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756B1 -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756B1
KR100296756B1 KR1019990009388A KR19990009388A KR100296756B1 KR 100296756 B1 KR100296756 B1 KR 100296756B1 KR 1019990009388 A KR1019990009388 A KR 1019990009388A KR 19990009388 A KR19990009388 A KR 19990009388A KR 100296756 B1 KR100296756 B1 KR 100296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manhole
falling
water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0775A (ko
Inventor
이수근
오병국
Original Assignee
이 수 근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오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수 근,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오병국 filed Critical 이 수 근
Priority to KR1019990009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756B1/ko
Publication of KR20000060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7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81Security devices, e.g.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발명은 각종 지하 매설물을 수용하여 주는 지하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맨홀을 통한 유입수가 공동구내로 낙하되지 않고 곧바로 집수정으로 내려가도록 유도하여 주기 위하여, 지상과 통하는 맨홀(1)이 접하여서 공동구(2)의 천장슬라브(3)에 형성되는 개구면(4)의 외주연부에 평행하게 고정되는 1쌍의 안내레일(10)과, 상기 안내레일(10)을 타고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개구면(4)을 개폐시켜 주는 물받이플레이트(20)와, 상기 물받이플레이트(20)의 배수구멍(22)에 그 상단부가 연결되고 그 하부는 공동구(2)의 기저부에 설치된 집수정(7)으로 연결되는 이송관(30)으로 그 기술을 구성하여서, 맨홀(1)을 통하여 지하 공동구(2)의 내부로 낙하되는 물이 상기 물받이플레이트(20)에 집수된 후에 이송관(30)을 경유하여 집수정(7)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공동구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설비·전신선로등의 각종 시설물이 낙수로 인한 피해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A Falling-Water Treatment Device of Common Duct}
본발명은 각종 지하 매설물을 수용하여 주는 지하 공동구에서 지상과 통하도록 설치된 맨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맨홀을 통한 유입수가 공동구내로 낙하되지 않고 곧바로 집수정으로 내려가도록 유도함으로써, 공동구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설비·전신선로등의 각종 시설물을 낙수로 인한 피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 설치되는 공동구는 도로의 노면굴착을 수반하는 지하 매설물(전기·가스·수도의 공급시설물 및 전신선로 등)을 공동수용함으로써 도시의 미관, 도로구조의 보전과 교통의 원활한 유통을 배려한 시설물이다.
이러한 공동구에는 기점, 회점, 교차점, 분기점, 물매점 등의 필요위치마다 지상으로부터 관통하는 맨홀이 설치되어서 그 내부의 시설물들을 설치하거나 관리하여주는 작업자가 출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 맨홀은 그 입구가 위치하는 지상의 노면에 뚜껑을 설치하여서 외부와 차폐시키는 구조로 설치된다. 하지만 지상의 노면에 뚜껑만 설치하여서는 지상으로부터 기인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는 있었으나, 공동구 내부로 외부인이 무단침입하거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공동구로 통하는 맨홀을 설치함에 있어서 그 통로를 차단하는 별도의 보안문을 설치하여서 공동구 내부로 외부인의 무단침입을 통제하는 동시에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있다.
즉, 종래 맨홀에는 도1a, 도1b, 도1c의 도시와 같이 맨홀(1)의 최하부와 공동구(2)의 천장슬라브(3)가 접하여서 형성되는 개구면(4)의 외주연부에 1쌍의 안내레일(5)을 평행하게 설치하고, 이 안내레일(5)에 철망체(6)를 끼워 놓아서 천장슬라브의 개구면(4)을 가로막도록 한 구조의 보안문이 설치되어 있어 있다.
이와 같은 보안문은 평상시에는 철망체(6)를 개구면(4)의 하부에 위치시킨 다음 별도의 키(K)로서 그 선단부를 천장슬라브(3)에 구속하여 개구면(4)을 폐쇄함으로서 외부인의 무단침입을 차단하고 이물질이 낙하될 경우 철망체(6)에 걸려서 정지되도록 하며, 작업자가 출입할 때에는 철망체(6)를 구속하고 있는 키(K)를 해지한다음 철망체(6)를 안내레일(5)에 안내시켜 후단부측으로 밀어내어 개구면(4)을 개방함으로써, 목적하는 바의 역활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공동구의 보안문은 개구면을 가로막는 부재가 철망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면에 위치하는 맨홀의 뚜껑을 통하여 유입되는 빗물, 지중에 위치하는 맨홀의 벽면을 뚫고 침투하는 지하수 또는 맨홀의 벽면에 자연적으로 생기는 결로수등의 침투수가 철망체를 그대로 통과하고 그 침투수의 일부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공동구의 천장면 전체로 번져서 공동구의 내부로 낙하되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함으로써, 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시설물들이 수분에 의해 고장나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였으며, 바닥으로 떨어진 물이 작업자들의 통행을 방해하여 낙상등의 안전사고 위험성이 상존하였다.
그리고, 종래의 보안문은 레일과 철망체가 면접촉하여 얹혀지는 형태로 결합되었기 때문에, 개구면을 개폐시기기 위하여 철망체를 여닫을 때 레일과 철망체의 접지면에서의 마찰력으로 인해 원활한 미끄럼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하기에 불편하였다.
또, 종래 보안문에는 공동구에서 맨홀을 오르내릴 때 사용되는 사다리를 걸치기 위한 시설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다리를 세우기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다리 이용시 출입자의 안전사고 위험성이 상존하였다.
한편으로, 종래의 공동구에서는 도1a의 도시와 같이 그 기저부에 설치된 집수정(7)에 고인 물을 하수구로 배출시키기 위한 양수관(8)이 여러 군데에서 절곡되는 구조로서 설치되기 때문에, 양수기(P)의 구동시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어 양수기가 고장나게 되는 원인이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발명은 공동구 천장슬라브의 개구면에 설치되는 보안문을 적절히 이용하여서 상기한 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발명의 주요목적은 맨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공동구내로 낙하되지 않고 공동구의 기저에 설치된 집수정측으로 곧바로 내려가도록 유도함으로써, 공동구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설비·전신선로등의 각종 시설물을 낙수로 인한 피해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동구의 내부로 출입하기 위한 보안문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공동구에서 맨홀을 오르내릴 때 사용되는 사다리가 안전하게 걸쳐지지도록 함으로써, 공동구의 출입이 편리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집수정에 고인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양수관의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양수설비의 고장을 방지하여 주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a는 종래 맨홀이 관통되는 지하 공동구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1b는 종래 도1a의 공동구에 설치된 보안문의 평면구조도
도1c는 종래기술에 따른 도1a의 A-A선 단면도
도2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하 공동구에 설치되는 낙수처리장치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3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2의 B-B선 단면도
도4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수처리장치에서의 보안문구조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5a 및 도5b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낙수처리장치에서 공동구 개구면의 개폐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맨홀 2:공동구 3:천장슬라브
4:개구면 7:집수정 10:안내레일
11:후단부 12:요홈 13:선단부
14:가로막이대 20:물받이플레이트 21:바닥판
22:배수구멍 23:좌우측벽 24:로울러
30:이송관 31:트랩부 40:물끊기부
50:브래킷 51:사다리걸이대 60:양수관
P:양수기 K: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는 지상과 통하는 맨홀이 접하여서 공동구의 천장슬라브에 형성되는 개구면의 외주연부에 평행하게 고정되는 1쌍의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을 타고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면을 개폐시켜 주는 물받이플레이트와, 상기 물받이플레이트의 배수구멍에 그 상단부가 연결되고 그 하부는 공동구의 기저부에 설치된 집수정으로 연결되는 이송관으로 구성됨을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발명은 맨홀을 통하여 지하 공동구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물받이플레이트로 집수한 후에 이송관을 경유시켜 집수정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발명에 의하면 맨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이 공동구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설비·전신선로등의 각종 시설물들 위로 낙하지지 않고 곧바로 집수정측으로 흘러내려가기 때문에, 공동구내의 각종시설물들이 낙수로 인한 피해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하,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의 기술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2 내지 도5b에 도시되는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는 지상과 통하는 맨홀(1)이 접하여서 공동구(2)의 천장슬라브(3)에 형성되는 개구면(4)의 외주연부에 평행하게 걸치면서 그 후단부(11)가 일정부분 더 연장되어 천장슬라브(3)에 고정되는 1쌍의 안내레일(10)과; 상기 개구면(4)을 가로막는 크기를 갖고 그 바닥판(21)의 일측변부에 배수구멍(22)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레일(10)을 타고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개구면(4)을 개폐시켜 주는 물받이플레이트(20)와; 상기 물받이플레이트(20)의 배수구멍(22)에 그 상단부가 연결되고 그 하부는 공동구(2)의 기저부에 설치된 집수정(7)으로 연결되는 이송관(30)으로 구성되어서 본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을 구현한다.
본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면(4)의 외주연부에는 도2 및 도3의 도시와 같이, 천장슬라브(3)로부터 일정부분 하향돌출되는 물끊기부(40)가 설치된다. 물끊기부(40)는 고무재질의 패킹재가 사용되며, 고정못을 이용하여 천장슬라브에 고정된다.
이 물끊기부(40)는 맨홀(1)의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낙수가 모세관현상에 의해 공동구의 천장슬라브(3)면 전체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여서 물받이플레이트(20)상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1쌍의 안내레일(10)은 물받이플레이트(20)를 지지시키면서 전후이동을 안내하여 주는 구조부이다.
이 1쌍의 안내레일(10)은 도3 및 도4의 도시와 같이, 채널형의 단면을 가지면서 그 요홈(12)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서 그 요홈(12)들에 상기 물받이플레이트(20)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때 안내레일(10)들의 선,후단부(13)(11)에는 그 요홈(12)들에 끼워져서 좌우로 횡단하는 가로막이대(14)가 고정되어서, 물받이플레이트(20)가 전후로 이동할때 안내레일(1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 안내레일(10)들은 그들의 선,후단부(13)(11)에서 결착되어 각기 상부로 세워지는 앵글형 브래킷(50)들을 통하여 상기 공동구의 천장슬라브(3)에 고정되며, 선단부(13)에 위치하는 브래킷(50)들의 하부에는 채널형의 사다리걸이대(51)가 형성되어서, 작업자가 맨홀에 오르내릴 때 사다리의 상단부를 걸어 지지시켜서 사용하도록 된다.
상기 물받이플레이트(20)는 외부인의 출입과 쓰레기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맨홀(1)로 부터 유입되는 물을 집수하여서 이송관(30)으로 흘러가도록 유도하여 주는 구조부이다.
이 물받이플레이트(20)는 도3 및 도4의 도시와 같이, 공동구의 천장슬라브(3)에 형성된 개구면(4)을 충분히 가로막는 크기의 서랍형태로서 이루어지며, 그 바닥판(21)의 그 일측변부에는 상기 이송관(30)이 접속되는 배수구멍(22)이 형성된다.
그리고 물받이플레이트(20)의 좌우측벽(23)에는 상기 안내레일(10)들의 요홈(12)들에 끼워지는 로울러(24)들이 일정위치마다 장착되어서, 물받이플레이트(20)가 안내레일(10)상에서 구름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물받이플레이트(20)의 전후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물받이플레이트(20)는 평상시에는 도5a의 도시와 같이, 개구면(4)의 하부에 위치시켜 별도의 키(K)로서 그 선단부를 상기 브래킷(50)에 구속하여 놓아 천장슬라브(3)의 개구면(4)을 폐쇄함으로써, 외부인의 무단침입을 차단하고 낙하되는 쓰레기등의 이물질을 받아주는 동시에, 맨홀을 통한 낙수를 집수하여 바닥판(21)의 배수구멍(22)에 연결된 이송관(30)으로 흘러나가도록 사용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출입할 때에는 도5b의 도시와 같이, 물받이플레이트(20)를 구속하고 있는 키(K)를 해지한 다음, 물받이플레이트(20)를 안내레일(10)에 안내시켜 후단부측으로 밀어내어 개구면(4)을 개방하여서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사용된다.
상기 이송관(30)은 상기 물받이플레이트(20)에 집수되는 물이 집수정(7)측으로 흘러내려가도록 안내하여주는 구조부이다.
이 이송관(30)은 도2의 도시와 같이, 상기 물받이플레이트(20)의 배수구멍(22)에 그 상단부가 연결되고 그 하부는 공동구(2)의 기저부에 설치된 집수정(7)으로 연결된다.
이송관(30)은 구부러짐이 자유로운 주름관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상부에 사이펀식 트랩부(31)를 형성하여서, 이물질이 집수정(7)측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집수정(7)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이송관(30)을 타고 공동구내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이송관(30)은 상기 물받이플레이트(20)에 고정되는 형식으로 접속될 수도 있으나, 배수구멍(22)의 하부에 그 상단부를 위치고정시키기만 하여서, 상기 물받이플레이트(20)가 개구면(4)을 폐쇄할 때에는 도5a의 도시와 같이 배수구멍(22)과 정확히 일치되는 위치에 서있도록 하고, 개구면(4)을 개방하고자 물받이플레이트(20)를 이동시킬 때에는 도5b의 도시와 같이 물받이 플레이트와 격리되도록 함으로써, 물받이플레이트가 이동하는데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하공동구의 집수정에는 집수되는 물을 하수구로 배출시키기 위한 양수설비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본발명에 따른 지하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는 맨홀을 통한 유입수를 집수정으로 배출시키므로, 배출수를 효율적으로 양수하여 하수관으로 배출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양수설비의 구성에서 양수관의 배치구조는 양수기에 걸리는 부하가 관계되므로 중요한 부분이다.
이에 따라 본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2의 도시와 같이 양수관(60)의 하단부를 집수정(7)에 접속하여서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시켜 천장슬라브(3)를 관통시킨 후, 이를 만곡지게 휜 다음, 다시 수평하게 연장시켜서 그 상단부를 지중에 위치하는 하수구(미도시)에 접속하여서 되는 양수관(60)을 설치한다.
본발명에 따라 이와같이 설치되는 양수관(60)은 종래 양수관이 여러군데에서 직각절곡되는 것과는 달리, 직각절곡되는 부분을 대부분 생략하고 천장슬라브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중에서 큰 곡률을 가지고 휘어지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집수정(7)에 고인물을 하수구로 배출시킬 때 구동하는 양수기(P)에서 부하가 작게 걸리므로, 양수기의 고장률이 현저히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발명의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에 의하면, 첫째, 공동구 천장슬라브의 개구면에 설치되는 보안문을 적절히 개선하여서 맨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공동구내로 낙하되지 않고 공동구의 기저에 설치된 집수정측으로 곧바로 내려감으로써 공동구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설비·전신선로등의 각종 시설물이 낙수로 인한 피해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둘째 공동구의 내부로 출입하기 위한 보안문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며, 셋째 공동구에서 맨홀을 오르내릴 때 사용되는 사다리가 안전하게 걸쳐짐으로써 안전사고의 예방은 물론 공동구의 출입이 용이하게 되며, 넷째 집수정에 고인 물을 배출시켜 주기 위한 양수관의 구조가 단순화됨으로써 양수설비의 고장을 방지하여 주는 등 여러효과를 가지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지상과 통하는 맨홀(1)이 접하여서 공동구(2)의 천장슬라브(3)에 형성되는 개구면(4)의 외주연부에 평행하게 걸치면서 그 후단부(11)가 일정부분 더 연장되어 천장슬라브(3)에 고정되는 1쌍의 안내레일(10)과;
    상기 개구면(4)을 가로막는 크기를 갖고 그 바닥판(21)의 일측변부에 배수구멍(22)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레일(10)을 타고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개구면(4)을 개폐시켜 주는 물받이플레이트(20)와;
    상기 물받이플레이트(20)의 배수구멍(22)에 그 상단부가 연결되고 그 하부는 공동구(2)의 기저부에 설치된 집수정(7)으로 연결되는 이송관(30)으로 구성하여서;
    맨홀(1)을 통하여 지하 공동구(2)의 내부로 낙하되는 물이 상기 물받이플레이트(20)에 집수된 후에 이송관(30)을 경유하여 집수정(7)으로 배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면(4)의 외주연부에는 천장슬라브(3)로부터 일정부분 하향돌출되는 물끊기부(40)를 설치하여서, 상기 맨홀(1)의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낙수가 공동구의 천장슬라브(3)면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여서 상기 물받이플레이트(20)상으로 낙하되도록 유도하여 줌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안내레일(10)은 그 안내레일(10)들의 선,후단부(13)(11)에서 결착되어 각기 상부로 세워지는 앵글형 브래킷(50)들을 통하여 상기 공동구의 천장슬라브(3)에 고정되며, 그 안내레일들의 선단부(13)에 위치하는 브래킷(50)들의 하부에는 채널형의 사다리걸이대(51)가 형성되어서, 작업자가 맨홀에 오르내릴 때 사다리의 상단부를 걸어 지지시켜서 사용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안내레일(10)은 채널형의 단면을 가지고 그 요홈(12)들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상기 물받이플레이트(20)에는 로울러(24)들이 장착되어서, 요홈(12)들에 로울러(24)들이 끼워지는 형식으로 결합되어서, 물받이플레이트(20)가 안내레일(10)상에서 구름이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공동구의 낙하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30)은 구부러짐이 자유로운 주름관이 사용되며, 그 상부에 사이펀식 트랩부(31)를 형성하여서, 이물질이 집수정(7)측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고 집수정(7)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차폐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7)에는 그 관체의 하단부를 접속하여서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시켜 상기 천장슬라브(3)를 관통시킨 후, 만곡지게 휜 다음 수평하게 연장시켜서 지중에 위치하는 하수구에 그 상단부를 접속하여서 된 양수관(60)을 설치하여서, 집수정(7)에 고인물을 하수구로 배출시키기 위한 양수기(P)의 구동시 양수관(60)에서 구부러진 부분의 작용으로 인한 부하가 작게 걸리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KR1019990009388A 1999-03-19 1999-03-19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KR100296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388A KR100296756B1 (ko) 1999-03-19 1999-03-19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388A KR100296756B1 (ko) 1999-03-19 1999-03-19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775A KR20000060775A (ko) 2000-10-16
KR100296756B1 true KR100296756B1 (ko) 2001-07-12

Family

ID=19577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388A KR100296756B1 (ko) 1999-03-19 1999-03-19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67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826B1 (ko) 2011-04-19 2011-10-04 주식회사 헤럴드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KR200470198Y1 (ko) 2012-10-15 2013-12-02 고길규 환기장치 및 침수방지 기능을 갖는 맨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1904A (zh) * 2016-04-07 2016-08-03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地下综合管廊投料口结构及施工方法
KR102266728B1 (ko) * 2019-05-30 2021-06-18 (주)한주엔지니어링 장비반입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철제변실
KR102572830B1 (ko) * 2023-01-31 2023-08-30 주식회사 승원 방수 및 습기 제거가 가능한 상하수도용 밸브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826B1 (ko) 2011-04-19 2011-10-04 주식회사 헤럴드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KR200470198Y1 (ko) 2012-10-15 2013-12-02 고길규 환기장치 및 침수방지 기능을 갖는 맨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775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4585B2 (en) Large area catch basin filter
US6733665B1 (en) Storm drain system for preventing and filtering debris, trash and hydrocarbons with removable inserts
EP3485114B1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KR101085466B1 (ko) 건축구조물 발코니에 설치되는 조립식 배수시설
KR100296756B1 (ko)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KR101543235B1 (ko) 하수구용 배수장치
KR101046807B1 (ko) 지하 출입구 차수장치
KR20110054421A (ko) 하수 집수정 슬러지 처리시설
US5312295A (en) Subterranean transformer enclosure vent
US10435907B2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KR101069826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WO2022035006A1 (ko) 배수로용 쓰레기수집구
US20170343237A1 (en) Flood protection for underground air vents
KR20220099389A (ko) 도로 침수 방지용 배수시스템
KR102526838B1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DE19844354B4 (de) Abwasser- und Fäkalien-Annahmeschacht für Abwasser sowie Fäkalien
KR102256569B1 (ko) 도로용 빗물 배수구의 자동개폐 장치
EP3147421A1 (en) Trap device for downspout
CN213867923U (zh) 一种带有火灾监控报警功能的管廊
KR200497638Y1 (ko) 소형동물 탈출장치가 구비된 사각 집수정
KR100877703B1 (ko) 하수 역류 방지구
EP1375783A2 (en) Mechanical underground car parks under streets and pedestrian areas
KR102350582B1 (ko)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
CN108999261A (zh) 一种市政景观水循环系统
KR101530912B1 (ko) 차수판 기능을 겸한 공기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