맨홀을 통해 공동구에 출입할 때 맨홀 뚜껑을 열고 닫는 작업만으로 낙수의 집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 설치되는 공동구는 도로의 노면굴착을 수반하는 지하 매설물(전기·가스·수도의 공급시설물 및 전신선로 등)을 공동 수용함으로써 도시의 미관, 도로구조의 보전과 교통의 원활한 유통을 배려한 시설물이다.
이러한 공동구에는 기점, 회점, 교차점, 분기점, 물매점 등의 필요위치마다 지상으로부터 관통하는 맨홀이 설치되어서 그 내부의 시설물들을 설치하거나 관리하여주는 작업자가 출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 맨홀은 그 입구가 위치하는 지상의 노면에 뚜껑을 설치하여서 외부와 차폐시키는 구조로 설치된다. 하지만 지상의 노면에 뚜껑만 설치하여서는 지상으로부터 기인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는 있었으나, 공동구 내부로 외부인이 무단침입하거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공동구로 통하는 맨홀을 설치함에 있어서 그 통로를 차단하는 별도의 보안문을 설치하여서 공동구 내부로 외부인의 무단침입을 통제하는 동시에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있다.
즉, 종래 맨홀에는 맨홀의 최하부와 공동구의 천장슬라브가 접하여서 형성되는 개구면의 외주연부에 1쌍의 안내레일을 평행하게 설치하고, 이 안내레일에 철망체를 끼워 놓아서 천장슬라브의 개구면을 가로막도록 한 구조의 보안문이 설치되어 있어 있다.
이와 같은 보안문은 평상시에는 철망체를 개구면의 하부에 위치시킨 다음 별도의 키로서 그 선단부를 천장슬라브에 구속하여 개구면을 폐쇄함으로서 외부인의 무단침입을 차단하고 이물질이 낙하될 경우 철망체에 걸려서 정지되도록 하며, 작업자가 출입할 때에는 철망체를 구속하고 있는 키를 해지한 다음 철망체를 안내레일에 안내시켜 후단부측으로 밀어내어 개구면을 개방함으로써, 목적하는 바의 역활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공동구의 보안문은 개구면을 가로막는 부재가 철망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면에 위치하는 맨홀의 뚜껑을 통하여 유입되는 빗물, 지중에 위치하는 맨홀의 벽면을 뚫고 침투하는 지하수 또는 맨홀의 벽면에 자연적으로 생기는 결로수 등의 침투수가 철망체를 그대로 통과하고 그 침투수의 일부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공동구의 천장면 전체로 번져서 공동구의 내부로 낙하되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함으로써,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시설물들이 수분에 의해 고장나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였으며, 바닥으로 떨어진 물이 작업자들의 통행을 방해하여 낙상등의 안전사고 위험성이 상존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허 제0296756호가 있다.
종래 기술은 공동구의 입구측에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물받이 플레이트가 맨홀 뚜껑을 통해 유입되는 낙수를 집수하여 집수정으로 유도하는 이점이 있으나, 관리자가 맨홀에 들어가서 물받이 플레이트를 이동시킨 후 공동구에 출입하여야 하는데, 맨홀의 내부공간이 좁아 물받이 플레이트를 이동하는 작업이 어렵고 불편하며, 또한, 맨홀뚜껑을 열고 닫는 작업과 물받이 플레이트를 이동하는 작업을 개별 동작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물받이 플레이트의 이동을 위한 구성을 필요로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또한, 물받이 플레이트에는 낙수뿐만 아니라 흙 등의 이물질도 함께 모이게 되며, 경시적으로 물받이 플레이트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어 유도배수 계통의 막힘과 물받이 플레이트의 처짐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맨홀 뚜껑을 통해 유입되어 낙하하는 낙수가 공동구에 집수되지 않도록 처리하고, 맨홀을 통해 공동구에 출입할 때 맨홀 뚜껑을 열고 닫는 작업만으로 낙수의 집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빗물 등과 함께 공동구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모아 수시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는, 지중에 매설되는 공동구의 상부에 형성된 맨홀을 개폐하는 맨홀 뚜껑의 저부에 결합되는 낙수받이 하우징과; 상기 낙수받이 하우징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맨홀 뚜껑의 배수홀을 통해 떨어지는 낙수를 집수 및 유도 배수하는 낙수받이와; 상기 맨홀과 공동구의 외부에 수직으로 배열되면서 상단부의 유입관이 상기 낙수받이와 대응되어 상기 낙수받이에 의해 집수된 낙수를 유도 배수하는 유도배수관과; 내부에 저장부가 형성되면서 일측 상부에는 상기 유도배수관의 배출단이 연결되며 타측 상부에는 낙수처리홀이 구비된 집수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낙수받이 하우징은, 상기 맨홀 뚜껑의 배수홀과 연통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낙수받이가 일측에서 수납 및 인출되도록 일측을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배수홀을 통해 유입되는 낙수가 상기 낙수받이에 집수되도록 하는 낙수받이 수납부, 상기 낙수받이 수납부의 일측에 월류부를 사이에 두고 수직으로 배열되면서 저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어 상기 유도배수관의 유입관에 삽입되는 배수관 및 상기 낙수받이 수납부와 배수관 사이의 월류부에 설치되는 여과망을 포함하고, 상기 낙수받이는, 상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며 상기 낙수받이 하우징의 배수관측에서부터 바닥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수집홈이 구비된 통 구조이며 상기 배수홀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바닥에서부터 저장하면서 낙수를 상기 월류부를 통해 배수관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도배수관은 유입관의 상단부에 단면적이 커지는 확경부가 구비되어 상기 낙수받이 하우징의 배수관이 내부로 유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집수박스는 상기 낙수처리홀의 앞에 상기 유도배수관의 배출단측과 연결 형성되며 상기 낙수처리홀보다 높은 곳에 유입부를 형성하여 낙수를 상기 낙수처리홀로 유도하는 배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에 의하면, 공동구를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공동구에 들어가게 되며, 맨홀 뚜껑을 여는 작업에 의해 낙수받이가 맨홀 뚜껑과 함께 맨홀에서 분리되어 낙수받이를 개폐하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유지보수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그리고, 맨홀 뚜껑을 통해 유입되는 낙수가 낙수받이와 유도배수관을 통해 집수박스에 일시 저장 및 일정량씩 배수 처리되어 공동구 내부를 낙수에 의해 오염시키지 않으며, 따라서, 낙수에 의한 작업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낙수받이에 낙수와 함께 이물질이 포집되며, 낙수받이를 맨홀 뚜껑에서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한 공동구의 오염을 막을 수 있고, 공동구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에 적용된 낙수받이의 사시도.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는, 맨홀 뚜껑(1)을 통해 유입되는 낙수가 맨홀(2)을 경유하여 공동구(3)에 집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공동구(3)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맨홀 뚜껑(1)을 열 때 맨홀 뚜껑(1)과 함께 동작하면서 맨홀 뚜껑(1)의 배수홀(1a)을 통해 유입되는 낙수와 이물질을 일시 저장 및 낙수를 유도 배수하는 낙수받이(10), 맨홀 뚜껑(1)의 저부에 배치되면서 다수의 볼트를 통해 맨홀 뚜껑(1)에 고정되며 낙수받이(10)를 맨홀 뚜껑(1)에 지지하기 위한 낙수받이 하우징(20), 낙수받이(10)에 유입된 낙수를 유도 배수하는 유도배수관(30), 유도배수관(30)에 의해 배수되는 낙수를 저장 및 지중으로 배수하는 집수박스(40)로 구성된다.
먼저 낙수받이 하우징(20)은 낙수받이(10)가 수납되는 낙수받이 수납부(21), 낙수받이(10)에 집수된 낙수가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관(22) 및 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망(23)으로 구성된다.
낙수받이 수납부(21)는 맨홀 뚜껑(1)의 배수홀(1a)과 연통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낙수받이(10)가 일측에서 수납 및 인출되도록 일측을 향해 개방되어 배수홀(1a)을 통해 유입되는 낙수가 낙수받이(10)에 집수되도록 한다. 낙수받이 수납부(21)는 낙수받이(10)의 외형과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배수관(22)은 낙수받이 수납부(21)의 일측에 월류부(여과망(23)이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낙수받이(20)에 유입된 낙수가 배수관(22)에 유입되도록 하는 부분)를 사이에 두고 수직으로 형성되며 낙수가 상기 월류부를 통해서만 유입되도록 상부를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부의 배출단은 유도배수관(30)의 유입관에 낙수의 배수가 가능하도록 대응된다.
여과망(23)은 낙수받이 수납부(21)와 배수관(22)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낙수받이(10)에서 배수되는 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여 이물질이 낙수받이(10)에 남도록 한다.
낙수받이(10)는, 상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며 낙수받이 하우징(20)의 낙수받이 수납부(21)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통 구조로서, 낙수를 상기 월류부를 통해 배수관(22)으로 유도 배수하며 이물질을 저장한다. 여기서, 이물질의 포집을 유도하기 위하여 낙수받이(10)의 일측(배수관(22)측)에서부터 바닥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11)가 형성되면서 경사부(11)의 저부에는 수집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낙수받이(10)에 유입된 이물질은 경사부(11)를 타고 수집홈(12)으로 유도된다.
유도배수관(30)은 낙수받이(10)에 저장된 낙수를 집수박스(40)로 유도 배수하는 것이며, 맨홀(2)과 공동구(3)의 외벽에 클램프(31)를 통해 고정되며 상측의 유입관(32)은 맨홀(2)을 관통하여 낙수받이 하우징(20)의 배수관(22)의 저부에 배치(배수관(22)이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하측의 배출단은 집수박스(40)의 내부와 연통 연결된다.
유입관(32)은 맨홀 뚜껑(1)을 설치할 때 배수관(22)이 자연스럽게 삽입되도록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커지는 확경부(33)가 구비된다.
집수박스(40)는 내부에 저장부가 형성되면서 일측 상부에는 유도배수관(30)의 배출단이 연결되며 타측에는 낙수처리홀(41)이 구비된다.
집수박스(40)는 낙수의 저장량에 따라 낙수처리홀(41)을 개방하는 도어(42)가 구비된다.
도어(42)는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며 바람직하게 공기의 충진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마개가 구비된 통 구조이고, 집수박스(40) 내벽면의 낙수처리홀(4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레일(43)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낙수가 없을 때에는 자중에 의해 낙수처리홀(41)을 폐쇄하고 낙수가 채워지면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낙수처리홀(41)을 폐쇄한다.
또한, 집수박스(40)의 저장량을 증가하기 위하여 배플(44)이 형성될 수 있다. 배플(44)은 낙수처리홀(41)의 앞쪽에 공간을 형성하되, 상단부와 집수박스(40)의 천정부 사이 즉 낙수처리홀(41)보다 높은 위치에 유입부를 형성하며, 유도배수관(30)을 통해 집수탱크(40)에 집수된 낙수가 천정부의 상기 유입부를 통해서만 낙수처리홀(41)로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저장량을 증가한다.
집수박스(40)는 저장용량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공동구(3)를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르게는 공동구(3)를 따라 다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맨홀 뚜껑(1)의 배수홀(1a)을 통해서는 낙수(빗물 등)가 유입되며, 낙수는 낙수받이(10)에 모이게 된다. 이때, 낙수에는 흙 등의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낙수는 여과망(23)을 통해 배수관(22)로 이동되어 유도배수관(30)을 통해 집수박스(40)에 저장된다. 한편, 낙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여과망(23)을 통과하지 못하여 수집홈(12)에 쌓이게 된다. 관리자는 주기적으로 맨홀 뚜껑(1)을 열고 낙수받이(10)를 낙수받이 하우징(20)에서 분리하여 수집홈(12)에 모인 이물질을 버린다.
낙수는 유도배수관(30)을 통해 집수박스(40)에 유입되어 저장되며, 낙수의 수위가 배플(44) 상부의 유입부와 일치되면 이때부터 낙수가 배플(44) 안쪽으로 월류하게 되고, 배플(44) 안쪽에 일정량의 낙수가 저장되면 도어(42)가 부력에 의해 서서히 상승하여 낙수처리홀(41)이 개방됨으로써 낙수가 집수박스(40) 외부로 배수 처리된다.
낙수의 배수로 인하여 배플(44) 안쪽에 낙수가 없어지면 도어(42)가 하강하여 낙수처리홀(41)을 폐쇄하여 집수박스(40)에 낙수가 저장된다.
공동구(3)의 유지 보수가 완료되면 맨홀 뚜껑(1)을 맨홀(2)의 개구부에 결합하여 맨홀(2)을 폐쇄하며, 낙수받이(10)는 맨홀 뚜껑(1)과 일체형이므로 별도의 작업없이 맨홀 뚜껑(1)을 닫을 때 자연히 설치되고, 배수관(22)은 유도배수관(30)의 확경부(33)를 통해 유도배수관(30)의 유입관(32) 내부에 삽입된다.
1 : 맨홀 뚜껑, 2 : 맨홀
3 : 공동구, 10 : 낙수받이
20 : 낙수받이 하우징, 21 : 낙수받이 수납부
22 : 배수관, 23 : 여과망
30 : 유도배수관, 40 : 집수박스

Claims (2)

  1. 지중에 매설되는 공동구(3)의 상부에 형성되어 맨홀(2)을 개폐하는 맨홀 뚜껑(1)의 저부에 다수의 볼트로 결합되는 낙수받이 하우징(20)과;
    상기 낙수받이 하우징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맨홀 뚜껑의 배수홀(1a)을 통해 떨어지는 낙수를 집수 및 유도 배수하는 낙수받이(10)와;
    상기 맨홀과 공동구의 외부에 수직으로 배열되면서 상단부의 유입관(32)이 상기 낙수받이와 대응되어 상기 낙수받이에 의해 집수된 낙수를 유도 배수하는 유도배수관(30)과;
    내부에 저장부가 형성되면서 일측 상부에는 상기 유도배수관의 배출단이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 상부에는 낙수처리홀(41)이 구비된 집수박스(40)를 포함하며,
    상기 낙수받이 하우징은, 상기 맨홀 뚜껑의 배수홀과 연통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낙수받이가 일측에서 수납 및 인출되도록 일측을 향해 개방되어 상기 배수홀을 통해 유입되는 낙수가 상기 낙수받이에 집수되도록 하는 낙수받이 수납부(21), 상기 낙수받이 수납부의 일측에 월류부를 사이에 두고 수직으로 배열되면서 저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어 상기 유도배수관의 유입관에 삽입되는 배수관(22) 및 상기 낙수받이 수납부와 배수관 사이의 월류부에 설치되는 여과망(23)을 포함하고,
    상기 낙수받이는, 상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며 상기 낙수받이 하우징의 배수관측에서부터 바닥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11) 및 상기 경사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수집홈(12)이 구비된 통 구조이며 상기 배수홀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바닥에서부터 저장하면서 낙수를 상기 월류부를 통해 배수관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도배수관은 유입관의 상단부에 단면적이 커지는 확경부(33)가 구비되어 상기 낙수받이 하우징의 배수관이 내부로 유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집수박스는, 상기 낙수처리홀의 앞에 형성되며 상기 유도배수관의 배출단측과 낙수처리홀을 연결하는 유입부를 갖는 배플(44)을 포함하되, 상기 배플의 유입부는 상기 낙수처리홀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유도배수관의 배출단을 통해 상기 집수박스에 저장된 낙수를 상기 낙수처리홀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수박스의 상기 낙수처리홀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43), 내부에 공기가 채워져 있으며 상기 공기의 부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낙수처리홀을 개폐하는 도어(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KR1020110036417A 2011-04-19 2011-04-19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KR101069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417A KR101069826B1 (ko) 2011-04-19 2011-04-19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417A KR101069826B1 (ko) 2011-04-19 2011-04-19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9826B1 true KR101069826B1 (ko) 2011-10-04

Family

ID=45032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417A KR101069826B1 (ko) 2011-04-19 2011-04-19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8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208B1 (ko) * 2019-04-01 2020-01-09 주재남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756B1 (ko) 1999-03-19 2001-07-12 이 수 근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KR200318246Y1 (ko) 2003-03-28 2003-06-27 재림건설 주식회사 걸름망을 갖춘 배수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756B1 (ko) 1999-03-19 2001-07-12 이 수 근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KR200318246Y1 (ko) 2003-03-28 2003-06-27 재림건설 주식회사 걸름망을 갖춘 배수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208B1 (ko) * 2019-04-01 2020-01-09 주재남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885B1 (ko) 초기 우수를 배제한 우수 포집장치
KR102067348B1 (ko) 빗물역류와 악취방지 및 협잡물 분리 저장기능을 갖는 점배수식 집수정
US6733665B1 (en) Storm drain system for preventing and filtering debris, trash and hydrocarbons with removable inserts
KR20170010040A (ko) 친환경 여과 집수조 및 그것을 이용한 우수 재순환 시스템
KR101744218B1 (ko) 공동주택의 소방수 급배수 장치
KR101069826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KR101626502B1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KR101878321B1 (ko) 건축물 지하 주차장 배수 시설
KR101531692B1 (ko) 교량 배수시설용 오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4009467A1 (en) Shut-off device and drain shaft assembly
KR101331596B1 (ko) 초기 강우 정화 침투 수로관
CN111042297B (zh) 一种用于收集污水、雨水的一体化智能弃流井
KR101535668B1 (ko) 모래받이 일체형 배수파이프 및 이 시공 방법
KR100784262B1 (ko) 대형 빗물 저장탱크
KR101865202B1 (ko) 우수 배수시설의 전처리장치
KR100296756B1 (ko)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KR200468245Y1 (ko) 빗물받이 하수구의 간이맨홀
KR102093866B1 (ko) 모래 역류방지형 모래받이 일체 배수 파이프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154026B1 (ko)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KR100989415B1 (ko) 우수 저류시설의 비점오염원 여과장치
KR20080023711A (ko) 오물 자동 분리식 맨홀장치
KR102158955B1 (ko) 오물차단막이 구비된 집수장치
KR200497638Y1 (ko) 소형동물 탈출장치가 구비된 사각 집수정
KR102439694B1 (ko) 채수방지용 집수구
KR100883620B1 (ko) 비점오염저감 우수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