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582B1 -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 - Google Patents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582B1
KR102350582B1 KR1020210041775A KR20210041775A KR102350582B1 KR 102350582 B1 KR102350582 B1 KR 102350582B1 KR 1020210041775 A KR1020210041775 A KR 1020210041775A KR 20210041775 A KR20210041775 A KR 20210041775A KR 102350582 B1 KR102350582 B1 KR 102350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rainwater
plate
pipe body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1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걸
Original Assignee
김성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걸 filed Critical 김성걸
Priority to KR1020210041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1Gully gratings hinged to the body of the gul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양측 방호벽 하부에 설치되어 교량의 우수를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으며, 집수관 내부에 모래 등 이물질이 퇴적되는 방지할 수 있고, 집수관 내부의 이물질 청소가 용이한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DRAIN PIPE RAINFALL COLLECTING FOR BRIDGE LINEAR DRAINAGE EQUIPMENT}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양측 방호벽 하부에 설치되어 교량의 우수를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으며, 집수관 내부에 모래 등 이물질이 퇴적되는 방지할 수 있고, 집수관 내부의 이물질 청소가 용이한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우수 등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관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수관의 설치공법에는 점배수와 선배수 공법이 있고, 기존의 점배수 공법은 교량 슬래브를 천공하여 배수구를 설치하므로 열화 및 백태현상이 발생되며, 국지성 집중 호우시 다량의 유해물질 유입으로 집수구의 막힘현상이 발생되고, 배수효율이 적어 비점오염원 다수 설치로 공사비 및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되며, 폐단면으로 육안 관찰 및 청소가 불리하고, 수직 배수관을 다수개 설치함으로써 미관이 불량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집수관과 유지관리가 용이한 측면 배수로를 방호벽 측면에 설치하여 교면 배수효율의 증대와 동시에 미관을 향상시킨 교량 선배수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선배수 공법은 종배수관집수거와 횡배수관을 설치하고, 교량 슬래브를 타설하며, 방호벽을 타설한 후 측면 배수관 및 수직 배수관을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교량 선배수시설의 종배수관집수거는 전면에 설치된 트렌치 유입판의 중간에 유입공이 형성되어 교량 슬래브에 우수가 유입공 높이까지의 일정 수위에 도달하지 않으면 우수 유입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교량 슬래브의 바닥면에 흐르는 우수가 집수관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정체되어 교량을 운행하는 자동차의 교통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트렌치 유입판을 통해 유입된 우수는 일정한 유속으로 집수관 내부 바닥으로 유입되어 슬러지가 퇴적되어 우수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집수관의 상부에 방호벽을 타설하는 경우 집수관의 전면에 결합된 트렌치 유입관의 분리 및 교체가 불가능하여 이물질이 유입되어 집수관 내부에 적층된 슬러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집수관 내부의 청소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172026호(2012. 08. 01) 한국 특허공개 제10-2013-0092842호(2013. 08. 21) 한국 특허등록 제1088163호(2011. 11. 2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의 양측 방호벽 하부에 설치되어 교량의 우수를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으며, 집수관 내부에 모래 등 이물질이 퇴적되는 방지할 수 있고, 집수관 내부의 이물질 청소가 용이한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집수관의 전면에 결합된 트렌치 유입판에 하부가 개방된 다수의 우수 유입공이 형성되어 슬래브의 바닥면에 흐르는 우수가 정체되지 않고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는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수관 본체와 트렌치 유입판에 경첩을 설치하여 수집관 본체에서 트렌치 유입판이 경첩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우수 유입구를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는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집관 본체의 우수 유입공 상부와 하부에 하향과 상향으로 각각 돌출된 지지돌기를 구비하여 트렌치 유입판이 집수관 본체 내부까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직방향을 유지하여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집수관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렌치 유입판이 경첩에 의해 상하로 회전됨으로써 집수관 본체의 내부에 유입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집관 본체의 우수유입구 하부에 우수 유도돌기를 구비하여 트렌치 유입판으로 유입되는 우수가 우수 유입구로부터 떨어진 집수관 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속을 증가시켜 집수관 본체 내부 바닥에 슬러지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렌치 유입판이 경첩에 의해 집수관 본체에 볼트 또는 리벳으로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의 슬래브 양측 방호벽 하부에 방호벽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가 관통된
Figure 112021037753226-pat00001
형상으로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도록 전면에 우수 유입구(110)가 구비된 집수관 본체(100);
상기 집수관 본체(100)의 우수 유입구(110)에 구비되는 유입판 본체(210)가 구비되며, 슬래브의 바닥면으로 유입되는 우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판 본체(210)에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로 연장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의 제 1우수 유입공(220)이 구비되며, 상기 일측 제 1우수 유입공(220)과 타측 제 1우수 유입공(220) 사이에 상하로 연장된 제 2 우수 유입공(230)이 구비되는 트렌치 유입판(200);
상기 트렌치 유입판(200)의 상부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트렌치 유입판(200)이 회동되어 우수 유입구(110)를 개폐하도록 집수관 본체(100)의 전면 우수 유입구(110)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경첩판(310)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경첩판(310)의 하부에 힌지(320)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트렌치 유입판(200)의 상부 전면에 결합되는 하부 경첩판(330)이 구비된 경첩(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집수관 본체(100)의 우수 유입구(110) 상부에는 경첩(300)의 힌지(320)을 중심으로 트렌치 유입판(200)이 우수 유입구(110) 방향으로 회동시 트렌치 유입판(200)이 집수관 본체(100)의 내부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직 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집수관 본체(100)의 우수 유입구(110) 상부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유입판 본체(21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돌기(400)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관 본체(100)의 우수 유입구(110) 하부에는 하향으로 회동시 트렌치 유입판(200)이 집수관 본체(100)의 내부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직 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집수관 본체(100)의 우수 유입구(110) 하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유입판 본체(21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돌기(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돌기(500)의 내측에는 우수 유입구(11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유도하여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집수관 본체(100)의 하부 바닥에 퇴적되어 슬러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집수관 본체(1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원호형으로 경사면(610)이 구비된 우수 유도돌기(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경첩판(330)을 힌지(320)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동시키면 하부 경첩판(330)이 회동된 상태에서 자력에 의해 상부 경첩판(3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부 경첩판(310)과 하부 경첩판(330)의 전면에 구비되는 자석(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교량의 양측 방호벽 하부에 설치되어 교량의 우수를 용이하게 집수할 수 있으며, 집수관 내부에 모래 등 이물질이 퇴적되는 방지할 수 있고, 집수관 내부의 이물질 청소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집수관의 전면에 결합된 트렌치 유입판에 하부가 개방된 다수의 우수 유입공이 형성되어 슬래브의 바닥면에 흐르는 우수가 정체되지 않고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수관 본체와 트렌치 유입판에 경첩을 설치하여 수집관 본체에서 트렌치 유입판이 경첩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우수 유입구를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는 수집관 본체의 우수 유입공 상부와 하부에 하향과 상향으로 각각 돌출된 지지돌기를 구비하여 트렌치 유입판이 집수관 본체 내부까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직방향을 유지하여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집수관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는 트렌치 유입판이 경첩에 의해 상하로 회전됨으로써 집수관 본체의 내부에 유입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수집관 본체의 우수유입구 하부에 우수 유도돌기를 구비하여 트렌치 유입판으로 유입되는 우수가 우수 유입구로부터 떨어진 집수관 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속을 증가시켜 집수관 본체 내부 바닥에 슬러지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렌치 유입판이 경첩에 의해 집수관 본체에 볼트 또는 리벳으로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에서 트렌치 유입판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의 측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에서 트렌치 유입판이 상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에서 트렌치 유입판이 상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의 횡배수관과 종배수관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가 교량에 설치된 상태의 측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810은 교량의 슬래브이고, 820은 슬래브의 양측에 설치되는 방호벽이며, 910은 집수관 본체에 설치되는 횡배수관이고, 920은 횡배수관의 하부에 설치되는 종배수관이다.
본 발명의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슬래브(810) 양측 방호벽(820) 하부에 방호벽(820)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가 관통된
Figure 112021037753226-pat00002
형상으로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도록 전면에 우수 유입구(110)가 구비된 집수관 본체(1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관 본체(100)의 우수 유입구(110)에 구비되는 유입판 본체(210)가 구비되며, 슬래브(810)의 바닥면으로 유입되는 우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판 본체(210)에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로 연장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의 제 1우수 유입공(220)이 구비되며, 상기 일측 제 1우수 유입공(220)과 타측 제 1우수 유입공(220) 사이에 상하로 연장된 제 2 우수 유입공(230)이 구비되는 트렌치 유입판(200)이 구비된다.
즉 상기와 같은 트렌치 유입판(200)의 유입판 본체(21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부가 개방된 제 1우수 유입공(220)이 구비되어 슬래브(810)의 바닥면을 흐르는 우수가 용이하게 집수관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며, 집중 호우와 같은 경우 우수의 수위가 높아질 경우에는 상기 일측 제 1우수 유입공(220)과 타측 제 1우수 유입공(220) 사이에 구비된 제 2우수 유입공(230)을 통해 집수관 본체(100)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트렌치 유입판(200)의 상부에 트렌치 유입판(200)이 회동되어 집수관 본체(100)의 우수 유입구(110)를 개폐하도록 집수관 본체(100)의 전면 우수 유입구(110)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경첩판(310)과 상기 상부 경첩판(310)의 하부에 힌지(320)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트렌치 유입판(200)의 상부 전면에 결합되는 하부 경첩판(330)이 구비된 복수개의 경첩(3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부 경첩판(310)과 하부 경첩판(330)은 집수관 본체(100)와 트렌치 유입판(200)의 유입판 본체(210) 상부에 볼트 또는 리벳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경첩(300)의 상부 경첩판(310)과 하부 경첩판(330)이 집수관 본체(100)와 트렌치 유입판(200)의 유입판 본체(210) 상부에 결합됨으로써 트렌치 유입판(200)의 유입판 본체(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300)의 힌지(320)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동되며 집수관 본체(100)의 우수 유입구(100)를 외부로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집수관 본체(100)의 우수 유입구(110) 상부에는 경첩(300)의 힌지(320)를 중심으로 트렌치 유입판(200)이 우수 유입구(110) 방향으로 회동시 트렌치 유입판(200)의 유입판 본체(210)가 집수관 본체(100)의 내부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직 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집수관 본체(100)의 우수 유입구(110) 상부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유입판 본체(21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돌기(4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집수관 본체(100)의 우수 유입구(110) 하부에는 트렌치 유입판(200)의 유입판 본체(210)가 경첩(300)의 힌지(320)를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동시 트렌치 유입판(200)의 유입판 본체(210) 하부가 집수관 본체(100)의 내부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직 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집수관 본체(100)의 우수 유입구(110) 하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유입판 본체(21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돌기(50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집수관 본체(100)의 우수 유입구(110)의 상부와 하부에 상부 지지돌기(400)와 하부 지지돌기(500)가 각각 구비되어 트렌치 유입판(200)의 유입판 본체(210) 후면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여 수직방향을 유지시켜줌으로써 트렌치 유입판(200)의 유입판 본체(210)가 집수관 본체(100) 내부로 삽입되도록 회동되어 우수가 트렌치 유입판(200)의 유입판 본체(210)에 구비된 제 1, 2우수 유입공(220, 230)으로 유입되지 않고 바로 수집관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부 지지돌기(500)의 내측에는 우수 유입구(11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유도하여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집수관 본체(100)의 하부 바닥에 퇴적되어 슬러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집수관 본체(1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원호형으로 경사면(610)이 형성된 우수 유도돌기(600)가 구비된다.
그리고 경첩(300)의 상부 경첩판(310)과 하부 경첩판(330)의 전면에는 자석(7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자석(700)은 네오디움 원형자석으로 경첩(300)의 상부 경첩판(310)과 하부 경첩판(330)의 전면에 부착할 수 있으며, 경첩(300)의 상부 경첩판(310)과 하부 경첩판(330)의 전면에 상부 경첩판(310)과 하부 경첩판(330)에 삽입홈을 구비하여 자석(700)이 삽입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 경첩판(310)과 하부 경첩판(330)의 전면에 자석(700)이 구비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경첩판(330)을 힌지(320)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180°회동시키면 하부 경첩판(330)에 구비된 자석(700)이 상부 경첩판(310)에 구비된 자석(700)에 밀착되면서 하부 경첩판(330)이 회동된 상태에서 자력에 의해 상부 경첩판(3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교량형 집수관은 도 5와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슬래브(810) 양측에 타설되는 방호벽(8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집수관 본체(100)의 후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횡배수관(910)이 집수관 본체(100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횡배수관(910)의 하부에는 종배수관(920)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방호벽(820)의 하부에 교량형 집수관의 집수관 본체(100)가 설치됨으로써 슬래브(810)의 바닥면을 흐르는 우수는 트렌치 유입판(200)의 유입판 본체(210)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하부가 개방된 제 1우수 유입공(220)으로 유입되며, 집중호우와 같이 우수의 수위가 높아지면 우수는 일측 제 1우수 유입공(220)과 타측 제 1우수 유입공(220) 사이에 구비된 제 2우수 유입공(230)을 통해 집수관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어 횡배수관(910)과 횡배수관(910) 하부에 설치된 종배수관(920)을 통해 교량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트렌치 유입판(200)의 제 1, 2우수 유입공(220, 230)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하부 지지돌기(500)의 내측에 돌출된 우수 유도돌기(600)에 구비된 경사면(610)을 따라 유입되면서 유속이 증가되어 집수관 본체(100)의 하부 바닥에 퇴적되어 슬러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집수관 본체(100) 내부에 이물질이 퇴적되어 집수관 본체(100) 내부를 청소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렌치 유입판(200)의 유입판 본체(210)를 상부에 구비된 경첩(300)의 힌지(320)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180°회동시키면 하부 경첩판(330)에 구비된 자석(700)이 상부 경첩판(310)에 구비된 자석(700)에 밀착되면서 하부 경첩판(330)이 회동된 상태에서 자력에 의해 상부 경첩판(310)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며, 집수관 본체(100)의 우수 유입구(100)는 외부로 개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트렌치 유입판(200)을 집수관 본체(100)에서 분리하지 않더라도 집수관 본체(100)의 내부에 퇴적된 슬러지를 외부로 인출하여 집수관 본체(100)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집수관의 전면에 결합된 트렌치 유입판에 하부가 개방된 다수의 우수 유입공이 형성되어 슬래브의 바닥면에 흐르는 우수가 정체되지 않고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으며, 집수관 본체와 트렌치 유입판에 경첩을 설치하여 수집관 본체에서 트렌치 유입판이 경첩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우수 유입구를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고, 수집관 본체의 우수 유입공 상부와 하부에 하향과 상향으로 각각 돌출된 지지돌기를 구비하여 트렌치 유입판이 집수관 본체 내부까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직방향을 유지하여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집수관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트렌치 유입판이 경첩에 의해 상하로 회전됨으로써 집수관 본체의 내부에 유입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고, 수집관 본체의 우수유입구 하부에 우수 유도돌기를 구비하여 트렌치 유입판으로 유입되는 우수가 우수 유입구로부터 떨어진 집수관 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속을 증가시켜 집수관 본체 내부 바닥에 슬러지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트렌치 유입판이 경첩에 의해 집수관 본체에 볼트 또는 리벳으로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100 : 집수관 본체
110 : 우수 유입구
200 : 트렌치 유입판
210 : 유입판 본체 220 : 제 1우수 유입공
230 : 제 2우수 유입공
300 : 경첩
310 : 상부 경첩판 320 : 힌지
330 : 하부 경첩판
400 : 상부 지지돌기
500 : 하부 지지돌기
600 : 우수 유도돌기
610 : 경사면
700 : 자석

Claims (5)

  1. 교량의 슬래브(810) 양측 방호벽(820) 하부에 방호벽(820)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가 관통된
    Figure 112021119147202-pat00003
    형상으로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도록 전면에 우수 유입구(110)가 구비된 집수관 본체(100);
    상기 집수관 본체(100)의 우수 유입구(110)에 구비되는 유입판 본체(210)가 구비되며, 슬래브(810)의 바닥면으로 유입되는 우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판 본체(210)에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로 연장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의 제 1우수 유입공(220)이 구비되며, 상기 일측 제 1우수 유입공(220)과 타측 제 1우수 유입공(220) 사이에 상하로 연장된 제 2 우수 유입공(230)이 구비되는 트렌치 유입판(200);
    상기 트렌치 유입판(200)의 상부에 복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트렌치 유입판(200)이 회동되어 우수 유입구(110)를 개폐하도록 집수관 본체(100)의 전면 우수 유입구(110)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경첩판(310)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경첩판(310)의 하부에 힌지(320)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트렌치 유입판(200)의 상부 전면에 결합되는 하부 경첩판(330)이 구비되는 경첩(300);
    상기 집수관 본체(100)의 우수 유입구(110) 상부에는 경첩(300)의 힌지(320)을 중심으로 트렌치 유입판(200)이 우수 유입구(110) 방향으로 회동시 트렌치 유입판(200)이 집수관 본체(100)의 내부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직 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집수관 본체(100)의 우수 유입구(110) 상부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유입판 본체(21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돌기(400);
    상기 집수관 본체(100)의 우수 유입구(110) 하부에는 하향으로 회동시 트렌치 유입판(200)이 집수관 본체(100)의 내부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직 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집수관 본체(100)의 우수 유입구(110) 하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유입판 본체(21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돌기(500);
    상기 하부 지지돌기(500)의 내측에는 우수 유입구(110)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유도하여 우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집수관 본체(100)의 하부 바닥에 퇴적되어 슬러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집수관 본체(1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원호형으로 경사면(610)이 구비된 우수 유도돌기(600); 및
    상기 하부 경첩판(330)을 힌지(320)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동시키면 하부 경첩판(330)이 회동된 상태에서 자력에 의해 상부 경첩판(3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부 경첩판(310)과 하부 경첩판(330)의 전면에 구비되는 자석(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41775A 2021-03-31 2021-03-31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 KR102350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775A KR102350582B1 (ko) 2021-03-31 2021-03-31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1775A KR102350582B1 (ko) 2021-03-31 2021-03-31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582B1 true KR102350582B1 (ko) 2022-01-13

Family

ID=79341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1775A KR102350582B1 (ko) 2021-03-31 2021-03-31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58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3663A (ja) * 1997-12-26 1999-07-21 Matsuo Sonoda 磁石付き蝶番
KR101088163B1 (ko) 2010-05-27 2011-12-02 금창준 선배수를 이용한 교량용 배수 관로와, 그 시공 방법
KR101172026B1 (ko) 2012-01-12 2012-08-07 주식회사 삼안 도로 갓길의 배수시설
KR20130092842A (ko) 2012-02-13 2013-08-21 김진섭 교량 교면 배수관
KR101813621B1 (ko) * 2017-04-11 2017-12-29 정구선 교면 배수 장치
KR102027469B1 (ko) * 2018-12-20 2019-11-04 이지용 교량 선 배수 시스템
KR102144253B1 (ko) * 2020-03-24 2020-08-12 김은정 배수효율 극대화 및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교량 선배수 시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3663A (ja) * 1997-12-26 1999-07-21 Matsuo Sonoda 磁石付き蝶番
KR101088163B1 (ko) 2010-05-27 2011-12-02 금창준 선배수를 이용한 교량용 배수 관로와, 그 시공 방법
KR101172026B1 (ko) 2012-01-12 2012-08-07 주식회사 삼안 도로 갓길의 배수시설
KR20130092842A (ko) 2012-02-13 2013-08-21 김진섭 교량 교면 배수관
KR101813621B1 (ko) * 2017-04-11 2017-12-29 정구선 교면 배수 장치
KR102027469B1 (ko) * 2018-12-20 2019-11-04 이지용 교량 선 배수 시스템
KR102144253B1 (ko) * 2020-03-24 2020-08-12 김은정 배수효율 극대화 및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교량 선배수 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7213B2 (en) Eccentric frame for an inlet of a catch basin or manhole
US9127448B2 (en) Retrofit catch basin for use in storm water management practice
JP5181135B2 (ja) 落葉対策用l型縁塊
KR100980234B1 (ko) 우수토실 협잡물 유입방지장치
KR101776805B1 (ko) 조립식 교량 배수장치
US9127447B2 (en) Frame for an inlet of a catch basin or manhole
KR20130045091A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101353515B1 (ko) 낙상 방지장치를 가지고 있는 맨홀틀
KR100681956B1 (ko)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KR101296566B1 (ko) 맨홀용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2350582B1 (ko)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
KR101007019B1 (ko)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 처리를 위한 고속여과장치
KR101175998B1 (ko) 교량의 노면 침투수 배출기능을 겸비한 내장형 선배수시설
KR102526838B1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KR102258378B1 (ko) 교량 노면 배수장치의 횡배수관 및 그 시공 방법
KR100529500B1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KR20090007408U (ko) 스틸그레이팅 용 배수캡
KR101155280B1 (ko) 도로 또는 교량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154026B1 (ko) 도로 측구를 활용한 우수 저류 조절 시설
KR200416889Y1 (ko) 맨홀 구조.
JP2004314000A (ja) 油水分離槽
CA2843934C (en) Eccentric frame for an inlet of a catch basin or manhole
KR20210051327A (ko) 하수구의 악취 저감 장치
KR102556064B1 (ko) 맨홀 추락방지 안전장치 및 추락 방지공법
KR20200004661A (ko)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