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208B1 -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208B1
KR102064208B1 KR1020190037674A KR20190037674A KR102064208B1 KR 102064208 B1 KR102064208 B1 KR 102064208B1 KR 1020190037674 A KR1020190037674 A KR 1020190037674A KR 20190037674 A KR20190037674 A KR 20190037674A KR 102064208 B1 KR102064208 B1 KR 102064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late
drainage
finishing
finish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재남
Original Assignee
주재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남 filed Critical 주재남
Priority to KR1020190037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23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collecting water in bas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은, (a) 벽체 배수판이 지하층의 벽체의 표면에 설치되는 단계; (b) 바닥 배수판이 지하층의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집수정에 연결되는 제 1 배수 통로를 형성하는 단계; (c) 마감판이 벽체 배수판을 폐쇄하도록 바닥 배수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 1 배수 통로에 연결되는 제 2 배수 통로를 형성하는 단계; (d) 마감층이 바닥 배수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단계; (e) 복수 개의 배수 슬롯이 마감층의 상면에 연결되도록 마감판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단계; 및 (f) 배수 제어부가 배수 슬롯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감판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construction method of drainage system for basement floor}
본 발명은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지하층에서 벽면 및 최하부 슬래브를 통해 유입되는 지하수 및 지하의 생활 공간에서 발생되는 하수를 배수하기 위한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터파기가 이루어질 수 있다. 터파기는 건축물의 기초를 만들기 위하여 지면을 굴착하는 것으로서, 지표면 아래에 소정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지하층을 형성할 수 있다.
지하층은 지하층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콘크리트층 및 지하층의 벽면을 형성하면서 옹벽의 형태로 이루어진 벽체 콘크리트층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콘크리트층 및 벽체 콘크리트층에는 지하수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거나, 미세 균열이 발생되어, 지하수는 지하층의 내부로 유입되기도 한다. 또한, 베이스 콘크리트층 및 벽체 콘크리트층은 지층과 접촉되어 냉각된다. 이로 인해, 지하층의 내부가 고온 다습한 상태일 때, 지하층 내부와 베이스 콘크리트층 사이의 온도차 또는 지하층 내부와 벽체 콘크리트층 사이의 온도차로 인해 베이스 콘크리트층 또는 벽체 콘크리트층에는 결로수가 발생될 수 있다.
지하층은 주차장, 기계실, 창고 등과 같은 생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하층의 내부에는 상수도관의 파열, 물청소 등으로 인한 하수의 생활 유입이 이루어지기도 하고, 외부에 연결된 통로를 통한 빗물의 유입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건축물의 지하층을 설계하고자 할 때, 지하층의 내부에 유입될 수 있는 지하수, 결로수, 하수(예를 들어, 생활 하수, 빗물 등) 등의 처리가 고려되고 있어, 지하층에는 다양한 배수 시스템이 시공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하층의 배수 시스템에는 지하층에 유입되는 하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베이스 콘크리트층에 적용되는 마감 콘크리트층에는 배수로가 적용된다. 이러한 배수로는 마감 콘크리트층의 상면에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 물의 흐름을 유도하는 데에 이용된다. 하지만, 배수로는 지하층의 공간 활용도를 저하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마감 콘크리트층의 형성 이전 및 이후에 지하층에 배수로의 형성을 위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배수로의 형성에 따른 상당한 작업 시간이 요구되고, 상당수의 숙련된 작업자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배수로로 인해 배수 시스템을 시공하는 데에 따른 비용도 증가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수 시스템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수 시스템의 시공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은, (a) 벽체 배수판이 지하층의 벽체의 표면에 설치되는 단계; (b) 바닥 배수판이 지하층의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집수정에 연결되는 제 1 배수 통로를 형성하는 단계; (c) 마감판이 벽체 배수판을 폐쇄하도록 바닥 배수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 1 배수 통로에 연결되는 제 2 배수 통로를 형성하는 단계; (d) 마감층이 바닥 배수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단계; (e) 복수 개의 배수 슬롯이 마감층의 상면에 연결되도록 마감판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단계; 및 (f) 배수 제어부가 배수 슬롯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감판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d) 단계는, 트렌치가 바닥 배수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 1 배수 통로에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 단계는, 형틀 부재가 마감판의 폭에 대응하도록 마감판에 설치되어 바닥 배수판의 상측에 위치되는 단계; 콘크리트가 마감층을 형성하도록 바닥 배수판의 상면에 타설되고 형틀 부재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단계; 및 형틀 부재가 양생된 마감층으로부터 분리되어 마감층의 상면에 배수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 단계는, 콘크리트가 마감층을 형성하도록 바닥 배수판의 상면에 타설되는 단계; 형틀 부재가 마감판의 폭에 대응하도록 마감판에 접촉되고 노출되도록 마감층의 상면에 삽입되는 단계; 및 형틀 부재가 양생된 마감층으로부터 분리되어 마감층의 상면에 배수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수홈은 마감판에 근접할수록 하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를 갖는 바닥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e) 단계는, 복수 개의 배수 슬롯이 배수홈의 바닥면에 연결되도록 마감판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수 제어부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마감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수홈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어 베이스; 주름을 갖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어 베이스로부터 연장되어 배수홈의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배수 슬롯을 폐쇄하는 제어 몸체; 및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어 몸체의 하단에 연결되어 배수홈의 바닥면에 접촉되고, 물에서 부유가능한 부유 몸체를 포함하되, 하수가 지하층의 내부에 유입되어 마감층의 상면으로 유도되고 마감층의 상면으로부터 배수홈에 유입되면, 부유 몸체는 배수홈에서 하수의 수위에 대응하도록 배수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제어 몸체는 배수 슬롯을 개방하도록 접히며, 배수홈에서 하수의 수위가 감소되면, 부유 몸체는 배수홈의 바닥면을 향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고 제어 몸체는 배수 슬롯을 폐쇄하도록 펼쳐질 수 있다.
또한, 배수 제어부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마감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수 슬롯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어 베이스; 주름을 갖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어 베이스로부터 연장되어 마감층의 상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배수 슬롯에 대응하면서 배수 슬롯을 폐쇄하는 제어 몸체; 및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어 몸체의 하단에 연결되어 마감층의 상면에 접촉되고, 물에서 부유가능한 부유 몸체를 포함하며, 부유 몸체가 마감층의 상면에 접촉되고 제어 몸체가 펼쳐져 배수 슬롯을 폐쇄한 상태에서, 하수가 지하층의 내부에 유입되어 마감층의 상면에 유도되면, 부유 몸체는 마감층의 하수의 수위에 대응하도록 마감층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제어 몸체는 접혀 배수 슬롯을 개방하며, 마감층에서 하수의 수위가 감소되면, 부유 몸체는 마감층의 상면을 향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고 제어 몸체는 배수 슬롯을 폐쇄하도록 펼쳐질 수 있다.
또한, (e) 단계는, 여과 부재가 배수 슬롯에 대응하도록 마감판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수 제어부가 배수 슬롯을 개방할 때, 여과 부재는 노출되고, 배수 제어부가 배수 슬롯을 폐쇄할 때, 여과 부재는 배수 제어부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배수 시스템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한다.
(2) 배수 시스템의 시공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배수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배수 시스템에서 벽체 배수판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배수 시스템에서 벽체 배수판을 배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배수 시스템에서 바닥 배수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배수 시스템을 지하층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배수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배수 시스템(100)에서 벽체 배수판(101)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배수 시스템(100)에서 벽체 배수판(101)을 배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배수 시스템(100)에서 바닥 배수판(102)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에 의해 시공된 배수 시스템(100)을 지하층(10)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은 지하 구조물(10)에 배수 시스템(100)을 시공하는 방법이다. 본 실시예의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은 배수 시스템(100)의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서, 지하층(10)은 건축물에서 지표면 아래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고, 건축물에서 주차장, 기계실, 창고 등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하층(10)은 지하층(1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 및 옹벽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지하층(10)의 벽면을 형성하는 벽체(12)를 갖되, 벽체(12)의 표면은 베이스(11)의 상면과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11)에는 개방된 상면을 갖는 집수정(20)이 형성되고, 벽체(12)는 베이스(11)의 상면에서 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벽체 배수판(101)이 지하층(10)의 벽체(12)에 설치되는 단계(S101)가 이루어질 수 있다. S101 단계에서 벽체 배수판(101)은 벽체(12)의 표면에 걸쳐 전체적으로 설치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벽체 배수판(101)은 벽체 판체(111) 및 벽체 지지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벽체 판체(111)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벽체 배수판(101)의 정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벽체 배수판(101)의 정면은 구체적으로 벽체 배수판(101)에서 후술될 마감판(103)에 의해 폐쇄되는 면을 의미한다.
벽체 판체(111)에서 상호 간에 근접한 2개의 가장자리에는 조립 돌기(111a)가 형성되고, 나머지 2개의 가장자리에는 조립홈(111b)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벽체 판체(111)들은 상호 간에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조립 돌기(111a) 및 조립홈(111b)에 의해 일체화되어 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벽체 지지부(113)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벽체 판체(111)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벽체(12)의 표면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벽체 지지부(113)는 벽체 판체(111)의 정면에 오목한 벽체 지지 공간(101a)을 형성하고, 벽체 판체(111)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또한, 각각의 벽체 지지부(113)는 돌출 지지부(113a) 및 접촉 지지부(113b)를 포함한다.
돌출 지지부(113a)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벽체 판체(111)의 배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벽체 지지 공간(101a)의 측면을 형성하도록 상호 간에 이격되고, 벽체 판체(111)의 배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호 간에 근접하도록 위치된다.
접촉 지지부(113b)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돌출 지지부(113a)의 종단에 연결된다. 여기서, 접촉 지지부(113b)는 벽체 판체(111)와 평행하도록 위치되고, 복수 개의 유동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 지지부(113b)가 벽체(12)의 표면에 접촉된다.
한편, 벽체 지지부(113)들 사이의 벽체 판체(111)에는 복수 개의 판체 개구(111c)가 벽체 판체(1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판체 개구(111c)들 사이의 벽체 판체(111)의 배면에는 보강 부재(111d)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판체 개구(111c)는 벽체 판체(111)의 재료를 감소시킬 수 있고, 보강 부재(111d)는 벽체 판체(111)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결로수가 벽체(12)의 표면에서 생성되고 지하수가 벽체(12)의 표면으로부터 누설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벽체 배수판(101)이 벽체(12)의 표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벽체(12)의 결로수 및 지하수는 벽체 지지부(113)들 사이에 유입되거나 유동 개구를 통해 벽체 지지 공간(101a)의 내부에 유입되고, 벽체 지지부(113)들 사이 및 돌출 지지부(113a)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베이스(11)의 상면을 향하여 하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즉, 벽체(12)의 결로수 및 지하수는 벽체 배수판(101)을 지난다.
이어서, 바닥 배수판(102)이 지하층(10)의 베이스(11)의 상면에 설치되는 단계(S102)가 이루어질 수 있다. S102 단계에서, 바닥 배수판(102)은 베이스(11)의 상면에 걸쳐 전체적으로 설치되고, 벽체 배수판(101)에 접촉되어 연결된다. 여기서, 바닥 배수판(102)은 집수정(20)에 연결되는 제 1 배수 통로(A)를 형성한다. 즉, 제 1 배수 통로(A)은 바닥 배수판(102)의 상면과 베이스(11)의 상면 사이에서 바닥 배수판(102)에 의해 폐쇄되지 않는 공간을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바닥 배수판(102)은 바닥 판체(121) 및 바닥 지지부(123)를 포함한다.
바닥 판체(121)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바닥 배수판(102)의 상면을 형성한다. 벽체 배수판(101)의 벽체 판체(111)가 바닥 판체(121)의 상면에 교차하도록 위치되어, 바닥 배수판(102)은 벽체 배수판(101)에 접촉되어 연결될 수 있다.
바닥 지지부(123)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바닥 판체(121)의 하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여기서, 바닥 지지부(123)는 동일한 높이를 갖고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바닥 판체(121)의 상면에 오목한 바닥 지지 공간(102a)을 형성한다. 도한, 바닥 지지부(123)는 베이스(11)의 상면에 위치되고, 바닥 판체(121)와 베이스(11) 사이의 제 1 배수 통로(A)에 위치된다.
바닥 지지부(123)에는 바닥 지지부(123)의 측면을 따라 일정 주기로 연속되는 파형 형태의 수직 보강홈(123a)이 형성되고, 바닥 지지 공간(102a)들을 연결하는 보강 연결홈(123b) 및 X자의 형태로 교차되는 보강 교차홈(123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닥 판체(121)는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강도의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닥 판체(121)에는 바닥 판체(121)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강 연결홈(123b) 및 보강 교차홈(123c)을 마감하기 위한 보강 마감부(121a)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바닥 판체(121)의 가장자리 부분에 대한 강도의 향상이 이루어지고, 바닥 배수판(102)이 조립될 때 바닥 배수판(102)들 사이의 면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벽체(12)의 결로수 및 지하수는 벽체 지지부(113)들 사이에 유입되거나 유동 개구를 통해 벽체 지지 공간(101a)에 유입되고, 돌출 지지부(113a)들 사이를 통과하여 제 1 배수 통로(A)에 유입되어 제 1 배수 통로(A)를 통해 집수정(20)에 유도될 수 있다. 여기서, 벽체(12)의 결로수 및 지하수는 바닥 배수판(102)의 바닥 지지부(123)들 사이를 통과한다.
또한, 결로수가 베이스(11)의 상면에서 생성되고 지하수가 베이스(11)의 표면으로부터 누설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11)의 결로수 및 지하수는 바닥 배수판(102)의 바닥 지지부(123)들 사이에 유입되고, 바닥 지지부(123)들 사이를 통과한다. 즉, 베이스(11)의 결로수 및 지하수는 제 1 배수 통로(A)에 유입되어 집수정(20)으로 유도될 수 있다.
한편, S101 단계에서 벽체 배수판(101)은 바닥 배수판(102)과의 연결을 고려하여 벽체(12)의 표면에 설치되고, 벽체 배수판(101)의 하단은 베이스(1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S101 단계 및 S102 단계를 통해 지하층(10)의 결로수 및 지하수는 안정적으로 집수정(20)으로 유도되어 배수될 수 있다.
이어서, 마감판(103)이 벽체 배수판(101)을 폐쇄하면서 바닥 배수판(102)의 상면에 설치되는 단계(S103)가 이루어질 수 있다. S103 단계에서, 마감판(103)은 벽체(12)의 표면에 설치된 벽체 배수판(101)을 폐쇄하도록 벽체 배수판(101)에 결합되고 바닥 배수판(102)의 상면에 직교하도록 위치되어, 벽체 배수판(101)과 조합한 제 2 배수 통로(B)를 형성한다. 여기서, 마감판(103)은 벽체 배수판(101)의 벽체 판체(111)의 정면에 접촉되어 벽체 배수판(101)을 폐쇄하고, 제 2 배수 통로(B)는 벽체(12)의 표면과 마감판(103) 사이에서 벽체 배수판(101)에 의해 폐쇄되지 않는 공간을 의미하고, 제 1 배수 통로(A)에 연결될 수 있다.
벽체(12)의 결로수 및 지하수는 제 2 배수 통로(B)에 유입되어 제 2 배수 통로(B)를 따라 제 1 배수 통로(A)로 유도되어 집수정(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벽체(12)의 결로수 및 지하수는 마감판(103)으로 인해 구체적으로 후술될 마감층(104)의 상면으로 유도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제 1 배수 통로(A)로 유도될 수 있다.
이어서, 마감층(104)이 바닥 배수판(102)의 상면에 형성되는 단계(S104)가 이루어질 수 있다. S104 단계에서, 마감층(104)은 콘크리트의 타설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콘크리트는 타설되어 바닥 배수판(102)의 상면에 걸쳐 위치된다. 즉, 마감층(104)은 바닥 배수판(102)에서 바닥 지지 공간(102a), 보강 연결홈(123b) 및 보강 교차홈(123c)에 공급되고 바닥 판체(102)의 상면에 걸쳐 위치되어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S104 단계를 통해 바닥 배수판(102)은 베이스(11)의 상면에 견고하게 위치될 수 있고, 마감층(104)은 지하층(10)에서 실질적인 바닥면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S104 단계에서, 형틀 부재(11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형틀 부재(110)는 마감판(103)에 설치되어 바닥 배수판(102)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형틀 부재(110)는 마감판(103)의 폭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마감층(104)의 상면의 위치를 고려하여 마감판(103)에 설치된다.
형틀 부재(110)가 마감판(103)에 설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는 마감층(104)을 형성하도록 바닥 배수판(102)의 상면에 타설될 수 있다. 마감층(104)에서 형틀부재(110)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콘크리트의 타설이 이루어진다.
형틀 부재(110)의 하면은 마감판(103)에 근접할수록 하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형틀 부재(110)는 마감층(104)의 상면에 배수홈(141)을 형성하는 데에 이용된다. 이러한 형틀 부재(110)는 콘크리트 타설로 이루어진 마감층(104)의 양생이 이루어지면, 마감층(104)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배수홈(141)은 마감층(104)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마감판(103)에 연결되고, 마감판(103)에 근접할수록 하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를 갖는 바닥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형틀 부재(110)는 마감판(103)에 접촉되도록 마감층(104)의 상면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콘크리트가 바닥 배수판(102)의 상면에 타설되어, 마감층(104)의 형성이 이루어진 상태이다. 또한, 형틀 부재(110)의 상면은 마감층(104)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되거나, 마감층(104)의 상면과 동일 평면으로 위치될 수 있다. 즉, 형틀 부재(110), 특히, 형틀 부재(110)의 상면이 마감층(104)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형틀 부재(110)는 마감층(104)의 상면에 삽입된다.
또한, S104 단계에서, 마감층(104)에 트렌치(trench)(143)가 설치될 수 있다. 트렌치(143)는 바닥 배수판(102)의 상면에 위치되어 제 1 배수 통로(A)에 연결된다. 이러한 트렌치(143)는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마감층(104)의 형성 이후에도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마감층(104)의 형성 이전에 이루어진다.
하수가 지하층(10)의 내부에 유입되는 경우, 하수는 트렌치(143)에 유입되고, 트렌치(143)를 통해 제 1 배수 통로(A)로 유도되어 집수정(20)에 유입될 수 있다.
이어서, 배수 슬롯(105)이 마감층(104)의 상면에 연결되도록 마감판(103)에 형성되는 단계(S105)가 이루어질 수 있다. S105 단계에서, 배수 슬롯(105)은 지하층(10)의 내부를 제 2 배수 통로(B)에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지하층(10)의 내부에 유입된 하수는 배수 슬롯(105)을 통해 제 2 배수 통로(B)에 유입되고, 제 1 배수 통로(A)로 유도되어 집수정(20)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배수 슬롯(105)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마감판(103)에서 각각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호 간에 평행하게 위치된다. 각각의 배수 슬롯(105)의 하단은 마감층(104)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거나, 마감층(104)의 상면과 동일 평면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마감층(104)의 상면에 위치된 하수는 마감층(104)에 남아 있지 않도록 배수 슬롯(105)을 통해 제 2 배수 통로(B)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S104 단계에서, 형틀 부재(110)를 이용하여 배수홈(141)이 마감층(104)의 상면에 형성된 경우, 각각의 배수 슬롯(105)의 하단은 배수홈(141)의 바닥면의 최하부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거나, 배수홈(141)의 바닥면의 최하부와 동일 평면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수는 마감층(104)의 상면에서 배수홈(141)으로 유도되기만 하면, 자연스럽게 배수 슬롯(105)을 통해 제 2 배수 통로(B)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S105 단계에서 마감층(104)의 상면 또는 배수홈(141)의 바닥면의 위치는 결정된 상태이기에, 배수 슬롯(105)의 위치는 마감층(104)의 상면 또는 배수홈(141)의 바닥면에 연결될 수 있도록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수 슬롯(105)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S105 단계에서 여과 부재(151)가 배수 슬롯(105)에 대응하도록 마감판(103)에 설치될 수 있다. 하수가 마감층(104)의 상면에서 배수 슬롯(105)을 통과할 때, 생활 하수 및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은 여과 부재(151)에 여과될 수 있다. 제 1 배수 통로(A)에서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의 축적이 이루어지지 않아, 제 1 배수 통로(A)는 폐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배수 통로(A)에 유입된 결로수, 지하수 및 하수는 집수정(20)으로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다.
여과 부재(151)는 마감판(103)에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량의 이물질이 여과 부재(151)에 여과된 경우, 하수는 배수 슬롯(105)을 통과하지 않고 제 2 배수 통로(B)에 유입되지 못할 수 있다. 여기서, 여과 부재(151)는 마감판(103)으로부터 분리되고 세척된 이후에 다시 배수 슬롯(105)에 대응하도록 마감판(103)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여과 부재(151)는 마감판(103)으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폐기되고, 새로운 여과 부재가 배수 슬롯(105)에 대응하도록 마감판(103)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S105 단계는 S104 단계 이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배수 슬롯(105)은 S104 단계에서 형성될 마감층(104)의 상면의 위치 또는 배수홈(141)의 바닥면의 위치를 고려하여 마감판(103)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은 지하층(10)에 벽체 배수판(101), 바닥 배수판(102) 및 마감판(103)을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마감층(104)을 바닥 배수판(102)의 상면에 형성하고, 배수 슬롯(105)을 마감판(103)에 형성함으로써, 배수 시스템(100)을 지하층(10)에 시공하도록 한다. 여기서, 벽체 배수판(101), 바닥 배수판(102) 및 마감판(103)의 설치, 마감층(104)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및 배수 슬롯(105)의 형성 등은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은 배수 시스템(100)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공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에 의해 배수 시스템(100)은 지하층(10)에서 베이스(11)의 결로수 및 지하수를 제 1 배수 통로(A)를 통해 집수정(20)으로 유도하고, 벽체(12)의 결로수 및 지하수를 제 2 배수 통로(B) 및 제 1 배수 통로(A)를 통해 집수정(20)으로 유도함으로써, 지하층(10)의 결로수 및 지하수를 배수할 수 있다. 특히, 지하층(10)의 내부에 유입되는 하수는 마감층(103)의 상면으로부터 배수 슬롯(105)을 통해 제 2 배수 통로(B)로 유도된 이후에 제 1 배수 통로(A)를 통해 집수정(20)으로 유도되어 배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은 지하층(10)에서 원활한 배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 제어부(106)가 배수 슬롯(105)을 개폐하도록 마감판(103)에 설치되어 마감층(104)의 상면에 접촉되는 단계(S106)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하수가 지하층(10)의 내부에 유입되어 마감층(104)의 상면에 유도되면, 배수 제어부(106)는 마감층(104)에서 하수의 수위에 대응하도록 배수 슬롯(105)을 개방한다. 하수는 개방된 배수 슬롯(105)을 통해 제 2 배수 통로(B)에 유입되고, 제 1 배수 통로(A)로 유도되어 집수정(20)에 유입될 수 있다. 마감층(104)에서 하수의 수위가 감소되면, 배수 제어부(106)는 배수 슬롯(105)을 폐쇄하도록 작동시킨다.
또한, 배수 제어부(106)는 제어 베이스(161), 제어 몸체(163) 및 부유 몸체(1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베이스(161)는 바아(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마감판(103)의 상부에 설치되어 마감층(104)의 상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제어 베이스(161)는 마감층(104)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위치된다.
제어 몸체(163)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어 베이스(161)로부터 연장되어 마감층(104)의 상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된다. 제어 몸체(163)는 접혔다가 펼쳐질 수 있도록 주름을 갖고, 물에서 부유가능할 수 있다. 제어 몸체(163)는 펼쳐져 마감층(104)의 상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됨으로써 배수 슬롯(105)을 폐쇄할 수 있다.
부유 몸체(165)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어 몸체(163)의 하단에 연결되어 마감층(104)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몸체(163)는 부유 몸체(165)에 의해 배수 슬롯(105)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부유 몸체(165)는 물에서 부유가능할 수 있다.
하수가 지하층(10)의 내부에 유입되어 마감층(104)의 상면에 유도되면, 하수는 마감층(104)의 상면에서 소정의 수위를 형성하며, 부유 몸체(165)는 하수의 부력에 의해 마감층(104)에서 하수의 수위에 대응하도록 마감층(104)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제어 몸체(163)는 부유 몸체(165)에 의해 접힐 수 있거나 또는 하수의 상면에서 부유할 수도 있다. 배수 슬롯(105)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마감층(104)의 하수는 마감층(104)과 부유 몸체(165) 사이의 배수 슬롯(105)을 통해 제 2 배수 통로(B)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마감층(104)에서 하수의 수위가 감소되면, 부유 몸체(165)는 하수의 수위에 따라 마감층(104)의 상면을 향하여 하측으로 이동한다. 마감층(104)의 하수가 배수 슬롯(105)을 통해 모두 제 2 배수 통로(B)에 유입되면, 부유 몸체(165)는 마감층(104)의 상면에 접촉되고, 제어 몸체(163)는 펼쳐져 배수 슬롯(105)을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수 제어부(106)는 별도의 동력없이 마감층(104)의 하수량에 따라 자동으로 마감층(104)의 하수를 배수 슬롯(105)을 통해 배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S104 단계에서 배수홈(141)이 마감층(104)에 형성되고, S105 단계에서 여과 부재(151)가 배수 슬롯(105)에 대응하도록 마감판(103)에 설치되는 경우, S106 단계에서 배수 제어부(106)는 배수 슬롯(105) 및 여과 부재(151)를 개폐하도록 마감판(103)에 설치되어 배수홈(141)에 삽입되어 배수홈(141)의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하수가 지하층(10)의 내부에 유입되어 마감층(104)의 상면에 유도되면, 하수는 마감층(104)의 상면으로부터 배수홈(141)에 유입된다. 여기서, 하수는 배수홈(141)에서 소정의 수위를 형성하며, 부유 몸체(165)는 하수의 부력에 의해 배수홈(141)에서 하수의 수위에 대응하도록 배수홈(141)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제어 몸체(163)는 부유 몸체(165)에 의해 접힐 수도 있거나 또는 배수홈(141)의 하수의 상면에서 부유할 수도 있다. 배수 슬롯(105)의 개방 및 여과 부재(151)의 노출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배수홈(141)에서 하수는 배수홈(141)의 바닥면과 부유 몸체(165) 사이의 여과 부재(151) 및 배수 슬롯(105)을 통해 제 2 배수 통로(B)에 유입된다.
또한, 배수홈(141)에서 하수의 수위가 감소되면, 부유 몸체(165)는 하수의 수위에 따라 배수홈(141)의 바닥면을 향하여 하측으로 이동한다. 배수홈(141)의 하수가 여과 부재(151) 및 배수 슬롯(105)을 통해 모두 제 2 배수 통로(B)에 유입되면, 부유 몸체(165)는 배수홈(104)의 바닥면에 접촉되고, 제어 몸체(163)는 배수 슬롯(105) 및 여과 부재(151)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수 제어부(106)는 배수홈(141)에 유입된 하수의 수위에 따라 배수 슬롯(105)을 개폐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적은 하수를 이용하여 배수 슬롯(105)를 개폐시킬 수 있다. 즉, 배수 제어부(106)는 배수홈(141)과 조합하여 보다 원활하고 용이하게 배수 슬롯(105)을 개방시켜 지하층(10)의 하수를 용이하게 배수할 수 있다.
또한, 하수가 지하층(10)의 내부에 유입되어 마감층(104)의 상면에 유도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배수 제어부(106)는 배수 슬롯(105)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한다. 제 1 배수 통로(A), 제 2 배수 통로(B) 및 집수정(20)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악취는 배수 슬롯(105)을 통해 지하층(10)의 내부에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배수 제어부(106)는 지하층(10)에서 하수의 수위가 급격하게 증가되는 경우에 더욱더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배수 시스템
101: 벽체 배수판
102: 바닥 배수판
103: 마감판
104: 마감층
141: 배수홈
143: 트렌치
105: 배수 슬롯
151: 여과 부재
106: 배수 제어부
161: 제어 베이스
163: 제어 몸체
165: 부유 몸체
110: 형틀 부재

Claims (10)

  1. (a) 벽체 배수판이 지하층의 벽체의 표면에 설치되는 단계;
    (b) 바닥 배수판이 지하층의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집수정에 연결되는 제 1 배수 통로를 형성하는 단계;
    (c) 마감판이 벽체 배수판을 폐쇄하도록 바닥 배수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 1 배수 통로에 연결되는 제 2 배수 통로를 형성하는 단계;
    (d) 마감층이 바닥 배수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단계;
    (e) 복수 개의 배수 슬롯이 마감층의 상면에 연결되도록 마감판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단계; 및
    (f) 배수 제어부가 배수 슬롯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감판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배수 제어부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마감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수 슬롯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어 베이스;
    주름을 갖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어 베이스로부터 연장되어 마감층의 상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배수 슬롯에 대응하면서 배수 슬롯을 폐쇄하는 제어 몸체; 및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어 몸체의 하단에 연결되어 마감층의 상면에 접촉되고, 물에서 부유가능한 부유 몸체를 포함하며,
    부유 몸체가 마감층의 상면에 접촉되고 제어 몸체가 펼쳐져 배수 슬롯을 폐쇄한 상태에서, 하수가 지하층의 내부에 유입되어 마감층의 상면에 유도되면, 부유 몸체는 마감층의 하수의 수위에 대응하도록 마감층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제어 몸체는 접혀 배수 슬롯을 개방하며,
    마감층에서 하수의 수위가 감소되면, 부유 몸체는 마감층의 상면을 향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고 제어 몸체는 배수 슬롯을 폐쇄하도록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d) 단계는,
    트렌치가 바닥 배수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 1 배수 통로에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d) 단계는,
    형틀 부재가 마감판의 폭에 대응하도록 마감판에 설치되어 바닥 배수판의 상측에 위치되는 단계;
    콘크리트가 마감층을 형성하도록 바닥 배수판의 상면에 타설되고 형틀 부재의 상부를 노출시키는 단계; 및
    형틀 부재가 양생된 마감층으로부터 분리되어 마감층의 상면에 배수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d) 단계는,
    콘크리트가 마감층을 형성하도록 바닥 배수판의 상면에 타설되는 단계;
    형틀 부재가 마감판의 폭에 대응하도록 마감판에 접촉되고 노출되도록 마감층의 상면에 삽입되는 단계; 및
    형틀 부재가 양생된 마감층으로부터 분리되어 마감층의 상면에 배수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배수홈은 마감판에 근접할수록 하측으로 기울어진 경사를 갖는 바닥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e) 단계는,
    복수 개의 배수 슬롯이 배수홈의 바닥면에 연결되도록 마감판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e) 단계는,
    여과 부재가 배수 슬롯에 대응하도록 마감판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배수 제어부가 배수 슬롯을 개방할 때, 여과 부재는 노출되고,
    배수 제어부가 배수 슬롯을 폐쇄할 때, 여과 부재는 배수 제어부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

KR1020190037674A 2019-04-01 2019-04-01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 KR102064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74A KR102064208B1 (ko) 2019-04-01 2019-04-01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74A KR102064208B1 (ko) 2019-04-01 2019-04-01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208B1 true KR102064208B1 (ko) 2020-01-09

Family

ID=6915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674A KR102064208B1 (ko) 2019-04-01 2019-04-01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2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5333A (zh) * 2022-05-30 2022-09-13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挡墙排水材料施工方法
KR102672505B1 (ko) * 2023-01-06 2024-06-05 강보권 블록 화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486B1 (ko) * 2010-02-25 2010-06-17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부력을 이용한 역류방지 탈기장치
KR101069826B1 (ko) * 2011-04-19 2011-10-04 주식회사 헤럴드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486B1 (ko) * 2010-02-25 2010-06-17 중앙방수기업주식회사 부력을 이용한 역류방지 탈기장치
KR101069826B1 (ko) * 2011-04-19 2011-10-04 주식회사 헤럴드 유지관리가 용이한 지하 공동구의 낙수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5333A (zh) * 2022-05-30 2022-09-13 中冶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挡墙排水材料施工方法
KR102672505B1 (ko) * 2023-01-06 2024-06-05 강보권 블록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9852B2 (en) Sediment control drain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2064208B1 (ko) 지하층용 배수 시스템 시공 방법
KR102244995B1 (ko) 배수용 트렌치
JP2011202472A (ja) 道路側溝用集水桝およびそれを備えた雨水流出抑制施設
KR200438322Y1 (ko) 지하층 바닥 물배수 구조
JP2009057819A (ja) 鋳鉄製パネルを用いた貯水タンク構造体及びそれを建造する方法
KR100564921B1 (ko) 하수도관 맨홀
US20060150551A1 (en) Filtered dual channel water drainage conduit
CN112227508B (zh) 整体卫浴侧排地漏装置
KR100949478B1 (ko) 도로 배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9249874A (ja) 雨水貯留浸透システム
JP4504832B2 (ja) 雨水流出抑制システム
KR20070039337A (ko) 영구배수시스템
JP2006118131A (ja) 排水機能を有する歩車道境界ブロックと、これを用いた舗装道路の排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634759B1 (ko)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의 시공방법 및 그 물품
KR101632899B1 (ko) 공동주택용 바닥 배수시설
JP5302135B2 (ja) 玄関ポーチの側溝構造
KR100556820B1 (ko) 양압력 감쇄처리용 챔버 및 그의 시공방법
JP2008138374A (ja) 雨水流出抑制施設
JP2001279607A (ja) 境界ブロック、および道路における排水処理構造
KR200284862Y1 (ko) 배수용 그릴
KR200320808Y1 (ko) 다중배수트랩장치
KR102584704B1 (ko) 노면 빗물배수시스템용 드레인보드
KR101896456B1 (ko) 리모델링용 배수커버
KR200372042Y1 (ko) 배수트렌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